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44Y1 - 전통악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전통악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44Y1
KR200311144Y1 KR20-2003-0002105U KR20030002105U KR200311144Y1 KR 200311144 Y1 KR200311144 Y1 KR 200311144Y1 KR 20030002105 U KR20030002105 U KR 20030002105U KR 200311144 Y1 KR200311144 Y1 KR 200311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usical instrument
pedestal
fix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훈
Original Assignee
임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훈 filed Critical 임창훈
Priority to KR20-2003-0002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우리나라 고유의 현악기를 받쳐서 연주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받침대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은 물론, 길이조절수단이나 높이조절수단, 악기의 기울기조절수단 및 수평조절수단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장소 등의 구애 없이 악기를 적절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한 전통악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통악기 받침대{SUPPORT FOR KOREAN MUSICAL INSTRUMENT}
본 고안은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우리나라 고유의 현악기를 받쳐서 연주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받침대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은 물론, 길이조절수단이나 높이조절수단, 악기의 기울기조절수단 및 수평조절수단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장소 등의 구애 없이 적절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가 편리한 전통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나라 전통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악기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통상 악기를 사용자의 무릎 위에 얹어서 연주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야금을 바닥에 앉아서 연주하게 될 경우, 책상다리를 하고 앉되, 오른쪽 무릎이 왼쪽 무릎보다 높게 하고, 가야금의 일측인 봉미 부분을 바닥에 내려놓은 후, 가야금의 몸체와 돌괘 부분을 차례로 왼쪽 무릎과 오른쪽 무릎에 각각 안착시켜 연주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세로 장시간동안 연주를 하게 되면, 악기의 무게로 인하여 다리에 하중이 가해져서 무릎과 같은 관절에 통증이 오게 되고, 또한 책상다리를 장시간동안 유지하여 다리를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쥐가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가야금을 의자에 앉아서 연주하게 될 경우에는 가야금의 봉미 부분을 바닥으로부터 20~30㎝ 정도 높이가 되도록 받침대로 고정하고, 오른쪽 다리가 왼쪽 다리보다 상승되는 자세로 하거나 이를 위하여 오른쪽 발에 발 받침대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세 역시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막을 길이 없고, 다리의 자세가 부동되어야 하므로 장시간동안 연주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뿐만 아니라,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가야금 봉미 부분의 받침대 및 발 받침대는 그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이며, 아울러, 근래에 우리나라 고유의 악기인 대북이나 징은 연주의 편리성을 위하여 각각 받침대나 걸이구와 같은 보조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도구들은 각 악기의 외형적인 이미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디자인되어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비교적 규모가 큰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에도 연주의 편리성을 위하여 그에 걸맞는 받침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이러한 요건까지 해결하고자 창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전통악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울러 받침대의 길이조절수단, 높이조절수단, 기울기 조절수단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연주자세에 맞도록 적절한 설치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이들을 조립/분해식으로 구성하고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편리한 전통악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조립된 일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요소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하부지지대 11, 21 : 하부연결대
20, 40 : 상부지지대 31, 41 : 상부연결대
32, 42 : 가로대삽입부 33, 43 : 높이조절가이드
34, 44 : 밀림방지구 50 : 암가로대
51 : 길이조절가이드 60 : 수가로대
61 : 연결구 70 : 조임구
80 : 기울기조절구 90 : 수평조절구
100 : 회절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분리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한 부호 10과 20은 각각 하부지지대를 나타내며, 이들의 각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면상 후방측 하부지지대(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프레임이 소정거리 이격되고 수직 상으로 입설된 하부지지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소정 위치에서 두 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연결대(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10)의 각 수직프레임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프레임을 갖는 상부지지대(30)는 그 상단에 각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연결대(3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대의 일측 선단에 밀림방지구(34)가 입설되며, 상부지지대(30)의 수직프레임의 측면 소정 위치에 각각 가로대삽입부(32)와 높이조절가이드(33)가 천설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0)와 상부지지대(30)의 연결 및 높이조절수단 구성은, 상부지지대(30)의 하단이 하부지지대(10)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하고, 하부지지대(10)의 상부 어느 위치를 관통하는 조임구(70)가 높이조절가이드(33)의 홈 어느 부위를 관통하여 나합에 의하여 회전 및 고정되는 것이며, 조임구(70)가 높이조절가이드(33)의 홈 구간 내의 임의위치에 고정되게 함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후방측 하부지지대(10)와 동일한 또 다른 전방측 하부지지대(20)의 프레임 상단에 삽입되는 상부지지대(40) 역시 상술한 후방측 상부지지대(30)와 동일하게 상부연결대(41), 가로대삽입부(42), 높이조절가이드(43) 및 밀림방지구(44)가 구비되어 있고, 그 연결 구성 역시 조임구(70)에 의하여 동일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상부지지대(40)의 길이가 후방측 상부지지대(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이 각 하부지지대(10)(20)에 조립되면 전방측 상부지지대(40)의 높이가 후방측 상부지지대(30)의 높이보다 높게 된다.
이는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전통악기가 상기 상부지지대(30)(40) 상에 걸쳐지게 안착될 때, 종래 오른쪽 무릎을 높게 하여 악기를 안착시키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가로대삽입부(32)(4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대는 각각 암가로대(50)와 수가로대(60)로 구성되는데, 암가로대(50)의 일측은 상기 후방측 상부지지대(30)의 가로대삽입구(32)를 관통, 삽설되어 조임구(70)에 의하여 나합 고정되고, 그 타단은 장방형으로 천공되거나 홈을 갖는 길이조절가이드(51)가 구비된다.
한편, 암가로대(50)와 연결되는 수가로대(60) 일측에서 돌출된 연결구(61)가 상기 암가로대(50)의 타단에 삽입되어 조임구(70)에 의하여 나합 고정됨과 동시에 조임구(70)가 길이조절가이드(51) 내의 임의의 고정 위치에 따라서 가로대의 길이가 조절되고, 수가로대(60)의 타단은 상기 전방측 상부지지대(40)의 가로대삽입부(41)를 관통하여 조임구(70)에 의하여 나합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80은 기울기조절구를 나타내고, 부호 90은 수평조절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조절구(80)는 상부연결대(31)(41) 상의 소정 위치에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데, 이들은 나합 수단에 의하여 상부연결대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서 높이가 조절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가야금이나 거문고가 각 상부연결대(31)(41)에 걸쳐서 놓일 때, 악기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지지대(10)(20)의 각 프레임의 하단에는 지면과 닿는 수평조절구(90)기 구비되는데, 이들은 각 프레임과 나합 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악기 받침대를 바닥에 안착시킬 때, 바닥으로부터의 수평을 조절하여 받침대가 기울어지거나 유동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조립된 일 상태도로서, 전술한 부호와 중복되는 부호의 표기는 생략하였으며, 각 도면(A)(B)을 대비하면 받침대의 길이와 높이가 서로 다르게 조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 (A)의 실시 상태는 하부지지대(10)(20)와 상부지지대(30)(40)의 연결 및 암가로대(50)와 수가로대(60)의 연결시 각각 높이 및 길이의 최대구간에서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2 (B)의 실시 상태는 하부지지대(10)(20)와 상부지지대(30)(40)의 연결 및 암가로대(50)와 수가로대(60)의 연결시 각각 높이 및 길이의 최소구간에서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조절은 조임구(70)가 각 조절가이드(33)(43)(51)의 범위 내에서 고정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이는 사용자의 체형 및 바닥에 앉아서 연주할 경우 또는 의자에 앉아서 연주할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밀림방지구(34)(44)는 악기를 안착하였을 경우, 악기가 뒤로 밀려서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악기의 저면과 직접 접촉되는 기울기조절구(80)는 상기 밀림방지구의 기능과 더불어 악기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제작하고, 또한 도 2 (A)에서와 같이 가로대(50)(60)가 상부지지대(30)(40)에 조립되는 위치를 설계할 때, 적어도 전방측 가로대(50′)(60′)는 각 상부지지대(30)(40)의 최상단 위치에 조립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바닥이나 의자에 착석할 때 무릎이 전방측 가로대(50′)(60′)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요소의 사용상태도로서, 하부지지대(10)(20) 및 상부지지대(30)(40)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절되어 부피가 축소되는 것을 상태별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가 편리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받침대는 각각 하부지지대(10)(20), 상부지지대(30)(40), 가로대(50)(60)로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보다 축소하기 위하여 하부지지대(10)(20) 및 상부지지대(30)(40)를 회절시켜 부피의 감소를 이룬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연결대(31)(41) 및 하부연결대(11)(21)는 각각 두 개로 분절되어 있고, 분절된 각 연결대(11)(21)(31)(41)의 선단, 즉 상부연결대 및 하부연결대의 중앙에는 타원형의 회절판(100)이 내삽되어 있으며, 회절판(100)은 그 좌우 단부에서 각각 제1축(101) 및 제2축(102)을 구성하여 분절된 각 연결대의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 상태(a)의 각 연결대(11)(21)(31)(41)의 일측이 제2축(102)을 중심으로 회절판(100)과 함께 회동하여 90°의 굴절상태(b)로 되고, 이어서 제1축(101)으로 중심으로 회동하여 180°의 각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상태(c)로 됨으로서 각 하부지지대(10)(20) 및 상부지지대(30)(40)는 분리된 상태에서 부피가 반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회절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연결대(11)(21)(31)(41)의 두께나 형상에 따라서 경첩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기타 부피를 감소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기구적 회절 수단의 설계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통악기 받침대에 의하면,
첫째, 전통악기를 연주할 경우 무릎이나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지 아니하면서도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동안 악기를 연주할 수 있게 되고,
둘째, 길이조절수단, 높이조절수단 및 기울기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연주 자세 등의 차이에 구애받지 않고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바닥에 앉아서 연주하거나 의장에 앉아서 연주할 경우에도 그 조건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셋째, 받침대의 분해/조립 및 회절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악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전통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고정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수직 입설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10)(20)는 각각 절첩 가능한 구조의 하부연결대(11)(21)로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단에 수직 삽설되는 상부지지대(30)(40)는 각각 절첩 가능한 구조의 상부연결대(31)(41)로 지지되며, 하부지지대(10)(20) 및 상부지지대(30)(40)는 각각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 고정되게 하되, 일측 상부지지대(30)보다 타측 상부지지대(40)가 높게 구성하고, 상기 각 상부지지대(30)(40)의 동일 높이의 소정위치에 양 선단이 고정되는 가로대는 암가로대(50)와 수가로대(60)로 분절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 고정되며, 이들이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악기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지지대(10)(20)의 하단 및 각 상부연결대(31)(41)의 상단 어느 소정부에는 받침대의 수평조절 및 악기의 기울기를 조절토록 나합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수평조절구(90) 및 기울기조절구(80)가 각각 적어도 4개 이상이 구비되어 승/하강되게 하며, 상기 기울기조절구는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악기 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연결대의 길이방향의 일측 상단에 밀림방지구(34)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악기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및 암가로대와 수가로대의 높이조절 및 길이조절 수단은 각 일측에 장방형의 홈이 천공된 높이조절가이드(33)(43) 및 길이조절가이드(51)가 구비되고 타측에 나합 고정된 조임구(70)가 더 구비되어 조임구(70)가 상기 각 가이드(33)(43)(51)의 범위 내의 어느 위치에서 고정되게 함으로서 높이 및 길이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악기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대(11)(21) 및 상부연결대(31)(41)의 절첩 구성은 각 연결대가 분절된 선단에 타원형의 회절판(100)이 내삽되고, 상기 회절판의 양측에 각 연결대의 분절된 선단과 회동 가능한 제1축(101) 및 제2축(102)을 각각 구성하여 분절된 일측 연결대가 180°까지 회절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악기 받침대.
KR20-2003-0002105U 2003-01-23 2003-01-23 전통악기 받침대 KR200311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05U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1-23 전통악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05U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1-23 전통악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44Y1 true KR200311144Y1 (ko) 2003-04-23

Family

ID=4940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05U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1-23 전통악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200489648Y1 (ko) 2018-03-19 2019-07-16 주진희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200489648Y1 (ko) 2018-03-19 2019-07-16 주진희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6589B (zh) 多功能简椅及其使用方法
US20070012827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US20090270236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s back and head area
US20150267859A1 (en) Keyboard stand
US20200121555A1 (en) Movable Barefoot Massage Grabbing Bar Rack
US20110232540A1 (en) Mobile support for notebooks, portable computers and the like
KR100924616B1 (ko) 다용도 책상
US20080035029A1 (en) Laptop computer desk
CN203860836U (zh) 多功能简椅
KR200311144Y1 (ko) 전통악기 받침대
KR20110027901A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첩식 간이침대
CN201063249Y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US20240164531A1 (en) Two-stage foot support device
KR20140083533A (ko) 비상 사다리 겸용 의자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200343442Y1 (ko) 헬스 자전거의 접이 장치
KR200354221Y1 (ko) 독서대
RU2254044C2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стул
KR200301432Y1 (ko) 의자용 발판
AU2007100069B4 (en) Game box
KR200480600Y1 (ko) 높이 조절형 책상
KR20010011239A (ko) 접철형 의자
JP4275684B2 (ja) ハイブリッドチェアー
JP3086095U (ja) 椅 子
KR200358718Y1 (ko) 도서열람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