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239A - 접철형 의자 - Google Patents

접철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239A
KR20010011239A KR1019990030516A KR19990030516A KR20010011239A KR 20010011239 A KR20010011239 A KR 20010011239A KR 1019990030516 A KR1019990030516 A KR 1019990030516A KR 19990030516 A KR19990030516 A KR 19990030516A KR 20010011239 A KR20010011239 A KR 2001001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haft
height
driven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646B1 (ko
Inventor
김일해
Original Assignee
김일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해 filed Critical 김일해
Priority to KR101999003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6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3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형 의자를 개선하여 높,낮이조절과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탈이 자유로운 테이블을 더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접철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의자(10)는 (X)타입으로 결합되어 접철되는 한쌍의 지지다리(11,12)와,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역시 중간부가 접철되는 좌판(13), 상기 좌판(13)의 후방에서 지지다리(11,12)와 연결되는 등받이(14) 및 상기 좌판(13)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테이블(15)로 크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다리(11,12)와 좌판(13), 등받이(14) 및 보조테이블에는 접철수단과 높,낮이조절수단을 더 가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접철형 의자{Portable chair}
본 발명은 접철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와 보조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접철형의자를 개선하여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높,낮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접철형 의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접철형 의자는 접었을 경우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와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낚시나 기타 야외등지로 이동할 때 많이 애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접철형 의자는 단순히 금속재질의 프레임을 (X)자형태로 교차시키고, 그 상단부에 직물재질로 된 받침대를 연결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한 단순구성의 것과;
프레임과 받침대를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철형 의자는 단순히 의자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펼쳐서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만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접철형 의자는 단일의 규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과는 관계없이 의자를 펼쳤을 때 동일한 크기로만 한정되기 때문에 의자에 적합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자 외에 신체가 크거나 작은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상당히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접철형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며, 특히 종래의 접철형 의자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가질 뿐 테이블을 함께 구비하는 의자는 없었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을 가졌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접철형 의자를 개선하여 높,낮이조절과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탈이 자유로운 테이블을 더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접철형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C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D부위를 발췌한 파절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E부위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F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G부위를 발췌한 평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H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접철형 의자
11,12; 지지다리
13; 좌판
14; 등받이
15; 보조테이블
20; 케이스
50; 등받이프레임
70; 유지바
71; 간이테이블
72; 지지바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접철형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C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D부위를 발췌한 파절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E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F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G부위를 발췌한 평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의자의 H부위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철형 의자(10)는;
의자(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X)타입으로 결합되어 접철되는 한쌍의 지지다리(11,12)와,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역시 중간부가 접철되는 좌판(13), 상기 좌판(13)의 후방에서 지지다리(11,12)와 연결되는 등받이(14) 및 상기 좌판(13)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테이블(15)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다리(11,12)는;
케이스(20)에 수용되는 상부바(21)와 하부바(22)로 구성하여 상부바(21)는 좌판(13)과 하부바(22)는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유동방지바(23)와 힌지축(24)으로 연결한다.
상기 상,하부바(21,22)를 수용하는 케이스(20)의 중심에는 횡방향으로 샤프트(25)를 연결하여 한쌍의 지지다리(11,12)가 접철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20)의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샤프트(25)에는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조절핸들(26)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구동베벨기어(27,28)를 베어링(29)을 개재시켜 고정한다.
상기 구동베벨기어(27,28)에는 상,하부바(21,22)의 중심에 나사결합된 나사축(30)의 상,하단부에 고정되고, 케이스(20)와 베어링(31)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동베벨기어(32,33)를 연접시켜 구동베벨기어(27,28)에 의하여 상,하부바(21,22)가 케이스(20)의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의자(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샤프트(25)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27)의 외측에는 케이스(2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스크류타입 스토퍼(35)의 내측단부와 결합된 스톱베벨기어(36)를 더 구비하여 높,낮이조절이 완료된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의 움직임을 제한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톱베벨기어(36)는 스토퍼(35)에 의하여 샤프트(25)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좌판(13)은 중앙부를 분리하여 힌지(경첩;40)으로 연결하여 중심부가 상방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착석시에는 좌판(13)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부바(21)와 힌지축(24)으로 연결되는 좌판(13)의 내측에는 보강리브(41)에 의하여 구획된 슬라이딩레일(4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42)에 힌지축(24)의 양단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축(24)의 양단부에는 로울러(43)를 고정하여 슬라이딩레일(42)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지다리(11,12)가 높,낮이조절에 의하여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판(13)과 지지다리(11,12)의 후방에 연결되는 등받이(14)는 좌판(13)과 지지다리(11,12)와의 연결부위에 섹터기어와 로크기어 및 레버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리클라이닝수단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등받이(14)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14)를 구성하는 등받이프레임(50)의 내측에는 등받이쿠션(51)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쿠션(51)은 등받이프레임(50) 전체높이의 반정도로 하여 하단부 양측은 힌지(52)로 고정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물론, 상기 등받이쿠션(51)의 상단부와 등받이프레임(50)의 상단부에는 통상적인 스토퍼를 구비하여 등받이쿠션(51)의 움직임과 정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보조테이블(15)은;
등받이프레임(50)에 후단부를 고정수단(75)으로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유지바(70)의 선측에 고정되는 간이테이블(71)과 상기 간이테이블(71)의 선단부 중앙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유동방지바(23)와 결합고정되는 지지바(7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5)은 등받이프레임(50)에 고정되는 고정체(73)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볼트(74)에 유지바(70)의 끝단부를 관통시킨 후 너트(74')로 고정시켜 구성한다.
상기 유지바(70)의 선측에 고정되는 간이테이블(71)은 유지바(70)의 전,후방향으로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간이테이블(71)에 유지바(70)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관(76)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관(76)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스톱홈(77)을 형성하여 유지바(70)의 선측에 강구(78)와 스프링(78')으로 구성되는 제한수단(79)에 의하여 수납 및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바(72)는 높,낮이조절되는 지지다리(11,12)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수단(80)을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80)은, 간이테이블(71)의 저면에 고정되는 서포팅블럭(81)의 내부에 구동축(82)을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상면에는 접철형의 핸들(83)을 가지고 베어링(84)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작동자(85)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자(85)의 하방에는 구동축(8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86)을 상면에 가지는 피동축(87)을 연결한다.
상기 피동축((87)의 하방은 지지다리(11,12)의 유동방지바(23)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88)에 볼트,너트조합(89)으로 단속되는 베이스(90)와 결합한다.
상기 베이스(90)의 중앙에는 스크류바(91)를 돌출시켜 피동축(87)에 형성되는 스크류홈(92)과 결합시켜 작동자(85)의 회전으로 피동축(87)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82)과 피동축(87)에 형성되는 삽입홈(86)은 회전시 슬립발생이 억제되도록 다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포팅블럭(81)의 하방에 후방은 개방되고 전방은 폐색된 후육부(93)를 더 형성하여 피동축(87)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피동축(87)이 펼쳐졌을 때 피동축(87)이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동축(87)의 중간부위에는 접철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결부(95)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95)는 양분된 피동축(87)의 연접부위(96)에 형성된 개구(97)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 상,하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한 작동개구(99)를 형성한 유지판(98)을 삽입하여 연결핀(100)으로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95)의 외면에는 연결부로 인한 피동축(87)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초기상태를 본 발명의 접철형 의자(10)가 펼쳐진 상태로 보았을 때 사용자가 펼쳐진 의자(10)를 통상적인 의자를 사용하듯이 사용하면 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의자의 높,낮이와 등받이(14)의 각도를 적합하게 조절하거나, 필요에 따라 보조테이블(15)을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의자(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10)를 유지하고 있는 지지다리(11,12)의 측방으로 돌출된 조절핸들(26)을 잡고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케이스(20)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샤프트(25)가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25)의 회전으로 샤프트(25)에 고정되어 베어링(29)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동베벨기어(27,28)가 회전하고, 이 구동베벨기어(27,28)와 맞물린 피동베벨기어(32,33)가 회전함으로서 나사축(30)이 회전한다.
그러므로, 케이스(20)에 수용되어 나사축(30)과 결합된 상,하부바(21,22)가 승,강하여 의자전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25)를 작동시킬 때에는 케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35)를 회전시켜 스톱베벨기어(36)가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한다.
지지다리(11,12)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스토퍼(35)를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스톱베벨기어(36)가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와 연접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무게등으로 인하여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의 회전으로 높,낮이조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에는 상부바(21)의 힌지축(24) 양단부에 고정된 로울러(43)가 좌판(13)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42)을 따라 활주함으로서 지지다리(11,12)가 높,낮이변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11,12)의 높,낮이를 조절할 후에는 등받이(14)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리클라이닝수단을 이용하여 등받이프레임(50)을 좌판(13)의 전,후방향으로 각도변화를 줌으로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14)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보조테이블(15)을 펼쳐서 독서나, 메모(필기) 및 간단한 식사등의 행동시 편리함을 추구하면 된다.
상기 보조테이블(15)은 고정수단(75)을 이용하여 등받이프레임(50)에 유지바(70)를 고정시키되, 좌판(13)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바(70)에 수납된 간이테이블(71)을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인출하면 펼쳐짐이 완료된다.
상기 간이테이블(71)을 인출하게되면 간이테이블(71)을 고정하고 이쑈는 삽입관(76)에 형성된 스톱홈(77)에 유지바(70)에 구비되는 제한수단(79)의 강구(78)가 스프링(78')에 의하여 삽입됨으로서 인출 또는 수납된 상태를 고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테이블(15)의 간이테이블(71)을 펼치고 안 후에는 접혀진 피동축(87)을 회전시켜 펼친 후 피동축(87)의 상단부를 작동자(85)의 구동축(82)과 결합하면 된다.
상기 피동축(87)은 하단부가 유동방지바(23)와 결합된 베이스(90)의 상방으로 돌출된 스크류바(9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접혀져 있으나, 피동축(87)을 펼침으로서 유동방지바(23)가 회동하여 직립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혀진 피동축(87)의 연결부(95)를 펼친 후 연접부위(96)가 일치하도록 밀착시키면, 연접부위(96)에 형성된 개구(97)에 삽입된 유지판(98)의 작동개구(99)를 따라 연결핀(100)이 작동개구(99)의 하측과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펼쳐진 피동축(87)이 움직이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접부위(96)를 커버(101)로 감싸줌으로서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연접부위(96)의 절곡등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바(72)의 펼침과 연결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바(72)에 구비되는 높,낮이조절수단(80)을 이용하여 높,낮이가 조절된 지지다리(11,12)의 높이만큼 조절하면된다.
상기 지지바(72)의 높,낮이조절은, 간이테이블(71)의 상면에 노출되는 작동자(85)에 구비되는 핸들(83)을 세워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피동축(87)이 회전하여 베이스(9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83)을 회전시키면 간이테이블(71)의 하방에 고정되는 서포팅블럭(81)에 베어링(84)에 의하여 유지되는 작동자(85)의 구동축(82)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축(82)을 수용하여 결합하고 있는 피동축(87)이 구동축(82)을 따라서 회전하고, 피동축(87)은 유동방지바(23)와 고정된 베이스(90)에 돌출된 스크류바(91)와 스크류홈(92)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정,역방향에 따라 피동축(87)이 스크류바(91)를 따라서 승,강함으로서 가능하여진다.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11,12)와 등받이(14) 및 보조테이블(15)의 높,낮이와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사용한 후 접철형 의자(10)의 사용을 중지하고 접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테이블(15)과 지지바(72), 좌판(13), 등받이(14)이 및 지지다리(11,12)를 순차적으로 접으면 된다.
보조테이블(15)은 간이테이블(71)의 하방에 구비되는 서포팅블럭(81)과 지지바(72)를 분리한 후, 간이테이블(71)을 유지바(70)방향으로 밀어 접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바(70)와 등받이프레임(50)을 고정시키고 있는 너트(74')를 풀어서 유지바(70)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한다.
간이테이블(71)로부터 분리된 지지바(72)는 피동축(87)의 연결부(95)를 접고 다시 베이스(90)를 고정하고 있는 유동방지바(23)를 접는다.
상기 연결부(95)를 접을 때에는 피동축(87)의 연접부위(96) 상,하측을 잡고 당기면 연접부위(96)와 유지판(98)의 작동개구(99)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핀(100)이 직사각형의 개구에서 원형의 개구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양분된 피동축(87)이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게된다.
물론, 상기 양분된 피동축(87)을 접을 때에는 연접부위(96)를 감싸고 있던 커버(101)를 이탈시켜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판(13)의 중심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접혀지도록 하고 동시에 지지다리(11,12)를 일자형으로 접고, 등받이(14)를 순차적으로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접철형 의자를 개선하여 높,낮이조절과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탈이 자유로운 테이블을 더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접철형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의자(10)는 (X)타입으로 결합되어 접철되는 한쌍의 지지다리(11,12)와,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역시 중간부가 접철되는 좌판(13), 상기 좌판(13)의 후방에서 지지다리(11,12)와 연결되는 등받이(14) 및 상기 좌판(13)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테이블(15)로 크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다리(11,12)는;
    상,하단부를 각각 좌판(13)과 유동방지바(23)와 힌지축(24)으로 연결한 상,하부바(21,22)를 수용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중심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일측단부에 조절핸들(26)을 가지는 샤프트(25);
    상기 샤프트(25)에는 구동베벨기어(27,28)를 고정하여 케이스(20)에 개재되는 베어링(29)으로 유지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27,28)에는 상,하부바(21,22)의 중심에 나사결합된 나사축(30)의 상,하단부에 고정되어 케이스(20)와 베어링(31)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동베벨기어(32,33)를 연접시키켜 구동베벨기어(27,28)에 의하여 상,하부바(21,22)가 케이스(20)의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샤프트(25)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27)의 외측에는 높,낮이조절이 완료된 구동 및 피동베벨기어(27,28,32,33)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케이스(20)외측에서 결합되는 스토퍼(35)에 의하여 샤프트(25)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스톱베벨기어(3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좌판(13)은;
    중앙부를 분리하여 힌지(40)로 연결하여 중심부가 상방으로 접혀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다리(11,12)의 상부바(21)와 힌지축(24)으로 연결되는 좌판(13)의 내측에는 보강리브(41)의 구획으로 형성되어 높,낮이조절되는 지지다리(11,12)가 활주할 수 있도록 힌지축(24)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로울러(43)가 안치될 수 있는 슬라이딩레일(42)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14)는;
    등받이쿠션(51)을 힌지(52)고정한 등받이프레임(50)과, 등받이프레임(50)의 각도 가변을 위한 통상적인 리클라이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테이블(15)은;
    상기 등받이프레임(50)에 고정수단(75)으로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유지바(70)와, 상기 유지바(70)의 선측에 고정되는 간이테이블(71)과;
    상기 간이테이블(71)의 선단부 중앙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유동방지바(23)와 결합고정되는 지지바(72)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75)은 등받이프레임(50)에 고정되는 고정체(73)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볼트(74)에 유지바(70)의 끝단부를 관통시킨 후 너트(74')로 구성하고;
    상기 간이테이블(71)은 유지바(70)의 전,후방향으로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간이테이블(71)에 유지바(70)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관(76)과;
    상기 삽입관(76)에 형성되는 스톱홈(77)과 상기 유지바(70)에 강구(78)와 스프링(78')으로 구성되는 제한수단(79)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바(70)의 선측에 고정되는 간이테이블(71)의 저면에서 유동방지바(23)상간에 연결되는 지지바(72)는 높,낮이조절되는 지지다리(11,12)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수단(80)을 더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80)은;
    상기 간이테이블(71)의 저면에 고정되는 서포팅블럭(81)의 내부에 개재되는 베어링(84)에 의하여 유지되고, 상면에는 접철형의 핸들(83)을 가지고 하방으로는 구동축(82)을 돌출시킨 작동자(85)와;
    상기 구동축(8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면에 삽입홈(86)을 가지고, 하방은 지지다리(11,12)의 유동방지바(23)의 브라켓(88)에 볼트,너트조합(89)으로 결합되는 베이스(90)에 삽입시켜 작동자(85)의 하방에 결합되는 피동축(87);
    상기 베이스(90)의 중심에는 스크류바(91)를 돌출시켜 피동축(87)의 스크류홈(92)과 결합시켜 작동자(85)에 의하여 피동축(87)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87)의 중간부위는 접철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93)는 양분된 피동축(87)의 연접부위(96)에 형성된 개구(97)에 직사각형상의 개구 상,하측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한 작동개구(99)를 형성하여 피동축(87)과 연결핀(100)으로 결합되는 유지판(98)과;
    상기 연결부(95)의 외면에는 연결부로 인한 피동축(87)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의자.
KR1019990030516A 1999-07-27 1999-07-27 접철형 의자 KR10031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516A KR100315646B1 (ko) 1999-07-27 1999-07-27 접철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516A KR100315646B1 (ko) 1999-07-27 1999-07-27 접철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239A true KR20010011239A (ko) 2001-02-15
KR100315646B1 KR100315646B1 (ko) 2001-11-30

Family

ID=1960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516A KR100315646B1 (ko) 1999-07-27 1999-07-27 접철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40B1 (ko) * 2007-07-19 2009-02-18 정정한 허리 교정용 의자
CN107997484A (zh) * 2018-01-17 2018-05-08 陈俊翰 一种新型婴儿椅
CN109381777A (zh) * 2018-11-29 2019-02-26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附属医院) 一种多功能麻醉科用辅助麻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49B1 (ko) 2010-06-08 2011-01-18 오형미 덮개를 구비한 벤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540B1 (ko) * 2007-07-19 2009-02-18 정정한 허리 교정용 의자
CN107997484A (zh) * 2018-01-17 2018-05-08 陈俊翰 一种新型婴儿椅
CN109381777A (zh) * 2018-11-29 2019-02-26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附属医院) 一种多功能麻醉科用辅助麻醉装置
CN109381777B (zh) * 2018-11-29 2023-11-03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多功能麻醉科用辅助麻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5646B1 (ko) 200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459B2 (en) Adjustable chair
EP0173372B1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CN103976589A (zh) 多功能简椅及其使用方法
US20060138808A1 (en) Collapsible easy chair
US4614377A (en) Foldable lounge chair
KR200393407Y1 (ko) 보조책상을 갖는 학생용 책상
CN203860836U (zh) 多功能简椅
JP2006515771A (ja) 腰掛装置
KR100315646B1 (ko) 접철형 의자
US3709554A (en) Adjustable chair
JPH04231914A (ja) 椅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US4699422A (en)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US11617441B2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KR20100103233A (ko) 접이식 의자
US2147100A (en) Foldable seat
JP3973653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0990509B1 (ko) 의자
RU2816599C1 (ru) Комплект мебели, стол, стул
JPH0450841Y2 (ko)
KR200157615Y1 (ko) 의자의 위치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책상
KR102088738B1 (ko)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RU2254044C2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стул
KR200292584Y1 (ko) 접이식 침대
KR200429658Y1 (ko) 수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