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58Y1 - 수강용 의자 - Google Patents

수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58Y1
KR200429658Y1 KR2020060020169U KR20060020169U KR200429658Y1 KR 200429658 Y1 KR200429658 Y1 KR 200429658Y1 KR 2020060020169 U KR2020060020169 U KR 2020060020169U KR 20060020169 U KR20060020169 U KR 20060020169U KR 200429658 Y1 KR200429658 Y1 KR 200429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air
acupressure
bars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준
Original Assignee
백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준 filed Critical 백남준
Priority to KR202006002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3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with double foot-rests or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강용 의자는 사용자가 앉게 되는 착석판, 등판, 상기 착석판 및 등판을 지지하는 수직다리 및 수평다리를 포함하는 수강용 의자에서 수평다리의 전방쪽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회동바; 상기 한 쌍의 회동바 중에 일측 회동바에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타측 회동바에 타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중심축봉; 및 상기 중심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일체화된 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강용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을 자유롭게 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강, 의자, 지압, 발바닥, 회동

Description

수강용 의자{Chair for Lectur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강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지압장치가 후방으로 회동하여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4는 도 1에서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면 10...수강용 의자
12...착석판 14...등판
20...지지부 30...지압장치
32...제1 회동바 42...제2 회동바
50...지압부재 52...제1 지압부재
56...제2 지압부재
본 고안은 수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수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경우에 의자에 앉아서 수업을 받게 되며, 학교 이외의 학원 등지에서 별도의 수업을 받는 경우에도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게 된다. 결국,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의자에 앉아서 공부 등의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활동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특히, 사람의 발바닥은 앉아 있는 경우에 자연적으로 인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중력에 의해 혈액이 몰리게 되며,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는 발부위에서 혈액이 순환되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며, 나아가 발부위에서 혈액이 순환되지 않아 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수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압장치를 의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지압장치가 차지하는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지지바에 의해 서로 이격 상태로 연결되며 지면 상에 지지되는 수평다리와, 상부 지지바에 의해 서로 이격 상태로 연결 되며 그 하단이 상기 수평다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다리와 직각을 이루는 수직다리와, 상기 수직다리의 상단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착석판 및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판으로 구성된 수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수평다리의 전방쪽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결합점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회동바; 상기 한 쌍의 회동바 중에 일측 회동바에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타측 회동바에 타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중심축봉; 및 상기 중심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일체화된 지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바를 전방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를 사용하거나 상기 한 쌍의 회동바를 후방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회동바는 그 전방쪽이 힌지 결합된 후방쪽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각 회동바를 전방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회동바의 전방쪽 끝단이 지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강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강용 의자(10)는 사용자가 앉게 되는 착석판(12), 착석판(12)을 지지하는 지지부(20) 및 지지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되는 지압장치(30)를 구비한다.
착석판(12)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착석판(12)은 프레임(16)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에 의해 설치된다. 이 경우, 체결부재(13)는 착석판(12)의 상부로 돌출하는 경우에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는 경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수강용 의자(10)는 바람직하게 등판(14)을 더 포함한다. 등판(14)은 착석판(1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프레임(16)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5)에 의해 설치된다. 사용자가 착석판(12)에 앉아서 후술하는 지압장치(30)에 의해 발을 지압하는 경우, 등판(14)은 사용자의 등을 지탱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착석판(12) 및 등판(14)은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20)는 착석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착석판(12)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수직다리(22)와 수직다리(22)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다리(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20)에 의해 본 고안의 수강용 의자(10)가 지면(도 2참조, 1)에 안정하게 놓일 수 있다. 한편, 수평다리(24)의 양단부에는 고무패킹(25)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고무패킹(25)과 지면(1)과의 마찰력에 의해 의자(1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지지바(23, 26)가 한 쌍의 수직다리(22) 및 수평다 리(24)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다리(22) 및 수평평다리(24)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의자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본 고안의 지압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하부에는 지압장치(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압장치(30)는 한 쌍의 수평다리(24)의 전방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지압장치(30)는 수평다리(2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동바(32, 42), 제1 및 제2 회동바(32, 42)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는 중심축봉(60), 및 중심축봉(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압부재(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는 수평다리(24)의 전방 단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수평다리(24)의 전방 단부에는 회동축부재(36, 46)가 형성되며, 회동축(34, 44)이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일단부와 회동축부재(36, 4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는 회동축(34, 44)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게 되며, 이 경우 중심축봉(60)에 의해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는 서로 연결되어, 지면(도 2 참조, 1)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이루면서 대칭적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타단부에는 절곡부(35, 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35, 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동 바(32, 42)의 타단부가 지지부(20)의 외부를 향하도록 절곡된다. 절곡부(35, 45)의 절곡되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절곡부(35, 45)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타단부는 지면에 접촉하게 되어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중심축봉(60)은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절곡부(35, 45)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타단부에 절곡부(35, 45)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회동부재(32, 42)를 도 1과 같이 전방을 향해 회동시켜 펼치게 되면, 그 타단부는 지면에 접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동바(32, 42)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펼쳐진 경우, 그 절곡부(35, 45)에 의해 제1 및 제2회동바(32, 42)의 타단부는 지면(1)에 접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지압장치(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수강용 의자(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직다리(22)에 인접하도록 지압장치(30)를 접게 된다. 이에 의해, 지압장치(30)가 전방으로 펼쳐져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의자를 보관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압부재(50)는 제1 및 제2 회동바(32, 42) 사이에 고정된 중심축봉(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표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53, 57)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 지압부재(50)는 하나만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양발을 지압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각 별도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지압부재(52, 56)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지압부재(52, 56)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지압돌기(53, 57)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지압돌기(53, 57)는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각 지압부재(52, 56)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지압부재(50)는 각각 별도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지압부재(52, 56)를 포함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우측 발바닥을 제1 지압부재(52)의 상부에, 좌측 발바닥을 제2 지압부재(56)의 상부에 올려놓고 각 발바닥으로 제1 및 제2 지압부재(52, 56)를 눌러서 회전시킴으로써, 지압돌기(53, 57)에 의해 발바닥을 지압하게 된다. 이 경우, 각 발바닥을 제1 및 제2 지압부재(52, 56)에 의해 각각 지압하게 되므로, 하나의 지압부재에 의해 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각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압부재(52, 56)는 제1 및 제2 회동바(32, 42)의 타단부 사이에 고정된 중심축봉(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동바(도 1 참조, 32, 42)의 타단부에는 중심축봉(60)이 고정되어 설치되며, 중심축봉(60)을 중심으로 제1 지압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지압부재(52)는 중심축봉(60)의 표면과 바로 접촉하여 회전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압부재(52)와 중심축봉(60) 사이에 베어링(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62)은 제1 지압부재(52)가 중심축봉(6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제1 지압부재(52)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서는 고무 베어링(62)을 채용하여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2 지압부재(도 1 참조, 56)도 전술한 제1 지압부재(52)와 유사한 구조에 의해 중심축봉(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수강용 의자(10)를 사용하여 발바닥을 지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장치(30)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사용자는 착석판(12)에 앉게 되며, 우측 발바닥을 제1 지압부재(52)의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발바닥으로 제1 지압부재(52)를 눌러서 회전시키게 되며, 제1 지압부재(52)의 회전에 의해 발바닥은 지압돌기(53)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압이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좌측 발바닥을 제2 지압부재(도 1 참조, 56)의 상부에 올려놓고 마찬가지로 제2 지압부재(56)를 회전시켜 지압을 하게 된다.
한편, 의자에 착석하여 지압장치(30)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장치(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접게 된다. 사용자는 손 또는 발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회동바(32, 4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지압장치(30)는 의자(10)의 다리(22)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그 부피를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지압장치(30)가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지압장치(30)가 의자(10)의 전방으로 돌출하여 위치하지 않으므로 지압장치(30)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의자에 착석하여 지압장치(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압장치(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발에 지압장치(30)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압장치(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적은 공간에도 보다 용이하게 본 고안의 의자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강용 의자는 의자의 하부에 지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압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압장치를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 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압부재는 각각 별도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지압부재를 포함하여, 우측 및 좌측 발바닥을 각각 별도로 지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하부 지지바(26)에 의해 서로 이격 상태로 연결되며 지면(1)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수평다리(24)와, 상부 지지바(23)에 의해 서로 이격 상태로 연결되며 그 하단이 상기 수평다리(2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다리(24)와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수직다리(22)와, 상기 수직다리(22)의 상단에 고정된 프레임(16)과, 상기 프레임(16)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착석판(12) 및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판(14)으로 구성된 수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다리(24)의 전방쪽 양측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회동바(32, 42);
    상기 한 쌍의 회동바(32, 42) 중에 일측 회동바에 일단이 고정됨과 함께 타측 회동바에 타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중심축봉(60); 및
    상기 중심축봉(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지압돌기(53)가 일체화된 지압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바(32, 42)를 전방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50)를 사용하거나 상기 한 쌍의 회동바(32, 42)를 후방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50)를 사용하지 않거나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바(32, 42)는 그 전방쪽이 힌지 결합된 후방쪽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각 회동바를 전방쪽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압부재(5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회동바(32, 42)의 전방쪽 끝단이 지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용 의자.
KR2020060020169U 2006-07-26 2006-07-26 수강용 의자 KR200429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9U KR200429658Y1 (ko) 2006-07-26 2006-07-26 수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9U KR200429658Y1 (ko) 2006-07-26 2006-07-26 수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58Y1 true KR200429658Y1 (ko) 2006-10-26

Family

ID=4177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69U KR200429658Y1 (ko) 2006-07-26 2006-07-26 수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162B1 (ko) 2020-05-28 2020-12-09 (주)캠퍼스라인 친환경 통기공이 구비된 학생용 의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162B1 (ko) 2020-05-28 2020-12-09 (주)캠퍼스라인 친환경 통기공이 구비된 학생용 의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419B2 (en) Portable work support and keyboard/mouse tray and work station and tethered chair
US6101652A (en) Stirrups
JP2007503281A (ja) 背部支持システム
JPS6111605B2 (ko)
JP2000135144A (ja) 携帯用折畳式椅子
US7338125B2 (en) Rehabilitative and recreational armchair
JPH0212565B2 (ko)
US4030487A (en) Foldable vibration massage device
JP2013046838A (ja) マッサージ機
US5374109A (en)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KR200429658Y1 (ko) 수강용 의자
EP3435822B1 (en) Body support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JP2005168514A (ja) 運動用器具の腰掛けおよび運動用器具
US5181764A (en) Chair and seat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KR101884131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KR20120013711A (ko) 자세교정용 발받침대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H0123492Y2 (ko)
KR200429659Y1 (ko) 의자
KR101073585B1 (ko) 교구용 의자
JP2010057853A (ja) オットマン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JPH0141313Y2 (ko)
KR20240058297A (ko) 휴대용 방석과 결합되는 허리지지용 좌식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