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333B1 -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333B1
KR100745333B1 KR1020070041357A KR20070041357A KR100745333B1 KR 100745333 B1 KR100745333 B1 KR 100745333B1 KR 1020070041357 A KR1020070041357 A KR 1020070041357A KR 20070041357 A KR20070041357 A KR 20070041357A KR 100745333 B1 KR100745333 B1 KR 10074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support
shock absorber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석
Original Assignee
안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석 filed Critical 안영석
Priority to KR102007004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용 안치대구조로서, 특히 가야금,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를 본 안치대위에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종전 상시 장착해 현악기 본체의 저부면에 힌지로 연결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안치대는 악기의 무게를 가중시켰고,또 각 연결부재에 걸고리조임나사로 재차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불편과 연결부재들의 유격에 의하여 연주 악기의 음질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안치대(300)는 공명판(210)만 빼내고 상판(201)아래로 받침다리(205)만 접어서, 휴대하다가 전개시에도 상판(201)바닥에 벨크로드(hock tape;208;208')로 부착된 받침다리(205)를 젖히면, 가스쇽업쇼버(206)에 의하여 일시에 전개되어 별도의 조임나사로 2차 고정하지 않고도 온 텃치 전개와 조립이 이루어지며, 사용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정된 안치대로서 휴대와 조립이 보다 간편한 하도록 하였고,또한,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다리,공명판을 현악기와 같은 재질의 목재로 구성하여 전통악기와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아울러,별도의 공명판이 안치대의 일 구성부재로 제공되도록 하여 안치대를 보다 안정적이도록 하며, 음질의 향상에도 효과를 가져온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Description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the support of string structure}
도 1은 종전 안치대의 일실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일실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사용상태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종전 안치대 200:안치대
300:현악기
101;201:상판 102:연결지지판
202:상판 보강목 103;203:힌지
104;204:공간부 105;205:받침다리
205':하부굽
106:걸고리 107:걸고리조임나사
206:가스쇽업쇼버 206':연결편
207:받침턱 108;108';208;208':벨크로드(hock tape)
109;209:쿠숀패드 210:공명판
본 발명은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로써, 특히 가야금,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를 본 안치대위에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악기의 연주는 안치대 없이 보통 바닥에 놓은 상태로 연주하거나, 연주자의 무릎 위에 악기 일측을 올려놓고 다른 이측은 바닥에 내려 놓은체 연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의 연주를 위해서는 통상 별도의 안치대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전의 안치대는 본 발명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3)로 연결되어 양쪽으로 분리되며 복판에 공간부(104)를 갖는 상판(101)과, 분리된 상판의 연결을 위한 연결지지판(102)을 상판 바닥에서 나사로 조이는 것과, 연결된 상판의 양단 하방에는 힌지로 연결된 받침다리(105)와, 받침다리를 상판으로부터 지지시키기 위한 걸고리(106)와, 걸고리를 체결하기 위한 걸고리조임나사(107)와,상기 상판 양측상단에 쿠숀패드(109)와, 접어져 상호 대향 인접되는 상판(101) 일편과; 상판하측으로 받침다리가 접어져 상호 대향 인접되는 일편에 각 벨크로드(108;108')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전의 안치대(100)는 상판(101)과 받침다리(105)를 상호 접어 보관하거나 휴대하도록 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반으로 접어지는 상판(101)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지지판(102) 하방 에서 조임나사(미도시)를 이용해 상판(101) 분리부를 조립하지만, 안정성이 떨어지고 부주위로 상판을 누르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현악기의 특성상 현의 진동에 의해 악기 몸체 내부 공명통에 의해 소리가 연주되기 때문에 연주전 상판이나 받침다리를 확고히 고정시켜야 했었다.
이를 위해 상기 걸고리(106)나 연결지지판(102)과 같은 각 연결부재에 걸고리조임나사(107)로 이들의 조립에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267781호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현악기 안치대를 제공함에 있어서, 악기의 몸체 일측 저부면에 안치대를 구성함에 있어서,몸체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하며, 안치대 저부면에 가변적으로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수단을 공지된 여러 악기의 안치대에 적용함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의 높이조절수단은 스크루와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스크루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나선홈이 가공된 것이며, 통상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성형되며 상기 지지체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악기를 수평으로 배치하는데 중점을 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는 현악기 본체의 저부면에 힌지로 연결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안치대는 상시 악기에 장착된 상태로 악기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선원기술에 게기된 바에 따르면 외발식이나 접이식에도 높이조절수단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현악기 안치대는 본체와 힌지로 접어지는 것을 지양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11144호에 따르면, 조립식 전통악기 받침대로 이는 길이조절과 높이조절 및 악기의 기울기 조절과 수평조절을 목적으로 각각 절첩되는 구조의 하부연결대로 지지된 한쌍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상단에 수직 삽설되는 상부지지대는 각각 절첩 가능한 상부연결대로 지지되며, 상부지지대는 일측이 높게 구성되며, 상부지지대의 양 선단에 암가로대와 수가로대로 분절되어 길이조절되며,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받침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프레임이 금속이나 알루미늄 배관재를 채택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고, 각기의 연결부재를 조절해 세팅해야 하는 조립나사부를 다수 채택해야 하는 구조로 서, 조립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요소를 지녔다.
따라서, 현악기와 같이 현의 떨림이 악기 내부에 마련된 공명실로 전해져 동시에 음질이나 음감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상기 각 금속성 연결부재들의 간극으로 인해 연주하는 악기의 음질에도 미세한 영향을 끼치는 실정이다.
이와는 달리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는 현악기용 받침대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15764호에 따르면, 높이가 각 다르고 상단에 현악기 안착부가 형성된 한쌍의 받침부재와, 상기 한쌍의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양단부가 삽입결합되어 한쌍의 받침부재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대로 이루진 현악기받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그 구성부재가 받침대와 연결대로 이루어져 비교적 상기 선원 의 기술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재질도 목재 내지 합성수지재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음질에 끼치는 효과는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받침대 사이에 연결대를 조립함에 있어서, 양단부에 걸림턱이 마련된 받침대에 연결대를 받침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운후, 사다리꼴로된 걸림구를 연결대의 관통구에 끼워 조립후 장시간 연주하다 보면, 상기와 같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걸림구에 유격이 생기면, 받침대나 연결대가 흔들리게 되는 불편이 예견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한 전통현악기용 안치대를 제공함에 있어서, 우선 휴대와 조립이 간편함을 최우선과제로 하며, 그리고 금속제를 지양하고 악기나 안치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다리를 현악기와 같은 재질의 목재로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시에도 별도의 조임나사로 2차 고정하지 않고 받침다리를 온 텃치 전개시켜 사용해도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정된 안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현악기내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재차 공명되도록 별도의 공명판이 안치대의 일 구성부재로 제공되도록 하여, 음질이 향상과 안치대의 견고성에도 도음을 주도록 하는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일실시 사시도,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복판에 공간부(204)가 형성되며 양상단에 쿠숀패드(209)가 부착된 상판(201)양 하단부와, 하부굽(205')이 바닥에 구비되며 상호 높이가 다른 한쌍의 받침다리(205) 양 내측 상단부간에 힌지(203) 결합된 안치대(200)에 있어서,
상판(201) 양하단부에 상판 폭규격으로 보강부착한 상판보강목(202)과, 받침다리(205) 각 내측 상단에 부착한 2열의 받침턱(207)과, 받침턱(207)에 끼워 넣는 중공(中空) 오동나무제 공명판(210)과, 상기 상판(201)과 받침다리(205) 각 후면 상판(201)의 양단과 받침다리(205) 상단에는 양쪽으로 연결편(206')이 형성된 가스쇽업쇼버(206)를 나사 조립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08;208'는 상판(201) 저면으로 접어지는 받침다리(205)내측부와 대향되는 일편에 부착하는 벨크로드(hock tape)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작용을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의 사용상태참고도 도 4와 따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치대(200)의 전개는 상판(201) 하부에 힌지(203)결합된체 접어지는 받침다리(205)의 고정은 상판(201) 저면과 받침다리(205) 내측부와 대향되는 일편에 부착된 벨크로드(hock tape;208;208')에 의해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였음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의 상판(201)과 받침다리(205)간에 조립된 1쌍의 가스쇽업쇼 버(206)에 의하여 그 전개되는 동작이 압축된 공기압에 의하여 일순간 이루어지도록 된 것으로서,사용자는 상판과 받침다리의 고정을 위해 종전처럼 별도의 조임나사나, 사다리꼴의 조임구나, 걸고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판(201)으로부터 받침다리(205)를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판에 조립된 양측의 받침다리를 차례로 접어 가스쇽업쇼버(206)는 원위치로 압축되면서, 상판(201) 저면과 받침다리(205) 내측부와 대향되는 일편에 부착된 벨크로드(hock tape;208;208')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판(201) 하부 받침다리(205) 내측상단부에 형성된 받침턱(207)에 끼워 넣는 중공(中空) 오동나무제 공명판(210)은 가스쇽업쇼버(206)로 일순간 전개된 받침다리(205)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것도 있으나, 긍극적으로는 상판(201)위에 놓아 연주하는 현악기(300) 내부로부터 전달된 음향이 상판의 복판에 형성된 공간부(204)를 통하여 재차 공명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공명판(210)으로서 연주시 음질과 음감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에 의한 안치대(300)는 공명판(210)만 빼내고 상판(201)아래로 받침다리(205)만 접어서, 휴대하다가 전개시에도 상판(201)바닥에 벨크로드(hock tape;208;208')로 부착된 받침다리(205)를 젖히면, 가스쇽업쇼버(206)에 의하여 일시에 전개되어 별도의 조임나사로 2차 고정하지 않고도 온 텃치 전개와 조립이 이루어지며, 사용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안정된 안치대로서 휴대와 조립이 보다 간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종전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판을 지양하고 악기나 안치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다리,공명판을 현악기와 같은 재질의 목재로 구성하여 전통악기인 가야금,거문고,아쟁과의 조화가 이루어 지도록 한 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현악기내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재차 공명되도록 별도의 공명판이 안치대의 일 구성부재로 제공되도록 하여 안치대를 보다 안정적이도록 하며, 음질의 향상에도 효과를 가져온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복판에 공간부(204)가 형성되며 양상단에 쿠숀패드(209)가 부착된 상판(201)양 하단부와, 하부굽(205')이 바닥에 구비되며 상호 높이가 다른 한쌍의 받침다리(205) 양 내측 상단부간에 힌지(203) 결합된 안치대(200)에 있어서,
    상판(201) 양하단부에 상판 폭규격으로 보강부착한 상판보강목(202)과, 받침다리(205) 각 내측 상단에 부착한 2열의 받침턱(207)과, 받침턱(207)에 끼워 넣는 중공(中空) 오동나무제 공명판(210)과, 상기 상판(201)과 받침다리(205) 각 후면 상판(201)의 양단과 받침다리(205) 상단에는 양쪽으로 연결편(206')이 형성된 가스쇽업쇼버(206)가 나사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1020070041357A 2007-04-27 2007-04-27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10074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357A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4-27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357A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4-27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333B1 true KR100745333B1 (ko) 2007-08-02

Family

ID=3860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357A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4-27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2-05-2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101751134B1 (ko) * 2015-11-12 2017-06-30 강응열 악기 받침대용 장석 및 이를 구비한 악기받침대
KR20170003921U (ko) * 2016-05-11 2017-11-21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200000609U (ko) * 2018-09-10 2020-03-18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423U (ko) 1976-02-19 1977-08-22
JPH0533198U (ja) * 1991-08-07 1993-04-30 ヤマハ株式会社 キーボードスタンド
JPH0616990U (ja) * 1992-08-07 1994-03-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底部構造
JPH11242479A (ja) 1998-02-26 1999-09-07 Yamaha Corp 楽器用スタンド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4-23 임창훈 전통악기 받침대
JP2006267489A (ja) 2005-03-23 2006-10-05 Yamaha Corp ポータブル楽器用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423U (ko) 1976-02-19 1977-08-22
JPH0533198U (ja) * 1991-08-07 1993-04-30 ヤマハ株式会社 キーボードスタンド
JPH0616990U (ja) * 1992-08-07 1994-03-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底部構造
JPH11242479A (ja) 1998-02-26 1999-09-07 Yamaha Corp 楽器用スタンド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4-23 임창훈 전통악기 받침대
JP2006267489A (ja) 2005-03-23 2006-10-05 Yamaha Corp ポータブル楽器用スタンド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2-05-2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101751134B1 (ko) * 2015-11-12 2017-06-30 강응열 악기 받침대용 장석 및 이를 구비한 악기받침대
KR20170003921U (ko) * 2016-05-11 2017-11-21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85384Y1 (ko) * 2016-05-11 2018-01-30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200000609U (ko) * 2018-09-10 2020-03-18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91589Y1 (ko) * 2018-09-10 2020-05-28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5987B2 (en) Percussion instrument
US4593596A (en) Portable drum set
US5315910A (en) Detachable retrofit for a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8525010B2 (en) Portable drum
JP2014092588A5 (ko)
US20090272250A1 (en) Stand for a drum and also relating thereto
US6528714B1 (en) Hi-hat cymbal stand
US20100037756A1 (en) Marimba suspended microphone system
US20040051021A1 (en) Adjustable drum stand
US5744738A (en) Frame structure for musical drums
KR20160000161U (ko) 낚시받침틀
US8296879B2 (en) Foldable bed
US2018000561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JP2009163111A (ja) ドラムの支持構造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200460460Y1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20120279377A1 (en) Convertible transforming drum set
US6273250B1 (en) Golf bag with a foldaway chair
JP6462054B2 (ja) 折り畳み式ギター
KR200415764Y1 (ko)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
US8513509B2 (en) UCR (user configurable riser)
WO2008033003A1 (en) Musical instrument holder
KR200267781Y1 (ko)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JP3055919U (ja) テナードラムの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