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17B1 -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17B1
KR101309117B1 KR1020130012303A KR20130012303A KR101309117B1 KR 101309117 B1 KR101309117 B1 KR 101309117B1 KR 1020130012303 A KR1020130012303 A KR 1020130012303A KR 20130012303 A KR20130012303 A KR 20130012303A KR 101309117 B1 KR101309117 B1 KR 10130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height adjustment
thig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이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걸 filed Critical 이재걸
Priority to KR102013001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 등과 같은 현악기를 연주시, 기타의 위치를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벅지와 기타와의 사이에서 전, 후, 좌, 우 위치조절, 회전과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키, 연주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누구에게나 가장 편안한 악기배치를 가능토록 하여, 악기와의 일체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훌륭한 연주를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SUPPORT APPARATU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기타 등의 현악기를 연주시, 현악기의 위치를 연주자에 맞게 편안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연주자의 허벅지와 현악기 사이에서 다양한 높이 조절 및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한 종류로서, 현악기의 몸체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된 줄을 튕겨주거나 혹은 활 등으로 마찰시킴으로써 그 소리를 내게 되는데, 상기 현악기의 몸체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현악기 중 하나인 기타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기타는 속이 빈 바디(body)와,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네크(neck)와, 상기 네크의 일단에 연결되고, 줄감개가 마련된 헤드(head) 부분 및 줄감개에 의해 팽팽해진 상태로 바디의 앞판에 일정 간격이격되어 위치하는 기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는 앞판과 옆판 및 뒷판으로 구성된 하나의 공명통으로서 앞판에는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사운드 홀은 기타줄을 튕김에 따라 기타줄에서 발생한 음파가 바디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 통로이다.
특히, 이러한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왼손으로 코드를 잡아야 하고, 오른손으로는 기타줄을 튕겨야 하는데, 원활한 연주를 위해서는 코드를 잡는 왼손측의 기타 헤드부분이 바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대게의 연주자들은 왼쪽 발을 일정높이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왼쪽 발 하단에 받쳐 사용하게 되고, 이로써, 기타의 헤드부분이 소리통인 바디부분보다 높은 위치가 되어 곡의 코드 및 계이름을 손쉽고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받침판의 경우, 기타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연주스타일, 연주시의 특이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각각의 연주자마다 편안한 악기 연주를 위한 높이 및 위치가 달라져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단 하나의 받침판으로 모든 연주자들의 편안한 연주를 가능케할 수는 없었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받침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 등의 현악기를 연주함에 있어서, 코드를 잡게 되는 기타의 헤드부분을 몸통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연주가 가능토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연주자의 허벅지와 기타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 회전조절, 좌, 우, 전, 후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연주자의 연령, 키, 연주자만의 특이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연주자가 기타를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 또한 용이한 접철구조를 가진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향되도록,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에 대응결합되는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판(40); 상기 지지판(2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향해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이 이격형성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가이드판(4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체결돌기(62)가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현악기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타 등의 현악기의 연주시, 사용자가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형태 및 위치로 기타를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개개인의 연주버릇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기타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회전과 높이조절 뿐만 아니라, 전, 후, 좌, 우 위치조절 또한 가능하여, 단일의 장치만으로 모든 연주자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악기를 신체와 일체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등의 악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고, 보관시에도 악기에 밀착되도록 접철됨으로써, 별도의 보관케이스 없이, 악기가 보관되는 케이스에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이 쉽고 견고하여, 연주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기타)를 왼발, 오른발 어느 쪽에 올려놓고 사용해도 안정적이고 올바른 연주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기를 장시간 연주하여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연주자의 척추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의 회전 및 회동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의 접철 및 펼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의 좌, 우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의 전, 후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제 3(third)" 및“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향되도록,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에 대응결합되는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판(40); 상기 지지판(2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향해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이 이격형성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가이드판(4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체결돌기(62)가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현악기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공(54)은 상기 받침판(60)의 타측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62)가 대응되어 끼워지는 끼움공(51); 상기 끼움공(5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천공되는 안착공(52);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폭 방향을 향해, 끼움공(51)과 안착공(52)을 연결시킴으로써, 체결돌기(62)가 끼움공(51)에서 끼워져 안착공(52)을 향해 이동되어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홈(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60)이 대응접촉되어 있는 연주자의 허벅지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0)와의 사이 연결부위(12)에 끼움판재(13)의 개수를 조절하여 끼움고정함으로써, 현악기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20)의 일면에 설치된 간격 조절봉(30)의 양단이 높이 조절판(50)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55)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가이드판(40)에 힌지결합된 일단이 가이드판(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판(60)이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전, 후, 좌, 우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현악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받침판(60)은 현악기 케이스에 현악기를 보관시, 현악기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접철되어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9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90)는 고정부(10), 지지판(20),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받침판(6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는 후술될 지지판(20),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및 받침판(60) 등을 모두 현악기(ex: 기타, 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0)는 현악기(본 발명에서는 현악기 중 '기타(Guitar)'를 그 예시로 하며, 이하에서는 '기타'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타는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줄의 팽팽함을 조절하여 음을 조절하는 헤드부(120)와, 연주자가 줄을 튕김으로써 공명통을 통해 소리를 내는 몸체부(11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기타는 일정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10)는 기타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타의 몸체부(110) 하단에 설치된다.(기타를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의 왼쪽 허벅지에 올려지는 기타의 접촉부분(130))
이러한, 상기 고정부(10)는 'H'자 형태로 형성되어 기타의 테두리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부(10)의 각 단부는 기타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절곡되어, 기타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전면 또는 후면에 절곡된 절곡부 중 일부에는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임나사(11)가 설치되어, 연주가가 조임나사(11)를 조이게 되면, 조임나사(11)의 단부가 기타의 일면을 조임으로써, 상기 고정부(10)가 기타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상기 고정부(10)는 기타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써, 연주자는 연주자가 의자에 앉는 자세 및 연주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지지판(20),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받침판(60))들을 지지할 고정부(10)의 고정위치를 기타의 테두리에서 다양하게 위치변경이 고정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고정부(10)의 중앙에는 후술될 지지판(2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위(12)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연결부위(12)로는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결합나사가 돌출되어 사용된다. 즉, 후술될 지지판(20)이 이러한 연결부위(12)에 대응체결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연결부위(12)에 지지판(20)을 결합하기 전, 판재형상을 하는 끼움판재(13)를 다수개를 개수를 조절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부(10)와 지지판(2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판(20)이 결합된 연결부위(12)에는 결합나사에 대응체결되는 결합볼트 등이 사용되어 고정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다수의 끼움판재(13)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고정부(10)와 지지판(20)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끼움판재(13)가 단일개 또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고정부(10)와 지지판(20)이 밀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조절이 되는 것으로, 이로써 사용자는 현악기(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미세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현악기와 연주자 허벅지 사이의 높이조절은 대게 후술될 높이 조절판(50)과 받침판(60)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현악기(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 조절을 전술된 고정부(10)와 지지판(20) 사이의 끼움판재(13) 및 높이 조절판(50)과 받침판(60)의 두 부분에서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위(12)에 체결되는 판재 형상으로, 이러한 지지판(20)의 폭은 사용되는 악기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20)은 연결부위(12)가 저면 중앙에서 상면으로 돌출되어 끼워짐으로써 기타의 테두리에 체결되되, 상기 연결부위(1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은 연결부위(12)에서 360° 회전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은 연결부위(12)(연결부위(12)가 형성된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결국, 고정부(10)의 기타 또한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즉, 상기 지지판(20)은 후술될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및 받침판(60)이 연속연결되는 것이기에, 받침판(60)을 사용자의 허벅지에 밀착시킨 후, 받침판(60)이 밀착된 연주자의 허벅지가 벌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기타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판(20)이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및 받침판(60)과 함께 일체로 고정부(10)에서 회전되어 용이하게 기타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간격 조절봉(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간격 조절봉(30)은 중단이 지지판(20)의 상면에 좌, 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곡된 양측의 단부가 후술될 높이 조절판(5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55)에 대응되어 끼움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40)은 전술된 지지판(20)의 일측에 힌지수단(hinge unit, A)으로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0)과 수평을 이루도록 펴지거나, 또는 지지판(20)의 상면에 접철되어 접힐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지지판(20)과 후술될 받침판(60) 사이의 연결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보통 상기 지지판(20)에서 90°로 절곡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판(40) 또한 전술된 지지판(20)과 마찬가지로 폭이 기타의 폭과 동일토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될 높이 조절판(50) 및 받침판(60)의 폭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타에 설치된 상태로 기타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에 함께 보관이 용이토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전술된 지지판(20)의 타측에 힌지수단으로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판(40)과 마찬가지로, 지지판(20)과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지지판(20)의 상면에 접철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높이 조절판(50)에는 길이방향으로 향해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이 이격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높이 조절공(54)은 끼움공(51), 안착공(52), 가이드홈(53)이 한쌍을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공(51)과 안착공(52)은 높이 조절판(50)의 폭방향을 향해 상호간 이격되어 천공되고, 가이드홈(53)이 끼움공(51)과 안착공(52)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끼움공(51)의 직경은 안착공(5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끼움공(51)과 안착공(52)은 상호간 수평이 아니라 일정각도 기울어진 사선 방향으로 천공되고, 이를 연결하는 가이드홈(53) 또한 사선 형태로 천공되도록 한다. 즉, 끼움공(51)이 안착공(52)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거나, 또는 안착공(52)이 끼움공(51)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천공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끼움공(51), 안착공(52), 가이드홈(53)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공(54)이 높이 조절판(5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받침판(60)의 체결돌기(62)가 다수의 높이 조절공(54)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현악기와 연주자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받침판(60)에 대한 설명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높이 조절공(54)은 사용자에 따라서는 단일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천공되어, 상기 높이 조절공(54)의 구멍에 볼트를 끼운 후, 너트로 고정하는 일반적인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받침판(60)은 연주의 허벅지 상면에 대응되며 접촉되는 곳으로서, 이를 우해 상기 받침판(60)은 허벅지 상면에 대응되도록 양단이 하단으로 절곡되는 원호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상기 받침판(60)의 저면, 즉 허벅지와 접촉되는 면에는 다양한 충격흡수 기능 등의 쿠션부재(61)(ex: 실리콘, 부직포, 고무 등)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쿠션부재(61)없이 받침판(60)을 그대로 허벅지 상면에 올려놓을 때보다, 오랜시간 기타를 허벅지 상에 올려놓아도 허벅지에 무리가 덜 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받침판(60)은 지지대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판(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판(40)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판(40)의 상부로 접철되어 포개지거나, 또는 수평이 되는 형태로 펼쳐지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받침판(60)은 전술된 바와 지지판(20)의 타측에 힌지수단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어, 지지판(20)의 타측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일측은 지지판(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받침판(60)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수단(A)의 경우, 상기 지지판(20)에 연결된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볼트/너트 등의 체결수단(B)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수단(A)의 일측이 지지판(20)에 힌지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B)을 중심으로 회동(또는 회전) 또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타단에는 상부를 향해 체결돌기(62)가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체결돌기(62)는 원형 단면을 가지되, 끝단부의 직경 두께가 중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체결돌기(62) 끝단의 두께는 전술된 높이 조절공(54)의 끼움공(51)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체결돌기(62)에서 끝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걸침부(63))의 직경은 안착공(52) 또는 가이드홈(53)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60)의 사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판(60)은 힌지수단(A) 및 체결수단(B)을 통해 가이드판(40)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60)의 저면(쿠션부재(61)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사용자의 왼쪽 허벅지 상면에 대응되도록 올려놓고, 받침판(60)의 타측, 즉 체결돌기(62) 부분을 높이 조절판(50)의 다수 높이 조절공(54) 중 하나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62)의 끝단부는 끼움공(51)에 끼워진 후, 걸침부(63)가 가이드홈(53)을 따라 이동토록 일방향으로 밀어, 안착공(52)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돌기(62)는 끼움공(51)을 통해 높이 조절공(54)에 끼워지되, 상기 안착공(52)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돌기(62)가 안착공(52)에서 빠지지 않아 높이 조절판(50)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의 허벅지 상면에는 받침판(60)이 대응되어 올려져 있게 되고, 상기 받침판(60)의 양측에는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받침판(60)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면서, 이러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을 지지판(20)의 양단이 연결하면서, 지지판(20)의 중앙은 고정부(10)를 통해 기타의 테두리 저면에 연결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상기 높이 조절판(50)은 간격 조절봉(30)을 통해서 지지판(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타의 무게나 연주자가 기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판(50)과 받침판(60)의 연결부위가 탈거된다든지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상기 높이 조절판(50)이 확실하게 지지판(20)과 받침판(6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연주자는 받침판(60)의 체결돌기(62)를 높이 조절판(50)의 다수 높이 조절공(54) 중 어디에 끼움결합하느냐에 따라 높이 조절판(50)의 사용범위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타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가 조절되는 것이다.(즉, 상기 높이 조절판(50)에 천공된 다수의 높이 조절공(54) 중 높이 조절판(50)의 중단에 위치한 높이 조절공(54)에 체결돌기(62)가 끼워지는 경우보다, 높이 조절판(50)의 일측단(연주자의 허벅지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높이 조절공(54)에 체결돌기(62)가 끼워지는 경우가, 상기 기타가 연주자의 허벅지 상부로 더 올려져 지지되는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받침판(60)의 경우, 상기 가이드판(40)과 연결된 부분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높이 조절판(50)의 높이 조절공(54)과는 체결돌기(62)가 끼움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사용자가 기타를 연주하면서 전방쪽으로 기타와 함께 몸을 숙이거나, 의자 뒤쪽으로 몸을 뒤로 젖히게 되는 경우, 상기 받침판(60)은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받침판(60)의 양단에 연결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지지판(20) 및 기타와 함께 전, 후로 위치조절(도 6)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받침판(60)은 가이드판(40)과 연결된 부분이 힌지로도 연결되어 있고, 높이 조절판(50)의 높이 조절공(54)과는 체결돌기(62)가 끼움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연주자는 기타를 연주자의 좌, 우측으로도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도 5)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90)는, 보관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 없이, 현악기(기타)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기타와 함께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받침장치(90)는 사용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사각틀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다수의 높이 조절공(54) 중 어느 것에 받침판(60)의 체결돌기(62)를 선택 끼움결합시키느냐에 따라, 기타와 연주자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 조절이 가능하고, 지지판(20)과 고정부(10) 사이에 끼움판재(13)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높낮이(H) 조절이 미세하게 더 가능하며, 지지판(20)이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악기의 회전각도 또한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허벅지에 올려진 받침판(60)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기타를 전, 후, 좌, 우(도 6, 5)로 위치이동 조절 가능하게 사용하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기타에서 탈거하여 보관하여도 되지만, 기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판(20)의 상면으로 높이 조절판(50)을 접철되어 겹치고, 가이드판(40)과 받침판(60)을 기타의 테두리를 향해 일자로 펴 기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기타가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90)와 함께 기존의 기타 케이스에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정부 11: 조임나사
12: 연결부위 13: 끼움판재
20: 지지판 30: 간격 조절봉
40: 가이드판 50: 높이 조절판
51: 끼움공 52: 안착공
53: 가이드홈 54: 높이 조절공
55: 고정홈 60: 받침판
61: 쿠션부재 62: 고정돌기
63: 걸침부 130: 접촉부분
A: 힌지 B: 체결수단

Claims (5)

  1.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향되도록,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에 대응결합되는 지지판(20);
    상기 지지판(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판(40);
    상기 지지판(2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향해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이 이격형성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가이드판(4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체결돌기(62)가 다수의 높이 조절공(54)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현악기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공(54)은
    상기 받침판(60)의 타측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62)가 대응되어 끼워지는 끼움공(51);
    상기 끼움공(5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천공되는 안착공(52);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폭 방향을 향해, 끼움공(51)과 안착공(52)을 연결시킴으로써, 체결돌기(62)가 끼움공(51)에서 끼워져 안착공(52)을 향해 이동되어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홈(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고정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60)이 대응접촉되어 있는 연주자의 허벅지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0)와의 사이 연결부위(12)에 끼움판재(13)의 개수를 조절하여 끼움고정함으로써, 현악기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20)의 일면에 설치된 간격 조절봉(30)의 양단이 높이 조절판(50)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55)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가이드판(40)에 힌지결합된 일단이 가이드판(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판(60)이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전, 후, 좌, 우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현악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받침판(60)은
    현악기 케이스에 현악기를 보관시, 현악기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접철되어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1020130012303A 2013-02-04 2013-02-04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10130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03A KR101309117B1 (ko) 2013-02-04 2013-02-04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03A KR101309117B1 (ko) 2013-02-04 2013-02-04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117B1 true KR101309117B1 (ko) 2013-09-16

Family

ID=4945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303A KR101309117B1 (ko) 2013-02-04 2013-02-04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03B1 (ko) * 2020-11-13 2021-03-31 정재석 현악기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현악기
CN113362790A (zh) * 2021-04-27 2021-09-07 湖南文理学院 小提琴演奏站姿辅助装置及方法
KR102409570B1 (ko) * 2021-06-08 2022-06-22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6572A1 (en) 2007-02-15 2008-08-21 Jose Angel Navarro Navarro guitar sup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6572A1 (en) 2007-02-15 2008-08-21 Jose Angel Navarro Navarro guitar suppor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03B1 (ko) * 2020-11-13 2021-03-31 정재석 현악기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현악기
JP2022078933A (ja) * 2020-11-13 2022-05-25 ソク ジュン、ジェ 弦楽器用支え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弦楽器
JP7115727B2 (ja) 2020-11-13 2022-08-09 ソク ジュン、ジェ 弦楽器用支え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弦楽器
US11551650B2 (en) 2020-11-13 2023-01-10 Jae Seok JUNG Support device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having same
CN113362790A (zh) * 2021-04-27 2021-09-07 湖南文理学院 小提琴演奏站姿辅助装置及方法
CN113362790B (zh) * 2021-04-27 2023-06-23 湖南文理学院 小提琴演奏站姿辅助装置及方法
KR102409570B1 (ko) * 2021-06-08 2022-06-22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WO2023022527A1 (ko) * 2021-06-08 2023-02-23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7110B2 (en) Instrument stand
US7732689B1 (en) Foldable and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 used in seated position
US9514721B1 (en) Ergonomic guitar support for acoustic guitar
US5315910A (en) Detachable retrofit for a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US10714061B2 (en) Go drum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JP2004502975A (ja) バイオリン用肩受け台
US20040051021A1 (en) Adjustable drum stand
US5789687A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KR101418341B1 (ko)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US8440894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string musical instrument
US761227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2599763A1 (en) Support device for a guitar or other musical instrument
CA2522417A1 (en) Combination instrument stand and chair
US5739449A (en) Collapsible drum stand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20040154457A1 (en) Damping element
US8878038B1 (en) Adjustable percussion mounting
US20040237751A1 (en) Bow guide for a stringed instrument
CN108172201B (zh) 一种小提琴腮托
KR101418336B1 (ko) 현악기 거치장치
US8969690B1 (en) Knee-rest for use with Indian classical violin
KR200267781Y1 (ko)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KR101431553B1 (ko)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US6596933B2 (en) Percussion instrument moun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