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89Y1 -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89Y1
KR200491589Y1 KR2020180004203U KR20180004203U KR200491589Y1 KR 200491589 Y1 KR200491589 Y1 KR 200491589Y1 KR 2020180004203 U KR2020180004203 U KR 2020180004203U KR 20180004203 U KR20180004203 U KR 20180004203U KR 200491589 Y1 KR200491589 Y1 KR 200491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tate
unfolded state
legs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609U (ko
Inventor
임도수
Original Assignee
임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수 filed Critical 임도수
Priority to KR2020180004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8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제1 펼침 상태,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를 갖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기다란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저면 좌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제2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펼쳐 세워지고, 상기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포개지며, 상기 다리들 각각은 다리 상부 및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에 대하여 상기 다리 하부를 상기 다리 상부의 바깥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동일 직선상에 있고, 상기 제2 펼침 상태와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진다.

Description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Height adjustable traditional string stand}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가야금과 같은 전통 현악기를 상판에 받쳐 놓고 연주하기 위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리가 상판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접혀질 수 있어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고, 특히, 전통 현악기 연주자가 앉은 상태와 선 상태 모두에서 연주가 가능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의 길이를 쉽게 줄이거나 늘일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가야금과 같은 전통 현악기는 바닥에 자리를 깔고 연주하는 것이 정례이다. 이 경우, 연주자는 전통 현악기의 일측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타측은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로 연주한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의자에 앉거나 서서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예컨대, 국악 교향악 연주에 있어서는 서양 교향악 연주와 마찬가지로 지휘자가 서서 지휘하고 연주자들은 서 있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로 가야금 등의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게 된다.
의자에 앉아 가야금 등의 전통 현악기를 연주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전통 현악기 받침대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다리를 포함하는 여러 타입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가 개발되었고, 그 한 예로 본 고안의 출원인인 "임도수"에 의해 2016년 5월 11일자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16-0002532호로 출원되어 2017년 2월 22일로 등록번호 20-0485384로 등록된 기술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종래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연주자가 다리를 수직으로 펼쳐 세운 후 상판에 전통 현악기를 올려놓고 연주를 할 수 있고, 연주가 끝나면, 다리를 상판과 수평이 되게 접어 쉽게 운반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주자가 선 상태와 앉은 상태에서 전통 현악기를 모두 연주하기 위해서는 높이가 다른 2 종류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필요로 하였는데, 이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연주자가 연주하는 자세를 선 상태에서 앉은 상태로 바꾸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경우,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의 낭비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85384호(2017년 12월 22일 등록)
이에 대해, 다리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전통 현악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고, 이에 대해, 관련된 몇몇 시도가 있었지만, 다리를 줄이거나 늘리는데 많은 시간이 들고 줄이거나 늘린 다리를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서이 떨어졌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통 현악기 연주자가 앉은 상태와 선 상태 모두에서 연주가 가능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의 길이를 쉽게 줄이거나 늘일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제1 펼침 상태,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를 갖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로서, 기다란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저면 좌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제2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펼쳐 세워지고, 상기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포개지며, 상기 다리들 각각은 다리 상부 및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에 대하여 상기 다리 하부를 상기 다리 상부의 바깥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동일 직선상에 있고, 상기 제2 펼침 상태와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동일 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고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는 단부끼리 상하로 마주한 상태에서 동일 직선상에 놓이고, 상기 잠금 고리 유닛은 상기 다리 상부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와 후크 형상부를 포함하는 후크부재와, 상기 다리 하부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의 후크 형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 및 상기 회전 고리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를 포함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상기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에서,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가 평행하게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 사이를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임시적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임시적 부착 수단은 자석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철재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리들은 제1 다리와 상기 제1 다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는 제2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의 다리 상부는 상기 제2 다리의 다리 상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다리의 다리 하부와 상기 제2 다리의 다리 하부는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리들은 다리 상부의 내측면 각각에 설치된 쿠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리 상부가 상판과 포개질 때 상판의 저면 중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접촉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가야금 받침대, 특히, 25현 가야금 받침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다리가 상판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접혀질 수 있어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상판을 받쳐주는 좌우 한 쌍의 다리의 길이를 쉽게 줄이거나 늘일 수 있는 높이 가변형으로 구성되어, 전통 현악기 연주자가 앉은 상태와 선 상태 모두에서 연주가 가능하고, 또한, 다리를 접어 포개거나 또는 펼치는 방식으로 쉽게 다리 길이를 줄이고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와 이점은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1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1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2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2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1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1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2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2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1; 이하, "가야금 받침대"라 함)는 좌우로 기다란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저면 좌우 양측에 상기 상판(20)과 평행하게 포개진 포갬 상태와 대략 90도 펼쳐 세워진 펼침 상태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2개의 판(plate)형 다리(40a, 40b; 통칭하여 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다리(40a, 40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져서, 세워진 두 개의(40a, 40b)에 의해 지지된 상판(20)이 일정 각도 경사져 있을 수 있고, 이는 상판(20)이 연주자가 익숙하게 연주할 수 있는 경사진 상태로 가야금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상기 다리(4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상판(20)의 저면과 상기 다리(40)의 상단 사이에는 힌지(미도시됨)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의 회전축 중심은 상기 다리의 상단 안쪽 모서리에 인접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0)은, 목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평평한 상면과 저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20)은, 무게를 줄이도록, 그리고, 다리(40)가 상판(20)에 평행하게 포개진 포갬 상태에서 이하 설명되는 가스 스프링(70) 일부를 수용하도록, 개구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받침 패드(24, 24)가 가야금을 이격된 상태로 그리고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리(40)은,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에 대하여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펼쳐 세워질 수 것으로서, 지면에 접하는 하단과 상판(20)에 접하는 상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40)은, 목재에 의해 판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포갬 상태에서 이하 설명되는 가스 스프링(70) 일부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다리(40)는,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에 대하여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져 세워지지만, 상기 다리(40)와 상기 상판(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미도시됨)에 의해 안쪽으로 회전하여 상판(20)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포개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의 펼침 상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펼침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제2 펼침 상태로 나뉜다. 그리고, 도 4는 운반하기 편한 포갬 상태이다.
연주자가 가야금을 연주할 때에는, 상기 가야금 받침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펼침 상태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2 펼침 상태에서 가야금을 받치고, 가야금 연주가 끝나면, 판형 다리(40)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져서, 편하게 운반 가능한 포갬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정면과 상기 다리(40)의 정면은 상기 다리(40)의 회전 각도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여기에서의 정면은 도 2, 도 및 도 4에서 보여지는 면을 말한다. 그리고, 평면, 저면, 측면은 이 정면을 기준으로 한 것임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상판(20)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 연결부재(50)와 이에 대응되게 상기 다리(4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 연결부재(60)와,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다리(40)의 내측면 측에 연결되는 가스 스프링(7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다리(40)가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특정 각도, 즉, 임계 각도에서 최대로 압축되며, 그 임계 각도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가스압에 의해 신장되어 다리(40)를 상판(20)에 대하여 자동으로 펼치거나 또는 다리(40)를 상판(20)에 포개지도록 자동으로 접는 신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부(72)와 상기 실린더부(72)와 동일 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7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로드부(74)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로드부(74)가 상기 실린더부(72) 내로 후퇴하여 전체 길이가 감소할 때 압축되며,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는 상기 다리(40)가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임의의 임계각도 지점이다. 따라서,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다리가(40)이 90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0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신장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펼침 상태, 즉, 다리(40)가 상판(20)에 대해 대략 90도 또는 90도 내외로 펼쳐져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다리(40)와 상기 상판(20) 사이를 고정하는 제1 잠금 고리 유닛(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고리 유닛(90)으로는 흔히 "매미 고리"로 칭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40)의 정면과 상기 상판(20)의 정면은 서로 거의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데, 상기 제1 잠금 고리 유닛(90)은 상기 상판(20)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922)와 후크 형상부(924)를 포함하는 후크부재(92)와,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92)의 후크 형상부(92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942) 및 상기 회전 고리부(942)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944)를 포함하는 고리부재(9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94)는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회전축 주위로 설치된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데, 이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전 고리부(942)와 상기 후크 형상부(924) 사이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부(944)를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원치 않는 회전 및 흔들림을 막는다. 상기 제1 잠금 고리 유닛(90)은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다리(40)와 상기 상판(20) 사이의 고정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연주자는 연주를 끝낸 후 토선스프링의 편향력에 대항하면서 회전 작동부(944)를 위로 들어 올리는 원터치 동작으로 후크 형상부(924)에 걸려 있던 회전 고리부(942)가 후크 형상부(924)로부터 빠지게 하여 쉽게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잠금 고리 유닛(9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면, 연주자는 다리(40)를 상판(20)과 접하는 각도인 O도가 되게 접는다. 다리(40)를 접는 중간 과정에서 임계 각도에 이르면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최대로 압축되고 그 다음에는 추가의 힘을 더하지 않아도 다리(40)의 가스 스프링(70)의 신장력에 의해 상판(20)과 평행하게 면하는 각도까지 접힌다. 상기 다리(40)가 상기 상판(20)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상판(20)과 평행한 상태로 대략 90도 회전하는 동안, 상기 가스 스프링(70) 또한 그에 대응하는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결국 상판(20)과 상기 다리(40)의 총 두께 영역 내에 누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일측 일부와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타측 일부가 각각 상기 다리(40)의 개구부(42) 및 상기 상판(20)의 개구부(22) 내에 수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40)는 다리 상부(42) 및 다리 하부(44)와, 상기 다리 상부(42)에 대하여 상기 다리 하부(44)를 상기 다리 상부(42)의 바깥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4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첩(46)은, 상기 다리 상부(42)에 대하여 상기 다리 하부(44)가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다리 하부(44)의 바깥면 상단과 상기 다리 하부(42)의 바깥면 하단 사이에 회전축을 구비한다. 다리 하부(44)가 바깥쪽으로 접히도록 회전되는 구성은 포갬 상태에서 다리 전체 두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포갬 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제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펼침 상태와 도 3에 도시된 제2 펼침 상태와 도 4에 도시된 포갬 상태를 갖는다.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40)가 상기 상판(20)과 직각을 이룬 태에서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가 동일 직선상에 있다. 반면, 제2 펼침 상태와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져 있다.
제1 펼침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가 동일 직선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다리(40)의 전체 길이는 가장 긴 상태가 되고, 대략 상기 다리 상부(42)의 길이와 상기 다리 하부(44)의 길이와 상기 상판(20)의 두께의 합이 가야금 받침대의 높이와 거의 같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주자는 가야금 받침대의 상판(20)에 가야금을 받치고 서 있는 상태로 가야금 연주를 할 수 있다.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져 있는 제2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져 있고, 상기 다리 상부(42)의 길이와 상판(20)의 두께의 합이 가야금 받침대(1)의 높이가 된다, 이 상태에서, 연주자는 가야금을 가야금 받침대의 상판(20)에 받친 상태로 의자에 앉아 가야금을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40)는, 상기 다리 상부(44)와 상기 다리 하부(42)가 동일 직선상에 있는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잠금 고리 유닛(4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잠금 고리 유닛(45)으로는 흔히 "매미 고리"로 칭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는 단부끼리 상하로 마주한 상태에서 동일 직선상에 놓이는데, 상기 제2 잠금 고리 유닛(45)은 상기 다리 상부(42)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4512)와 후크 형상부(4514)를 포함하는 후크부재(451)와, 상기 다리 하부(44)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451)의 후크 형상부(451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4524) 및 상기 회전 고리부(4524)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4522)를 포함하는 고리부재(4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452)는 상기 회전 작동부(4522)의 회전축 주위로 설치된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데, 이 토션스프링은 상기 회전 고리부(4524)와 상기 후크 형상부(4514) 사이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부(4522)를 상기 다리 하부(44)의 정면에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 작동부(4522)의 원치 않는 회전 및 흔들림을 막는다. 상기 제2 잠금 고리 유닛(45)은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다리 상부(42)와 상기 다리 하부(44) 사이의 고정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연주자는 연주를 끝낸 후 토선스프링의 편향력에 대항하면서 회전 작동부(4524)를 위로 들어 올리는 원터치 동작으로 후크 형상부(4514)에 걸려 있던 회전 고리부(4524)가 후크 형상부(4514)로부터 빠지게 하여 쉽게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잠금 고리 유닛(45)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면, 연주자는 다리 상부(42)와 동일 직선상에 있던 다리 하부(44)를 회전시켜 다리 하부(44)를 다리 상부(42)와 평행하게 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첩(46)이 상기 다리 하부(44)의 바깥면 상단과 상기 다리 하부(42)의 바깥면 하단 사이에 회전축을 구비하므로, 상기 다리 하부(44)는 상기 다리 상부(42)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에서, 상기 다리 하부(44)와 상기 다리 상부(42)가 평행하게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다리 하부(44)와 상기 다리 상부(42) 사이를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임시적 부착 수단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적 부착 수단은 자석(472)과 그 자석(472)에 부착되는 철재료부(474)를 포함한다. 상기 철재료부(474)는 자석 재료로 이루어질 있고 그 외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일반 철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472)이 다리 하부(44)에 설치되면, 철재료부(474)는 다리 상부(42)에 설치된다. 반대로, 자석(472)이 다리 상부(42)에 설치되면, 철재료부(474)는 다리 하부(44)에 설치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다리(40a, 40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져서, 세워진 두 개의(40a, 40b)에 의해 지지된 상판(20)이 일정 각도 경사져 있으며 이는 상판(20)이 연주자가 익숙하게 연주할 수 있는 경사진 상태로 가야금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두 다리(40a, 40b)의 하부(44, 44)의 길이는 같게 하고, 두 다리(40a, 40b)의 상부(42, 42) 길이만 다르게 함으로써, 제1 펼침 상태와 제2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의 기울기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에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의 다리 상부(44)의 내측면 각각에 설치된 쿠션부(4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쿠션부(48)는 제1 또는 제2 펼침 상태에서 포갬 상태로 가야금 받침대(1)가 변형될 때, 다리 상부(44)와 상판(20) 저면에 부딪히는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충격과 그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다리 상부(44)의 내측면 여러 영역 중 다리 상부(44)가 상판(20)과 포개질 때 상판(20)의 저면 중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접촉될 수 있는 영역에 상기 쿠션부(48)가 설치된다.
1...........................가야금 받침대(전통 현악기 받침대)
20..........................상판
40, 40a, 40b.................다리
42...........................다리 상부
44............................다리 하부

Claims (5)

  1. 제1 펼침 상태,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를 갖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로서,
    기다란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저면 좌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 또는 상기 제2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펼쳐 세워지고,
    상기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들 각각이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포개지며,
    상기 다리들 각각은 다리 상부 및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에 대하여 상기 다리 하부를 상기 다리 상부의 바깥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동일 직선상에 있고, 상기 제2 펼침 상태와 포갬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 상부와 상기 다리 하부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지고,
    상기 제2 펼침 상태 및 포갬 상태에서,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가 평행하게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 사이를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임시적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임시적 부착 수단은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 중 어느 하나의 바깥면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다리 하부와 상기 다리 상부 중 나머지 하나의 바깥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철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들은 제1 다리와 상기 제1 다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의 다리 상부는 상기 제2 다리의 다리 상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 펼침 상태의 상판 기울기와 제2 펼침 상태에서 상판의 기울기가 같도록, 상기 제1 다리의 다리 하부와 상기 제2 다리의 다리 하부는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4203U 2018-09-10 2018-09-10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91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3U KR200491589Y1 (ko) 2018-09-10 2018-09-10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3U KR200491589Y1 (ko) 2018-09-10 2018-09-10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171U Division KR20200000746U (ko) 2020-04-06 2020-04-06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09U KR20200000609U (ko) 2020-03-18
KR200491589Y1 true KR200491589Y1 (ko) 2020-05-28

Family

ID=6994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203U KR200491589Y1 (ko) 2018-09-10 2018-09-10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8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CN202959411U (zh) * 2012-09-28 2013-06-05 蔡万辉 折叠课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84Y1 (ko) * 2016-05-11 2018-01-30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CN202959411U (zh) * 2012-09-28 2013-06-05 蔡万辉 折叠课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09U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34B1 (en) Collapsible picnic table
US10638850B2 (en) Folding bed base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of use
US6431086B1 (en) Collapsible table
US6237993B1 (en) Foldable frame for beach chair
US5718473A (en) Folding chair
US4988064A (en) Tiltable tripod stand
US5713553A (en) Portable stand
US6729685B1 (en) Foldable wall supported seat
US6192809B1 (en) Collapsible folding massage table
US6494530B1 (en) Foldable chair
JP7373862B2 (ja) 折畳式簡易椅子用フレーム組立体
US20130119713A1 (en) Foldable chair
KR200485384Y1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6575422B1 (en) Foldable frame
KR200491589Y1 (ko)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20040195869A1 (en) Picnic table with benches
US6729243B2 (en) Table with self-storing leaf
US20120047650A1 (en) Bed that is Folded and Expanded Easily and Quickly
KR20200000746U (ko)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6739560B1 (en) Self-adjusting anti-glide apparatus
US9214141B2 (en) Stand and cradle for double bass and cello
KR101305420B1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US20130119739A1 (en) Foldable Chair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JPH10248675A (ja) テーブル展開チ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