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639U -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 Google Patents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639U
KR20100008639U KR2020090001983U KR20090001983U KR20100008639U KR 20100008639 U KR20100008639 U KR 20100008639U KR 2020090001983 U KR2020090001983 U KR 2020090001983U KR 20090001983 U KR20090001983 U KR 20090001983U KR 20100008639 U KR20100008639 U KR 20100008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book
horizontal
hol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민
김성여
박우원
박우현
Original Assignee
박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민 filed Critical 박우민
Priority to KR2020090001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639U/ko
Publication of KR20100008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39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 버팀대, 버팀다리, 버팀팔, 버팀다리팔연결대, 지탱대, 수직받침대, 높임대, 상하부수평받침대, 수평받침연결대, 수평연장대, 하부받침대, 누름팔, 누름바퀴 등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 또는 요철레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각 기능대들이 조합되어 독서대 기능을 완성하며, 기능 이행시 각 기능대들을 펼치고 보관시 접을 수 있으며, 각 기능대를 모두 한 방향으로 나란히 접어 부피를 집적화하여 간편히 휴대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 휴대, 높낮이 조절, 기능대, 기능분리

Description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The Method and Mechanism for Reading Desk of Functional Devision and Folding style for Hand Carry}
본 고안은 독서대를 장소에 제약 없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기능별로 분리하여 해당 기능 이행 기능대를 두어 기능대들의 조합으로 각 기능을 이행할 수 있게 하며, 집적화하여 간편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독서대 기능이 여러 기능대 들로 분리되어 기능대들 간의 연결과 이동동작이 연결 회전축과 요철 형태의 레일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용 횟수에 따라 회전 및 이동 마찰력이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 마찰력 유지 방법을 활용한다.
일반 독서대가 학교나 도서관 등에 갖고 다니기에는 너무 커서 불편하다. 이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단순히 독서대의 책을 올려놓는 수평면적만 줄인 것이나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의 높이를 접어 뉘어서 부피를 줄이는 방법 등이 있으나 휴대하기에는 불편한 크기이고 또한 크기를 줄임으로 인하여 독서대로서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독서대의 기능을 세분화하여 각 기능이행 구성요소들을 정하고 요소들의 크기, 모양, 배치 방법 등을 최소부피로 조립 조합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크기를 줄여 휴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독서대의 기본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과제를 해결하였다. 책을 올려 놓는 책 크기 이상의 받침대와 기타 구성품 대신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별개의 기능 이행요소로서, 연결축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면서 각각 별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능대들을 기능 이행시에는 펼치고 보관시에는 작게 접어 보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전 기능을 이행하면서도 크기만 최소화하여 기존의 문제들인 휴대하기 불편한 점과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머니 속에 넣어 다닐 수 있어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다.
책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서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다.
바닥 면적을 적게 차지하여 학교 책상 등 좁은 공간에서 사용시 편리하다.
본 고안은 기능 이행시 책을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버팀대와 버팀다리 및 버팀팔, 버팀다리팔 연결대, 눈과 책의 각도를 조절하고 수직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지탱대, 책의 뒤를 받치는 기능을 하는 수직받침대, 책의 높낮이를 조 절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높임대, 책의 좌우를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상부수평받침대 및 하부수평받침대, 수평받침연결대, 책의 하부를 받치는 기능을 하는 하부받침대, 하부수평받침대와 하부받침대를 연결하는 하부받침대축1 및 2, 하부수평받침대 및 하부받침대를 정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하부받침대축3, 책면이 저절로 넘어가지 않게 눌러주는 누름대 및 누름바퀴, 누름대를 수평받침연결대에 연결하는 수평연장대 ,각 기능대 들의 회전운동에 축이 되는 각 기능대 회전축, 기능대 이동운동을 위한 요철레일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사용방법은,
a) 본 장치의 각 기능대들을 제 위치로 펼치는 단계,
b) 본 장치에 책을 장착하는 단계,
c) 책면을 눌러 고정하는 단계,
d) 책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e) 책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f) 책면을 넘기는 단계,
g) 책을 본 장치에서 분리하고 본 장치를 접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그 동작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도로서 각 기능대들이 제 위치로 펼쳐진 상태이며, 버팀대 (1), 버팀다리 (2), 버팀다리홀 (3), 버팀다리축 (4), 버팀팔 (5), 버팀팔홀 (6), 버팀팔축 (7), 버팀다리팔연결대 (8), 버팀다리연결축(9), 버팀다리 접이홀 (10), 버팀팔연결축 (11), 버팀팔접이홀 (12), 지탱대 (13), 지탱대축 (14), 수직받침대 (15), 수직받침대축 (16), 수직받침대홀 (17), 수직받침대레일 (18), 수직받침대오목레일 (19), 수직받침대레일홈 (20), 높임대 (21), 높임대레일 (22), 높임대돌기 (23), 하부수평받침대 (24), 하부수평받침대홀 (25), 하부수평받침대축 (26), 상부수평받침대 (27), 상부수평받침대홀 (28), 상부수평받침대축 (29), 수평받침연결대 (30), 수평받침연결하부축 (31), 수평받침연결하부홀 (32), 수평받침연결상부축 (33), 수평받침연결상부홀 (34), 하부받침대 (35), 하부받침대축1 (36), 하부받침대축2 (37), 하부받침대축3 (38), 수평연장대 (39), 수평연장대축 (40), 누름대 (41), 누름대축 (42), 누름바퀴 (43), 누름바퀴축 (44) 등으로 구성된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책에 장착된 예시도이다.
1단계) 본 고안장치의 기능대들을 펼치는 방법은, 버팀대 (1)에서 버팀다리축 (4)과 버팀팔축 (7)을 기준으로 좌우 버팀다리팔연결대 (8)를 각각 좌우로 당겨서 좌우의 버팀다리연결축 (9)과 버팀팔연결축 (11)이 각각 좌우의 버팀다리홀 (3)과 버팀팔홀 (6)의 안쪽위치에서 바깥쪽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버팀다리접이홀 (10)의 안쪽위치와 버팀팔접이홀 (12)의 안쪽위치에서 바깥쪽 위치로 이동하면서 좌우의 버팀다리 (2)와 버팀팔 (5)을 펼친다. 이후 수직받침대 (15)를 수직받침대축 (16)을 기준으로 위로 회전시켜 세운 후 수직받침대홀 (17)에 지탱대축 (14)을 기준으로 지탱대 (13)를 펼쳐 세워 끼워 고정시킨다.
이 후 높임대 (21)를 높임대 레일 (22)에 의해 수직받침대 레일 (18) 및 수 직받침대오목레일 (19)을 따라 위로 이동시켜 적당한 높이에서 높임대 돌기 (23)와 수직받침대레일홈 (20)이 결합되어 높임대 (21)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축 (29)과 하부수평받침대축 (26)을 기준으로 좌우의 수평받침연결대 (30)를 각각 좌우로 당겨서 좌우의 수평받침연결상부축 (33)과 수평받침연결하부축 (31)이 각각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홀 (28)과 하부수평받침대홀 (25)의 안쪽 위치에서 바깥쪽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수평받침연결상부홀 (34)과 수평받침연결하부홀 (32)의 안쪽위치에서 바깥쪽 위치로 이동하면서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 (27)와 하부수평받침대 (24)를 펼친다. 그리고 좌우의 하부받침대 (35)를 하부받침대축1 (36)과 하부받침대축2 (37)을 기준으로 아래로 회전시켜 펼쳐서 하부받침대축3 (38)에 닿이게 한다. 이후 좌우의 수평연장대 (39)를 수평연장대축 (40)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회전시켜 펼친 후에 좌우의 누름대 (41)를 누름대축 (42)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회전시켜 펼친다. 이렇게 하여 누름바퀴 (43)를 누름바퀴축 (44)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면 모든 기능대들이 기능 이행위치로 펼쳐져서 본 장치에 책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2단계) 본 장치에 책을 장착하는 방법은, 본 장치가 펼쳐 세워져 있고 각 기능대들이 기능이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책을 펴서 아래로는 하부 받침대 (35) 위에 책 밑 부분이 닿게 올려 놓고 뒤로는 높임대 (21)와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 (27)와 하부수평받침대 (24)에 책 뒤쪽이 닿게 기대어 놓는다.
3단계) 책면을 눌러 고정하는 방법은, 전 단계에서 책이 본 장치에 펼쳐져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의 누름대 (41)를 누름대축 (42)을 축으로 각각 좌우로 회전 시켜 좌우의 누름바퀴 (43)를 책면 위 알맞은 위치에 놓아서 책면이 저절로 넘어가지 않게 한다.
4단계) 책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수직받침대 레일 (18)과 수직받침대오목레일 (19)을 따라 높임대레일 (22)을 위아래로 움직임에 의하여 높임대 (21)의 높이를 이동시켜 높임대 (21)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받침대 (35)의 높이가 높아지고 낮아지게 되는데 상하로 이동중에 높임대 (21)에 결합되어 있는 높임대돌기 (23)가 수직받침대레일홈 (20)과 결합되어 높임대 (21)의 이동이 멈춰지는데 적당한 높이에서 상하 이동을 중지할 수 있고 이에 올려져 있는 책의 높이를 알맞은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5단계) 책 면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책이 본 장치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지탱대 (13) 끝을 수직 받침대홀 (17)의 상하로 이동시켜 끼우면서 책면의 각도를 조절한다.
6단계) 책면을 넘기는 방법은, 좌우 누름바퀴 (43)가 책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우측 책면을 손으로 누르면서 좌측으로 밀어내면 우측 누름바퀴 (43)가 시계바늘 방향으로 돌면서 책면이 빠지고 이 책면을 좌측으로 넘겨 좌측 누름바퀴 (43) 아래로 눌러 밀어 넣으면 좌측 누름바퀴 (43)가 시계 바늘 방향으로 돌면서 책면이 좌측 제 위치로 들어가고 좌측 누름대 (41)가 좌측 누름바퀴 (43)를 통하여 책면을 누르고 있고 좌측 누름바퀴 (43)가 시계바늘 반대 방향 즉, 책면이 빠지는 방향으로는 돌지 않기 때문에 한번 넘겨져 누름바퀴 (43) 밑으로 들어간 책면은 저절로 빠지지 못한다.
제 3도는 본 장치를 책에서 분리하여 기능대들을 접어 보관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7단계) 본 장치를 책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먼저 좌우의 누름대 (41)를 책면 위에서 회전시켜 내리고 본 장치에서 책을 내린 후 좌우의 누름대 (41)를 회전시켜 수평연장대 (39) 위에 위치시키고 좌우의 수평연장대 (39)를 회전시켜 수평받침연결대 (30) 위로 위치시킨 후 좌우의 수평받침연결대 (30) 안으로 밀어 높임대 (21) 위로 위치시킨다. 이후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 (27)와 하부수평받침대 (24)를 차례로 회전시켜 접어서 높임대 (21) 위로 위치시킨다. 다음에 높임대 (21)를 수직받침대 (15)와 나란하게 아래로 내리고 수직받침대홀 (17)에서 지탱대 (13)를 빼서 버팀대 (1) 위로 접은 후 수직받침대 (15)와 높임대 (21) / 상부수평받침대 (21) / 하부수평받침대 (24) / 하부받침대 (35) / 수평연장대 (39) / 누름대 (41) / 누름바퀴 (43) 등의 결합체를 버팀대 (1) 위로 나란히 접어 위치 시킨다. 이 다음 좌우의 버팀다리팔연결대 (8)를 각각 안으로 밀어 높임대 (1) 밑으로 위치시킨 후 좌우의 버팀다리 (2)와 버팀팔 (5)을 차례로 안으로 회전시켜 밑으로 접어 넣는다. 이렇게 모든 기능대를 접으면 본 장치의 크기가, 버팀대 (1)의 가로·세로 길이가 독서대의 가로·세로 길이가 되고 버팀대 (1) 두께와 수직 받침대 (15), 높임대 (21), 상하부수평받침대 (27,24), 수평연장대 (39), 누름대 (41) 두께의 합을 독서대의 두께로 하는 작은 크기여서 휴대를 위해 부피가 집적화되고 간단한 형태로 되어서 보관 주머니에 넣어서 간편히 휴대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이다.
제 2도는 본 고안 장치에 책을 장착한 예시도이다.
제 3도는 본 고안 장치가 책에서 분리되어 보관 및 휴대를 위해 접혀져서 집적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Claims (1)

  1. 독서대 버팀대, 좌우의 버팀팔·버팀팔홀·버팀다리·버팀다리홀·버팀다리팔연결대·버팀다리접이홀·버팀팔접이홀, 지탱대, 수직받침대·수직받침대홀·수직받침대레일·수직받침대레일홈 , 높임대·높임대레일·높임대돌기, 좌우의 하부받침대, 좌우의 상부수평받침대·상부수평받침대홀·하부수평받침대·하부수평받침대홀·수평받침연결대·수평받침연결상부홀·수평받침연결하부홀·수평연장대, 누름대·누름 바퀴, 각 기능대 연결축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능대들이 보관시 나란히 한 방향으로 접혀져 집적되어 간단하게 보관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고, 책 하부를 받치는 받침대와 책 뒤를 받치는 받침대와 책 양옆을 받치는 받침대와 책면 누름대가 일체화 되어 있고 책이 올려져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한꺼번에 간단히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이 받침대 결합체를 위아래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책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책 양 옆을 안전하게 받쳐주기 위한 높임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닫힌 사각구조를 취하고 있는 상하부 수평받침대와 수평받침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수평받침 결합체와, 책 무게중심의 균형을 유지시켜 독서대를 넘어지지 않게 하는 버팀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의 닫힌 사각구조를 취하고 있는 버팀다리 및 버팀팔과 버팀다리팔연결대로 이루어지는 버팀대 결합체가 각각의 구성기능대 자체에 나 있는 수평 또는 수직 홀을 따라 연결축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이어서 각 결합체를 펼칠 시에 수평받침연결대나 버팀다리팔연결대 만 좌우로 당기면 각각 수평받침결합체구성기능대 모두나 버팀대 결합체구성기능대 모두가 한꺼번에 펼쳐지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일반 독서대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각 기능을 이행하는 좁은 폭의 기능대로 독서대를 구현함으로 인해 휴대를 위해 불요불급한 면적과 부피를 줄이고 다중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취함에 의해 보관시 전체 부피가 집적되어져서 간편히 보관주머니 등에 넣어 다닐 수 있음을 특장점으로 하는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KR2020090001983U 2009-02-23 2009-02-23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Ceased KR201000086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983U KR20100008639U (ko) 2009-02-23 2009-02-23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983U KR20100008639U (ko) 2009-02-23 2009-02-23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39U true KR20100008639U (ko) 2010-09-01

Family

ID=4419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983U Ceased KR20100008639U (ko) 2009-02-23 2009-02-23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6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965B1 (ko) * 2012-07-11 2013-01-02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0470139Y1 (ko) * 2012-06-15 2013-11-29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CN108968336A (zh) * 2018-09-06 2018-12-11 佛山市蔷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办公桌
WO2020091548A1 (ko) * 2018-11-04 2020-05-07 김성원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39Y1 (ko) * 2012-06-15 2013-11-29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101217965B1 (ko) * 2012-07-11 2013-01-02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CN108968336A (zh) * 2018-09-06 2018-12-11 佛山市蔷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办公桌
CN108968336B (zh) * 2018-09-06 2021-01-05 广东迈尼杰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办公桌
WO2020091548A1 (ko) * 2018-11-04 2020-05-07 김성원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361A (en) Foldable table frame
EP2183995A1 (en) Adjustable table
US4148264A (en) Table having multiple table top elevations
TWM260278U (en) treadmill with board
KR101851556B1 (ko) 절첩식 책상
CN205250987U (zh) 一种多功能折叠椅
US20150115123A1 (en) Foldable and portable music stand
KR20100008639U (ko)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CN206518273U (zh) 一种可折叠的便携式桌子
CN209187285U (zh) 一种折叠床
CN111789440A (zh) 一种多功能折叠变形装置
KR20100005878U (ko)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KR20100003072U (ko) 기능대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CN212679468U (zh) 一种临时加床的护理用病床结构
CN221653842U (zh) 一种可折叠便携户外桌子
IE46168B1 (en) A folding cot
US8505133B1 (en) Furniture combination of bed and desk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KR20100002033U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CN215423384U (zh) 一种多功能床头桌
CN207011931U (zh) 折叠拼合式伸缩台
CN213940037U (zh) 一种用于艺术设计板的支架
CN220713233U (zh) 便携式可折叠小桌板
KR200459474Y1 (ko) 접이식 독서대
CN203563952U (zh) 多功能折叠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4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