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93B1 -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93B1
KR101752893B1 KR1020170021791A KR20170021791A KR101752893B1 KR 101752893 B1 KR101752893 B1 KR 101752893B1 KR 1020170021791 A KR1020170021791 A KR 1020170021791A KR 20170021791 A KR20170021791 A KR 20170021791A KR 101752893 B1 KR101752893 B1 KR 10175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witch
fixing
b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102017002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는 매트리스가 얹혀지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높낮이조절용 축 및 높낮이조절용 축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심부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연결홀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연결용 부재; 연결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힌지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며, 내부가 서로 연통하는 제1,2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며 테이블의 일면 양측에 조립된 브래킷; 제1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 하우징과 제1,2 고정 하우징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각도조절용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스토퍼; 제2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축과 축 결합되는 지지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제2 고정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1 스프링이 개재된 밀폐커버; 테이블의 일면에 조립된 스위치 하우징; 스위치 하우징과 밀폐커버에 양단이 각기 연결된 제1,2 가이드 축 및 스위치 하우징의 외부로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제2 스프링을 통해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양측에 제1,2 가이드 축과 연결되는 가압돌기가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BED WITH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테이블로 겸용하기 위한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한정된 실내공간을 더욱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책상을 겸용할 수 있는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침대 겸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90도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는 침대부의 하측으로 절첩기구, 회전철기구 및 쇼크업셔버를 통해 책상부를 연결하여, 침대부 및 책상부를 회전시켜 수면시에는 침대부를 사용하고, 공부시에는 책상부를 상측으로 상승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침대부와 책상부를 절첩기구, 회전척기구 및 쇼크업셔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편리하게 번갈아 사용하더라도 침대부와 책상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증가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베이스 상부에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의 발치에 수평으로 이격되도록 책상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역시 침대와 책상을 겸하도록 단순 결합한 구성에 불과하며, 또한, 책상과 침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이의 운반 등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에서의 이동배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2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4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립 및 조작만으로도 침대와 테이블의 기능을 겸하여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는 매트리스가 얹혀지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높낮이조절용 축 및 상기 높낮이조절용 축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심부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연결용 부재;
상기 연결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힌지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2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이 일면 양측에 조립된 테이블;
상기 제1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 하우징과 제1,2 고정 하우징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각도조절용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테이블의 회동을 단속하는 스토퍼;
상기 제2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축과 축 결합되는 지지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제2 고정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1 스프링이 개재된 밀폐커버;
상기 테이블의 일면에 조립된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밀폐커버에 양단이 각기 연결된 제1,2 가이드 축; 및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외부로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제2 스프링을 통해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양측에 제1,2 가이드 축과 연결되는 가압돌기가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높낮이조절용 축을 연결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하우징의 외면에 조립된 스토퍼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단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스위치의 가압돌기와 밀착되는 가이드 돌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은 제2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돌기가 내부에 형성되고, 스위치의 누름 동작을 안내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홈이 상기 스위치에 형성되고, 스위치의 중심에 걸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와 가압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구름 운동하는 조작볼;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하게 침대에 조립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침대 위에서 테이블을 미세각도 조절하면서 사용 가능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장시간 동안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회동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용 부재와 스토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회동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100)는 매트리스(113)가 얹혀지는 침대프레임(110) 및 상기 침대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침대프레임(110)은 상부에 얹혀진 매트리스(113)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컨대 길이방향의 측면하부에 서랍(14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11)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폭 방향의 측면상부에는 헤드용 프레임(13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100)의 일례로서,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고정프레임(120)은 침대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예컨대 도면상 침대프레임(110)의 전면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 고정프레임(121) 및 후면부 모서리에 설치되며, 헤드용 프레임(1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 고정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202)은 제2 고정프레임(123)의 상부에 테이블 회동장치(200)를 통해 조립되어 사용하게 된다. 테이블 회동장치(200)는 예컨대, 테이블(202)의 일면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회동장치(200)는 테이블(202)의 일면 양측에 설치되는 브래킷(Bracket) 및 브래킷(210)과 제2 고정프레임(123)을 연결하는 연결용 부재(230)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블(202)의 회동을 단속하는 스토퍼(240), 브래킷(2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토퍼(240)와 연결용 부재(230)를 분리하는 밀폐커버(250), 밀폐커버(250)에 일단이 연결되어 테이블(202)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1,2 가이드 축(220a)(220b) 및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의 타단이 연결되며,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을 작동시키는 스위치(27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 스위치 하우징(2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210)은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홀(210c)을 통해 도면상 테이블(202)의 전면에 조립되어 이 테이블(202)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며, 일면에 힌지 하우징(230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2 고정 하우징(210a)(210b)이 형성되어 힌지 하우징(230a)과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1 고정 하우징(210a)은 내부에 제1 고정홀(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 하우징(210b)은 내부에 제2 고정홀(2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고정홀(213)(215)은 서로 연통하게 형성된다.
즉 제1 고정홀(213)은 제1 고정 하우징(210a)의 내부에 스토퍼(2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24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방지용 돌기(217)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방지용 돌기(217)를 통해서는 예컨대,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후술하는 스토퍼커버(247)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제2 고정홀(215)은 제2 고정 하우징(210b)의 내부에 제1 스프링(253)을 수용하고, 밀폐커버(25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커버(250)의 지지축(251)이 스토퍼(240)의 회동축(243)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용 부재(230)는 브래킷(210)에 형성된 제1,2 고정 하우징(210a)(210b)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고정프레임(123)에 타단이 연결되어 테이블(202)에 조립된 브래킷(210)의 회동을 안내하여 사용자가 테이블(202)을 용이하게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용 부재(230)는 제2 고정프레임(123)에 일단이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높낮이조절용 축(235) 및 상기 높낮이조절용 축(235)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심부에 연결홀(231)이 형성되고, 연결홀(231)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용 홈(233)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힌지 하우징(230a)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도조절용 홈(233)은 연결홀(2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하되, 예컨대 15° 각도씩 배열됨으로써 테이블(202)의 미세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하게 된다.
또한, 연결용 부재(230)는 제2 고정프레임(123)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커넥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80)는 제2 고정프레임(123)에 높낮이조절용 축(235)을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높낮이조절용 축(235)과 제2 고정프레임(123)의 각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연결용 부재(230)와 제2 고정프레임(123) 간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40)는 제1 고정 하우징(210a)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홀(2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 하우징(230a)과 제1,2 고정 하우징(210a)(210b)을 연결하는 회동축(243)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각도조절용 홈(23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41)가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테이블(202)의 회동을 단속하게 된다.
고정돌기(241)는 스토퍼(240)의 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각도조절용 홈(233)에 삽입됨으로써, 테이블(202)의 회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축(243)은 밀폐커버(250)의 지지축(251)과 축 결합함으로써, 테이블(202)의 회동이 필요한 경우 제1,2 가이드 축(220a)(220b)과 연동하면서 고정돌기(241)를 각도조절용 홈(233)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240)는 회동방지용 돌기(217)에 조립되는 회동방지용 홈(245)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커버(247)는 제1 체결홀(247a)과 회동방지용 돌기(217)를 통해 제2 고정 하우징(210b)에 조립되어 예컨대, 스토퍼(240)의 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의 침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밀폐커버(250)는 제2 고정 하우징(210b)의 내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홀(2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축(243)과 축 결합되는 지지축(251)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지지축(251)은 예컨대, 회동축(243)과 암수결합방식으로 축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밀폐커버(250)는 제1,2 가이드 축(220a)(220b)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밀폐커버(250)와 제2 고정 하우징(210b) 사이에는 제1 스프링(253)이 개재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커버(250)가 제2 고정 하우징(210b)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가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의 동작시 제1 스프링(253)을 압축하면서 제2 고정홀(215)에 슬라이드 진입하여 스토퍼(240)를 힌지 하우징(230a)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260)은 도면상 테이블(202)의 전면에 조립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스위치(270)가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스위치 하우징(260)은 스위치(270)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걸림부(261), 상기 스위치(270)와 스위치 하우징(26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275)를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돌기(263) 및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이 삽입되는 구동 안내홀(265)을 포함한다.
걸림부(261)는 스위치 하우징(26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스위치(270)가 스위치 하우징(260)의 내부로 진입시 도면상 좌우균형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스프링고정용 돌기(263)는 스위치(270)에 설치된 제2 스프링(275)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예컨대 도면상 돌기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제2 스프링(275)이 스위치(270)와 스프링고정용 돌기(263) 사이에 용이하게 개재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270)는 스위치 하우징(26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되, 하단부(270a)를 스위치 하우징(26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27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270)는 도면상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271), 내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273) 및 제2 스프링(275)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프링고정용 홈(277)을 포함한다.
가압돌기(271)는 스위치(270)의 양측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지는 사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스위치(270)의 조작시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이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하게 된다.
가이드홈(273)은 스위치(270)의 상부중앙에 형성되어 스위치 하우징(260)에 형성된 제2 체결홀(260a)에 체결된 체결수단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걸림부(261)에 용이하게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은 밀폐커버(250)와 스위치 하우징(260)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스위치(270)의 조작시 상기 밀폐커버(250)를 누름으로써, 밀폐커버(250)가 스토퍼(240)를 눌러 힌지 하우징(232)과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은 테이블(20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밀폐커버(250)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255)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은 타단에 가이드 돌기부(221)가 예컨대, 가압돌기(271)와 동일한 사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스위치(270)가 조작되면,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이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27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부(221)와 가압돌기(271) 사이에 개재되어 구름 운동하는 조작볼(22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202)의 작동방법은 먼저, 제2 스프링(275)에 의해 스위치 하우징(26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위치(270)의 하단부(270a)를 도면상 상부방향으로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부(270a)가 스위치 하우징(260)의 내부로 진입되고, 가압돌기(271)가 도면상 상부로 이동하여 가압돌기(271)와 밀착된 가이드 돌기부(221)를 밀게 되고, 이와 제1,2 가이드 축(220a)(220b) 및 가이드 고정부(255)를 통해 연결된 밀폐커버(250) 역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밀폐커버(250)는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을 통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축(251)과 축 결합된 회동축(243)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각도조절용 홈(233)에 체결된 고정돌기(241) 또한 함께 이동함으로써 고정돌기(241)와 각도조절용 홈(233)이 분리되며, 이는 곧 힌지 하우징(230a)을 중심으로 테이블(202)이 용이하게 회동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스위치(270)의 하단부(270a)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제1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가이드 축(220a)(220b)이 밀려나게 되고, 이 제1,2 가이드 축(220a)(220b)과 연동하여 가압돌기(271)가 도면상 하부로 이동하여 스위치 하우징(260)의 외부로 상기 하단부(270a)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2 가이드 축(220a)(220b)과 연결되어 있는 밀폐커버(250) 역시 연동하여 지지축(251)이 예컨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지지축(251)과 축 결합된 회동축(243)이 상기 지지축(251)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는 곧 고정돌기(241)가 각도조절용 홈(233)에 체결됨으로써 테이블(202)의 회동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270)의 조작으로 구동하는 테이블 회동장치(200)를 통해 테이블(202)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장시간 동안 테이블(202)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110 - 침대프레임
111 - 수납공간 113 - 매트리스
120 - 고정프레임 121 - 제1 고정프레임
123 - 제2 고정프레임 130 - 헤드용 프레임
140 - 서랍 200 - 테이블 회동장치
202 - 테이블 210 - 브래킷
210a - 제1 고정 하우징 210b - 제2 고정 하우징
210c - 결합홀 213 - 제1 고정홀
215 - 제2 고정홀 217 - 회동방지용 돌기
220a - 제1 가이드 축 220b - 제2 가이드 축
221 - 가이드 돌기부 221a - 조작볼
230 - 연결용 부재 230a - 힌지 하우징
231 - 연결홀 233 - 각도조절용 홈
235 - 높낮이조절용 축 240 - 스토퍼
241 - 고정돌기 243 - 회동축
245 - 회동방지용 홈 247 - 스토퍼커버
247a - 제1 체결홀 250 - 밀폐커버
251 - 지지축 253 - 제1 스프링
255 - 가이드 고정부 260 - 스위치 하우징
260a - 제2 체결홀 261 - 걸림부
263 - 스프링고정용 돌기 265 - 구동 안내홀
270 - 스위치 270a - 하단부
271 - 가압돌기 273 - 가이드홈
275 - 제2 스프링 277 - 스프링고정용 홈
280 - 커넥터

Claims (6)

  1. 매트리스가 얹혀지는 침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 높낮이조절용 축 및 상기 높낮이조절용 축의 타단에 구비되며, 중심부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용 홈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는 연결용 부재;
    상기 연결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힌지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며, 내부가 서로 연통하는 제1,2 고정 하우징을 포함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이 일면 양측에 조립된 테이블;
    상기 제1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힌지 하우징과 제1,2 고정 하우징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각도조절용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테이블의 회동을 단속하는 스토퍼;
    상기 제2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축과 축 결합되는 지지축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제2 고정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1 스프링이 개재된 밀폐커버;
    상기 테이블의 일면에 조립된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밀폐커버에 양단이 각기 연결된 제1,2 가이드 축; 및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외부로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제2 스프링을 통해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며, 양측에 제1,2 가이드 축과 연결되는 가압돌기가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위치;
    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높낮이조절용 축을 연결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하우징의 외면에 조립된 스토퍼커버;
    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단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스위치의 가압돌기와 밀착되는 가이드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은 제2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돌기가 내부에 형성되고, 스위치의 누름 동작을 안내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홈이 상기 스위치에 형성되고, 스위치의 중심에 걸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와 가압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구름 운동하는 조작볼;
    을 더 포함하는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KR1020170021791A 2017-02-17 2017-02-17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KR10175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91A KR101752893B1 (ko) 2017-02-17 2017-02-17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91A KR101752893B1 (ko) 2017-02-17 2017-02-17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893B1 true KR101752893B1 (ko) 2017-07-11

Family

ID=5935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791A KR101752893B1 (ko) 2017-02-17 2017-02-17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043B1 (ko) 2017-11-14 2017-12-06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책상
KR20210045173A (ko) * 2019-10-16 2021-04-26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4Y1 (ko) 2008-11-05 2009-12-08 서원호 상판 각도 조절식 테이블
KR101272310B1 (ko) 2012-10-17 2013-06-07 주식회사 이노프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KR101317146B1 (ko) 2013-05-20 2013-10-10 주식회사 이노프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94Y1 (ko) 2008-11-05 2009-12-08 서원호 상판 각도 조절식 테이블
KR101272310B1 (ko) 2012-10-17 2013-06-07 주식회사 이노프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KR101317146B1 (ko) 2013-05-20 2013-10-10 주식회사 이노프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043B1 (ko) 2017-11-14 2017-12-06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책상
KR20210045173A (ko) * 2019-10-16 2021-04-26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KR102362934B1 (ko) 2019-10-16 2022-02-14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119B1 (ko) 평판형 모니터
JP4006401B2 (ja) 折畳み蓋
US7494104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KR101752893B1 (ko)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US8336168B2 (en) Hinge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JP2005503506A5 (ko)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N112145542B (zh)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JP6542467B2 (ja) 非干渉前面開閉型フレーム構造
US20200375356A1 (en) Lift for television or other visual display screen
KR20190089157A (ko) 펼침 지지장치 및 펼침 지지장치가 달린 가구
CN101150607A (zh) 电子装置
KR102075533B1 (ko)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CN109209982B (zh) 用于风叶的轴套组件、风道组件和空调器
US5762303A (en) Tilting angle adjusting device for use in a projector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200416846Y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WO2019052066A1 (zh) 一种支撑架
KR20120140089A (ko) 스토퍼가 구비된 접이식 책상
US7198326B2 (en) Desk and chair interchangeable device
KR101941007B1 (ko)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CN220416904U (zh) 折叠式支撑架
KR20120064381A (ko) 접이식 힌지장치
CN219910432U (zh) 铰链装置和折叠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