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41B1 -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41B1
KR101418341B1 KR1020130026122A KR20130026122A KR101418341B1 KR 101418341 B1 KR101418341 B1 KR 101418341B1 KR 1020130026122 A KR1020130026122 A KR 1020130026122A KR 20130026122 A KR20130026122 A KR 20130026122A KR 101418341 B1 KR101418341 B1 KR 10141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fixing
ho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filed Critical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Priority to KR102013002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 등과 같은 현악기를 연주시, 기타의 위치를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벅지와 기타와의 사이에서 전, 후, 좌, 우 위치조절, 회전과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키, 연주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누구에게나 가장 편안한 악기배치를 가능토록 하여, 악기와의 일체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훌륭한 연주를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MULTI-FUNCTION SUPPORT APPARATU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기타 등의 현악기를 연주시, 현악기의 위치를 연주자에 맞게 편안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연주자의 허벅지와 현악기 사이에서 다양한 높이 조절 및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한 종류로서, 현악기의 몸체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된 줄을 튕겨주거나 혹은 활 등으로 마찰시킴으로써 그 소리를 내게 되는데, 상기 현악기의 몸체는 공명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현악기 중 하나인 기타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기타는 속이 빈 바디(body)와,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네크(neck)와, 상기 네크의 일단에 연결되고, 줄감개가 마련된 헤드(head) 부분 및 줄감개에 의해 팽팽해진 상태로 바디의 앞판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기타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는 앞판과 옆판 및 뒷판으로 구성된 하나의 공명통으로서 앞판에는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사운드 홀은 기타줄을 튕김에 따라 기타줄에서 발생한 음파가 바디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 통로이다.
특히, 이러한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왼손으로 코드를 잡아야 하고, 오른손으로는 기타줄을 튕겨야 하는데, 원활한 연주를 위해서는 코드를 잡는 왼손측의 기타 헤드부분이 바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대게의 연주자들은 왼쪽 발을 일정높이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을 왼쪽 발 하단에 받쳐 사용하게 되고, 이로써, 기타의 헤드부분이 소리통인 바디부분보다 높은 위치가 되어 곡의 코드 및 계이름을 손쉽고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받침판의 경우, 기타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연주스타일, 연주시의 특이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각각의 연주자마다 편안한 악기 연주를 위한 높이 및 위치가 달라져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단 하나의 받침판으로 모든 연주자들의 편안한 연주를 가능케할 수는 없었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받침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 등의 현악기를 연주함에 있어서, 코드를 잡게 되는 기타의 헤드부분을 몸통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연주가 가능토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연주자의 허벅지와 기타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 회전조절, 좌, 우, 전, 후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연주자의 연령, 키, 연주자만의 특이자세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연주자가 기타를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보관 또한 용이한 접철구조를 가진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되며, 일측에 연결부(12)가 돌출형성되는 받침부(10);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대응설치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의 일측을 상호간 연결하는 가이드판(40); 상기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12)가 타단에 연결되며,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받침부(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베이스부(30)의 일면과 높이 조절판(50)의 일면을 연결하되, 중단이 절곡가능한 접힘체(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타 등의 현악기의 연주시, 사용자가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형태 및 위치로 기타를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주자의 연령, 키, 숙련도, 개개인의 연주버릇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춰, 기타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회전과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전, 후, 좌, 우 위치조절 또한 가능하여, 단일의 장치만으로 모든 연주자가 가장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악기를 신체와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등의 악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고, 보관시에도 악기에 밀착되도록 접철됨으로써, 별도의 보관케이스 없이, 악기가 보관되는 케이스에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이 쉽고 견고하여, 연주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기(기타)를 왼발, 오른발 어느 쪽에 올려놓고 사용해도 안정적이고 올바른 연주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기를 장시간 연주하여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연주자의 척추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 및 베이스판의 좌, 우 이동가능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힘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판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판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높이 조절판의 상, 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도 5와 도 6의 평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높이 조절편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제 3(third)" 및“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되며, 일측에 연결부(12)가 돌출형성되는 받침부(10);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대응설치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의 일측을 상호간 연결하는 가이드판(40); 상기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12)가 타단에 연결되며,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받침부(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베이스부(30)의 일면과 높이 조절판(50)의 일면을 연결하되, 중단이 절곡가능한 접힘체(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는 일단이 가이드판(40)에 연결되는 베이스판(11); 상기 베이스판(11)의 타단에 돌출되어,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에 체결고정되는 연결부(12);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 중심부(1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되,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14)는 베이스판(11)과의 연결을 위한 평탄부(15)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지지판(13); 상기 지지판(13)의 일면에 형성되어,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되는 쿠션부(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은 일단이 가이드판(40)에 좌, 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0)가 연주자의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0),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이 전, 후, 좌, 우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현악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일측이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연결되며,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복수개의 끼움절개(53)가 상호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51); 상기 복수개의 끼움절개(53)에 끼워지는 끼움체(54); 상기 연결부(12)가 체결되는 연결공(56) 및 상기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공(57)을 길이방향으로 이격천공형성하며, 상기 체결공(57) 양측의 절개부(58)에 의해 구획된 내입부(58a)가 끼움체(54)에 끼워져, 상기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상, 하 유동가능토록 하는 조절판(55); 상기 조절판(55)을 상, 하 유동시켜,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위치 조절공(52)과 상호 연결하여, 조절판(55)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고정부재(5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일측이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연결되며,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고정판(51); 상기 고정판(51)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대향배치되는 제 1, 2설치봉(61, 62); 상기 제 1, 2설치봉(61, 62)의 대향면에 각각 절개되어 있는 제 1, 2절개부(63, 64); 상기 연결부(12)가 체결되는 연결공(56) 및 상기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공(57)을 길이방향으로 이격천공형성하며, 상기 제 1, 2절개부(63, 64)에 끼워져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판(55); 상기 조절판(55)을 상, 하 유동시켜,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위치 조절공(52)과 상호 연결하여, 조절판(55)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고정부재(5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현악기의 테두리에서 상호간 수평설치되는 복수개의 대향편(21)으로 이루어지는 제 1고정부(22); 상기 현악기의 테두리에서 제 1고정부(22)의 복수개 대향편(21)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2고정부(23); 상기 제 1, 2고정부(22, 23)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현악기의 테두리의 양면에 제 1, 2고정부(22, 23)가 조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25); 상기 복수개의 대향편(21) 상호간을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30)와 제 1고정부재(29)로 연결되는 회전공(27)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이음편(26); 상기 이음편(26) 일면에서 제 1고정부재(29)에 끼워지며 설치되되, 적층되는 개수에 따라 연주자의 허벅지와 현악기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미세높이 조절편(2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는 받침부(10), 고정부(20), 베이스부(30),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접힘체(7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0)는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에서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어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상기 받침부(10)는 베이스판(11), 연결부(12), 지지판(13), 쿠션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은 후술될 지지판(13)과 높이 조절판(50)이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판(11) 타단에는 후술될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과 대응되며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12)가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연결부(12)라 함은 외주연에 수나사산(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긴 길이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이러한 볼트가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에 나사체결되어, 베이스판(11)의 일단은 가이드판(40)과 연결되고, 타단은 높이 조절판(50)과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부(12)가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에 끼워진 후, 풀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상기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 일면에는 내주연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N)가 일체로 용접 또는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볼트(B)를 고정수단으로 하여 결합되는 부분에는 모두 적용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지지판(13)은 전술된 베이스판(11)의 일면에 중심부(14)가 연결되어 진 판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판(11)와 연결되는 중심부(14)는 베이스판(11)과 평형을 이루는 평탄부(15)를 일부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13)이 베이스판(11)에 확실히 연결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이유는 상기 지지판(13)의 형상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지지판(13)의 중심부(14) 양단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연주자의 허벅지에 지지판(13)이 대응되면서 감싸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지지판(13)의 중심부(14)는 베이스판(11)에 중심부(14)가 연결된 상태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쿠션부(16)는 전술된 지지판(13)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실리콘 및 부직포 등과 같이 쿠션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0)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밀착되어 접촉될 때, 무거운 기타로 인한 하중에 허벅지에 통증이 오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부(10)의 착용감이 좋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받침부(10)의 경우, 후술될 가이드판(40) 일측과 연결되는 베이스판(11)의 일측은 상호간 힌지수단(hinge unit, A)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11)으로 가이드판(40)이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판(40)과 연결되는 힌지수단을 가이드판(40)에 나사체결(볼트와 너트 등의 나사체결, B)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0)의 일측이 가이드판(40)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좌, 우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상기 받침부(10)의 일단은 가이드판(40)과 힌지결합되면서 좌, 우 회동하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10)의 타단이 높이 조절판(50)과 연결부(12)에 의해 나사체결됨으로써, 연주자의 허벅지에 이러한 구조의 받침부(10)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받침부(10)의 좌, 우측 및 전, 후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해져, 받침부(10)가 연주자의 허벅지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 및 후술될 연결부(12)에 의해 지지될 현악기(기타)가 다양하게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0)는 전술된 받침부(10) 뿐만 아니라, 후술될 연결부(12),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접힘체(70) 모두를 현악기(ex: 기타, 200)에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현악기 중 '기타(Guitar)'를 그 예시로 하며, 이하에서는 '기타'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타는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줄의 팽팽함을 조절하여 음을 조절하는 헤드부(220)와, 연주자가 줄을 튕김으로써 공명통을 통해 소리를 내는 몸체부(21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기타는 일정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기타의 몸체 부분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20)는 제 1고정부(22), 제 2고정부(23), 밀착부(25), 이음편(26), 미세높이 조절편(2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고정부(22)는 상호간 대향되어 평형을 이루는 복수개의 대향편(21)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향편(21)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대향편(21) 사이는 이음편(26)이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제 2고정부(23)는 복수개의 대향편(21) 내부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 2고정부(23)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끼워진 상태로 일정길이 외부로 토출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고정부(22)의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제 2고정부(23)의 외주연에 숫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간이 나사체결 형태로 내입 및 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 1고정부(22) 내부에 탄성부재(스프링)을 내설하여 일단을 고정하고, 탄성부재의 타단은 제 1고정부(22)에 끼워진 제 2고정부(23) 단부에 연결함으로써, 상호간이 이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고정부(20)는 제 1, 2고정부(22, 23)가 상호간 내입, 토출되며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가능함에 따라, 기타의 종류, 기타 테두리 폭 등에 따라, 연주자가 고정부(20)를 다양한 기타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20)는 전체적으로 'H'자 형태로 형성되어 기타의 테두리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부(20)의 각 단부(제 1고정부(22)의 복수개 대향편(21) 일단, 제 1고정부(22)에 끼워진 제 2고정부(23)의 일단)는 기타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해 절곡되어, 기타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전면 또는 후면에 절곡된 절곡부에는 나사결합되어 있는 밀착부(25)(ex: 조임나사)가 설치되어, 연주가가 밀착부(25)를 조이게 되면, 밀착부(25)의 단부가 기타의 일면을 조임으로써, 상기 고정부(20)가 기타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상기 고정부(20)는 기타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써, 연주자는 연주자가 의자에 앉는 자세 및 연주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받침부(10), 연결부(12),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접힘체(70))들을 지지할 고정부(20)의 고정위치를 기타의 테두리에서 다양하게 위치변경이 고정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고정부(20)의 이음편(26) 중앙에는 후술될 베이스부(30)와의 연결을 위한 회전공(27)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고정부(20)의 회전공(27) 저면에서부터 베이스부(3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 1고정부재(29)(ex: 볼트 등, 이후 제 2고정부재(59)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고정부재로 볼트가 사용될 시, 이와 대응되는 너트를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구멍 부위에 형성하고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가 돌출되어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베이스부(30)의 중앙에도 회전공(27)과 대응되어 제 1고정부재(29)와 연통연결되는 별도의 구멍이 천공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제 1고정부재(29)가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를 상호간 연결한 상태에서, 빠지거나 풀리지 않도록, 상기 회전공(27)이 천공된 부분의 이음편(26) 일면 또는 상기 회전공(27)에 대응되는 베이스부(30)의 구멍 일면에 너트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부(20)에는 미세높이 조절편(28)이 더 구비되는데, 연주자는 이러한 회전공(27)에 제 1고정부재(29)를 끼운 후, 후술될 베이스부(30)를 결합하기 전, 판재형상을 하는 미세높이 조절편(28)을 다수개 개수 조절하여 사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미세높이 조절편(28)에도 제 1고정부재(29)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시말해, 상기 다수의 미세높이 조절편(28)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미세높이 조절편(28)이 단일개 또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가 밀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조절이 되는 것으로, 이로써 사용자는 현악기(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를 미세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현악기와 연주자 허벅지 사이의 높이조절은 대게 후술될 높이 조절판(50)과 받침부(10) 상호간의 연결위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현악기(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 조절을 전술된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 사이의 미세높이 조절편(28) 및 높이 조절판(50)과 받침부(10)의 두 부분에서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30)는 고정부(20)의 회전공(27)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제 1고정부재(29)에 체결되는 판재로, 이러한 베이스부(30)의 폭은 사용되는 악기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30)는 제 1고정부재(29)가 저면 중앙에서 상면으로 돌출되어 끼워짐으로써 기타의 테두리에 체결되되, 상기 제 1고정부재(29)에 의해 끼워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30)는 고정부(20)와 연결된 상태에서 360° 회전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30)는 제 1고정부재(29)(제 1고정부재(29)가 형성된 고정부(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결국, 고정부(20)가 고정되는 기타 또한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즉, 상기 베이스부(30)는 후술될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및 전술된 받침부(10)가 연속연결되는 것이기에, 받침부(10)를 사용자의 허벅지에 밀착시킨 후, 받침부(10)가 밀착된 연주자의 허벅지가 벌어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기타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30)가 가이드판(40), 높이 조절판(50) 및 전술된 받침부(10)와 함께 일체로 고정부(20)에서 회전되어 용이하게 기타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40)은 양단이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 상호간 사이를 지지하고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베이스부(30)과 가이드판(40) 상호간의 연결만을 보자면, 상기 가이드판(40)은 베이스부(30)의 상면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펴질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사용시에는 보통 상기 베이스부(30)에서 90°로 절곡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판(40) 또한 전술된 베이스부(30)와 마찬가지로 폭이 기타의 폭과 동일토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된 받침부(10) 및 후술될 높이 조절판(50)의 폭 또한 이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타에 설치된 상태로 기타를 보관하는 보관케이스에 함께 보관이 용이토록 하기 위함으로써, 기타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모든 구성들이 기타의 테두리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간 일방향으로 접혀 기타의 테두리에 밀착되고, 사용시에는 힌지연결부(12)위를 통해 직각 등으로 세워져 기타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전술된 가이드판(40)과 함께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본 발명에서 연주자의 허벅지와 기타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본 발명에서 2가지의 실시예를 가지도록 한다.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51), 끼움체(54), 조절판(55), 제 2고정부재(5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51)은 일단이 베이스부(30)의 타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30)의 상면에 접히거나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펼쳐질 수 있도록 한 판재 형상이며, 타단 측 중앙에는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되, 이러한 위치 조절공(52)의 일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가 부착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타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끼움절개(53)가 상호간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체(54)는 전술된 끼움절개(53)에 끼워지는 판재로, 내부가 비어있는 판재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판(51)의 타단에서부터 끼움절개(53)에 끼워지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끼움체(54)에도 절순된 위치 조절공(52)과 연통되는 구멍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55)은 고정판(51)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51)과 마찬가지로 판재 형상을 가지되, 일측 끝부분에는 연결공(56)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전술된 받침부(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연결부(12)가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상기 연결부(12)가 끼워진 후 연결공(56)에 빠지지 않도록, 상기 조절판(55)의 연결공(56) 전, 후측 부분에 너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공(56)과 함께 다수의 체결공(57)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천공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체결공(57)의 양측에는, 절개부(58)가 조절판(55)의 하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끼움체(54)에 끼워지는 내입부(58a)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다수의 체결공(57)이 천공된 내입부(58a)가, 고정판(51)의 끼움절개(53)에 끼워진 끼움체(54) 내측(고정판(51)과 끼움체(54) 사이)에 끼워져, 상, 하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고정판(51)과 조절판(55)이 상호간 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51)은 고정되어 있고, 조절판(55)만이 고정판(51)의 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 하 유동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연결공(56)은 받침부(10)의 연결부(12)와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주자 및 사용자가 상기 조절판(55)을 상, 하 조절하여,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고정판(51)의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도록 높이 조절한 후, 제 2고정부재(59)(ex: 볼트 등)를 이러한 체결공(57)가 위치 조절공(52)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높이 조절판(50)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51), 제 1, 2설치봉(61, 62), 제 1, 2절개부(63, 64), 조절판(55), 제 2고정부재(5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51)은 일측이 베이스부(3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첫번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30)에 접철 또는 수평으로 펴짐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판재이며, 타단 측 중앙에는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2설치봉(61, 62)은 전술된 고정판(5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 2절개부(63, 64)는 전술된 제 1, 2설치봉(61, 62)의 일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설치봉(61)의 제 1절개부(63)는 제 2설치봉(6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절개되고, 제 2설치봉(62)의 제 2절개부(64)는 제 1설치봉(61)에 바라보는 방향에 각각 절개되어, 제 1, 2절개부(63, 64)가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55)은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조절판(55)은 제 1, 2설치봉(61, 62)에 절개되어 있는 제 1, 2절개부(63, 64)에 양측이 끼워져 제 1, 2설치봉(61, 62)에 내입됨으로써, 이러한 상, 하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조절판(55)의 일측 중앙에는 전술된 받침부(10)의 연결부(12)가 연결되는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57)이 이격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두번째 실시예 또한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판(51)의 위치 조절공(52)에 받침부(10)의 연결부(12)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연주자가 조절판(55)을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제 1, 2절개부(63, 64)를 통해 상, 하로 유동시켜, 조절판(55)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고정판(51)의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는 위치에 둔 다음, 제 2고정부재(59)(ex: 볼트 등)를 이러한 체결공(57)과 위치 조절공(52)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높이 조절판(50)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접힘체(70)는 전술된 받침부(10)에 의해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상호간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이를 보조하면서 상기 베이스부(30)에 연결된 높이 조절판(50)이 사전설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접힘체(70)의 일단은 베이스부(30)의 일면에 고정되고, 접힘체(70)의 타단은 높이 조절판(50)의 일면에 고정되는 가지도록 하되, 상기 접힘체(70)의 중단부는 접힘부(71)를 형성하여, 상기 접힘체(70)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접힘체(70)가 완전히 펴지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30)는 높이 조절판(50)과 직각의 형태를 이루며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 사이를 지지하고, 상기 높이 조절판(50)과 베이스부(30)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접힘체(70)의 접힘부(71) 또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사용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이,
사용자의 허벅지 상면에 받침부(10)가 대응되어 올려져 있게 되고, 상기 받침부(10)의 양측에는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받침부(10)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면서, 이러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을 베이스부(30)의 양단이 연결하면서, 베이스부(30)의 중앙은 고정부(20)를 통해 기타의 테두리 저면에 연결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접힘체(70)를 통해서 베이스부(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타의 무게나 연주자가 기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판(50)과 받침부(10)의 연결부(12)위가 탈거된다든지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상기 높이 조절판(50)이 확실하게 베이스부(30)와 받침부(1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연주자는 높이 조절판(50)의 조절부를 상, 하로 조절하면서, 다수의 체결공(57) 중 어느 위치의 체결공(57)을 위치 조절공(52)에 대응시킨 후 제 2고정부재(59)에 의해 끼움결합하느냐에 따라 높이 조절판(50)의 사용범위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타와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가 조절되는 것이다.(즉, 상기 높이 조절판(50)에 천공된 다수의 체결공(57) 중, 높이 조절판(50)의 중단에 위치한 체결공(57)과 위치 조절공(52)이 대응되어 고정되는 경우보다, 높이 조절판(50)의 일측단(연주자의 허벅지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체결공(57)에 위치 조절공(52)이 대응되어 고정되는 경우가, 상기 기타가 연주자의 허벅지 상부로 더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받침부(10)의 경우, 상기 가이드판(40)과 연결된 부분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과는 연결부(12)를 통해 나사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사용자가 기타를 연주하면서 전방쪽(사용자 앞쪽)으로 기타와 함께 몸을 숙이거나, 의자 뒤쪽으로 몸을 뒤로 젖히게 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10)는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받침부(10)의 양단에 연결된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이 베이스부(30) 및 기타와 함께 전, 후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받침부(10)는 가이드판(40)과 연결된 부분이 힌지로도 연결되어 있고, 높이 조절판(50)과는 연결부(12)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연주자는 기타를 연주자의 좌, 우측으로도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100)는, 보관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 없이, 현악기(기타)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에 기타와 함께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기타와 연주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사각틀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조절판(55)을 상, 하로 유동시키면서 다수의 체결공(57) 중 어느 것에 위치 조절공(52)을 대응시켜 결합시키느냐에 따라, 기타와 연주자 허벅지 사이의 높낮이(H)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부(20)와 베이스부(30) 사이에 미세높이 조절편(28)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높낮이(H) 조절이 미세하게 더 가능하며, 베이스부(30)가 고정부(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악기의 회전각도 또한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허벅지에 올려진 받침부(10)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기타를 전, 후, 좌, 우로 위치이동 조절 가능하게 사용하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기타에서 탈거하여 보관하여도 되지만, 기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부(30)의 상면으로 높이 조절판(50)을 접철되어 겹치고, 가이드판(40)과 받침부(10)를 기타의 테두리를 향해 일자로 펴 기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기타가 본 발명의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와 함께 기존의 기타 케이스에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받침부 11: 베이스판
12: 연결부 13: 지지판
14: 중심부 15: 평탄부
16: 쿠션부 20: 고정부
21: 대향편 22: 제 1고정부
23: 제 2고정부 25: 밀착부
26: 이음편 27: 회전공
28: 미세높이 조절편 29: 제 1고정부재
30: 베이스부 40: 가이드판
50: 높이 조절판 51: 고정판
52: 위치 조절공 53: 끼움절개
54: 끼움체 55: 조절판
56: 연결공 57: 체결공
58: 절개부 59: 제 2고정부재
61: 제 1설치봉 62: 제 2설치봉
63: 제 1절개부 64: 제 2절개부
70: 접힘체 71: 접힘부

Claims (6)

  1. 연주하기 위한 현악기를 연주자의 허벅지에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장치에 있어서,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되며, 일측에 연결부(12)가 돌출형성되는 받침부(10);
    현악기의 테두리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대응설치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받침부(10)와 베이스부(30)의 일측을 상호간 연결하는 가이드판(40);
    상기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12)가 타단에 연결되며, 상, 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받침부(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판(50);
    상기 베이스부(30)의 일면과 높이 조절판(50)의 일면을 연결하되, 중단이 절곡가능한 접힘체(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일단이 가이드판(40)에 연결되는 베이스판(11);
    상기 베이스판(11)의 타단에 돌출되어, 높이 조절판(50)의 연결공(56)에 체결고정되는 연결부(12);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 중심부(1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되,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14)는 베이스판(11)과의 연결을 위한 평탄부(15)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지지판(13);
    상기 지지판(13)의 일면에 형성되어, 연주자의 허벅지에 대응접촉되는 쿠션부(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은
    일단이 가이드판(40)에 좌, 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0)가 연주자의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0)와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의 구성 모두가 좌, 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판(40)과 연결되는 힌지 일단을 나사체결(B)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0)가 연주자의 허벅지에 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30)와 가이드판(40)과 높이 조절판(50)의 구성 모두가 전, 후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악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일측이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연결되며,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복수개의 끼움절개(53)가 상호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51);
    상기 복수개의 끼움절개(53)에 끼워지는 끼움체(54);
    상기 연결부(12)가 체결되는 연결공(56) 및 상기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공(57)을 길이방향으로 이격천공형성하며, 상기 체결공(57) 양측의 절개부(58)에 의해 구획된 내입부(58a)가 끼움체(54)에 끼워져, 상기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상, 하 유동가능토록 하는 조절판(55);
    상기 조절판(55)을 상, 하 유동시켜,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위치 조절공(52)과 상호 연결하여, 조절판(55)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고정부재(5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판(50)은
    일측이 베이스부(30)의 타측에 연결되며, 위치 조절공(5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고정판(51);
    상기 고정판(51)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대향배치되는 제 1, 2설치봉(61, 62);
    상기 제 1, 2설치봉(61, 62)의 대향면에 각각 절개되어 있는 제 1, 2절개부(63, 64);
    상기 연결부(12)가 체결되는 연결공(56) 및 상기 위치 조절공(52)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공(57)을 길이방향으로 이격천공형성하며, 상기 제 1, 2절개부(63, 64)에 끼워져 고정판(51)의 일면에서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판(55);
    상기 조절판(55)을 상, 하 유동시켜, 다수의 체결공(57) 중 하나를 위치 조절공(52)과 상호 연결하여, 조절판(55)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고정부재(5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현악기의 테두리에서 상호간 수평설치되는 복수개의 대향편(21)으로 이루어지는 제 1고정부(22);
    상기 현악기의 테두리에서 제 1고정부(22)의 복수개 대향편(21)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2고정부(23);
    상기 제 1, 2고정부(22, 23)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현악기의 테두리의 양면에 제 1, 2고정부(22, 23)가 조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25);
    상기 복수개의 대향편(21) 상호간을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30)와 제 1고정부재(29)로 연결되는 회전공(27)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이음편(26);
    상기 이음편(26) 일면에서 제 1고정부재(29)에 끼워지며 설치되되, 적층되는 개수에 따라 연주자의 허벅지와 현악기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미세높이 조절편(2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KR1020130026122A 2013-03-12 2013-03-12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KR10141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122A KR101418341B1 (ko) 2013-03-12 2013-03-12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122A KR101418341B1 (ko) 2013-03-12 2013-03-12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341B1 true KR101418341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122A KR101418341B1 (ko) 2013-03-12 2013-03-12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4426A1 (es) * 2016-12-29 2018-06-29 José Luis ENCINAS PUENTE Soporte integrado para guitarra
JP2022078933A (ja) * 2020-11-13 2022-05-25 ソク ジュン、ジェ 弦楽器用支え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弦楽器
KR102409570B1 (ko) * 2021-06-08 2022-06-22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062A (en) 1990-02-09 1990-10-30 Driggers Robert H Guitar support apparatus
US6252150B1 (en) 2000-04-03 2001-06-26 Timothy L. Johnson Guitar fulcr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062A (en) 1990-02-09 1990-10-30 Driggers Robert H Guitar support apparatus
US6252150B1 (en) 2000-04-03 2001-06-26 Timothy L. Johnson Guitar fulcru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4426A1 (es) * 2016-12-29 2018-06-29 José Luis ENCINAS PUENTE Soporte integrado para guitarra
JP2022078933A (ja) * 2020-11-13 2022-05-25 ソク ジュン、ジェ 弦楽器用支え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弦楽器
JP7115727B2 (ja) 2020-11-13 2022-08-09 ソク ジュン、ジェ 弦楽器用支え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弦楽器
US11551650B2 (en) 2020-11-13 2023-01-10 Jae Seok JUNG Support device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having same
KR102409570B1 (ko) * 2021-06-08 2022-06-22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WO2023022527A1 (ko) * 2021-06-08 2023-02-23 정재석 기타용 받침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기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2689B1 (en) Foldable and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 used in seated position
US7777110B2 (en) Instrument stand
US4561339A (en) Music stand for guitar player
KR101418341B1 (ko) 현악기 연주용 다기능 받침장치
US9514721B1 (en) Ergonomic guitar support for acoustic guitar
EP2415046B1 (en) Shoulder rest
JP3580221B2 (ja) 電気弦楽器
US20080196570A1 (en) Violin shoulder rest
JP2009265674A (ja) ドラム用スタンド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ドラム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101676922B1 (ko)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US7084337B1 (en) Ergonomic stringed instrument
US6239337B1 (en) Adjustable shoulder rest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61227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1669923B1 (ko) 악기 스탠드
US3298269A (en) Shoulder support for violins and the like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8203061B2 (en) V type electric guitar footrest
US9214141B2 (en) Stand and cradle for double bass and cello
KR101305420B1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KR101418336B1 (ko) 현악기 거치장치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1431553B1 (ko) 스프링식 기타 고정장치
KR200267781Y1 (ko)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KR200432299Y1 (ko) 어깨걸이가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