KR20210115198A -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198A
KR20210115198A KR1020200030615A KR20200030615A KR20210115198A KR 20210115198 A KR20210115198 A KR 20210115198A KR 1020200030615 A KR1020200030615 A KR 1020200030615A KR 20200030615 A KR20200030615 A KR 20200030615A KR 20210115198 A KR20210115198 A KR 2021011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lever
tilt
chai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511B1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20003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5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47C1/0327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 및 상기 틸트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Lever module FOR limiting TILT operating Range of BACKREST CHAIR and CHAIR FOR adjusting backrest til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영역을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틸트 스프링에 의해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되고, 등받이 의자에 설치된 틸트 스프링의 동작 영역을 제한하는 레버 모듈을 조작함에 따라 등받이부의 최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기울일 때 미리 설정된 한가지의 범위의 각도로만 조절되었다. 물론, 전자동식 의자의 경우 등받이부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었으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A)는 수동식이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서 등받이부(2)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구조 변경의 복잡함 및 구조 변경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A)는 도 2와 같이 안착부(1)와 등받이부(2)가 지지부(3)에 의해 연결되었고, 지지부의 내부에 힌지 결합부(5) 및 스프링부(6)를 통해 등받이부(2)를 기울이는 구성만 존재하였을 뿐, 등받이부(2)를 기울이는 최대 범위를 조절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각 단계별로 등받이부(2)를 기울이는 구성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A)는 아암 레스트(4)까지 지지부(3)의 외측에 함께 결합시킴에 따라 등받이부(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아암 레스트(4)를 탈착해야 하는 등의 구조적 변경의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A)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변경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A)의 주요 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등받이부(2)가 기울어지는 최대 범위와 각도를 원하는 만큼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 10-2057900호(2019.12.16.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한 방법으로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의자에 설치된 레버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어 레버 형태의 레버 모듈을 이용함에 따라 등받이부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레버부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등받이부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 및 상기 틸트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채로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모듈은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채로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하는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의자에 설치된 레버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등받이 의자의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듈이 기어 레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어 레버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도 등받이부의 최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레버부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단계적으로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등받이부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지지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지지부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도 4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의 내부가 투영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등받이부의 기울어짐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레버 모듈, 틸트 스프링 및 가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X 위치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레버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푸싱부가 결합된 레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A-A'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안착부(10), 등받이부(20), 지지부(30), 레버 모듈(50) 및 아암 레스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는 의자의 하측에 형성되어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상측으로 지지하고, 등받이부(20)는 의자의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를 전면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0)는 안착부(10)에 결합되어 등받이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0)는 등받이부(20)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등받이부(2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틸트 탄성부(40)의 움직임을 제한함에 따라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아암 레스트(60)는 레버 모듈(50)과 함께 등받이부(20)와 지지부(30)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지지부(30)에 설치된 레버 모듈(50)을 이용하여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제한됨에 따라, 레버 모듈(5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등받이부(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30)의 내부가 투영되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등받이부(20)의 기울어짐에 의해 각 구성의 동작이 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등받이부(20)의 기울어짐에 따른 틸트 탄성부(4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틸트 탄성부(40)는 지지부(30)와 등받이부(20)가 결합되는 회전결합부(31)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틸트 탄성부(40)의 일단(43)은 회전결합부(31)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등받이부(20)의 기울어짐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 이동하거나, 전방으로 복귀하도록 등받이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트 탄성부(40)는 일단(43)이 회전결합부(31)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41)은 등받이부(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회전결합부(31)에 형성된 개방부(33)를 통해 등받이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등받이부(20)의 기울어짐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 이동한 뒤에 탄성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기울어진 등받이부(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는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 링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에 의해 전후방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틸트 탄성부(40)는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짐에 따라 일단(43)은 고정된 채로 타단(41)이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도 4에 비해 후방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는 탄성력으로 인해 타단(41)이 등받이부(20)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등받이부(20)의 후방을 향해 더욱 벌어지고, 도 5에 비해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은 개방부(33)가 형성된 영역까지 등받이부(20)를 후방을 향해 기울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레버 모듈(50)을 이용하여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틸트 탄성부(40)가 후방을 향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이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전후 방으로 이동하면서 틸트 탄성부(40)를 제한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회전 결합부(31) 구조에 맞물려 조립되는 방식으로 회전 결합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모듈(50)은 후술하는 레버 플레이트가 회전 결합부(31)에 형성된 제1 삽입부(35-1)와 제2 삽입부(35-2)에 각각 삽입된 채로 레버 모듈(50)이 회전함과 동시에 레버 플레이트가 제1 및 제2 삽입부(35-1 및 35-2)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회전 결합부(31)에 결합된 채로 전 후 방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8은 레버 모듈(50), 틸트 스프링(40) 및 푸싱부(57)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틸트 스프링(40)은 타단(41)에 'ㄱ'형상으로 걸림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D1의 방향에서 틸트 스프링(40)을 바라보았을 때, 틸트 스프링(40)의 걸림부(411)에는 돌출부(412)가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12)는 회전결합부(31)에 형성된 개방부(33)를 지나 등받이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412)는 등받이부(20)에 끼워지거나 접합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등받이부(20)는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이 벌어지는 동작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레버부(55), 레버 플레이트(551), 레버 몸체부(553) 및 제한부(5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 플레이트(551)는 회전 결합부(31)의 제1 및 제2 삽입부(35-1 및 35-2)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레버 몸체부(553)는 제한부(555)가 형성되기 위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555)는 틸트 스프링(40)의 타단(41)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걸림부(411)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411)에 대응되는 형태로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제한부(555)가 형성됨에 따라, 레버 모듈(50)이 걸림부(411)를 후방에서 움직임을 제한할 때, 걸림부(411)가 하측(회전 원의 중심점)으로 빠져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푸싱부(57)는 레버 모듈(50)의 일측 위치에서 레버 모듈(5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푸싱부(57)는 회전 결합부(31)의 일측면에 결합된 푸싱스프링(5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레버 모듈(50)을 가압할 수 있다. 레버 모듈(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푸싱스프링(56)이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레버 모듈(50)은 레버부(55)와 가이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55)는 틸트 탄성부(40)에 접촉되어 후퇴 이동을 제한하고, 가이드부(54)는 레버부(55)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결합부(31)의 상측에는 가이드부(54)가 설치될 수 있는데, 가이드부(54)는 회전 결합부(3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55)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가이드부(54)에 개방된 영역을 통해 회전 결합부(31)의 내부로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부(55)는 가이드부(54)에 개방된 영역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위치에서 틸트 탄성부(40)의 후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부(55)는 가이드부(54)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소정 위치에서 가이드부(54)에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55)는 가이드부(54)의 개방된 영역의 내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54)의 개방된 영역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54)는 개방된 영역의 내측면에서 레버부(55)를 임의의 영역에서 고정하도록 가이드부(54)의 내측면에 레버부(55)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가이드부(54)를 통해 지지부(3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틸트 탄성부(40)의 후방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틸트 탄성부(40)가 접촉됨에 따라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이 벌어지지 않도록 틸트 탄성부(40)의 중심축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등받이부(20)의 후퇴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버부(55)는 후방으로 조절될수록 상기 등받이부(20)의 후퇴 이동을 허용하고, 전방으로 조절될수록 상기 등받이부(20)의 후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버부(55)가 도 9에 비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틸트 탄성부(40)는 후방 영역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타단(41)이 도 9에 비해 더 벌어지고, 등받이부(20)가 도 9에 비해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레버부(55)가 도 10에 비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틸트 탄성부(40)는 후방 영역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타단(41)이 벌어지고, 등받이부(20)가 도 10에 비해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가이드부(54)에 개방된 영역을 통해 레버부(55)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간략한 구성을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도 11의 X 위치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레버 모듈(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버 모듈(50)은 기어 레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부(55)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레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레버 모듈(50)이 지지부(30)의 회전 결합부(31)의 상측에 개방된 영역에 레버부(55)가 관통되고, 레버 플레이트(551)가 회전 결합부(31)에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회전 결합부(31)와 결합될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버 모듈(50)이 회전 결합부(31)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부(5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레버 모듈(50)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 결합부(31)와의 결합형태가 서로 상이하지만, 레버 모듈(50)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 레버 모듈(50) 형태는 동일하므로 편의를 위해 도 12 내지 도 14에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레버 모듈(50)의 레버부(55)는 회전 결합부(31)의 상측에 개방된 영역 또는 가이드부(54)에 의해 가이드되는 영역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레버부(55)는 회전 결합부(31)의 상측 또는 가이드부(54)의 개방된 영역을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기어 레버 형태의 레버 모듈(50)을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등받이부(20)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푸싱부(56)가 결합된 레버 모듈(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A-A'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버 모듈(50)은 레버부(55)의 일측을 가압하는 푸싱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부(57)는 레버부(55)의 가압을 통해 레버부(55)의 전후방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푸싱부(57)는 회전 결합부(31) 또는 가이드부(54)에 결합된 푸싱스프링(56)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레버부(55)는 푸싱부(56)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개방된 영역의 형태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방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푸싱부(57)는 가압된 힘의 반대방향(푸싱스프링(56)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눌리는 경우 레버부(55)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레버부(55)는 푸싱부(57)를 일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고, 일측으로 이동된 레버부(55)는 개방된 영역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는 푸싱부(57)에 의해 레버부(55)를 가압시켜 레버부(55)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등받이부(20)의 각도가 단계적으로 원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회전 결합부(31)의 단면을 투시하였을 때의 도면으로서, 회전 결합부(31)의 내부에 레버 모듈(50), 틸트 탄성부(40)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다. 레버 모듈(50)은 레버부(55)가 회전 결합부(31, 또는 가이드부(54))의 상측에서 관통하여 내측으로 레버 몸체부(553)가 설치되고, 레버 몸체부(553)는 레버 플레이트(551)와 제한부(555)가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몸체부(553)는 푸싱부(57)에 의해 가압되고, 푸싱부(57)는 회전 결합부(31)에 결합된 푸싱스프링(5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탄성이 펴지는 방향으로 레버 몸체부(553)를 가압할 수 있다.
틸트 탄성부(40)는 점선으로 도시된 구성으로서, 타단이 레버 모듈(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걸림부(411)는 레버 몸체부(553)에 음각으로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어 틸트 탄성부(40)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 걸림부(411)는 돌출부(412)가 형성되는 영역이 등받이부(20)와 결합되도록 회전 결합부(31)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부(33)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모듈(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모듈(50)은 안착부(10)와 등받이부(20)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100)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10)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40)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40)의 타단(41)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40)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20)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와 상기 지지부(30)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30)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43)이 상기 지지부(30)에 고정되고, 타단(43)이 상기 등받이부(20)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20)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41)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20)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모듈(50)은, 상기 지지부(30)에 형성된 삽입부(35)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레버 플레이트(551)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551)가 상기 삽입부(35)에 삽입된 채로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하는 레버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 및
    상기 틸트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부에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레버 플레이트; 및
    상기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채로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제한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레버부가 후방으로 조절될수록 상기 등받이부의 후퇴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레버부가 전방으로 조절될수록 상기 등받이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레버부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레버 형태인 것인,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레버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부의 전후방 이동을 고정하는 푸싱부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개방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는,
    상기 레버 모듈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는 아암 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10. 안착부와 등받이부가 형성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상대적인 기울임을 조절하는 틸트 탄성부에 접촉되어 상기 틸트 탄성부의 타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틸트 탄성부의 후퇴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기울어지는 최대 각도를 제한하되,
    상기 틸트 탄성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된 영역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을 탄성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되,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영역으로 후퇴 이동하며, 상기 타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영역으로 복귀하는,
    레버 모듈.
KR1020200030615A 2020-03-12 2020-03-12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KR10237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15A KR102376511B1 (ko) 2020-03-12 2020-03-12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15A KR102376511B1 (ko) 2020-03-12 2020-03-12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98A true KR20210115198A (ko) 2021-09-27
KR102376511B1 KR102376511B1 (ko) 2022-03-17

Family

ID=7792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615A KR102376511B1 (ko) 2020-03-12 2020-03-12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5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564A (ja) * 1993-11-19 1995-05-30 Chuo Spring Co Ltd 自動車のシートの背もたれ前傾装置
KR960016987U (ko) * 1994-11-23 1996-06-17 자동차 등받이 시이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495325B1 (ko) * 2014-10-29 2015-03-03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101593116B1 (ko) * 2014-10-30 2016-02-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101635449B1 (ko) * 2016-03-14 2016-07-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등받이 틸팅 잠금장치
KR102057900B1 (ko)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564A (ja) * 1993-11-19 1995-05-30 Chuo Spring Co Ltd 自動車のシートの背もたれ前傾装置
KR960016987U (ko) * 1994-11-23 1996-06-17 자동차 등받이 시이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106677A (ko) * 2009-03-24 2010-10-04 김현곤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495325B1 (ko) * 2014-10-29 2015-03-03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101593116B1 (ko) * 2014-10-30 2016-02-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101635449B1 (ko) * 2016-03-14 2016-07-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등받이 틸팅 잠금장치
KR102057900B1 (ko)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511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5017A1 (ja) 什器における高さ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398686B1 (ko) 틸팅 타입 의자
WO2004008915A1 (ja) 椅子
US20070040433A1 (en) Chair adjustable device
US20070194614A1 (en) Seat position-adjusting device for a highchair
JPH0638848A (ja) 調節自在な椅子装置
KR101623817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376511B1 (ko) 등받이 의자의 틸트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레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받이 틸트 조절 의자
JP2002254930A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4084113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2084357B1 (ko) 의자의 요추받침대
US4723815A (en) Baby carriage backrest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JP4080804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H1033303A (ja) 椅子の摺動ロック機構
JP3675143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733985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JP2000004982A (ja) 椅子の肘掛け等の高さ調節装置
JP200014224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ドア
JP366140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766357B1 (ko) 의자 높낮이 및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JPH10295491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1938494B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20190087824A (ko) 등받이 틸팅조정가능한 의자
JP2002325646A (ja) 椅子のロ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