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585B1 - 교구용 의자 - Google Patents

교구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585B1
KR101073585B1 KR1020100012752A KR20100012752A KR101073585B1 KR 101073585 B1 KR101073585 B1 KR 101073585B1 KR 1020100012752 A KR1020100012752 A KR 1020100012752A KR 20100012752 A KR20100012752 A KR 20100012752A KR 101073585 B1 KR101073585 B1 KR 10107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guide
seat
chai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92A (ko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주)피엠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엠제이테크 filed Critical (주)피엠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1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5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구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이 돌출형성되는 좌판과, 내측면이 상기 좌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좌판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회동시 상기 좌판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의 회동이 용이하면서도 단가가 저렴하여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매출증대를 가져올 수 있고, 동일 메카니즘에 의해 좌판의 회동 및 좌판의 접기가 모두 구현가능하여 미사용시에 적재가 용이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구용 의자{Chair For Teaching Tool}
본 발명은 교구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가이드 프레임 구조에 의해 좌판의 회동 및 좌판 접기가 매우 용이한 교구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것으로서,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 상체의 무게 중심선과 의자의 중심선이 달라져서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해 지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체를 앞쪽으로, 즉 책상쪽으로 숙이면 두 중심선들이 일치되어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상체를 앞쪽으로 숙여서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척추 앞면은 수축되고, 뒷면은 팽팽하게 긴장되어 디스크와 각종 척추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앞으로 숙이게 되면, 폐를 비롯한 각종 장기(臟器)가 눌리게 되어 산소 섭취량 감소, 혈액 순환 장애, 만성적 소화불량, 근육의 긴장, 피로 누적, 근시 위험과 학습 부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꼿꼿하게 앉아 있어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의식적인 노력만으로 의자에 장시간 꼿꼿이 앉아 있기는 불가능하고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각종 통증을 수반한다.
이에, 사무용 의자의 경우 사용자의 착석시 좌판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요추가 곧추설 수 있도록 하는 의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좌판 회동이 가능한 사무용 의자는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고가이므로 교구용 의자와 같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로 제작되어야 하는 의자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10-0512607호에는 좌판의 회동이 가능한 교구용 의자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교구용 의자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등록특허 10-0512607호에 따른 교구용 의자는 후방 다리(112)로부터 "∩"자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등받이가 결합되는 후방 지지프레임(112a)과, 후방 지지프레임상(113)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 지지프레임(119) 상부에 장착되는 좌판부(100)로 이루어진 교구용 의자에 있어서, 후방 지지프레임(112a)상에 수평 지지프레임(119)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수평 지지프레임(119)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후방다리(112)상에 " ]"형태의 수평프레임(114b)이 고정 장착되며 수평프레임(114b)의 전방 단부 사이에 고정로드(120)가 구비되어 좌판부(110)를 지지하는 수평 지지프레임(119) 전방 양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판지지 브라켓(113)의 걸림홈(113a)중의 어느 하나가 고정로드(20)에 괘지되면서 좌판부(110)의 경사 각도가 임의 조절되도록 하며, 수평프레임(114b) 전방 단부측에서 지면에 지지되도록 절곡 지지부(114a)가 일체로 연장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114) 상단부에 별도의 고정프레임(118)에 의해서 경사지게 지지되는 상판(117)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 지지프레임(114)의 경사 구간상에 전방 걸림홈(116a)이 구비된 브라켓(116)이 장착되어 상기 걸림홈(116a)상에 양측 지지대 고정구(115b)의 결합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무릎지지대(115)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좌판부(110)의 경사각도 조절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좌판부(110)가 수평지지 프레임(119)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좌판부(110)를 접어 의자들을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가이드 프레임 구조에 의해 좌판의 회동 및 좌판 접기가 매우 용이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미사용시 접철하여 적재가 용이한 교구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이 돌출형성되는 좌판과, 내측면이 상기 좌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좌판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회동시 상기 좌판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좌판의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요추지지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1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홈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이 돌출형성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된 좌판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회동시 상기 좌판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1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홈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의 회동이 용이하면서도 단가가 저렴하여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매출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 메카니즘에 의해 좌판의 회동 및 좌판의 접기가 모두 구현가능하여 미사용시에 적재가 용이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10-0512607호에 따른 교구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 ~ 도 3c는 좌판 회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초기 상태, 도 3b는 좌판 전진 상태, 도 3c는 좌판 회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 도 4d는 의자 적재를 위한 좌판 접기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요추지지대가 접힌 상태, 도 4b는 좌판의 전진 상태, 도 4c는 좌판 직립상태, 도 4d는 좌판 후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구용 의자는 좌판(10), 요추지지대(20), 가이드 플레이트(30), 좌판고정 프레임(40), 다리부(50) 및 가로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판(10)은 사용자의 둔부가 받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를 이루고 양측면에 2 쌍의 가이드 봉(1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봉(11)은 좌판(10)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방식 이외에 봉재가 좌판(10)의 하부에 접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가이드 봉(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판의 전후진에 의해 좌판(10)의 회동 및 접기에 적합한 거리로 상호 이격설치되어 있다.
요추지지대(20)는 좌판(10)의 후단에 힌지결합부재(70)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요추지지대(20)의 후방 회동을 방지하기 위해 좌판(10)의 후단에는 스토퍼부(11)를 후방으로 연장형성하여 수직위치에서 요추지지대(20)의 하단부(21)가 스토퍼부(11)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요추지지대(20)와 힌지결합부재(70) 간의 결합부위에는 복수개의 걸림턱과 이에 대응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요추지지대(20)의 전방 회동각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플레이트(30)는 좌판(10)의 회동 및 접기를 위한 핵심 구성요소로서, 가이드 봉(11)을 통해 좌판(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0)는 판상의 금속부재로서,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0)의 개구된 선단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좌판(10)의 전진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가이드홈(32)은 내측에 가이드 봉(11)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된 제 1 고정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홈(33)은 가이드 봉(11)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33a, 33b, 33c)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어 있다.
좌판고정 프레임(40)은 가이드 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좌판(10)을 둘러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좌판(10)을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좌판고정 프레임(40)의 후단에 상부 프레임이 "∩"자 형상으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 프레임 상에 등받이 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리부(50)는 좌판고정 프레임(40)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좌판(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가로 지지대(60)는 전방의 다리부(50)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다리부(50)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좌판(10)의 선단 하부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판(10)의 회동시 좌판(1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의자에 대응되는 책상이 의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책상의 일측에 무릎 지지대를 설치하여 좌판(10)의 회동에 의해 사용자의 몸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무릎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착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의 좌판 회동 동작과 접기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좌판 회동 동작
도 3a ~ 도 3c는 좌판 회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초기 상태, 도 3b는 좌판 전진 상태, 도 3c는 좌판 회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가이드 홈(32)의 제 1 고정홈(32a)내에 위치하고, 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2 가이드 홈(33)의 제 3 고정홈(33b) 내에 위치한다.
도 3b와 같이, 좌판 회동을 위해 사용자가 좌판(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고정홈(32a)을 이탈하면서 돌출부(31)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제 1 가이드 홈(32)을 이탈하게 되고, 후방의 가이드 봉(11)은 제 3 고정홈(33b)을 이탈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고정홈(33a)에 안착된다.
도 3c와 같이,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가이드 홈(32)을 이탈하게 되면 좌판(10)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므로 좌판(10)의 전단부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하부의 가로 지지대(60)에 지지되고 이때, 후방의 가이드 봉(11)은 회동축으로서 동작하게 된다.
좌판 접기 동작
4a ~ 도 4d는 의자 적재를 위한 좌판 접기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요추지지대가 접힌 상태, 도 4b는 좌판의 전진 상태, 도 4c는 좌판 직립상태, 도 4d는 좌판 후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와 같은 요추지지대(20)가 접힌 상태에서는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가이드 홈(32)의 제 1 고정홈(32a)내에 위치하고, 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2 가이드 홈(33)의 제 3 고정홈(33b) 내에 위치하며, 요추지지대(2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요추지지대(20)의 전면이 좌판(10)의 상면에 맞닿도록 접게 된다.
도 4b와 같이, 사용자가 요추지지대(20)가 접힌 좌판(10)을 전방으로 당기면,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고정홈(32a)을 이탈하면서 돌출부(31)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제 1 가이드 홈(32)을 이탈하게 되고, 후방의 가이드 봉(11)은 제 3 고정홈(33b)을 이탈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고정홈(33a)에 안착된다.
도 4c와 같이,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1 가이드 홈(32)을 이탈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10)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후방의 가이드 봉(11)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판(10)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된다.
도 4d와 같이, 좌판(10)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판(10)을 후방으로 밀면 후방의 가이드 봉(11)이 제 2 고정홈(33a)을 이탈하면서 제 2 가이드홈(3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4 고정홈(33c)내에 안착되면서 좌판(10) 접기가 완료된다.
도 4d와 같이 좌판(10)이 접힌 상태가 되면 좌판고정 프레임(40) 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빈 공간에 다른 의자를 삽입하여 다단으로 의자를 적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구용 의자는 제 1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30)의 구성을 생략하고 이에 대응되는 구성을 좌판고정 프레임(40) 상에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고정 프레임(40)의 양측 선단에는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43)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 1 가이드홈(41)의 내측에는 전방의 가이드 봉(11)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1 고정홈(42)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홈(43)에는 후방의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43a, 43b, 43c)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어 있다.
좌판고정 프레임(40) 상에 제 1 가이드홈(41)과 제 2 가이드홈(43)이 형성된 경우에도 좌판(10)의 회동 및 접기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좌판 11 : 걸림턱
20 : 요추지지대 30 : 가이드 플레이트
31 : 돌출부 32 : 제 1 가이드홈
32a : 제 1 고정홈 33 : 제 2 가이드홈
33a ~ 33c : 제 2 ~ 4 고정홈 40 : 좌판고정 프레임
50 : 다리부 60 : 가로 지지대
70 : 힌지결합부재

Claims (5)

  1. 교구용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이 돌출형성되는 좌판과,
    내측면이 상기 좌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좌판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회동시 상기 좌판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후단에 힌지결합되는 요추지지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1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홈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
  4. 교구용 의자에 있어서,
    양측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봉이 돌출형성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선단에 일측이 개구된 제 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된 좌판 고정 프레임과,
    상기 좌판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 선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회동시 상기 좌판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1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홈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봉이 안착되도록 하방으로 만곡형성되는 제 2 ~ 4 고정홈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의자.
KR1020100012752A 2010-02-11 2010-02-11 교구용 의자 KR10107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52A KR101073585B1 (ko) 2010-02-11 2010-02-11 교구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52A KR101073585B1 (ko) 2010-02-11 2010-02-11 교구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92A KR20110092992A (ko) 2011-08-18
KR101073585B1 true KR101073585B1 (ko) 2011-10-14

Family

ID=4492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752A KR101073585B1 (ko) 2010-02-11 2010-02-11 교구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849B1 (ko) * 2022-07-04 2022-11-18 (주)사이즈오브 틸팅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07B1 (ko) 2002-11-12 2005-09-1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07B1 (ko) 2002-11-12 2005-09-1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92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8046A1 (zh) 一种仿生正姿桌椅
JP2014004319A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6270307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2014004321A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KR101073585B1 (ko) 교구용 의자
JP4950486B2 (ja) 椅子
JP6964373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1198578B1 (ko) 자세 교정의 용도 전환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KR20080027655A (ko) 의자를 구비한 책상
KR200399954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JP6196438B2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200453362Y1 (ko) 접이식 의자
RU2816599C1 (ru) Комплект мебели, стол, стул
KR20140010260A (ko) 다기능 팔걸이부가 구비된 의자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JP7421918B2 (ja) ネスティングできる椅子
KR200455757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100103298A (ko) 침대 겸용 의자
KR101062216B1 (ko) 의자
TW201400056A (zh) 單軸式的椅腳及使用該椅腳的接待椅
KR2004616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CN110558760B (zh) 座椅组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