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27A - 색소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색소폰용 스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4327A KR20100134327A KR1020090052895A KR20090052895A KR20100134327A KR 20100134327 A KR20100134327 A KR 20100134327A KR 1020090052895 A KR1020090052895 A KR 1020090052895A KR 20090052895 A KR20090052895 A KR 20090052895A KR 20100134327 A KR20100134327 A KR 201001343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xophone
- main body
- fixed
- bracket
- st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론 연주자가 휴식을 취할때도 사용 가능하나 주로 색소폰 연주시 연주자가 색소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연주 가능하도록 한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스탠드를 대략 수평면 상에 세워 놓기 위한 받침부(1)와, 신장되게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정향되는 본체(200)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2)과, 상기 본체(200)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회동수단(3)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의 전방에는 안치대의 회동을 위한 안치대 회동수단(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받침부(1)는 상기 본체(200)에 다리(10) 3개가 결합브라켓(11)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결합브라켓(11)에 형성된 조절레버(110)에 의해 고정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10)중 어느 하나의 타측은 바퀴(100)가 다른 나머지 다리(10)는 고정구(1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200)의 하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이 구비되어 바퀴(100)가 구비된 다리(10)의 중간부위와 탄성 스프링(102)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이고 나머지 다리(10)의 중간부위에는 힌지(103)와 연결바(104)로 상기 고정 브라켓(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2)은 지상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과,
상기 본체회동수단(2)은, 상기 본체(200)는 외통체(20), 중간체(21), 내통 체(22)인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통체(20) 하끝단에 고정 브라켓(12)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결합브라켓(11)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상기 외통체(20)의 내측으로 상하 슬라이딩되는 중간체(21)의 인입출을 조정하는 중간체 조정레버(2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걸림링(211)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내통체(22)와 일체로 회동링(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링(220) 외주 일측에는 내통체(22)의 상하 슬라이딩을 조정하는 내통체 조정레버(221)가 구비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이 구비된 것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은, 상기 본체(200) 최상단에 구비된 것으로서 "U" 형상으로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공(3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에는 고정바(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301)를 착탈 가능하도록 조정레버(302)가 외측 중앙 체결되며 그 하단에는 회동핀(303)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재(30)와, 상기 고정바(301)의 타측에는 스프링(31)의 일측이 스프링(31)의 타측은 내통체 조정레버(221)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안치대 회동수단(4)은 거치대 회동수단(3)의 고정바(301) 일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봉(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400)을 중심으로 "ㄷ"자 형상으로 양측이 관통된 결합편(401)으로 이루어진 브라켓(40)과, 상기 결합편(401)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41)과, 상기 결합편(401) 내측중 상기 스프링(41)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색소폰의 벨 외주면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주 안치대(420)가 일측에, 색소폰의 몸체를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안치대(421)가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안치대(421) 가까이에 보조밴드(4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안치대(421)의 반대방향에 중앙에 나사공(423)이 천공된 연장편(424)이 일체로 구비된 안치부재(42)가 결합된 것과,
상기 주 안치대(420)에 별도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외주부에는 띠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는 천공된 상태로서 띠형상의 외주부 일측 전방에는 기타 관악기의 몸체를 안치토록 한 반원상의 파지부(430)가 구비된 피리형 색소폰안치대(43)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주자가 휴식을 취할때는 물론이고 연주중에도 자신의 체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연주시 연주자의 행동 및 자세를 자유자재로 변화토록 할 수 있어 연주의 질 및 청중들의 흥을 돋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이 가능함으로서 보관이나 운반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받침부, 본체부, 본체회동수단, 거치대회동수단, 안치대 회동수단.
Description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론 연주자가 휴식을 취할때도 사용 가능하나 주로 색소폰 연주시 연주자가 색소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연주 가능하도록 한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Saxophone, Sax)은 클라리넷과 같이 하나의 리드가 들어있는 취구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이다. 몸통은 대개 황동으로 되어있다. 1840년대 초에 아돌프 삭스가 발명하였으며, 1846년 음역에 따라 나눈 일곱 종류의 색소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특허 등록하였다. 음역에 따라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이 있다. 이 가운데 기본음의 높이가 B♭인 소프라노 색소폰과 E♭인 소프라니노 색소폰은 군악대를 위해 고안된 것이다.
색소폰은 군악대의 연주뿐 아니라 대중 음악이나 재즈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간혹 오케스트라에서도 사용된다. 알토 색소폰과 테너 색소폰은 운지법이 같으며, 관의 크기가 알토보다 굵고 긴 테너가 연주할 때 더 많은 숨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색소폰은 외부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영향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서, 음악을 연주하지 않을 때 색소폰을 거치(据置)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없어 색소폰을 자기 의자에 기대어 두거나 손에 들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며, 의자에 기대거나 올려 두는 경우에는 색소폰이 넘어지거나 떨어지기 쉬워서 색소폰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악기의 거치상태가 단정하지 못하며, 색소폰을 들고 휴식하는 경우에는 안락성이 부족하여 피곤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색소폰을 연주하지 아니할 경우에도 문제지만 더욱 큰 문제는 색소폰의 연주시에 발생되는 것이다.
즉, 색소폰의 무게가 기타 다른 악기에 비해 무게감이 있는 악기로서 예를들면 가장 대중적인 색소폰인 알토 2.8kg, 테너 3.8kg를 물론 줄을 목에 걸고 연주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색소폰을 장시간 들고 연주를 할 경우 목에 부담감이 있어 결국은 목 디스크 등등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고 특히 연주자는 연주의 흥을 돋구기 위해 자세의 변화라는지 기타 액션을 취하면서 연주를 하는것이 보통이나 이럴 경우 연주자의 에너지 소모가 많아 결국 흥겨운 연주를 발휘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청중들에게 어필치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주자가 휴식을 취할때는 물론이고, 연주시 연주자의 목에 줄등을 걸지 아니하고 색소폰을 거치 또는 안치한 상태에서 연주자가 자유롭게 동작 및 제스추어를 하면서 연주의 흥을 돋구고 청중들에게 어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결국 연주의 질을 높이고 연주자의 체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기존에 목에 걸어서 연주함에 따른 목의 부담을 본 발명은 목에 줄 등을 걸지 않도록 함으로서 목의 부담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하는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스탠드를 대략 수평면 상에 세워 놓기 위한 받침부와, 신장되게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정향되는 본체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과, 상기 본체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회동수단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의 전방에는 안치대의 회동을 위한 안치대 회동수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받침부는 상기 본체에 다리 3개가 결합브라켓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결합브라켓에 형성된 조절레버에 의해 고정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중 어느 하나의 타측은 바퀴가 다른 나머지 다리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하끝단에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바퀴가 구비된 다리의 중간부위와 탄성 스프링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이고 나머지 다리의 중간부위에는 힌지와 연결바로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지상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과,
상기 본체회동수단은, 상기 본체는 외통체, 중간체, 내통체인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통체 하끝단에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결합브라켓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상기 외통체의 내측으로 상하 슬라이딩되는 중간체의 인입출을 조정하는 중간체 조정레버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걸림링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내통체와 일체로 회동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링 외주 일측에는 내통체의 상하 슬라이딩을 조정하는 내통체 조정레버가 구비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이 구비된 것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은, 상기 본체 최상단에 구비된 것으로서 "U" 형상으로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고정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를 착탈 가능하도록 조정레버가 외측 중앙 체결되며 그 하단에는 회동핀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바의 타측에는 스프링의 일측이 스프링의 타측은 내통체 조정레버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안치대 회동수단은 거치대 회동수단의 고정바 일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을 중심으로 "ㄷ"자 형상으로 양측이 관통된 결합편으로 이루어진 브라켓과, 상기 결합편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과, 상기 결합편 내측중 상기 스프링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색소폰의 벨 외주면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주 안치대가 일측에, 색소폰의 몸체를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안치대가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안치대 가까이에 보조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안치대의 반대방향에 중앙에 나사공이 천공된 연장편이 일체로 구비된 안 치부재가 결합된 것과,
상기 주 안치대에 별도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외주부에는 띠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는 천공된 상태로서 띠형상의 외주부 일측 전방에는 기타 관악기의 몸체를 안치토록 한 반원상의 파지부가 구비된 피리형 색소폰안치대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룸으로서 연주자가 휴식을 취할때는 물론이고 연주중에도 자신의 체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목에 줄을 걸어서 연주치 아니하므로 목이 자유롭게 됨으로서 목의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고 아울러 연주시 연주자의 행동 및 자세를 자유자재로 변화토록 할 수 있어 연주의 질 및 청중들의 흥을 돋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이 가능함으로서 보관이나 운반시 매우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본체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도 4의 본체의 구조에 있어 "A"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거치대 회동수단의 상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거치대 회동수단의 좌우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부의 절첩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이 좌우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부의 다리에 있어 바퀴가 스프링에 의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거치대 회동수단의 고정바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은 크게 받침부(1), 본체 회동수단(2), 거치대 회동수단(3), 안치대 회동수단(4)로 나누어지며,
이에 대한 구성적 요소는 스탠드를 대략 수평면 상에 세워 놓기 위한 받침부(1)와, 신장되게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정향되는 본체(200)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2)과, 상기 본체(200)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회동수단(3)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의 전방에는 안치대의 회동을 위한 안치대 회동수단(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받침부(1)는 상기 본체(200)에 다리(10) 3개가 결합브라켓(11)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결합브라켓(11)에 형성된 조절레버(110)에 의해 고정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10)중 어느 하나의 타측은 바퀴(100)가 다른 나머지 다리(10)는 고정구(1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200)의 하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이 구비되어 바퀴(100)가 구비된 다리(10)의 중간부위와 탄성 스프링(102)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이고 나머지 다리(10)의 중간부위에는 힌지(103)와 연결바(104)로 상기 고정 브라켓(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2)은 지상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본체회동수단(2)은, 상기 본체(200)는 외통체(20), 중간체(21), 내통체(22)인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통체(20) 하끝단에 고정 브라켓(12)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결합브라켓(11)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상기 외통체(20)의 내측으로 상하 슬라이딩되는 중간체(21)의 인입출을 조정하 는 중간체 조정레버(2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걸림링(211)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내통체(22)와 일체로 회동링(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링(220) 외주 일측에는 내통체(22)의 상하 슬라이딩을 조정하는 내통체 조정레버(221)가 구비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이 구비된 것이다.
다음,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은, 상기 본체(200) 최상단에 구비된 것으로서 "U" 형상으로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공(3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에는 고정바(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301)를 착탈 가능하도록 조정레버(302)가 외측 중앙 체결되며 그 하단에는 회동핀(303)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재(30)와, 상기 고정바(301)의 타측에는 스프링(31)의 일측이 스프링(31)의 타측은 내통체 조정레버(221)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안치대 회동수단(4)은 거치대 회동수단(3)의 고정바(301) 일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봉(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400)을 중심으로 "ㄷ"자 형상으로 양측이 관통된 결합편(401)으로 이루어진 브라켓(40)과, 상기 결합편(401)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41)과, 상기 결합편(401) 내측중 상기 스프링(41)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색소폰의 벨 외주면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주 안치대(420)가 일측에, 색소폰의 몸체를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안치대(421)가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안치대(421) 가까이에 보조밴드(4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안치대(421)의 반대방향에 중앙에 나사공(423)이 천공된 연장편(424)이 일체로 구비된 안치부재(42)가 결합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안치대(420)에 별도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외주부에는 띠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는 천공된 상태로서 띠형상의 외주부 일측 전방에는 기타 관악기의 몸체를 안치토록 한 반원상의 파지부(430)가 구비된 피리형 색소폰안치대(43)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리형 소프라노 색소폰의 경우 기존에는 목에 걸고 사용할 수 없어 온전히 손의 힘으로 즉 손에 들고 연주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피리형 소프라노 색소폰의 경우 무게가 약 1.5kg으로서 이와 같은 무게의 색소폰을 팔의 힘으로만 들고 연주하는 것 자체가 팔에 무리를 주고 이로 인하여 연주자가 연주에 몰두치 못함으로서 결국 질좋은 연주가 불가능함에 착안하여 별도의 파지부(430)가 구비된 피리형 색소폰안치대(43)를 주 안치대(42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탠드를 대략 수평면 상에 세워 놓기 위한 받침부(1)와, 신장되게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정향되는 본체(200)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2)과, 상기 본체(200)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회동수단(3)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의 전방에는 안치대의 회동을 위한 안치대 회동수단(4)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은 외통체(20), 중간체(21), 내통체(22)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연주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상기 본체(200)를 인입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적정선으로 인입출되면 상기 중간체 조정레버(210) 및 내통체 조정레버(221)를 조정하여 본체(2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정한 연후에, 상기 주 안치대(420)와 보조 안치대(421)에 색소폰을 안치시키고 보조밴드(422)로 색소폰 몸체를 고정시킨 후 연주함에 있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가 회동하거나 거치대가 회동토록 하여 연주자가 연주시 자유롭게 자신의 동작을 연출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우선, 거치대 회동수단(3)에 대하여 설명하면,
고정바(301)의 수평유지는 스프링(31)의 탄성력으로 유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가 연주시 색소폰을 잡고 연주시 동작을 취할때 즉, 예를들어 앞으로 전진하면 회동부재(30)가 회동핀(303)의 회동으로 인하여 본체(200)인 내통체(22)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고정바(301)의 주 안치대(42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도 물론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 회동수단(4)의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01)의 일측에 브라켓(40)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브라켓(40)의 구성요소중 결합편(401)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41) 중앙과 상기 연장편(424)의 나사공(423)을 관통 고정구로 고정한 상태로서 상기 연장편(424)은 상기 결합편(401)의 내측중 상기 스프링(41)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치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본체 회동수단(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본체(200)는 외통체(20), 중간체(21), 내통체(22)인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통체(20) 하끝단에 고정 브라켓(12)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결합브라켓(11)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상기 외통체(20)의 내측으로 상하 슬라이딩되는 중간체(21)의 인입출을 조정하는 중간체 조정레버(2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걸림링(211)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체 조정레버(221)를 조정하여 내통체(22)와 회동링(220)를 고정 결합하면 상기 내통체(22)가 중간체(21) 내측으로 삽입되지 아니하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내통체(22)는 상기 걸림링(211)의 상면에서 회동링(220)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어 연주자가 도 5에 같이 본체(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받침부(1)의 다리(10) 절첩에 관하여는 일단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이 스탠드한 상태에서 연주자가 연주시 상하로 텐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이 스프링(102)인 것이다.
즉, 연주시 연주자가 색소폰을 압압할 경우도 있고 이런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02)이 벌어지고 이와 같이 벌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리(10)의 일측에 바퀴(100)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물론, 본체(200)의 상하 텐션의 범위는 큰 폭은 아니지만 어느정도의 탄성력 은 존재하고 이를 담당하는 기능이 상기 바퀴(100)와 스프링(102)인 것이며,
절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11)의 조절레버(110)를 해지하면 상기 다리(10)가 본체(20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럴경우 본 발명의 부피가 줄어들어 당연히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9이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안치대(420)와 보조 안치대(421)가 구비된 안치대 회동수단(4)이 연주자의 행동에 따라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하 회동은 물론이고 좌우회동이 가능함으로서 연주자가 연주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소폰을 안치대에 올려놓고 연주시 연주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프링(102)의 탄성력과 이와 같은 탄성력이 바퀴(100)에 전달되어 바퀴(100)가 내외측으로 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와 연결된 고정바(301) 및 본체(200)가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며 이는 자연스럽게 연주자가 연주시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본체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도 4의 본체의 구조에 있어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거치대 회동수단의 상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거치대 회동수단의 좌우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부의 절첩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안치대 회동수단이 좌우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인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부의 다리에 있어 바퀴가 스프링에 의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거치대 회동수단의 고정바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받침부 2 : 본체 회동수단
3 : 거치대 회동수단 4 : 안치대 회동수단
10 : 다리 11 : 결합브라켓
12 : 고정 브라켓 20 : 외통체
21 : 중간체 22 : 내통체
30 : 회동부재 31 : 스프링
40 : 브라켓 41 : 스프링
42 : 안치부재 43 : 피리형 색소폰 안치대
100 : 바퀴 101 : 고정구
102 : 스프링 103 : 힌지
104 : 연결바 200 : 본체
210 : 중간체 조정레버 211 : 걸림링
220 : 회동링 221 : 내통체 조정레버
300 : 관통공 301 : 고정바
302 : 조정레버 303 : 회동핀
400 : 결합봉 401 : 결합편
420 : 주 안치대 421 : 보조 안치대
422 : 보조밴드 423 : 나사공
424 : 연장편 430 : 파지부
Claims (6)
- 스탠드를 대략 수평면 상에 세워 놓기 위한 받침부(1)와,신장되게 형성되어 대략 수직으로 정향되는 본체(200)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2)과,상기 본체(200)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회동수단(3)과,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의 전방에는 안치대의 회동을 위한 안치대 회동수단(4)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받침부(1)는 상기 본체(200)에 다리(10) 3개가 결합브라켓(11)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결합브라켓(11)에 형성된 조절레버(110)에 의해 고정 및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10)중 어느 하나의 타측은 바퀴(100)가 다른 나머지 다리(10)는 고정구(10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200)의 하끝단에는 고정브라켓(12)이 구비되어 바퀴(100)가 구비된 다리(10)의 중간부위와 탄성 스프링(102)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이고 나머지 다리(10)의 중간부위에는 힌지(103)와 연결바(104)로 상기 고정 브라켓(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2)은 지상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회동수단(2)은,상기 본체(200)는 외통체(20), 중간체(21), 내통체(22)인 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통체(20) 하끝단에 고정 브라켓(12)이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결합브라켓(11)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는 상기 외통체(20)의 내측으로 상하 슬라이딩되는 중간체(21)의 인입출을 조정하는 중간체 조정레버(2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걸림링(211)이 구비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내통체(22)와 일체로 회동링(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링(220) 외주 일측에는 내통체(22)의 상하 슬라이딩을 조정하는 내통체 조정레버(221)가 구비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거치대 회동수단(3)은,상기 본체(200) 최상단에 구비된 것으로서 "U" 형상으로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공(3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에는 고정바(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301)를 착탈 가능하도록 조정레버(302)가 외측 중앙 체결되며 그 하단에는 회동핀(303)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재(30)와,상기 고정바(301)의 타측에는 스프링(31)의 일측이 스프링(31)의 타측은 내 통체 조정레버(221)와 사이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안치대 회동수단(4)은 거치대 회동수단(3)의 고정바(301) 일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봉(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400)을 중심으로 "ㄷ"자 형상으로 양측이 관통된 결합편(401)으로 이루어진 브라켓(40)과,상기 결합편(401)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41)과,상기 결합편(401) 내측중 상기 스프링(41)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색소폰의 벨 외주면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주 안치대(420)가 일측에, 색소폰의 몸체를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안치대(421)가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조 안치대(421) 가까이에 보조밴드(4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안치대(421)의 반대방향에 중앙에 나사공(423)이 천공된 연장편(424)이 일체로 구비된 안치부재(4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주 안치대(420)에 별도로 삽입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외주부에는 띠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는 천공된 상태로서 띠형상의 외주 부 일측 전방에는 기타 관악기의 몸체를 안치토록 한 반원상의 파지부(430)가 구비된 피리형 색소폰안치대(43)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2895A KR20100134327A (ko) | 2009-06-15 | 2009-06-15 | 색소폰용 스탠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2895A KR20100134327A (ko) | 2009-06-15 | 2009-06-15 | 색소폰용 스탠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4327A true KR20100134327A (ko) | 2010-12-23 |
Family
ID=4350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2895A KR20100134327A (ko) | 2009-06-15 | 2009-06-15 | 색소폰용 스탠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4327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474B1 (ko) * | 2014-03-12 | 2014-06-16 | 박성열 | 색소폰 지지용 홀더 |
KR20150082081A (ko) * | 2014-01-06 | 2015-07-15 | 어수지 |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
WO2017197431A1 (en) | 2016-05-20 | 2017-11-23 |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A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
KR102089346B1 (ko) | 2020-01-22 | 2020-05-15 | 최여경 |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
CN114206165A (zh) * | 2019-08-13 | 2022-03-18 | 科斯塔斯·埃弗索普洛斯 | 人体工程学萨克斯管凳椅 |
KR20240047171A (ko) | 2022-10-04 | 2024-04-12 | 조한상 | 악기 스탠드 |
-
2009
- 2009-06-15 KR KR1020090052895A patent/KR2010013432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2081A (ko) * | 2014-01-06 | 2015-07-15 | 어수지 |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
KR101407474B1 (ko) * | 2014-03-12 | 2014-06-16 | 박성열 | 색소폰 지지용 홀더 |
WO2017197431A1 (en) | 2016-05-20 | 2017-11-23 |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A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
EP3459074A4 (en) * | 2016-05-20 | 2020-01-08 |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
US10636397B2 (en) | 2016-05-20 | 2020-04-28 |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
CN114206165A (zh) * | 2019-08-13 | 2022-03-18 | 科斯塔斯·埃弗索普洛斯 | 人体工程学萨克斯管凳椅 |
KR102089346B1 (ko) | 2020-01-22 | 2020-05-15 | 최여경 |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
KR20240047171A (ko) | 2022-10-04 | 2024-04-12 | 조한상 | 악기 스탠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34327A (ko) | 색소폰용 스탠드 | |
WO2003102916A3 (en) | Musical instrument stand | |
JP2021500615A (ja) | 折り畳み式弦楽器 | |
WO2015104864A1 (ja) | 木管楽器用サポートシステム | |
US8940987B2 (en) | Harmonica support with magnetic cradle | |
JP2008139766A (ja) | ハンドレスト固定具 | |
KR101214895B1 (ko) |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 |
KR101414385B1 (ko) |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 |
US6220459B1 (en) | Saxophone stand | |
CA2415663A1 (en) | Stabilizing device for small brass musical instruments | |
CN213070598U (zh) | 一种多功能可调节管乐演奏支架 | |
US6972360B1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
US7655853B1 (en) | Weight-relieving device for a woodwind instrument | |
KR101514978B1 (ko) | 보면대 | |
US20130276617A1 (en) | Reversed Cajon Paddle | |
CN208173035U (zh) | 一种便携式小提琴教学训练投影仪 | |
US7732688B2 (en) | Portable instrument stand | |
US5553529A (en) | Thumbrest ring adapter for musical instrument | |
US5528971A (en) | Musical instrument having a stabilization apparatus | |
ES2210118T3 (es) | Perfeccionamientos en los isntrumentos de viento. | |
US20140305278A1 (en) | Tailpiece of a musical instrument | |
US5050827A (en) | Floor support for clarinet, soprano saxophone, oboe and English horn | |
CN209202623U (zh) | 一种便于多角度展示的小提琴展示装置 | |
US20080202313A1 (en) | Chain link strap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associated method | |
KR102306367B1 (ko) | 색소폰용 스탠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