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33B1 -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33B1
KR102075533B1 KR1020190109538A KR20190109538A KR102075533B1 KR 102075533 B1 KR102075533 B1 KR 102075533B1 KR 1020190109538 A KR1020190109538 A KR 1020190109538A KR 20190109538 A KR20190109538 A KR 20190109538A KR 102075533 B1 KR102075533 B1 KR 10207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ser
elastic
sea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9010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means connecting the spindles of the various leg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회동결합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회동제한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탄성회전연결부가 회동제한부에서 시트부의 회전을 복원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는 사용자에게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와, 테이블 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회동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으로 상기 회동결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 및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가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시트부를 상기 회동제한부에 연결하는 탄성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SELF ALIGNING CHAIR FOR T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테이블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결합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회동제한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탄성회전연결부가 회동제한부에서 시트부의 회전을 복원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휴게실에 구비된 테이블과 의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인적이 많은 휴게실이나 식당에 설치할 경우 의자의 뒷정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소가 혼잡스럽고 사람이 테이블과 분리된 의자와 의자 사이로 이동함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테이블과 의자가 배치된 식당이나 휴게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를 테이블의 상판에 일일이 올려놓고 바닥을 청소하여야 함으로써 청소작업자의 청소작업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 이후의 의자를 테이블에 밀어 넣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성을 간섭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작업자가 일일이 테이블로 의자를 밀어 넣어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휴게실이나 식당의 경우 많은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바, 이때 정리되지 않은 의자에 걸려서 넘어질 경우 들고 있는 음식물을 그대로 떨어뜨리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9662호(2016.09.19. 등록, 명칭: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회동결합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회동제한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탄성회전연결부가 회동제한부에서 시트부의 회전을 복원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는 사용자에게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와, 테이블 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회동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으로 상기 회동결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 및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가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시트부를 상기 회동제한부에 연결하는 탄성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결합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지면에 접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의 하중 제거시 상기 하중지지부를 복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회전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가 비틀리도록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끼움공간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연결되는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에 착석시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는 회동결합부가 회동된 상태에서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회동제한부가 지면에 지지되고, 탄성회전연결부가 회동제한부에서 시트부의 회전을 복원 가능하게 안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와 탄성회전연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와 탄성회전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탄성회전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가 테이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결합용 자동 정렬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와 탄성회전연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와 탄성회전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회동제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에서 탄성회전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자동 정렬의자가 테이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결합용 자동 정렬 의자는 시트부(100), 회동결합부(200) 및 회동제한부(300) 및 탄성회전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시트부(100)는 사용자에게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회동결합부(200)는 테이블(T)의 다리에 연결되어 복원 가능하게 회동된다. 이러한 회동결합부(200)는 회동제한부(300)를 테이블(T)에 대해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회동결합부(200)는 외력을 가해 시트부(100)를 당기면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회동제한부(300)를 회동시키고, 외력 제거시 시트부(100)가 테이블(T)에 정렬되도록 회동제한부(300)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회동결합부(200)는 케이싱(210), 회동브라켓(220), 연동부재(230), 고정부재(240) 및 위치설정부(2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210)은 테이블(T)의 다리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싱(210)은 회동브라켓(220), 연동부재(230), 고정부재(240) 및 위치설정부(25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회동브라켓(220)은 케이싱(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제한부(300)를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221)를 구비한다. 이때, 서포트리브(221)는 회동제한부(300)의 하우징(3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회동브라켓(220)에는 케이싱(210)에 축 삽입되도록 중심축(222)이 회전 방지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연동부재(230)는 케이싱(210)에 수용되도록 회동브라켓(220)에 구비되어 회동브라켓(2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이때, 연동부재(230)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231)을 통공하여 중심축(222)에 축 삽입된다. 그리고, 중심축(222)은 외측다각면부(222a)를 형성하고, 설치홀(231)은 내측면에 내측다각면부(231a)를 형성한다. 그래서, 연동부재(230)가 중심축(222)에 축 삽입시, 내측다각면부(231a)가 외측다각면부(222a)에 둘레면을 따라 접함으로써, 연동부재(230)는 중심축(222)과 별도로 축 방향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시트부(100)가 중심축(222)의 축 방향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으로 위치 이동시 연동부재(230)는 회동브라켓(220)과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부재(240)는 연동부재(230)에 안착되고, 케이싱(210)에 회전 방지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위치설정부(250)는 연동부재(230)와 고정부재(240)의 접촉 위치에 따라 회동브라켓(220)이 회전제한부(300)를 착석 위치 또는 보관 위치에 유지되도록 안내한다. 즉, 시트부(100)는 위치설정부(2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 복원되도록 강제로 위치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설정부(250)는 가압돌부(251), 요철부(252), 스프링부재(253), 위치고정홈부(254) 및 위치고정돌부(25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돌부(251)는 연동부재(230)에 돌출 형성된다. 물론, 가압돌부(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52)는 가압돌부(251)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240)에 형성되고, 연동부재(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고정부재(240)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요철부(252)는 연동부재(230)가 원주 방향으로 강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즉, 요철부(252)는 가압돌부(251)에 맞물린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동부재(230)가 회전되면 스프링부재(253)가 압축되도록 가압돌부(251)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240)를 상승시키고, 고정부재(240)가 상승된 상태에서 스프링부재(253)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면 연동부재(23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가압돌부(251)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24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스프링부재(253)는 케이싱(130)에 수용되어 고정부재(240)를 연동부재(12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싱(210)은 테이블(T)의 다리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부재(240)와 스프링부재(253)를 수용하도록 덮개(2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위치고정홈부(254)는 케이싱(21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고, 위치고정돌부(255)는 위치고정홈부(240)에 수용되도록 고정부재(24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다. 즉, 위치고정돌부(255)가 위치고정홈부(254)에 수용됨으로써, 고정부재(240)는 케이싱(210)에 구속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회동제한부(300)는 회동결합부(200)에 구비되어 시트부(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으로 회동결합부(200)의 회동을 제한한다. 즉, 회동제한부(300)는 회동결합부(200)를 통해 테이블(T)에 정렬된 시트부(100)의 위치를 회전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강하여 회동결합부(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회동제한부(300)는 하우징(310), 슬라이드삽입부(320), 하중지지부(330) 및 탄성지지부재(3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회동결합부(300)에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삽입부(320), 하중지지부(330) 및 탄성지지부재(34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슬라이드삽입부(320)는 하우징(3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시트부(100)를 지지한다. 즉, 시트부(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사용자의 하중으로 하강되고, 시트부(100)에서 사용자가 일어서면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어 탄성지지부재(340)에 의해 초기 위치로 상승된다.
그리고, 하중지지부(330)는 슬라이드삽입부(320)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부(100)에 사용자가 착석시 지면에 접하도록 하강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하중지지부(330)는 하우징(3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슬라이드삽입부(320)에 연결되는 지지축부(331)와, 지지축부(331)의 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시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재(332)를 포함한다.
이때, 받침부재(332)는 높이조절연결부(333)에 의해 지지축부(33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연결부(333)는 지지축부(331)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부(333a) 및 체결홈부(33)에 체결되도록 받침부재(332)에 구비되는 체결볼트부(333b)를 포함한다.
한편, 탄성지지부재(340)는 시트부(100)에 하중 제거시 하중지지부(330)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상승시키도록 하우징(310)에 수용되어 슬라이드삽입부(320)를 탄성 지지한다. 즉, 탄성지지부재(340)는 시트부(100)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슬라이드삽입부(320)의 가압으로 압축되어 하중지지부(330)를 하강시키고, 사용자가 시트부(100)에서 일어나 시트부(100)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으로 슬라이드삽입부(320)를 상승시켜 하중지지부(330)를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탄성회전연결부(400)는 슬라이드삽입부(320)에 수용되는 탄성부재(410)와, 시트부(10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삽입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420) 및 회전부재(420)의 회전시 탄성부재(410)가 비틀리도록 탄성부재(410)와 회전부재(420)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연결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동연결부(430)는 탄성부재(4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끼움공간부(431)를 형성하는 걸림부재(432)와, 끼움공간부(431)에 끼워지도록 회전부재(420)에 결합되어 걸림부재(432)의 어느 하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작동부재(433) 및 끼움공간부(431)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드삽입부(320)에 구비되어 작동부재(433)가 걸림부재(432)의 어느 하나를 회전 이동시 걸림부재(432)의 다른 하나를 회전 이동 방지시키는 회전이동방지부(434)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하중으로 시트부(10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420)에 구비된 작동부재(433)는 탄성부재(4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432)의 어느 하나를 회전 이동시키고, 회전방지부(434)는 탄성부재(4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432)의 다른 하나를 회전 이동 방지시킨다. 또한, 걸림부재(432)가 회전 이동된 상태에서 시트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면 작동부재(433)는 걸림부재(4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되어 시트부(100)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시트부 200: 회동결합부
210: 케이싱 220: 회동브라켓
230: 연동부재 240: 고정부재
250: 위치설정부 300: 회동제한부
310: 하우징 320: 슬라이드삽입부
330: 하중지지부 340: 탄성지지부재
400: 탄성회전연결부 410: 탄성부재
420: 회전부재 430: 연동연결부

Claims (5)

  1. 사용자에게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
    테이블 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상기 회동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으로 상기 회동결합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 및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가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시트부를 상기 회동제한부에 연결하는 탄성회전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결합부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가 착석시 지면에 접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 및 상기 시트부에 사용자의 하중 제거시 상기 하중지지부를 복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회전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시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가 비틀리도록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동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끼움공간부를 형성하는 걸림부재;
    상기 끼움공간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어느 하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끼움공간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걸림부재의 어느 하나를 회전 이동시 상기 걸림부재의 다른 하나를 회전 이동 방지시키는 회전이동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슬라이드삽입부에 연결되는 지지축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에 착석시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상기 지지축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KR1020190109538A 2019-09-04 2019-09-04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KR10207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38A KR102075533B1 (ko) 2019-09-04 2019-09-04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38A KR102075533B1 (ko) 2019-09-04 2019-09-04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533B1 true KR102075533B1 (ko) 2020-02-10

Family

ID=6962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38A KR102075533B1 (ko) 2019-09-04 2019-09-04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98B1 (ko) 2020-11-13 2021-06-02 주식회사 주경 의자 자동 수납 테이블용 의자 탄지장치
KR20220132756A (ko) * 2021-03-24 2022-10-04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높이 조절장치
KR102558148B1 (ko) * 2022-12-09 2023-07-24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19B1 (ko) *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20080006155U (ko) * 2007-06-08 2008-12-11 임이재 의자방향 복원장치
KR101659662B1 (ko) * 2014-11-12 2016-09-23 송인호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19B1 (ko) *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20080006155U (ko) * 2007-06-08 2008-12-11 임이재 의자방향 복원장치
KR101659662B1 (ko) * 2014-11-12 2016-09-23 송인호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98B1 (ko) 2020-11-13 2021-06-02 주식회사 주경 의자 자동 수납 테이블용 의자 탄지장치
KR20220132756A (ko) * 2021-03-24 2022-10-04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높이 조절장치
KR102473449B1 (ko) 2021-03-24 2022-12-01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높이 조절장치
KR102558148B1 (ko) * 2022-12-09 2023-07-24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533B1 (ko)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US6644749B2 (en) Office chair
US20050046257A1 (en) Auditorium seating
KR101479865B1 (ko)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566630B1 (ko)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763770B1 (ko) 감속 캐스터 장치
KR101588702B1 (ko)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KR102006893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137969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752893B1 (ko)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KR20120043331A (ko) 바닥 긁힘 방지수단이 구비된 의자
KR102099146B1 (ko)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913665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2107679B1 (ko) 볼캐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2003501732A (ja) 旋回式伸縮可能取付ブラケット
CN212815290U (zh) 会议椅及其靠背倾仰调节装置
JPH0537302Y2 (ko)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102332557B1 (ko) 예배용 장의자
KR102237355B1 (ko) 팔걸이부가 구비된 기능성 이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