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98Y1 -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98Y1
KR200420098Y1 KR2020060006012U KR20060006012U KR200420098Y1 KR 200420098 Y1 KR200420098 Y1 KR 200420098Y1 KR 2020060006012 U KR2020060006012 U KR 2020060006012U KR 20060006012 U KR20060006012 U KR 20060006012U KR 200420098 Y1 KR200420098 Y1 KR 200420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xed
spring
vertical frame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희
Original Assignee
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희 filed Critical 최성희
Priority to KR2020060006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수직프레임에 절첩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과, 좌판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가 설치된 의자를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를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단 외주면에 삽설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연결대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회동 파이프와 ; 상기 일측의 고정 단부는 상기 회동 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 단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를 테이블을 향해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 절첩 의자, 테이블, 수직프레임 일체형 힌지 장치

Description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TABLE WITH THE AUTOMATIC FOLDING CHAI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설치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설치된 의자 절첩용 힌지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의자 절첩용 힌지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에 설치된 의자 절첩용 힌지 장치의 스프링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에 설치된 의자 절첩용 힌지 장치의 스프링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힌지 장치
11 : 회동 파이프 111 : 스프링 고정홈
12 : 마개 121 : 프레임 관통구멍 122 : 스프링 고정홈
13 : 마개 131 : 프레임 관통구멍
14, 14' : 스프링 141, 142, 141', 142' : 고정 단부
15 : 고정나사
16 : 고정핀
22 : 수직프레임 221 : 스프링 고정공
본 고안은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수직프레임에 절첩 구동 수단을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자와 테이블은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의자와 테이블을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휴게실이나 식당 등에 설치할 경우 의자의 정리가 되지 않아 장소가 혼잡스럽고 사람이 테이블 사이를 이동함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테이블의 일측에 힌지 가능하게 의자를 결합하여 구성하여, 의자를 테이블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의자가 테이블의 아래로 밀어 넣어질 수 있는 의자가 장착된 테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도 8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 절첩식 의자 즉, 테이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자를 테이블의 아래로 밀어 넣을 수 있는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첩식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20)은 테이블의 상판(21)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22)과, 상기 인접한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22)들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23)과, 상기 수직프레임(22)에 고정 장착되되 힌지 장치(40)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의자(30)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첩 가능한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수직프레임(22)의 내측에 힌지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장치(40)와 힌지 결합된 연결프레임(24)의 단부에 장착봉(32)을 설치하고 상기 장착봉(32)에 좌판(31)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판(3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지지대(33)의 하단에는 받침대(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33)는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받침대(34)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는 바닥에 의해 받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테이블은 수직프레임(22)의 일측에 별도로 힌지 장치(40)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짐을 물론 수직프레임(22)에 힌지 장치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함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였으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힌지 장치(40)에 걸려 다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미설명 부호 32는 장착봉으로서 상기 지지대(22)가 고정 설치되는 수단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로 수직프레임에 힌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이미 구비된 수직프레임에 의자의 절첩 구동을 위한 힌지 장치를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불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과, 좌판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가 설치된 의자를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단 외주면에 삽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또한,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과, 좌판의 저면으로 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지지대가 설치된 의자를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상판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단에는 의지지지프레임이 더 설치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의자지지프레임의 중단 외주면에 하나 이상 삽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연결대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회동 파이프와 ; 상기 일측의 고정 단부는 상기 회동 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 단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를 테이블을 향해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종래의 기술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설치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20)은 수직프레임(22)에 힌지 장치(1)가 설치된 의자(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의자(30)는 종래의 의자(30)와 동일 유사하게 사용자가 앉는 좌판(31)과 상기 좌판(31)의 저면으로 부터 연장된 지지대(33)의 하단에 받침대(34)가 설치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대(25)가 힌지 장치(1)에 고정되어 의자(30) 전체가 테이블을 향해 지속적으로 밀려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의자(30)는 테이블의 상판(21)의 하부로 밀려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3)는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장착봉(3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장착봉(32)에 지지대를 설치한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힌지 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 2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2)에 설치된다.
상기 힌지 장치(1)는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회동 파이프(11)와, 상기 회동 파이프(11)를 테이블을 향해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4, 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4, 14')은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4)이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14')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먼저 코일 스프링(14)을 이용한 힌지 장치(1)를 설명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4)의 일측 고정 단부(141)는 회동 파이프(11)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 단부(142)는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21)에 고정되며, 코일 스프링(14)의 탄성력은 상기 회동 파이프(11)를 테이블(20)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4)의 양 고정단부(141, 142)를 고정시키는 수단 중 먼저 수직프레임(22)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고 정단부(142)는 상기 수직프레임(22)을 향해 굽히고 굽혀진 단부를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21)에 삽입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핀(16)을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21)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코일 스프링(14)의 단부를 굽혀 상기 고정핀(16)에 걸리게 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4)의 다른 일측 고정단부(141)를 회동 파이프(11)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파이프(11)의 상단에 설치된 마개(12)의 일측에 스프링 고정홈(122)을 형성하여 이 스프링 고정홈(122)에 고정시키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동 파이프(11)의 내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개(12)의 일측에 스프링 고정홈(122)을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14)을 고정시키는 방법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홈(1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형성하여 스프링(14)의 단부가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스프링(1`4)의 탄성력 즉, 회동 파이프(11)를 테이블 측으로 미는 힘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마개(1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나사(15)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마개(12)를 회동 파이프(11)에 고정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힌지 장치(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14')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14')을 이용하여 구성할 경우 나선형 스프링(14')의 내측 고정단부(142')는 수직프레임(22)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21')에 삽입 하여 고정시키고, 바깥쪽 고정단부(141')는 회동 파이프(11)의 내주면에 스프링 고정홈(111)을 형성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회동파이프(11)의 양단에는 각각 마개(12, 13)를 설치하였으며, 이들 마개(12, 13)중 상단에 설치되는 마개(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14)의 일측 고정단부(141)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홈(122)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상부 마개(12)에 스프링 고정홈(122)을 형성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하부 마개(13)에 스프링 고정홈을 형성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로 스프링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회동 파이프(11)가 테이블을 향한 방향으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30)를 사용하기 위해 의자(30)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의자(30)가 바깥쪽으로 당겨진다.
또한 의자(30)는 종래의 의자와 같이 장착봉에 설치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된 받침대가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테이블쪽으로 회동되고,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면 아래로 내려가 받침대가 바닥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1)의 중간에 별도의 의자지지프레임(22')을 설치하고 상기 의자지지프레임(22')에 힌지장치(1)를 설치하여 의자(3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의자지지프레임(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1)에 그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21)의 중간의 양측에 각각 의자지지프레임(22')을 설치하고 이 의자지지프레임(22')에 의자(3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상판(21)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는 수직프레임(22)에는 힌지장치(1)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의자지지프레임(22')에만 힌지장치(1)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수직프레임(22)을 교체하지 않고, 힌지장치가 삽설된 의자지지프레임(22')만을 더 설치하여 의자(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자지지프레임(22')을 설치하고 의자(30)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의자지지프레임(22')에 두 개의 힌지장치(1)가 상하로 설치되고, 힌지장치(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힌지장치(1)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수직프레임(22)에 일체로 힌지장치(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러한 예시가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되는 본 고안의 범주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수정 및 변형 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장치를 테이블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에 설치함으로서 힌지 장치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아 테이블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구조물에 사용자가 부딪히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제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6)

  1. 테이블(20)의 상판(21)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22)과, 상기 수직프레임(22)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23)과, 좌판(31)의 저면으로 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지지대(33)가 설치된 의자(30)를 힌지 장치(1)에 의해 상기 상판(21)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1)는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중단 외주면에 삽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2. 테이블(20)의 상판(21)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22)과, 상기 수직프레임(22)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23)과, 좌판(31)의 저면으로 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지지대(33)가 설치된 의자(30)를 힌지 장치(1)에 의해 상기 상판(21)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21)의 중단의 양측에 각각 의자지지프레임(22')이 더 설치되고,
    상기 힌지 장치(1)는 상기 의자지지프레임(22')의 중단 외주면에 하나 이상 삽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1)는,
    상기 지지대(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연결대(25)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 형상의 회동 파이프(11)와 ;
    상기 수직 프레임(22)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의 고정 단부(141)는 상기 회동 파이프(11)에 고정되고, 타측 고정 단부(142)는 상기 수직프레임(22)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25)를 테이블을 향해 밀어주는 스프링(14, 1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파이프(11)의 양단에는 각각 마개(12, 13)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은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마개(12, 13)들 중 일측의 마개(12)에는 상기 스프링(14)의 일측 고정 단부(141)가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고정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측 고정 단부(142)는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11)에 직접 고정시키거나 스프링 고정공(221)에 고정된 고정핀(1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마개(12)는 회동 파이프(11)를 관통하여 조여지는 고정나사(16)에 의해 회동 파이프(1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은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14')의 내측 고정단부(142')는 수직프레임(22)에 길게 형성된 스프링 고정공(221')에 고정되고, 바깥쪽 고정 단부(141')는 상기 회동 파이프(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11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20060006012U 2006-03-06 2006-03-06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20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12U KR200420098Y1 (ko) 2006-03-06 2006-03-06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12U KR200420098Y1 (ko) 2006-03-06 2006-03-06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98Y1 true KR200420098Y1 (ko) 2006-06-28

Family

ID=4929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12U KR200420098Y1 (ko) 2006-03-06 2006-03-06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98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76B1 (ko) 2007-05-09 2007-08-29 정진희 출몰 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805784B1 (ko)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0848546B1 (ko) 2007-07-26 2008-07-25 (주)영일교구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996274B1 (ko) * 2010-04-29 2010-11-23 영남강철 주식회사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53370Y1 (ko) * 2008-08-18 2011-04-29 주식회사 토치 의자체를 갖는 탁자
KR101067573B1 (ko) 2010-07-26 2011-09-2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80706B1 (ko)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238733B1 (ko) 2011-08-16 2013-03-04 유인규 의자 연결형 테이블의 의자 출입장치
KR101384113B1 (ko) * 2013-05-13 2014-04-10 조국환 복합기능 힌지수단 및 상기 복합기능 힌지수단을 사용하는 출몰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88983B1 (ko) 2014-10-24 2015-02-06 이현용 스톨 테이블용 의자 인입출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84B1 (ko)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0752676B1 (ko) 2007-05-09 2007-08-29 정진희 출몰 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848546B1 (ko) 2007-07-26 2008-07-25 (주)영일교구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53370Y1 (ko) * 2008-08-18 2011-04-29 주식회사 토치 의자체를 갖는 탁자
KR100996274B1 (ko) * 2010-04-29 2010-11-23 영남강철 주식회사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067573B1 (ko) 2010-07-26 2011-09-2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80706B1 (ko)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238733B1 (ko) 2011-08-16 2013-03-04 유인규 의자 연결형 테이블의 의자 출입장치
KR101384113B1 (ko) * 2013-05-13 2014-04-10 조국환 복합기능 힌지수단 및 상기 복합기능 힌지수단을 사용하는 출몰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88983B1 (ko) 2014-10-24 2015-02-06 이현용 스톨 테이블용 의자 인입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KR10106757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17322Y1 (ko)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79918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61550B1 (ko) 수납식 침대
US20070170768A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folding seat back and armrest
US20070079434A1 (en) Device for lifting a spa cover
KR10054951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20100005049U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US7921785B1 (en) Furniture with foldable support
KR101080706B1 (ko)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996274B1 (ko)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549523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19104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90195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101305420B1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10137969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2004670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311562Y1 (ko) 자동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2233829B1 (ko)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KR200450788Y1 (ko) 접이식 책상
KR102498993B1 (ko) 머리받침대 겸용 침대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