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78B1 - 보면대 - Google Patents

보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78B1
KR101514978B1 KR1020140178980A KR20140178980A KR101514978B1 KR 101514978 B1 KR101514978 B1 KR 101514978B1 KR 1020140178980 A KR1020140178980 A KR 1020140178980A KR 20140178980 A KR20140178980 A KR 20140178980A KR 101514978 B1 KR101514978 B1 KR 10151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usic
hinge
musicia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기
Original Assignee
조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기 filed Critical 조용기
Priority to KR102014017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을 연주할 때 악보를 펼쳐서 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면대는, 복수의 지지다리; 상기 지지다리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연결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 상기 악보받침판의 양측에 각각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판은, 상기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악보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지지부; 상기 후면 지지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지지다리의 후방에 현악기를 받쳐 지지하기 위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악기받침대;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악보를 한눈에 펼쳐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악보가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연주자의 시야확보에 도움을 주어 연주에 집중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보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로 밟아서 악보를 넘기는 방식의 종래 보면대와 비교할 때, 연주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 있으면서 악보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악상을 전체적인 맥락 내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종래의 보면대를 2개 나란히 배치하는 것과 비교할 때, 보면대의 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악보가 연주자의 시선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면대 {Music stand}
본 발명은 음악을 연주할 때 악보를 펼쳐서 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면대는 연주자가 연주할 악보를 올려놓고 보기 위한 것으로 악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편리함과 이동의 간편함 등이 요구되는 기구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다양한 구조와 방식의 보면대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면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삼발이 형태의 지지다리(100)와, 상기 지지다리(10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200)와, 상기 지주(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악보받침판은 악보가 용이하게 펼쳐 놓이도록 판체형으로 형성되고, 지주의 상단과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한 각도조절수단으로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절첩 가능한 악보받침판의 후방에 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지주의 상단부가 힌지축으로 축 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면대는 악기를 이용하여 곡을 연주할 때 연주하고자 하는 곡이 기록된 여러 장의 악보를 보면서 악기를 다루게 되는 바, 연주를 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악보를 볼 수 있도록 보면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방 쪽 시선 높이에 악보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면대는 악보받침판(300)에 펼쳐놓을 수 있는 악보 장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악보의 장수가 많은 경우에는 하나의 보면대에 수용하지 못하여 여러 대의 보면대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여러 대의 보면대 사용에 따른 구매비용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휴대하고 다니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보면대를 펼쳐서 사용할 경우 악보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연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0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악보받침판의 양측에 보조받침판을 힌지로 연결하여 각각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악보를 펼쳐놓고 볼 수 있고, 보조받침판의 악보 거치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확보에 도움을 주는 한편, 사용 후에는 보조받침판을 다시 접을 수 있는 보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다리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타 등의 현악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사용 후에는 지지다리 내부로 접어 넣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받침프레임을 구비한 보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는, 복수의 지지다리; 상기 지지다리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연결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 상기 악보받침판의 양측에 각각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판은, 상기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악보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지지부; 상기 후면 지지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 지지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판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악보를 지지하는 고정봉;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봉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더;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봉은 봉 형상의 제1 봉체 및 제2 봉체; 상기 제1 봉체를 상기 하부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제1 봉체 및 상기 제2 봉체 사이에서 상기 제1 봉체 및 제2 봉체를 굴곡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연결하는 주름관; 을 포함한다.
또한, 둘 이상의 상기 지지다리의 후방에 현악기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악기받침대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악기받침대는, 상기 지지다리에 형성되는 수용홈 내에 설치된 제1 힌지축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프레임; 상기 제1 받침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제2 힌지축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는, 다수의 악보를 한눈에 펼쳐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악보가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확보에 도움을 주어 연주에 집중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타 등의 현악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접어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면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받침판의 수납을 위한 고정봉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에서 악기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악기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6의 악기받침대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악기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받침판의 수납을 위한 고정봉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에서 악기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a는 도 6의 악기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6의 악기받침대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악기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복수의 지지다리(1)와, 상기 지지다리(1)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2)와, 상기 지주(2)의 상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악보를 받쳐주는 악보받침판(3)으로 구성되며, 상기 악보받침판(3)의 양측에 각각 힌지(4)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보조받침판(5)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구성요소인 지지다리(1), 지주(2), 악보받침판(3) 및 보조받침판(5)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는 지주(2), 악보받침판(3) 및 보조받침판(5)을 바닥면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 3개의 다리로 연결 구성되고, 지주(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봉 형태의 파이프를 복수개 이용하여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2)의 상단에 설치되는 악보받침판(3)은 그 상부에 악보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며 연주자의 임의대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다리(1), 지주(2) 및 악보받침판(3)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요소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힌지(4)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 기능은 물론, 회전된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기능을 갖는 회전각도 제한용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받침판(5)은 악보받침판(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힌지(4)로 연결하여 각각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악보를 펼쳐놓고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조받침판(5)은 힌지(4)에 의해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받침판(5)의 각도를 연주자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악보가 연주자의 시선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여 연주자가 용이하게 악보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악보의 숫자가 많지 않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받침판(5)이 힌지(4)를 중심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보면대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받침판(5)은 예를 들어, 상기 악보받침판(3)의 절반 크기로 형성되어 악보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지지부(51)와, 상기 후면 지지부(51)의 하단에 힌지(521)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 지지부(52)와, 상기 하부 지지부(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악보를 고정시키는 고정봉(53)과, 상기 하부 지지부(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봉(53)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더(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받침판(5)의 힌지(521)도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52)는 힌지(52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연주시에는 펼쳐서 악보를 지지하고, 악보 보관 및 이동 시에는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봉(53)은 봉 형상의 제1 봉체(533) 및 제2 봉체(535)와, 상기 제1 봉체(533)를 하부 지지부(5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31)와, 상기 제1 봉체(533) 및 제2 봉체(535) 사이에서 상기 제1 봉체(533) 및 제2 봉체(535)를 굴곡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연결하는 주름관(534)과, 상기 제1 봉체(533)를 고정부(531)에 굴곡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연결하는 주름관(532)을 포함한다. 제1 봉체(533) 및 제2 봉체(535)는 가요성(flexible)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53)은 연주 시에는 악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악보 보관 및 이동 시에는 이를 접어서 보관하기 위해 고정홀더(54) 내에 고정봉(53)의 단부, 즉 제2 봉체(534)의 단부를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홀더(54)는 상기 고정부(53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되며, 상부가 폐쇄된 가늘고 긴 통로를 가지며, 상기 고정봉(5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봉(53)의 단부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531), 주름관(532), 주름관(534), 고정홀더(54)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받침판(5)을 절첩할 때는 먼저, 고정봉(53)을 고정홀더(54)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힌지(521)에 대해 하부 지지부(52)를 절첩한 후, 힌지(4)에 대해 후면 지지부(51)를 절첩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조받침판(5)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4와 같이 일반적인 보면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고, 보조받침판(5)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 지지부(52)와 후면 지지부(5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발로 밟아서 악보를 넘기는 방식의 종래 보면대와 비교할 때, 연주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줄일 수 있어 연주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하나의 보면대에 전체 악보를 순서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가 악보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악상을 전체적인 맥락 내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종래의 보면대를 2개 나란히 배치하는 것과 비교할 때, 보면대의 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 악보가 연주자의 시선에 가깝게 위치되어 연주자가 용이하게 악보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6,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1)의 후방에는 현악기를 받쳐놓을 수 있도록 악기받침대(6)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악기받침대(6)는 상기 지지다리(1)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지지다리(1)에 형성된다.
상기 악기받침대(6)는 지지다리(1)의 수용홈(11) 내에 설치되는 제1 힌지축(611)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받침프레임(61)과, 상기 제1 받침프레임(61)의 단부에 설치된 제2 힌지축(612)에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받침프레임(62)과, 상기 제1 받침프레임(61)의 외측에 부착되어 제1 받침프레임(61)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부(6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힌지축(611, 612)은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가 악기받침대(6)의 파지부(63)를 잡고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제1 힌지축(611)을 중심으로 제1 받침프레임(61)을 외부로 펼쳐지게 한다. 다음에, 제2 힌지축(612)을 중심으로 제2 받침프레임(61)을 펼쳐지게 함으로써 악기받침대(6) 위에 현악기를 안정적으로 받쳐놓을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받침대(6)를 수용홈(11) 내로 접게 되면, 외부 인출 때와는 반대로 제2 받침프레임(62)을 제2 힌지축(612)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고, 제1 받침프레임(61)을 제1 힌지축(611)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어 서로 중첩되면서 접히게 한다. 악기받침대(6)를 수용홈(11) 내로 접은 상태에서 파지부(63)는 수용홈(11)의 외부로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악기받침대(6)를 수용홈(11) 내로 접은 상태에서 사용하고, 현악기를 받쳐놓을 필요가 있을 때만 악기받침대(6)를 밖으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기타 등의 현악기를 악기받침대(6)에 받쳐놓을 경우,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악기와 접하는 제1 받침프레임(61)과 제2 받침프레임(62)의 표면에 탄성의 갖는 섬유재질의 지지밴드(613)가 부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지밴드(613)의 일단부는 제1 받침프레임(61)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정되고, 지지밴드(613)의 타단부는 제2 받침프레임(62)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지지밴드(613)의 길이는 제1 받침프레임(61)과 제2 받침프레임(62)의 길이의 합보다 짧다. 지지밴드(613) 위에 현악기가 받쳐질 경우 탄성에 의해 지지밴드(613)가 약간 늘어난 상태로 변형되면서 현악기가 제1 받침프레임(61)과 제2 받침프레임(62) 위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지지다리
11 : 수용홈
2 : 지주
3 : 악보받침판
4 : 힌지
5 : 보조받침판
51 : 지지부
52 : 걸림부
521 : 힌지
53 : 고정봉
531 : 봉체, 532 : 주름관
54 : 고정홀더
6 : 악기받침대
61 : 제1 받침프레임
611 : 제1 힌지축, 612 : 제2 힌지축
62 : 제2 받침프레임

Claims (4)

  1. 복수의 지지다리(1);
    상기 지지다리(1)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2);
    상기 지주(2)의 상단에 연결되어 악보를 받쳐서 지지하는 악보받침판(3);
    상기 악보받침판(3)의 양측에 각각 힌지(4)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4)에 의해 절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받침판(5);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판(5)은, 상기 힌지(4)에 의해 결합되어 악보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지지부(51); 상기 후면 지지부(51)의 하단에 힌지(521)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 지지부(52);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판(5)은 악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악보받침판(3)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판(5)은,
    상기 하부 지지부(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악보를 지지하는 고정봉(53);
    상기 하부 지지부(52)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폐쇄된 가늘고 긴 형상의 통로를 가져서 상기 고정봉(53)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고정홀더(54);
    를 더 포함하는 보면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53)은 봉 형상의 제1 봉체(533) 및 제2 봉체(535); 상기 제1 봉체(533)를 상기 하부 지지부(52)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531); 상기 제1 봉체(533) 및 상기 제2 봉체(535) 사이에서 상기 제1 봉체(533) 및 상기 제2 봉체(535)를 굴곡이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연결하는 주름관(534); 을 포함하는 보면대.
  4. 제3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기 지지다리(1)의 후방에 현악기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악기받침대(6)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악기받침대(6)는, 상기 지지다리(1)에 형성되는 수용홈(11) 내에 설치된 제1 힌지축(611)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프레임(61); 상기 제1 받침프레임(61)의 단부에 설치된 제2 힌지축(612)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프레임(62);을 포함하는 보면대.
KR1020140178980A 2014-12-12 2014-12-12 보면대 KR10151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80A KR101514978B1 (ko) 2014-12-12 2014-12-12 보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80A KR101514978B1 (ko) 2014-12-12 2014-12-12 보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78B1 true KR101514978B1 (ko) 2015-04-24

Family

ID=5305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80A KR101514978B1 (ko) 2014-12-12 2014-12-12 보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9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0Y1 (ko) 2016-03-03 2016-10-27 김경택 기타 스탠드 및 보면대
CN108323932A (zh) * 2018-03-08 2018-07-27 文树沼 折叠式乐谱架
KR20190018382A (ko) 2017-08-14 2019-02-22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CN115910008A (zh) * 2022-10-21 2023-04-04 盐城师范学院 一种具有带排线复位机构的可折叠电子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83Y1 (ko) * 1989-12-19 1992-05-25 이길수 기타 재치대겸 악보대
KR20100009723U (ko) * 2009-03-25 2010-10-05 (주)뉴디아인덱스 절첩식 독서지지대
KR20120094245A (ko) * 2011-02-16 2012-08-24 (주)뉴디아인덱스 접철식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83Y1 (ko) * 1989-12-19 1992-05-25 이길수 기타 재치대겸 악보대
KR20100009723U (ko) * 2009-03-25 2010-10-05 (주)뉴디아인덱스 절첩식 독서지지대
KR20120094245A (ko) * 2011-02-16 2012-08-24 (주)뉴디아인덱스 접철식 독서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0Y1 (ko) 2016-03-03 2016-10-27 김경택 기타 스탠드 및 보면대
KR20190018382A (ko) 2017-08-14 2019-02-22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KR20190139823A (ko) 2017-08-14 2019-12-18 전영찬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CN108323932A (zh) * 2018-03-08 2018-07-27 文树沼 折叠式乐谱架
CN115910008A (zh) * 2022-10-21 2023-04-04 盐城师范学院 一种具有带排线复位机构的可折叠电子琴
CN115910008B (zh) * 2022-10-21 2023-09-22 盐城师范学院 一种具有带排线复位机构的可折叠电子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978B1 (ko) 보면대
US9230524B2 (en) Secure guitar stands and racks therefor
TW298644B (ko)
US6685145B2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ing stand
US2153821A (en) Folding stand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20124711A1 (en) Stand
US100377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KR101676922B1 (ko)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KR20100134327A (ko) 색소폰용 스탠드
US5152491A (en) Reading material support
US10418007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20140007208A (ko)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GB2485170A (en) Collapsible guitar having movable headstock portion to maintain tuning
US20200234681A1 (en) Case music instrument stand
US1890729A (en) Foldable stand for musical instruments
US10665212B2 (en) String bow practicing aid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US4187947A (en) Combination musical instrument stand
US5165631A (en) Music stand
KR102089346B1 (ko)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JP2006030231A (ja) 張弦補助装置
KR101418341B1 (ko)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KR100903557B1 (ko) 접이식 물품 경사 거치대
KR101418336B1 (ko) 현악기 거치장치
US7521617B1 (en) Guitar display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