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81Y1 -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 Google Patents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81Y1
KR200267781Y1 KR2020010035598U KR20010035598U KR200267781Y1 KR 200267781 Y1 KR200267781 Y1 KR 200267781Y1 KR 2020010035598 U KR2020010035598 U KR 2020010035598U KR 20010035598 U KR20010035598 U KR 20010035598U KR 200267781 Y1 KR200267781 Y1 KR 200267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screw
height
height adjustment
traditional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이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윤 filed Critical 이동윤
Priority to KR2020010035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81Y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치대의 저부면에 가변적으로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높이조절 수단을 구비시켜 악기가 항상 안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에 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은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의 몸체 일측 저면에 결합되며 악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는 상단부가 몸체 일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거나 펴지게 구성되며, 그 저면으로는 소정깊이의 나사홀을 형성하여 높이조절을 이루는 높이조절 수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크류를 이용하여 그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가야금이나 거문고 또는 아쟁과 같은 악기를 바닥면의 평평한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안정된 자세로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bridge for stringed instrument}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치대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악기를 보다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 현악기는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서, 현악기의 몸체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된 줄을 튕겨 주거나 혹은 활등으로 마찰시킴으로써 그 소리를 내게 되는데 상기 전통 현악기의 몸체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가야금이나 거문고 또는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는 몸체 상면에 다수의 현에 장력을 팽팽하게 만들어 주게 하여 발생되는 진동음을 내부 공명통 상에서 방출시킴으로써 음향을 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통 현악기는 대부분이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연주하거나 또는 연주자의 무릎등에 한쪽끝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연주를 하게 되므로 장시간 연주를 해야하는 연주자나 또는 교습을 받기 위한 초보자의 경우에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의 일측 저부면에 소정높이를 갖는 목재로 된 안치대를 부착시켜 악기의 일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개량 전통 현악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치대는 단순히 악기의 일측에 부착 고정시킨것이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운반시에도 안치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바닥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악기를 놓고 연주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치대가 바닥면에 고르게 접촉되지 못하게 되므로 악기가 한쪽으로 쓰러지거나 또는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치대의 저부면에 가변적으로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높이조절 수단을 구비시켜 악기가 항상 안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가 구비된 악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내지 도 6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에서 높이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악기(가야금, 거문고, 아쟁) 2 : 악기 받침대
10 : 몸체 20 : 안치대
21 : 나사홀 30 : 높이조절 수단
31 : 스크류 32 : 연결로드
32a : 공간부 32b : 입구
33 : 지지체 34 : 스프링
h : 힌지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의 몸체 일측 저면에 결합되며 악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는 상단부가 몸체 일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거나 펴지게 구성되며, 그 저면으로는 소정깊이의 나사홀을 형성하여 높이조절을 이루는 높이조절 수단이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기 안치대의 나사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고무재로 성형되는 지지체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기 안치대의 나사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와,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으로 상단부는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는 내부 공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 연결로드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되게 구성되면서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상단부가 확장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고무재의 지지부, 상기 연결로드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가 구비된 악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통 현악기(1)는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악기(1)로서 통상 가야금이나 거문고 또는 아쟁등이 이에 속하며, 이들 악기(1)는 공통적으로 몸체(10)에 팽팽한 상태로 현(弦;줄)을 고정시키고, 이 현을 튕겨주거나 또는 활 등으로 마찰시킴으로써 공명체로 된 몸체(10)를 통해 음향을 내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통 현악기(1)는 대부분이 연주자가 책상다리를 한 뒤 용두(龍頭)를 오른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양이두(羊耳頭)는 왼쪽 무릎 약 30 ° 정도로 비스듬히 놓은 상태로 연주를 하게 되는데, 개량 전통 현악기(1)의 경우에는 용두가 위치되는 몸체(10)의 저부면에 소정높이를 갖는 안치대(2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전통 현악기의 구조와 대동 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안치대(20)를 몸체(10)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 안치대(20)의 저부면에 나사방식에 의해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높이조절 수단(30)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악기(1)의 몸체(10) 일측 저부면에 안치대(20)가 구성되는 바, 상기 안치대(20)는 상단부가 악기(1)의 몸체(10) 일면에 힌지(h)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의 힌지(h)는 안치대(20)가 일방향으로 접어지거나 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안치대(20)는 도면에서 바라보면 힌지(h)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안치대(20)가 몸체(10)의 일면에 접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안치대(20)를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의 안치대(20)는 저부면에 나사체결에 의해 높이조절을 이루는 높이조절 수단(30)을 구비하는 바, 이때의 높이조절 수단(30)은 크게 스크류(31)와 지지체(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3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외주면에 나선홈이 가공된 것으로서, 상기 안치대(20)의 저부면에 소정깊이로 형성된 나사홀(21)에 나사체결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33)는 스크류(3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통상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로 성형되며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 수단(30)은 지지체(3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키면, 이 지지체(33)와 일체로 스크류(31)가 회동되므로 결과적으로 높이조절 수단(30)이 나사홀(21)로 삽입되어지거나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33)를 회전시키는 간소한 조작력만으로도 악기를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나사체결에 의해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안치대(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일예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단순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악기의 몸체 일면에 결합되는 형태의 안치대(20)에도 상기 높이조절 수단(30)이 적용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기둥형상을 갖는 각 안치대(20)의 저면에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에 상기 높이조절 수단(30)의 스크류(미도시)가 나사체결로 결합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한쌍의 부재를 서로 교차되게 하면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구조를 갖는 안치대에도 본 고안의 높이조절 수단(30)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안치대(2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저면측에 복수개의 높이조절 수단(30)을 나사체결로 구비시키게 되며,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한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주자가 각 높이조절 수단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연주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연주를 가능하게 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악기를 위치시키는 안치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안치대(20)는 악기를 직접적으로 받치는 받침판(미부호)과, 이 받침판의 저면 양측 끝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미부호)로 구성된다. 이때에도 상기 각 다리의 저면측에는 나사체결에 의해 높이조절 수단(30)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안치대(20)는 높이조절 수단(30)에 의해 바닥면의 평평한 정도에 따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높이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수단(30)은 크게 스크류(31)와 연결로드(32)와 지지체(33) 그리고 코일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31)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구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치대(20)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홀(21)에 나사체결 된다.
상기 연결로드(3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부가 스크류(3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진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32)는 내부의 공간부에 비하여 하단에 구비되는 입구가 좁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지지체(3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33)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연결로드(32)의 입구를 통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그상단부가 입구의 지름에 비하여 넓은 지름을 갖도록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 스프링(34)은 연결로드(32)의 내부 공간부상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33)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34)은 연결로드(32)와 지지체(33)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이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지지체(33)는 지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 수단(30)은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지지체(33)가 탄력적으로 변위되므로 악기(1)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악기(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 수단(30)은 연결로드(3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 연결로드(32)와 일체로 스크류(31)가 회동되어져 결과적으로 높이조절 수단(30)이 안치대(20)의 나사홀(21)로 삽입되어지거나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진다.
따라서,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한 곳에 악기(1)를 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안치대(20)를 일방향 회동시켜 수직하게 세운 뒤, 이어서 연결로드(32)를 일방향 회전시켜 미세하게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악기(1)를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 수단(30)은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 뿐만 아니라 이들 전통 현악기를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받쳐주는 악기 받침대(2)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개량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그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가야금이나 거문고 또는 아쟁과 같은 악기를 바닥면의 평평한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안정된 자세로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악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치대를 일측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져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의 몸체 일측 저면에 결합되며 악기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는 상단부가 몸체 일면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거나 펴지게 구성되며, 그 저면으로는 소정깊이의 나사홀을 형성하여 높이조절을 이루는 높이조절 수단이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수단는,
    상기 안치대의 나사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고무재로 성형되는 지지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수단는,
    상기 안치대의 나사홀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와;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으로 상단부는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는 내부 공간부에 비하여 좁게 형성된 연결로드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되게 구성되면서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상단부가 확장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고무재의 지지체;
    상기 연결로드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KR2020010035598U 2001-11-20 2001-11-20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KR200267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98U KR200267781Y1 (ko) 2001-11-20 2001-11-20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98U KR200267781Y1 (ko) 2001-11-20 2001-11-20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81Y1 true KR200267781Y1 (ko) 2002-03-13

Family

ID=7311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98U KR200267781Y1 (ko) 2001-11-20 2001-11-20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038A (ko) 2021-12-20 2023-06-27 송도현 악기 거치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038A (ko) 2021-12-20 2023-06-27 송도현 악기 거치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2689B1 (en) Foldable and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 used in seated position
US5315910A (en) Detachable retrofit for a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KR101369218B1 (ko) 어뎁터
US7531727B2 (en) Chin rest for musical instrument
JP3580221B2 (ja) 電気弦楽器
US9514721B1 (en) Ergonomic guitar support for acoustic guitar
JP2011514554A (ja) 弦楽器用肩当て
US5883315A (en) Stringed instrument shoulder rest
US20040051021A1 (en) Adjustable drum stand
CA2206512C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WO2002005259A1 (en) Stabilizing device for small brass musical instruments
KR200267781Y1 (ko)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KR20100134327A (ko) 색소폰용 스탠드
US11257469B2 (en) Endpin block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JP4809221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弦楽器および人間工学に基づくラウンドバック・ギター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101418341B1 (ko)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US5739449A (en) Collapsible drum stand
US20020100357A1 (en) Asymmetrical dual plane guitar body for solid body guitars, an invention that enables the musician to enjoy the advantages of playing in a sitting position while standing
KR101305420B1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102306367B1 (ko) 색소폰용 스탠드
CN113160778A (zh) 一种大抱号的两用支撑架及其支撑方法
US20220122568A1 (en) Endpin Block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JP3241676U (ja) アルパ用楽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