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53B1 -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53B1
KR101543553B1 KR1020150092685A KR20150092685A KR101543553B1 KR 101543553 B1 KR101543553 B1 KR 101543553B1 KR 1020150092685 A KR1020150092685 A KR 1020150092685A KR 20150092685 A KR20150092685 A KR 20150092685A KR 101543553 B1 KR101543553 B1 KR 10154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ontact plate
housing
fo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Priority to KR102015009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절첩수단에 의해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내측으로 회전 절첩이 이루어질 때 복귀되는 의자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의자 및 테이블의 손상이나 회전되는 의자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지대에 의해 테이블을 지지하는 테이블체와, 상기 테이블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절첩식 의자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의자 사이에 회전절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절첩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절첩수단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하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마개와, 상기 하우징마개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을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 접촉판이 밀착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TABLE WITH FOLDING-UP TYPE CHAIR}
본 발명은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절첩수단에 의해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내측으로 회전 절첩이 이루어질 때 복귀되는 의자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의자 및 테이블의 손상이나 회전되는 의자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하나의 테이블에 복수의 의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장소는 주로 학교나 회사 등의 공공장소에 사용되고 사용인원이 많은 가정집에서도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자 사용 후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하부로 절첩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이 개발되어 의자정리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철접방식은 스프링의 강한 힘에 의해 의자 사용 후 복귀되는데, 이때 강한 회전력에 의해 절첩시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고, 이러한 충격으로 인해 절첩작동을 하는 각 부품들의 내구성 감소와 연결부위의 유격이 발생되어 착석시 불쾌감을 줄 수 있고,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복귀되는 의자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 1216327호(의자 일체형 테이블)에는 수직 프레임에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이 상기 회동파이프에 고정결합되고 저면 일측에 스프링이 수용되는 볼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수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제 1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볼고정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홈상을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여 상기 회동 파이프가 상기 제 1 가이드 홈을 따라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구성이 제시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볼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제1가이드홈에 마찰되고 제1가이드홈 상에 정지홈을 복수로 더 형성하여 일정각도마다 정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스프링에 의해 밀착되더라도 제1가이드홈에 볼이 마찰되는 면적은 극히 일부분인데다가 볼의 구름동작으로 인해 볼의 마찰로 인해 원활한 의자의 복귀력(회전력)을 제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구조상 볼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부몸체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볼이 정지홈에 삽입되고 이탈되는 과정에서 정지홈이 쉽게 마모되기 때문에 원활한 정지동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1가이드홈상에 볼이 마찰되는 자리에 홈이 더 파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지홈에 의해 의자가 완전히 복귀되지 않고 멈추기 때문에 의자를 테이블 밑으로 집어넣기 위해서는 다시 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10892호(이동식 스툴 테이블)에는 테이블 힌지캡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스토퍼에 가동스토퍼가 걸려지게 됨에 따라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은 의자가 젖혀지는 각도를 과도하게 제한하여 의자가 복귀되는 회전력의 가속이 붙는 것을 일부 줄여줄 수 있으나 펼쳐지는 의자의 각도는 사용자의 체형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한할 경우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고, 의자 사용 후 복귀되는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의자에 작용하는 강한 회전력에 의해 의자 및 테이블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들은 의자 사용 후 테이블 내측으로 복귀되는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의자 및 테이블에 충격이 작용하여 고장을 유발하거나,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 수 있고, 회전되는 의자에 사람이 부딛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테이블 내측을 청소할 때 자동 절첩된 의자에 의해 청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는 의자를 테이블 외측으로 빼낸 다음 청소 작업시간 동안 테이블이 내측으로 자동 절첩되지 못하도록 손으로 잡고 있거나 중량체 또는 끈과 같은 것으로 의자를 고정하는 등 작업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접촉판을 설치하여 의자와 연결된 회전하우징의 마개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한하고, 가압부재를 통해 접촉판의 밀착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절첩수단의 구성을 의자의 사용반경에 따라 의자의 고정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사용 후에는 의자가 원활히 절첩되고 청소시에는 테이블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의자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테이블 내측의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대에 의해 테이블을 지지하는 테이블체와, 상기 테이블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절첩식 의자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의자 사이에 회전절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절첩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절첩수단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하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마개와, 상기 하우징마개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을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 접촉판이 밀착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외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내측에 있는 접촉판과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 일측에는 제1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어 가압부재가 결합되고 나사조절방식으로 접촉판을 눌러주는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판은 중앙에 제2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마개는 접촉판이 접촉되는 외측에 접촉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하나의 접촉판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가압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판은 가압부재가 눌러주는 위치에 회전방지홈을 형성하여 가압부재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하우징마개의 내측 중심에서 편심된 곳에 핀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편심축핀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핀에 연결되어 회전하우징의 회전시 탄성당김작용에 의해 자동절첩되는 편심작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작동부재;는 편심축핀과 결합되는 작동대와, 상기 작동대가 삽입되고 고정브라켓과 결합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대와 작동블럭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전하우징이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편심축핀에 의해 탄성당김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접촉판을 고정브라켓 내측에 설치하여 하우징마개의 외측면에 접촉되되, 접촉판은 하우징마개의 비교적 넓은 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마찰되어 회전력을 제한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부품마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재를 통해 접촉판을 강하게 눌러주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가압부재의 밀착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력으로 미세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절첩수단의 구성을 의자의 사용반경에 따라 의자의 고정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사용 후에는 의자가 원활히 절첩되고 청소시에는 테이블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의자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테이블 내측의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절첩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절첩부재의 접촉판과 고정부재 및 가압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절첩부재의 접촉판과 고정부재 및 가압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및 가압부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결합된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수단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건이나 음식물을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체(100)와; 상기 테이블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는 회전절첩부재(200)와; 상기 회전절첩부재(200)와 연결되고 완충체에 의해 승강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의자(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회전절첩부재(200)는;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300)의 연결프레임(310)과 테이블(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1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하우징(220)과, 상기 회전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절첩수단(400)과, 상기 회전하우징(220)의 상하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마개(230)와, 상기 하우징마개(2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접촉판(240)과, 상기 접촉판(240)을 고정브라켓(2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50)와,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되어 접촉판(240)이 밀착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가압부재(2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210)과 하우징마개(230) 사이에는 약간의 이격공간을 두어 회전하우징(2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된 접촉판(240)에 의해 하우징마개(230)가 마찰되면서 회전절첩부재(200)의 회전력을 제한하여 의자(300)가 천천히 회전 절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과도한 회전력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한 기술이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중앙에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외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부재(250)에 의해 고정브라켓(210)의 내측에 위치한 접촉판(240)과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211) 일측에는 제1나사결합구멍(212)이 형성되어 가압부재(260)가 외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260)는 나사조절방식으로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접촉판(240)을 눌러주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60)는 하나의 접촉판(240)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가압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어 접촉판(24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접촉판(240)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제2나사결합구멍(241)이 형성되어 고정부재(250)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접촉판(240)은 제2나사결합구멍(241)을 제외한 대부분의 접촉부위는 하우징마개(230)의 전체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면적이 넓게 자리잡고 있는 구조여서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제한하고 유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마개(230)는 접촉판(240)이 접촉되는 외측에 접촉판(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접촉판(24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안치홈(231)이 형성되는 데, 상기 안치홈(231)은 접촉판(240)의 둘레 외주면까지 감싸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접촉판(24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하우징마개(230) 및 회전하우징(220)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치홈(231) 중앙에는 축구멍(232)이 형성되어 접촉판(240)과 결합된 고정부재(250)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축구멍(232)의 깊이는 여유있게 형성하여 고정부재(250)가 축구멍(232)의 내측에 접촉되지 않고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250)는 접촉판(240)을 고정브라켓(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50)는 가압부재(260) 없이 고정부재(250)만으로도 접촉판(240)을 회전하우징(220)과 마찰되도록 할 수 있으나, 고정부재(250)만 단독적으로 구성될 경우 접촉판(240)을 회전하우징(220) 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고정부재(250)의 조임강도에 따라 마찰력 편차가 크기 때문에 마찰력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고, 접촉판(240)이 회전될 경우, 마찰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압부재(260)를 통해 접촉판(240)을 눌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50)와 결합된 접촉판(240)이 하우징마개(230)와 근접된 상태에서 더 밀착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가압부재(260)를 통해 마찰력을 조절해야 한다. 왜냐하면 고정부재(250)에 의해 결합된 접촉판(240)이 하우징마개(230)에 완전히 접촉되지 않고 약간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더 이상 밀착될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부재(260)를 통해 접촉판(240)을 아무리 강한 힘으로 눌러도 고정부재(250)와 나사결합된 접촉판(240)은 하우징마개(230) 방향으로 강하게 밀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가압부재(260)는 고정부재(250) 일측에 결합되어 접촉판(240)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고 나사조절방식으로 눌러주는 압력을 미세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260)는 고정부재(250)와는 다르게 회전되는 중심에서 이격되어 있어 가압부재(260) 자체에 회전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압부재(260)는 풀리지 않는 것이다. 즉, 고정부재(250)가 일부 풀리더라도 가압부재(260)는 동일한 힘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마찰력의 변화가 없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판(240)은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60)가 눌러주는 위치에 회전방지홈(242)을 더 형성할 경우, 가압부재(260)의 접촉되는 끝부분이 일부 삽입되면서 접촉판(240)의 유격을 방지하고, 접촉판(240)이 하우징마개(230)에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첩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절첩수단(400);은 하우징마개(230)의 내측 중심에서 편심된 곳에 핀결합구멍(233)이 각각 형성되어 편심축핀(42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핀(420)에 연결되어 회전하우징(220)의 회전시 탄성당김작용에 의해 자동절첩되는 편심작동부재(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하우징(220)은 고정브라켓(2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의 일정높이에 원호상으로 가이드홈(221)을 길게 형성하여 회전하우징(220)의 내/외측에 설치된 편심작동부재(430)가 가이드홈(221)을 따라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회전하우징(220)의 내부에는 보조하우징(410)이 상/하부 하우징마개(230)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하우징(410)은 회전하우징(220)의 가이드홈(221)과 동일한 높이에 안내구멍(411)을 형성하여 편심작동부재(43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편심작동부재(430)의 작동에 따라 안내기능을 하면서 보조하우징(410)에 의해 가이드홈(221)이 차단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물건 등의 끼임 방지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편심작동부재(430);는 편심축핀(420)과 결합되는 작동대(431)와, 상기 작동대(431)가 삽입되고 고정브라켓(210)과 결합하는 작동블럭(432)과, 상기 작동대(431)와 작동블럭(432)에 설치되는 스프링(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전하우징(220)이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편심축핀(420)에 의해 탄성당김작용이 이루어진다.
아래에는 절첩수단(400)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회전절첩부재(2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의자(300)가 테이블(110) 내측으로 절첩된 상태에서는 편심축핀(420)이 작동대(431)의 삽입위치에서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블럭(432)과 작동대(431)에 지지된 스프링(433)이 약간의 당김력만 유지된 채로 의자(300)가 테이블(11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해 의자(300)를 테이블(110) 외측으로 펼치게 되면 도 12와 같이 회전하우징(220)이 회전하면서 편심축핀(42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편심축핀(420)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작동대(431)는 편심축핀(420)에 의해 회전하우징(220) 내측으로 당겨진 형태가 되고 작동블럭(432)은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프링(433)을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의자(300)를 사용반경(각도"a"라 칭함)만큼 회전하여 사용한 다음 의자(300)에서 일어나게 되면 스프링(433)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의자(300)는 다시 회전되었던 방향으로 되돌아가게 되면서 테이블(110) 내측으로 절첩되어 도 11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도 13과 같이 의자(300)를 사용반경 이상(각도"b"라 칭함) 회전하게 되면 되돌아가려는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바뀌게 되면서 테이블(110) 외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작동대(431)가 가이드홈(221)의 끝에 닿거나 연결프레임(310)이 고정브라켓(210)의 일측에 닿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즉, 본 발명은 사용반경 각도"a" 만큼에서는 의자(300) 사용후 편심작동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 테이블(110) 내측으로 자동 절첩되어 편리성과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사용반경 이상의 각도"b"만큼 의자(300)를 펼쳤을 때는 자동으로 테이블(110) 외측에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의자(300)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테이블(110) 내측의 청소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마개(230)에 밀착되는 접촉판(240)의 구성으로 인해 마찰력을 발생하여 의자(300)가 과도한 회전력으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300) 및 테이블(1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회전되는 의자(300)에 강하게 부딪혀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250) 및 가압부재(260)의 구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접촉판(240)이 밀착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마찰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테이블체 110 : 테이블
120 : 지지대 200 : 회전절첩부재
210 : 고정브라켓 211 : 중공부
212 : 제1나사결합구멍 220 : 회전하우징
221 : 가이드홈 230 : 하우징마개
231 : 안치홈 232 : 축구멍
233 : 핀결합구멍 240 : 접촉판
241 : 제2나사결합구멍 242 : 회전방지홈
250 : 고정부재 260 : 가압부재
300 : 의자 310 : 연결프레임
400 : 절첩수단 410 : 보조하우징
411 : 안내구멍 420 : 편심축핀
430 : 편심작동부재 431 : 작동대
432 : 작동블럭 433 : 스프링

Claims (8)

  1. 지지대(120)에 의해 테이블(110)을 지지하는 테이블체(100)와, 상기 테이블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절첩식 의자(300)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와 의자(300) 사이에 회전절첩부재(200)가 설치되되,
    상기 회전절첩부재(200)는;
    상기 지지대(1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하우징(220)과,
    상기 회전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절첩수단(400)과,
    상기 회전하우징(220)의 상하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하우징마개(230)와,
    상기 하우징마개(23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접촉판(240)과,
    상기 접촉판(240)을 고정브라켓(2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50)와,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되어 접촉판(240)이 밀착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가압부재(26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중앙에는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외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부재(250)가 내측에 있는 접촉판(240)과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211) 일측에는 제1나사결합구멍(212)이 형성되어 가압부재(260)가 결합되고 나사조절방식으로 접촉판(240)을 눌러주는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240)은 중앙에 제2나사결합구멍(241)이 형성되어 고정부재(250)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마개(230)는 접촉판(240)이 접촉되는 외측에 접촉판(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치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60)는 하나의 접촉판(240)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가압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240)은 가압부재(260)가 눌러주는 위치에 회전방지홈(242)을 형성하여 가압부재(260)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400)은; 상기 하우징마개(230)의 내측 중심에서 편심된 곳에 핀결합구멍(233)이 각각 형성되어 편심축핀(42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핀(420)에 연결되어 회전하우징(220)의 회전시 탄성당김작용에 의해 자동절첩되는 편심작동부재(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작동부재(430);는 편심축핀(420)과 결합되는 작동대(431)와, 상기 작동대(431)가 삽입되고 고정브라켓(210)과 결합하는 작동블럭(432)과, 상기 작동대(431)와 작동블럭(432)에 설치되는 스프링(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전하우징(220)이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편심축핀(420)에 의해 탄성당김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150092685A 2015-06-30 2015-06-30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85A KR101543553B1 (ko) 2015-06-30 2015-06-30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85A KR101543553B1 (ko) 2015-06-30 2015-06-30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53B1 true KR101543553B1 (ko) 2015-08-11

Family

ID=5406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85A KR101543553B1 (ko) 2015-06-30 2015-06-30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60A (ko) * 2015-08-11 2017-02-2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력 조절이 간편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80094174A (ko) *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129395B1 (ko) * 2020-01-17 2020-07-02 (주) 휴코스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KR102186389B1 (ko) 2020-06-17 2020-12-0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의자 공회전 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63B1 (ko) * 2010-07-28 2011-05-31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79865B1 (ko) * 2013-11-11 2015-01-1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63B1 (ko) * 2010-07-28 2011-05-31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79865B1 (ko) * 2013-11-11 2015-01-1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560A (ko) * 2015-08-11 2017-02-2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력 조절이 간편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292638B1 (ko) 2015-08-11 2021-08-2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력 조절이 간편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80094174A (ko) *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624319B1 (ko) 2017-02-13 2024-01-15 주식회사 송인산업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129395B1 (ko) * 2020-01-17 2020-07-02 (주) 휴코스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KR102186389B1 (ko) 2020-06-17 2020-12-03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의자 공회전 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US20080106132A1 (en) Chair or stool comprising mobile, elastic legs, permitting a dynamic sitting position
KR20180094174A (ko)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1479865B1 (ko)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75533B1 (ko)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JP4580648B2 (ja) 家具における使用に適した数箇所の安定位置を有する可動継手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CA2310549C (en) Combination worksurface and armrest for a seating unit
KR20190135813A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20170019560A (ko) 회전력 조절이 간편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200396813Y1 (ko) 의자다리 받침장치
KR200289426Y1 (ko) 낚시용 의자의 높이조절구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FR3011570A3 (fr) Mecanisme a galets a reglage automatique et faible bruit
KR20120043331A (ko) 바닥 긁힘 방지수단이 구비된 의자
KR20160000012A (ko) 접이식 의자
US20120175929A1 (en) Chair
KR101358007B1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407447B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 보조 장치
JP3579892B2 (ja) 足載せ部を備えた椅子
JP2001275777A (ja)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JP5650491B2 (ja) 椅子
KR20190078786A (ko) 회전 테이블이 장착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