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420B1 - 접이식 악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악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420B1
KR101305420B1 KR1020110114426A KR20110114426A KR101305420B1 KR 101305420 B1 KR101305420 B1 KR 101305420B1 KR 1020110114426 A KR1020110114426 A KR 1020110114426A KR 20110114426 A KR20110114426 A KR 20110114426A KR 101305420 B1 KR101305420 B1 KR 10130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instrument holder
folding
conn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417A (ko
Inventor
김선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임
Priority to KR102011011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4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세워두기 위한 접이식 악기 거치대로서 특히 기타 및 다양한 현악기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지지하여 기타를 지탱해주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휴대가 편리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받침대가 절첩이 가능한 접이식 악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는 각각의 지지대의 측면에 회전이 가능한 받침대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작은 부피로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대의 상측에 충격 흡수부가 형성되어 악기의 파손을 방지하며 다수개의 받침대를 형성하여 악기의 하중을 지면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악기 거치대의 안정성을 극대화시켰다.

Description

접이식 악기 거치대 {Folding string instrument Stand}
본 발명은 악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세워두기 위한 접이식 악기 거치대로서 특히 기타 및 다양한 현악기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지지하여 기타를 지탱해주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휴대가 편리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받침대가 절첩이 가능한 접이식 악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 중에 기타는 구조적인 특성상 그 자체만으로는 똑바로 세워둘 수가 없어 연주 후 잠시 휴식을 취할 때는 벽 등에 기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처럼 벽이나 의자 등에 기대어 기타를 세워두면 기타가 넘어져 파손되거나 조율된 기타 줄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기타를 안정되게 세워두기 위한 기타 스탠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기타 스탠드는 지금까지도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고 제작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 제작된 기타 스탠드를 살펴보면 기타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좌우로 절첩되는 두 개의 하부지지대(10)와, 이들 전방에 체결되어 광고 문안이 표시되는 전방부재(20)와, 하부지지대(10)의 후방에 축결합되어 기타의 후방을 지지토록 하기 위하여 전, 후 방향으로 두 개의 후방지지대(30)와, 상기 하부지지대(10)의 후방 하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토록 하는 두 개의 좌우방향흔들림방지대(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은 각 부재들을 접고 펼칠 수 있는 절첩식으로 구성되면서도 전면에 광고 문안이 표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따른 제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고 문안이 표시되는 전방부재는 본체로부터 별도로 분리되는 구성으로 분실의 위험이 있는 등 운반 및 보관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구성은 기타를 판매 등을 목적으로 진열대에 진열하기 위한 구성임으로써 그 구조적인 특성상 높이가 낮기 때문에 기타를 세워 보관이 가능하나 세워진 기타에 약간의 충격을 가하면 쉽게 쓰러져 안정성이 상당히 미흡하며 무게가 무겁고 접이식임에도 불구하고 부피가 커서 운반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33463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타 및 다양한 현악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우수한 악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쉽고 간단하게 접철이 가능하며, 부피를 줄여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악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는 상방향으로 세워지고, 하측에 각각 지지축(110)이 설치되는 2개의 지지대(120)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1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제1 받침대(2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는 고정대(3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제2 받침대(4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 안착 되어 하방향 회전이 저지되며 악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대(120)는 회전축(130)에 의하여 상측단이 상호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는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120-1)와, 회전핀(121)에 의하여 제1 지지대(120-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 지지대(120-1)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지지축(110)이 설치되는 제2 지지대(1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대(120)가 좌우로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는 연결바(140)에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140)는, 일측단이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 중 어느 하나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바(140-1)와, 일측단이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 중 나머지 하나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연결바(140-1)의 타측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바(1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는 상기 제1 받침대(200)의 상방향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는 상기 고정대(3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는 제1 멈춤돌기(310)와, 상기 제2 받침대(4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2 받침대(400)가 걸리는 제2 멈춤돌기(3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500)는 하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2 멈춤돌기(320)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는 각각의 지지대의 측면에 회전이 가능한 받침대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작은 부피로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대의 상측에 충격 흡수부가 형성되어 악기의 파손을 방지하며 다수개의 받침대를 형성하여 악기의 하중을 지면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악기 거치대의 안정성을 극대화시켰다.
도 1 은 종래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접는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접는 순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접는 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접는 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프레임(100)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00)은 2개의 지지대(120)로 형성된다. 2개의 지지대(120)중 어느하나의 지지대(120) 상측에는 회전축(130)이 형성된다. 다른 지지대(120)의 상측은 회전축(130)에 체결되며 2개의 지지대(12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대(1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130)을 대칭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며 회전축(13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2개의 지지대(1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20)를 설명하며 하술하는 설명은 상기 2개의 지지대(120)의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제1 지지대(120-1)와 제2 지지대(120-2)로 형성된다. 제 1 지지대(120-1)의 하측에는 회전핀(121)이 형성되며, 제2 지지대(120-2)는 회전핀(121)에 의해 제1 지지대(120-1)와 상호 체결된다. 회전핀(121)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따라서 제 1 지지대(120-1)와 제 2 지지대(120-2)는 상호 회전이 가능하며, 제 1 지지대(120-1)가 제 2 지지대(120-2)와 슬라이딩 되도록 회전된다. 회전핀(121)에 결합 되는 제 1 지지대(120-1)와 제 2 지지대(120-2) 사이에는 제 1 지지대(120-1)가 제 2 지지대(120-2)에 일정한 힘을 가해야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지지대(120-1)가 제 2 지지대(120-2)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판(121-P)이 형성된다.
즉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20)는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120-1)와 제2 지지대(120-2)는 회전핀(121)에 의하여 체결되며, 제2 지지대(120-2)는 제1 지지대(120-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때,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판(121-P)에 의해 제1 지지대(120-1)가 제2 지지대(120-2)에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세워져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지지대(120-2)의 하측에는 지지축(110)이 형성된다. 지지축(110)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제 2 지지대(120-2)의 하측에는 지지축(110)에 체결되는 제1 받침대(200)가 형성된다. 제1 받침대(200)는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제1 받침대(200)는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지지축(110)에 체결되고 타측에는 제 1 미끄럼 방지패드(210)가 형성된다. 제1 받침대(200)는 지지프레임(100)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측이 지지축(110)에 체결되는 고정대(300)가 형성된다. 고정대(300)는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대(300)의 일측에는 제1 멈춤돌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제 1 멈춤돌기(310)는 고정대(300)가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일정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회전을 저지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제 1 멈춤돌기(310)가 지지축(110)의 일단에 걸리어 고정대(300)가 회전이 저지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지축(110)에 체결되는 제2 받침대(400)가 형성된다. 제2 받침대(400)는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제2 받침대(400)는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지지축(110)에 체결되고 타측에는 제 2 미끄럼 방지패드(410)가 형성된다. 제2 받침대(400)는 지지프레임(100)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대(300)의 타측에는 제 2 멈춤돌기(320)가 돌출 형성 된다. 제 2 멈춤돌기(320)는 고정대(3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받침대(400)는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데, 제 2 받침대(400)가 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받침대(400)가 제 2 멈춤돌기(32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받침대(200)는 제 2 지지대(120-2)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축(110)을 선회하는 제 1 받침대(200)가 제 2 지지대(120-2)에 형성된 걸림돌기(15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면 제 1 받침대(200)가 수평방향을 이루면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받침대(400)는 제 2 지지대(120-2)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받침대(400)는 제 1 받침대(200)와 반대 방향으로 지지축(110)을 선회하면 제 2 받침대(400)가 고정대(300)에 형성된 제 2 멈춤돌기(320)의 하측에 안착 되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제 2 받침대(400)가 제 2 멈춤돌기(320)의 하측에 안착 되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면서 고정대(300)가 제 2 받침대(400)와 동일한 상방향으로 회전이 되는데, 이때 고정대(300)에 형성된 제 1 멈춤돌기(310) 제 2 지지대(120-2)의 일측면에 걸리면서 고정대(3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 2 받침대(400)는 수평방향을 이루면서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하게 된다. 제 1 받침대(200)와 제 2 받침대(400)가 상호 대칭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150) 및 제 2 멈춤돌기(31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면서 지지프레임(100)을 상방향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안착부(500)가 형성된다. 안착부(500)의 상측에는 악기를 거치할 수 있다. 안착부(500)의 일측은 지지축(110)에 체결되고 타측에는 악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520)이 돌출 형성된다. 안착부(500)는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데, 고정대(300)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320)의 상측에 걸리어 하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안착부(500)에는 악기가 거치되므로 악기의 흠집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부(500)의 둘레를 감싸는 악기충격흡수부(510)가 형성된다. 악기충격흡수부(5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다.
도 2 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 2 지지대(120-2) 사이에는 연결바(140)가 설치된다. 연결바(140)는 각각의 지지대(120)가 좌우로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연결바(140)는 일측단이 제 2 지지대(120-2)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연결바(140-1)와 나머지 하나의 제 2 지지대(120-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 1 연결바(140-1)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연결바(140)로 형성된다. 제 1 연결바(140-1)와 제 2 연결바(140-2)는 상호 대칭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바 회전핀(도면부호 미부여)에 상호 체결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바(140-1)와 제 2 연결바(140-2)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 1 연결바(140-1)의 타측에는 연결바 손잡이(141)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바 손잡이(141)는 제 1 연결바(140-1)와 제 2 연결바(140-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 연결바(140-1)가 제 2 연결바(140-2)에 지지된다. 연결바 손잡이(141)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제 1 연결바(140-1)와 제 2 연결바(140-2)는 상호 접철되고 각각의 지지대(120)도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지대(120)의 상단에는 충격흡수패드(600)가 설치된다. 충격흡수패드(600)는 안착부(500)에 거치된 악기가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될 때 지지프레임(100)에 의해 악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충격흡수패드(6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다.
도 3 및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의 (a)를 참조하면 제 2 멈춤돌기(320)에 지지된 안착부(500)가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대(120)의 측면에 위치한다.
도 3 의 (b)를 참조하면 제 2 멈춤돌기(320)의 하부에 지지된 제 2 받침대(400)는 안착부(5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대(120)의 측면에 위치한다.
도 3 의 (c)를 참조하면 걸림돌기(15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된 제 1 받침대(200)는 제 1 받침대(200)가 걸림돌기(150)에 걸리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대(120)의 측면에 위치한다.
도 3 의 (d)를 참조하면 고정대(300)는 지지대(12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의 (a) 및 (b)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0)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각각의 지지대(12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각각의 지지대(120)가 회전되고, 이때 연결바 손잡이(141)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제 1 연결바(140-1)와 제 2 연결바(140-2)는 회전되어 상호 접히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대(120)도 상호 마주보도록 회전된다.
도 3 의 (e) 및 도 4 의 (c)를 참조하면 제 1 지지대(120-1)는 제 2 지지대(120-2)측으로 회전되어 각각 제 2 지지대(120-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악기 스텐드의 설치 방법은 상기 사용방법의 역순으로 작동함을 밝혀둔다.
도 5 를 참조하면 악기가 안착부(500)에 안착되고 악기의 몸통부분이 충격흡수패드(600)에 안착 되어 지지되며 악기 및 지지프레임(100)의 하중으로 제 1 받침대(200), 제 2 받침대(400) 및 안착부(500)는 더욱 견고히 악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지지축
120 : 지지대 120-1 : 제 1 지지대
120-2 : 제 2 지지대 121 : 회전핀
121-P : 조절판 130 : 회전축
140 : 연결바 140-1 : 제 1 연결바
140-2 : 제 2 연결바 150 : 걸림돌기
200 : 제 1 받침대 210 : 제 1 미끄럼 방지패드
300 : 고정대 310 : 제 1 멈춤돌기
320 : 제 2 멈춤돌기 400 : 제 2 받침대
410 : 제 2 미끄럼 방지패드 500 : 안착부
510 : 악기충격흡수부 520 : 이탈방지턱
600 : 충격흡수패드

Claims (8)

  1. 상방향으로 세워지고, 하측에 각각 지지축(110)이 설치되는 2개의 지지대(120)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1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제1 받침대(2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는 고정대(3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 걸리어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제2 받침대(400);
    각각의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 안착되어 하방향 회전이 저지되며 악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대(120)는 회전축(130)에 의하여 상측단이 상호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는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120-1)와, 회전핀(121)에 의하여 제1 지지대(120-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측이 상기 제1 지지대(120-1)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지지축(110)이 설치되는 제2 지지대(1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대(120)가 좌우로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는 연결바(140)에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140)는, 일측단이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 중 어느 하나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바(140-1)와, 일측단이 2개의 상기 제2 지지대(120-2) 중 나머지 하나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연결바(140-1)의 타측단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바(1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120)에는 상기 제1 받침대(200)의 상방향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대(300)에는 상기 고정대(3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지지대(120)에 걸리는 제1 멈춤돌기(310)와, 상기 제2 받침대(400)의 상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2 받침대(400)가 걸리는 제2 멈춤돌기(3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500)는 하방향 회전이 저지되도록 상기 제2 멈춤돌기(320)에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1020110114426A 2011-11-04 2011-11-04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10130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26A KR101305420B1 (ko) 2011-11-04 2011-11-04 접이식 악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26A KR101305420B1 (ko) 2011-11-04 2011-11-04 접이식 악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417A KR20130049417A (ko) 2013-05-14
KR101305420B1 true KR101305420B1 (ko) 2013-09-06

Family

ID=486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426A KR101305420B1 (ko) 2011-11-04 2011-11-04 접이식 악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65B1 (ko) 2014-10-23 2016-01-27 박주영 접이식 스탠드를 구비한 악기
KR101589058B1 (ko) 2014-10-23 2016-01-27 박주영 대상물 부착형 스탠드 및 스탠드를 구비한 악기
KR20170035302A (ko) 2015-09-22 2017-03-30 이용수 안전한 기타 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256A (ja) * 1995-08-23 1997-03-07 Arai Boeki Kk ギタースタンド
KR200345557Y1 (ko) 2003-12-30 2004-03-27 경 호 강 절첩식 기타 스탠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256A (ja) * 1995-08-23 1997-03-07 Arai Boeki Kk ギタースタンド
KR200345557Y1 (ko) 2003-12-30 2004-03-27 경 호 강 절첩식 기타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417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4737B2 (e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JP3109781U (ja) 板付きフラットウォーカーの構造
JPH0769256A (ja) 自転車スタンド
KR101305420B1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US20110168863A1 (en) Foldable Instrument Stand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US20120117727A1 (en) Foldable Bed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20210000094U (ko) 상판 분리형 테이블
KR101791360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JP3133866U (ja) 折り畳み式デスク
CN101227577A (zh) 大屏幕平板电视折叠式基座
KR200437388Y1 (ko) 접이식 책 받침대
KR101255985B1 (ko) 기타 거치대
KR20100008639U (ko)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WO2016184382A1 (zh) 一种用于桌子翻转收折的支撑架
CN220357421U (zh) 幕布固定支架
US1902373A (en) Portable screen
CN207202598U (zh) 一种可折叠展示架
US11551650B2 (en) Support device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having same
CN211431812U (zh) 可折叠式座椅
KR200467024Y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독서대
CN205789075U (zh) 古筝乐谱摆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