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981B1 -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981B1
KR101032981B1 KR1020090096694A KR20090096694A KR101032981B1 KR 101032981 B1 KR101032981 B1 KR 101032981B1 KR 1020090096694 A KR1020090096694 A KR 1020090096694A KR 20090096694 A KR20090096694 A KR 20090096694A KR 101032981 B1 KR101032981 B1 KR 10103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backrest
elastic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729A (ko
Inventor
김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to KR102009009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걸이와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회전장치를 구비하고, 이 회전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면 가압에 의해 등받이가 회전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A)는 내부에 결합홈(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작동홈(12)이 구비되어 등받이(1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 팔걸이(200)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의 작동홈(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2);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내측에 끼워지는 탄성체(3); 상기 탄성체(3)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결합홈(10,2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구(61,62);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 탄성체(3), 제1 및 제2고정구(61,62)를 관통하여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96694
의자, 등받이, 회전, 탄성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ROTATION APPARATUS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걸이와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면 가압에 의해 등받이가 회전되도록 회전 작동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탄력성에 의해 곧바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급되고 있는 사무용 의자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휴식시에는 의자의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고, 작업시에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된다.
즉, 종래 사무용 의자는 좌판 하부에 등받이의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등받이를 뒤로 민 상태에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사무용 의자는 등받이의 회동이 착석자의 엉덩이 바로 윗부분에서부터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착석자는 상체가 전부 젖혀지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휴식을 취할때는 좋지만 업무를 해야할 경우에는 다시 각도조절장치를 해제시켜 등받이가 수직상태로 복귀되도록 해야 하는 수고를 필요로 한다.
또한,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요추부분과 등받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요추받침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또한 등받이의 구성품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팔걸이와 등받이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기대면 가압에 의해 등받이가 회전되도록 회전 작동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탄력성에 의해 곧바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우레탄소재로 된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간결하고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등받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작동홈이 형성된 제1결합부; 팔걸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작동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외주면의 전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구;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탄성체, 제1 및 제2고정구를 관통하여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와 팔걸이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된 회전장치에 의해 사람이 착석 후 등받이에 기대면 등받이가 적당한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안락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체로서 고체형태로 된 우레탄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내구성 증대와 신뢰성 향상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A)는, 등받이(1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 팔걸이(200)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체(3)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A)는,
내부에 결합홈(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작동홈(12)이 구비되어 등받이(1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
팔걸이(200)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의 작동홈(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2);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내측에 끼워지는 탄성체(3);
상기 탄성체(3)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결합홈(10,2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구(61,62);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 탄성체(3), 제1 및 제2고정구(61,62)를 관통하여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결합부(1)는 등받이(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데,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이며 그 내부에는 탄성체(3)가 삽입되도록 결합홈(10)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환형의 끼움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14)의 외주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작동홈(12)이 호형으로 형성된다.
작동홈(12)은 제2결합부(2)의 돌기(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등받이(10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그 회전거리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홈(12)의 길이는 돌기(2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돌기(22) 는 작동홈(1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등받이(1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는 등받이(100)가 회전될때 작동홈(12)과 돌기(22)의 결합구조에 의해 회전 범위가 일정한 각도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0)의 안쪽면의 중앙에는 제1고정구(61)가 끼워지도록 제1관통홀(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구(61)가 사각형인 점을 고려하여 제1관통홀(13)도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각형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1고정구(61)와 제1결합구(1)가 동반 작동이 가능해진다.
또 제1결합부(1)는 끼움부(14)의 반대편에 상기 제1관통홀(13)에 대응되며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제2체결구(7b)가 결합되도록 제1홈(110)이 형성된다.
즉, 제2체결구(7b)가 제1홈(110)에 삽입된 후 그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72b)가 제1고정구(61)에 나사결합된다.
제1홈(110)은 내주면에 제2체결구(7b)의 머리부(71b)가 닿지 않도록 머리부(71b)의 직경보다 제2홈(202)의 내경이 좀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제2결합부(2)는 팔걸이(200)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의 끼움부(14)의 외측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체 형상이다.
또한 제2결합부(2)의 내측에는 탄성체(3)가 삽입되도록 결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0)의 중앙에 제2고정구(62)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24)이 형성되 는데, 상기 제2관통홀(24)도 제1관통홀(13)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사각형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2고정구(62)와 제2결합구(2)가 동반 작동이 가능해진다.
물론 제1 및 제2관통홀(13,24), 제1 및 제2고정구(61,62)는 사각형 외에 다각형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결합부(2)의 내주면에는 상기 작동홈(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2)는 호형의 편체이며, 작동홈(12) 보다는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돌기(22)가 작동홈(12)에 끼워졌을때 여분의 작동 공간이 남도록 한다.
또 제2결합부(2)는 개구부의 반대편에 상기 제2관통홀(24)에 대응되며 체결부재의 타단부, 즉 머리부(71)가 삽입되도록 제2홈(202)이 형성된다(도 3 참조).
제2홈(202)은 내주면에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체결구(7a)의 머리부(71a)가 닿지 않도록 머리부(71a)의 직경보다 제2홈(202)의 내경이 좀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는 양측에 결합된 제1 및 제2결합부(1,2)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비틀리는 힘에 반하는 원상복원에 의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한 원통형 부재이다.
따라서 탄성체(3)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이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 및 제2고정구(61,62)가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61,62)는 폭 길이의 절반만 삽입된다.
체결부재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결합부(2) 쪽에서 결합되는 제1체결구(7a)와 제1결합부(1) 쪽에서 결합되는 제2체결구(7b)로 구성된다.
제1체결구(7a)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일단의 외면에 나사부(72a)가 형성되고, 타단에 머리부(71a)가 형성된 것이고, 제2체결구(7b)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일단의 외면에 나사부(72b)가 형성되고, 타단에 머리부(71b)가 형성된 것이다.
또, 제1체결구(7a)는 제2결합부(2)의 제2홈(202)을 통해 삽입되어 그 나사부(72a)가 제2고정구(62)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2체결구(7b)는 제1결합부(1)의 제1홈(110)을 통해 삽입되어 그 나사부(71b)가 제1고정구(61)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체결구(7a)와 제2체결구(7b)가 대칭된 형태로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결합부(1,2)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고정구(61,62)는 제1 및 제2결합부(1,2)의 회전시 탄성체(3)를 비틀어주어 원상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몸체(600)와, 상기 몸체(600)의 내부에 나선을 갖는 체결공(61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환턱(620)이 형성된 것으로, 제1 및 제2결합부(1,2)의 제1 및 제2관통홀(13,24)에 사각형의 몸체(600)가 끼워지고 환턱(620)은 탄성체(3)에 매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00)가 수직된 상태인 경우, 즉 등받이(100)에 어떠한 가압력도 가해지지 않은 작동 전의 상태에서는 제2결합부(2)의 돌기(22)가 제1결합부(1)의 작동홈(12)의 상부에 위치된다(도면에서 왼쪽편을 기준함).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여 등받이(100)에 기대면, 그 가압력에 의해 등받이(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결합부(1)가 등받이(100)와 동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작동홈(12)이 회전된 후 제2결합부(2)의 돌기(22)가 작동홈(12)의 하부에 걸려 고정된다(도면에서 왼쪽편을 기준함).
이때는 등받이(100)가 최대 허용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며 착석자에게 편안함 을 제공할 수 있도록 등받이(100)가 회전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100)가 회전됨에 동반하여 탄성체(3)가 비틀려지게 된다. 즉, 제1고정구(61)가 제1결합부(1)와 동반 회전됨으로써 탄성체(3)가 비틀려지게 되고, 탄성체(3)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복원력이 계속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받이(100)에서 등을 뗀다면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체(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고정구(61) 및 제1결합부(1) 그리고 등받이(100)가 원래의 상태로 회전되어 복원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결합부 2 : 제2결합부
3 : 탄성체 7 : 체결부재
10 : 결합홈 12 : 작동홈
14 : 끼움부 20 : 결합홈
22 : 돌기 24 : 제2관통홀
61 : 제1고정구 62 : 제2고정구

Claims (9)

  1. 등받이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A)는
    내부에 결합홈(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작동홈(12)이 구비되어 등받이(1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
    팔걸이(200)에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의 작동홈(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2);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내측에 끼워지는 탄성체(3);
    상기 탄성체(3)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결합홈(10,2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구(61,62);
    상기 제2결합부(2) 쪽에서 결합되는 제1체결구(7a)와 제1결합부(1) 쪽에서 결합되는 제2체결구(7b)로 구성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는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탄성체(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10)과, 외부에 형성된 환형의 끼움부(14);
    상기 끼움부(14)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작동홈(12);
    상기 결합홈(10)의 안쪽면의 중앙에 탄성체(3)의 제1고정구(61)가 삽입되어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13);
    상기 끼움부(14)의 반대편에 상기 제1관통홀(13)에 대응되며 상기 제2체결구(7b)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홈(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2)는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체 형상이며,
    내측에 탄성체(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20);
    상기 결합홈(20)의 중앙에 탄성체(3)의 제2고정구(62)가 삽입되어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24);
    상기 작동홈(12)에 끼워지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며 작동홈(12) 보다는 길이가 짧게 형성된 돌기(22);
    상기 개구부의 반대편에 상기 제2관통홀(24)에 대응되며 제2체결구(7b)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홈(2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는 양측에 결합된 제1 및 제2결합부(1,2)의 상호 반대방향으 로 비틀리는 힘에 반하는 원상복원을 발휘하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는 양측면에 제1 및 제2고정구(61,62)가 결합되되,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61,62)는 폭 길이의 일부만 삽입되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제1 및 제2관통홀(13,2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7a)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일단의 외면에 나사부(72a)가 형성되고, 타단에 머리부(71a)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체결구(7b)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일단의 외면에 나사부(72b)가 형성되고, 타단에 머리부(7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61,62)는
    사각형상의 몸체(600)와, 상기 몸체(600)의 내부에 나선을 갖는 체결공(61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환턱(620)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의 제1 및 제2관통홀(13,24)에 사각형의 몸 체(600)가 끼워지고 환턱(620)은 탄성체(3)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61)와 제1관통홀(13)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62)와 제2관통홀(24)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0090096694A 2009-10-12 2009-10-12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03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94A KR101032981B1 (ko) 2009-10-12 2009-10-12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94A KR101032981B1 (ko) 2009-10-12 2009-10-12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29A KR20110039729A (ko) 2011-04-20
KR101032981B1 true KR101032981B1 (ko) 2011-05-09

Family

ID=4404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694A KR101032981B1 (ko) 2009-10-12 2009-10-12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9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435B1 (ko) 2014-10-29 2015-02-06 (주)디에스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495325B1 (ko) * 2014-10-29 2015-03-03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101503490B1 (ko) 2013-11-14 2015-03-18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190135813A (ko) 2018-05-29 2019-12-09 차지훈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129610B1 (ko) 2020-05-14 2020-07-02 (주)한솔스틸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KR20200129583A (ko) * 2019-05-09 2020-11-18 유대희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29B1 (ko) * 2018-07-03 2020-11-13 유용철 틸팅 의자
CN111591861A (zh) * 2020-05-29 2020-08-28 李朝阁 一种施工电梯用减震结构
KR102366862B1 (ko) * 2021-12-13 2022-02-24 김현곤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2640132B1 (ko) * 2023-11-17 2024-02-22 김현곤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775A (ja) * 1994-11-25 1996-06-04 Procord Srl 傾動しうる背もたれ板を備える折畳み椅子
KR20010018558A (ko) * 1999-08-20 2001-03-05 김청한 마늘쪽 분리기
JP2002191523A (ja) 2000-10-16 2002-07-09 Aron Kasei Co Ltd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JP2007126495A (ja) 2005-11-01 2007-05-24 Design Research Net:Kk 金属・ゴム複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775A (ja) * 1994-11-25 1996-06-04 Procord Srl 傾動しうる背もたれ板を備える折畳み椅子
KR20010018558A (ko) * 1999-08-20 2001-03-05 김청한 마늘쪽 분리기
JP2002191523A (ja) 2000-10-16 2002-07-09 Aron Kasei Co Ltd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JP2007126495A (ja) 2005-11-01 2007-05-24 Design Research Net:Kk 金属・ゴム複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椅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90B1 (ko) 2013-11-14 2015-03-18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490435B1 (ko) 2014-10-29 2015-02-06 (주)디에스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495325B1 (ko) * 2014-10-29 2015-03-03 (주)디에스피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20190135813A (ko) 2018-05-29 2019-12-09 차지훈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2141589B1 (ko) * 2018-05-29 2020-08-05 차승훈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200129583A (ko) * 2019-05-09 2020-11-18 유대희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102285214B1 (ko) 2019-05-09 2021-08-03 유대희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102129610B1 (ko) 2020-05-14 2020-07-02 (주)한솔스틸 의자용 틸팅 등받이와 팔걸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29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981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US7407229B1 (en) Reclining rocking chair
US20200022504A1 (en) Bedding structure used for supporting back and neck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2011147788A (ja) 座席組立体の背もたれ部分および/または座部の支持構造、およびその支持構造を備えた座席組立体
KR20100106677A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KR200436739Y1 (ko) 헤드레스트
KR100908737B1 (ko)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20130000521U (ko) 등받이 의자
KR101461809B1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JP7190334B2 (ja) 椅子
JP2013255553A (ja) 背もたれの角度調整装置
JP6940967B2 (ja) 手すりおよび腰かけ式便器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180000241A (ko) 의자용 헤드 각도조절장치
JP2012527945A (ja) 背もたれ角度調整可能な椅子
KR20042628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200425075Y1 (ko) 자동고정되는 의자용 바퀴
JP3161918U (ja) 椅子
KR200264837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382955Y1 (ko)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