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31B1 - 쾌변용 발 거치대 - Google Patents

쾌변용 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31B1
KR101884131B1 KR1020170115153A KR20170115153A KR101884131B1 KR 101884131 B1 KR101884131 B1 KR 101884131B1 KR 1020170115153 A KR1020170115153 A KR 1020170115153A KR 20170115153 A KR20170115153 A KR 20170115153A KR 101884131 B1 KR101884131 B1 KR 10188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leg
main body
presen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헌
Original Assignee
김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헌 filed Critical 김규헌
Priority to KR102017011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여 쾌변을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고, 힌지(11)에 의해 절첩 가능하여 회동 또는 고정할 수 있는 다리(13)(15)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다리(13)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결합하고, 체형에 맞게 하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발받침대(23)를 구비하는 거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발받침대를 구비한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체형에 맞게 다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쾌변용 발 거치대{Foot Bracket for regular bowel movements}
본 발명은 쾌변용 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발받침대를 구비한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체형에 맞게 다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쾌변 용 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의 사람들은 용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여 변비 등으로 고생하거나 쾌변을 볼 수 없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증상의 요인에는 여러 가지를 들 수가 있겠는데, 특히 잘못된 식습관(서구화된 음식습관, 불규칙한 음식섭취, 폭식, 과도한 다이어트방법, 불균형한 영양소섭취 등)이나 사회 환경적 요인(서구화되는 신체구조, 과도한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잦은 술자리 등)등이 가장 큰 원인이라 할 것이다.
한편, 좌변기가 없던 과거에는 쪼그려 앉아서 용변을 해결하였는데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문의 개방이 쉬워지고 골반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는 용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용변을 볼 때마다 이런 자세를 반복하면 관절에 무리가 와서 심지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의 큰 지장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047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0449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통상의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대(2)와 변기뚜껑(3)에 있어서, 상기의 좌대(2)는 엉덩이가 닿는 후반부(2b)보다 허벅지를 받치는 전반부(2a)가 돌출된 입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변기뚜껑(3)은 허리받침부(3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허벅지를 받치는 부분이 돌출된 입체형상의 좌대와 허리받침부가 형성된 변기뚜껑을 형성하여 재래식 변기에의 배면과 같이 배변이 용이한 자세를 갖도록 하고, 상기의 좌대에서 꼬리뼈가 닿는 부분에 전기자극용 전극을 부착시켜 꼬리뼈 쪽에 직접적인 전기자극을 통해 쾌변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양변기시트의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높은 각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양변기에 착석할 경우 시트의 기울기에 의해 엉덩이 높이가 무릎높이 보다 낮아지므로 자연적으로 항문이 넓어지고 신체 하복부에 힘을 주기가 수월해질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양변기를 사용할 때처럼 머리와 어깨를 앞쪽으로 기울이며 항문에 힘을 주는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노약자와 고혈압환자들이 배변시 혈압상승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어지러움에 대처하기 쉽고, 허리가 지면과 수직이므로 신문 등을 읽기가 편하고 손이나 팔 등으로 상체를 지탱함으로써 발생되는 신체 하부의 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고, 좌변기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도 거부감 없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이러한 상기의 선행특허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착석시에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이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변기시트의 전방을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허벅지를 들어 올려 재래식 화장실에서의 배변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있는데, 사람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체형이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발생한다. 즉,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 몸이 마르거나 뚱뚱한 사람 등의 각각의 체형이 서로 달라 재래식 화장실의 배변 자세를 취하는데 차이가 난다.
그리고 변기시트의 전방을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되 그 돌출 높이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변기시트 전방의 돌출 높이가 정해져 있어, 특정 체형의 사람 외의 다른 체형을 가지는 사람들에게는 사용상에 다소 불편함이 발생하여 개선할 여지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120478호 "쾌변을 위한 좌변기"(공개일자: 2007. 12. 2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0449호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변기시트"(공개일자: 2005. 12. 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발받침대를 구비한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체형에 맞게 다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쾌변용 발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변기의 전방에 비치하여 쾌변을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전방에 비치하고,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여 회동 또는 고정할 수 있는 다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다리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결합하고, 체형에 맞게 하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발받침대를 구비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중구조의 다리를 구비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다리의 상부에 관절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는 좌변기의 표면에 고정하도록 다리의 상부 일단으로 회전부가 결합된 접착패킹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의 다리와 거치부의 발받침대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턱과 미끄럼방지패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발받침대를 구비한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체형에 맞게 다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용 발 거치대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용 발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용 발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쾌변용 발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용 발 거치대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여 쾌변을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에 관련되며, 본체(10), 거치부(2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고, 힌지(11)에 의해 절첩 가능하여 회동 또는 고정할 수 있는 다리(13)(15)를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T)를 기준하여 전방에 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체(10)의 구성으로 다리(13)(15)를 구비하여 힌지(11)에 의해 절첩하여 회동하거나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힌지(11)를 사용하여 기준이 되는 다리(13)와 보조하는 다리(15) 사이에 위치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다리(13)(15)를 힌지(11)에 기준하여 펼친 상태로 일정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한다. 사용후에는 반대로 힌지(11)로 연결된 다리(13)(15)를 다시 접어서 본체(10)의 크기를 줄여서 구석이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본체(10)의 다리(13)(15)는 기준이 되는 다리(13)가 보조역할인 다리(15)보다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사용시 기울어진 상태에서 좌변기(T)의 높이와 비슷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좌변기(T)에 좌석하여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인 쾌변용 발 거치대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다리(13)의 끝단은 화장실의 바닥과 접촉하여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로서 상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기둥형상, 얇은 판을 X자로 겹친 형상, 고정수단을 구비한 롤러형상 등의 여러 가지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본체(1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중구조의 다리(13a)(13b)를 구비할 수 있고,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다리(13)의 상부에 관절부(14)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10)의 다리(13)를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실생활에 사용중인 좌변기(T)의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보니 힌지(11)로 연결된 다리(13)(15)를 일정한 기울기로 절첩하더라도 가장 효과적인 기울기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화장실의 크기가 작거나 커서 힌지(11)의 절첩구간이 제약을 받거나 좌변기(T)가 설치된 바닥이 수평이 아닌 경사진 곳에 설치되어 있다거나 하는 여러 돌방상황에 있어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본체(10)의 다리(13)를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게 상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중구조의 다리(13a)(13b)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의 다리(13a)(13b)를 사용한 높낮이 조절과 함께 각도조절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다리(13)의 상부에 관절부(14)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리(13)의 상부에 관절의 꺽임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여 좌변기(T)와 접하는데 있어 기울기가 자유로워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관절부(14)를 구비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다. 다리(13a)(13b)를 구비하여 본체(10)의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다리(13a)(13b)의 상부에 관절부(14)를 구비하여 본체(10)의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좌변기(T)와의 연계성을 자유롭게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본체(10)는 좌변기(T)의 표면에 고정하도록 다리(13)의 상부 일단으로 회전부(17b)가 결합된 접착패킹(17a)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T)와 함께 사용하도록 제작한 것으로,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면서 동일방향의 외면부와 서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 기본 사용방법이다. 좌변기(T)의 표면과 본 발명의 본체(10)가 서로 접하면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다리(13)의 상부 일단으로 접착패킹(17a)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여 사용한다. 접착패킹(17a)은 본체(10)와 좌변기(T)를 서로 결합하는 중간매체로서 좌변기(T)의 전방표면에서 일정한 단면적을 공기로 흡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접착패킹(17a)은 고무재를 사용하여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솟아오른 형태를 가진다. 좌변기(T)의 전방 표면에 접하도록 접착패킹(17a)을 좌변기(T)에 압착하면 중앙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가장자리가 좌변기(T)의 접합표면에 밀착하면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한다.
본체(10) 상에 접착패킹(17a)을 하나이상 구비하는 과정에서 접착패킹(17a)이 좌변기(T)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다리(13)의 상부 일단과 접착패킹(17a)의 사이에 요홈방식으로 구성된 회전부(17b)를 결합하여 좌변기(T)의 전방 표면에 접착하고픈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20)는 상기 다리(13)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결합하고, 체형에 맞게 하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발받침대(23)를 구비한다. 거치부(20)는 상기 본체(10)의 구성인 다리(13)의 내,외부 상에 일체로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리(13)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하도록 발받침대(23)를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한다. 수직방향의 다리(13) 사이에 수평방향인 발받침대(23)를 결합하는 것으로 완전히 일체로 결합하거나 이들 구성간의 분리, 조립이 가능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발받침대(23)는 명칭 그대로 사용자가 좌변기(T)에 안착하여 체형에 따라 하체의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에서 쾌변을 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을 다리(13)에 구비하여 사용한다. 사용자의 체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발받침대(23)를 다리(13) 상에 결합시 그 높이 또한 다르게 형성하여 본 발명 하나로 다양한 사용자의 쾌변활동을 보조한다.
본체(10)의 다리(13)를 힌지(11)와 연결된 다리(15)를 펼침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좌변기(T)의 전방에 접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발받침대(23)를 설치시에 다리(13)의 상부 또는 하부를 기준하여 일정한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본체(10)의 다리(13)와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턱(19a)과 미끄럼방지패드(19b)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변기(T)의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리(13)의 하단과, 사용자가 좌변기(T)에 안착하여 발을 올리는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 상에는 각각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턱(19a)과 미끄럼방지패드(19b)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좌변기(T)의 전면에 본 발명의 접착패킹(17a)이 결합하여 움직임을 잡아주어 고정을 할 수 있는데, 고정위치가 상부에 치우치는 것으로 하단의 바닥과 접하는 부위에는 여전히 미끌림이 발생할 수 있다. 본체(10)의 다리(13)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미끄럼방지턱(19a)을 형성하거나 미끄럼방지패드(19b)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 상에도 사용자의 발을 올린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미끄럼방지턱(19a) 또는 미끄럼방지패드(19b)를 구비하여 위험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10) 상에 발을 올리도록 구성하는 거치부(20)의 구성을 하나이상의 발받침대(23)를 사용한다고 설명하였는데, 변형예로 안착할 수 있는 높이에 따라 설치하는 발받침대(23)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의 박스형상을 가진 발판을 본체(10)의 다리(13)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의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박스 형상의 발판 상에 다리(13)를 설치 하고, 다리(13) 상에 발을 올리도록 구성하는 거치부(20)의 구성을 하나 이상의 발받침대(23)를 구비한다. 이때, 다리(13)는 상단부에 접착패킹(17a)의 사이에 요홈방식으로 구성된 회전부(17b)를 구비하여 좌변기(T)의 전방 표면에 접착하고픈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설치 가능하고, 거치부(20)는 도시된 것처럼 다리(13)로부터 상하 이동로 이동하면서 고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발받침대(23)는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절첩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다리(13) 하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미끄럼방지턱(19a)을 형성하거나 미끄럼방지패드(19b)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 상에도 사용자의 발을 올린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미끄럼방지턱(19a) 또는 미끄럼방지패드(19b)를 구비하여 위험 상황을 예방하도록 구비한다.
이는 본체(10) 상에 다리(13), 거치부(20), 발받침대(23)는 동일하고, 여타의 주요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도 전술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주요구성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사용 및 이동ㆍ보관에 있어서, 사용자는 용변이나 쾌변을 보기 원한다면 본체(10)의 하부에 개재된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에 발을 올려서 용변을 보기 편한 자세로 하체의 각도를 조절한다. 발받침대(23)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본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사용가능하도록 보편화하였다. 발받침대(23)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10)를 구성하는 다리(13)(15)가 힌지(11)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조정하고, 다리(13)에 일체 또는 탈부착된 발받침대(23) 상에 발을 올리고 용변을 보면 된다.
사용 후에는 힌지(11)를 활용하여 본체(10)의 다리(13)(15)를 절첩하여 보관함이나 화장실의 일측에 놔두거나 다른 곳에 사용가능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쾌변용 발 거치대는 화장실의 좌변기 전방에 발받침대를 구비한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체형에 맞게 다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힌지
13: 다리 13a: 다리
13b: 다리 14: 관절부
15: 다리 17a: 접착패킹
17b: 회전부 19a: 미끄럼방지턱
19b: 미끄럼방지패드 20: 거치부
23: 발받침대 T: 좌변기

Claims (4)

  1.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여 쾌변을 잘 볼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T)의 전방에 비치하고, 힌지(11)에 의해 절첩 가능하여 회동 또는 고정할 수 있는 다리(13)(15)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다리(13)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결합하고, 체형에 맞게 하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받침대(23)를 구비하는 거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중구조의 다리(13a)(13b)를 구비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다리(13)의 상부에 관절부(14)를 구비하고, 좌변기(T)의 표면에 고정하도록 다리(13)의 상부 일단으로 회전부(17b)가 결합된 접착패킹(17a)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다리(13)와 거치부(20)의 발받침대(23)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턱(19a)과 미끄럼방지패드(19b)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용 발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15153A 2017-09-08 2017-09-08 쾌변용 발 거치대 KR10188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53A KR101884131B1 (ko) 2017-09-08 2017-09-08 쾌변용 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153A KR101884131B1 (ko) 2017-09-08 2017-09-08 쾌변용 발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131B1 true KR101884131B1 (ko) 2018-07-31

Family

ID=6307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153A KR101884131B1 (ko) 2017-09-08 2017-09-08 쾌변용 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1545A1 (en) * 2021-04-14 2022-10-20 Cocilova Michael Toilet training step lad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16B1 (ko) * 2013-08-16 2014-06-03 김규헌 쾌변용 발 거치대
CN204618084U (zh) * 2015-04-29 2015-09-09 陈慧 儿童折叠阶梯座便器支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16B1 (ko) * 2013-08-16 2014-06-03 김규헌 쾌변용 발 거치대
CN204618084U (zh) * 2015-04-29 2015-09-09 陈慧 儿童折叠阶梯座便器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1545A1 (en) * 2021-04-14 2022-10-20 Cocilova Michael Toilet training step lad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4584A1 (en) Stand Assist Stool and Method
JPH05507433A (ja) 一体構造の便器付き椅子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1884131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US5727843A (en) Comfort combination chair
KR101402516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US10660480B1 (en) Adjustable bathtub/shower seat and associated use thereof
JP4509333B2 (ja) 便器
KR200472698Y1 (ko) 간이의자가 달린 목발
JP3121260U (ja) 正座の為の小型木製座椅子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TW553742B (en) Sex aid device
CN211270459U (zh) 一种可调节坐便凳
CN216797036U (zh) 一种便于老人使用的躺椅
JP2000079143A (ja) ベッド上で体幹前傾姿勢を保持するための補助具
US8172331B2 (en) Bariatric seating furniture
KR200229932Y1 (ko) 기도의자
KR200429658Y1 (ko) 수강용 의자
KR200394850Y1 (ko) 장애인용 좌변기에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팔걸이대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KR101726386B1 (ko)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KR200275539Y1 (ko) 발 받침 겸용 의자
JP3015836U (ja) 着座介助具
JPH073996Y2 (ja) 便 座
JP2000288040A (ja) 暖房付き寄りかかり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