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386B1 -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386B1
KR101726386B1 KR1020150048159A KR20150048159A KR101726386B1 KR 101726386 B1 KR101726386 B1 KR 101726386B1 KR 1020150048159 A KR1020150048159 A KR 1020150048159A KR 20150048159 A KR20150048159 A KR 20150048159A KR 101726386 B1 KR101726386 B1 KR 10172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user
toilet
wai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469A (ko
Inventor
배성석
Original Assignee
배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석 filed Critical 배성석
Priority to KR102015004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3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는, 변기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되,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면이 사람의 척추 형상에 맞춰 곡면으로 형성되는 허리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둔부와 햄스트링 부위 전체에 걸쳐 땀이 차는 현상 및 다리 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척추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팔을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Functional toilet seat assembly}
본 발명은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둔근 및 햄스트링근의 혈액순환 개선 및 척추기립근의 안정을 도와줄 수 있는 변기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가정은 물론 공공건물, 휴게소, 식당, 호텔,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중이 이용하는 사회 및 공공시설의 화장실에도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세식 좌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수세식 좌변기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좌변기는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변기본체(10)와, 피부가 변기본체(1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변기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변기시트 조립체(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기시트 조립체(20)는, 변기본체(10)의 상측 개구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안착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변기시트(22)와, 상기 변기시트(22)를 덮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변기커버(2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변기시트(22)는 일반적으로 상면이 매끈하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변기시트(22)의 상면이 매끈하게 형성되면 사용자의 둔부나 햄스트링 부위가 상기 변기시트(22)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는바, 땀이 차서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둔부 및 햄스트링 부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엉덩이나 다리가 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다리 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목부가 구비된 변기시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다리 저림 방지 변기시트는 사용자의 둔부와 햄스트링 부위 전체에 걸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은 없으므로, 다리 저림 방지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환자나 노인과 같이 기립근이 약한 사용자는 장시간 변기시트(22)에 앉아 있는 경우 척추에 스트레스가 인가되어 허리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 에도 종래의 변기시트 조립체(20)는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는 구성요소가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KR 20-2013-0003036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둔부와 햄스트링 부위 전체에 걸쳐 땀이 차는 현상 및 다리 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척추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팔을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는,
변기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되,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면이 사람의 척추 형상에 맞춰 곡면으로 형성되는 허리받침대;
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시트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를 덮거나 개방시키는 변기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는 상기 변기시트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허리받침대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단이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변기시트는, 상면 후방측에 상기 체결단이 삽입 가능한 상측체결공이 형성되고, 측면 후방측에 상기 체결단이 삽입 가능한 측방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지압돌기는, 형성 지점이 상기 변기시트의 후단에 가까울수록 수평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허리받침대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상기 변기시트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팔거치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둔부와 햄스트링 부위 전체에 걸쳐 땀이 차는 현상 및 다리 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척추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팔을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세식 좌변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는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변기본체(10)에 사용자가 앉을 때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본체(10)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변기본체(10)의 상측(더 명확하게는 상측 개구부의 주변)에 안착되는 변기용품으로서, 변기본체(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변기시트(110)와, 상기 변기시트(11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110)를 덮거나 개방시키는 변기커버(120)를 기본 구성요소로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는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의 둔부나 햄스트링 부위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기시트(110)의 상면에 다수 개의 지압돌기(112)가 형성된다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변기시트(110)의 상면에 다수 개의 지압돌기(112)가 형성되면, 사용자의 둔부 및 햄스트링 부위가 변기시트(110)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이웃하는 두 개의 지압돌기(112) 사이에 통기유로가 확보되는바, 사용자의 둔부 및 햄스트링 부위에 땀이 차는 현상이 저하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둔부 및 햄스트링 부위 전체가 변기시트(110)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지압돌기(112)와 대응되는 부위만 변기시트(110)와 접촉되고 나머지 부위는 변기시트(110)와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다리 저림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112)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었을 때 상처를 입히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곡면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변기시트(110) 상에 형성된 지압돌기(112)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시트(110)의 후단에 위치할수록 수평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기시트(110)의 전단에 위치한 지압돌기(112)는 작게 형성되고 변기시트(110)의 후단에 위치한 지압돌기(112)는 크게 형성되면,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를 뒤로 젖혔을 때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면서 표면적이 큰 지압돌기(112)에 둔부가 압박되는바, 상기 둔부에는 지압이 과하게 작용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앉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를 앞으로 기울이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표면적이 작은 지압돌기(112)에 햄스트링 부위가 압박되는바, 햄스트링 부위에 지압효과가 적절하게 작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112)가 너무 높게 형성되면 사용자에게 통증을 줄 수 있고, 상기 지압돌기(112)가 너무 낮게 형성되면 지압효과가 미미해지는바, 상기 지압돌기(112)는 적정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지압돌기(112) 높이가 1cm를 초과할수록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증가되고, 상기 지압돌기(112) 높이가 1cm보다 낮을수록 지압효과가 감소되는바, 상기 지압돌기(112)는 1cm 내외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는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척추로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즉, 사용자 척추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받침대(130)를 구비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변기시트(110)의 상면 중 후방측에 결합되는바,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면(더 명확하게는 전방면)이 사람의 척추 형상에 맞춰 인체공학적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바, 사용자의 상체 하중 일부가 허리받침대(130)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는 현저히 감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허리받침대(130)가 전방면 가운데 부위가 볼록한 형상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허리받침대(130)의 형상은 장착위치 및 크기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사용자의 허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허리를 보다 편안하게 감쌀 수 있도록 압축스펀지나 압축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한 이후 물을 내릴 때에는 변기본체(10) 내의 이물질이 외부로 튀지 아니하도록 변기커버(120)를 덮어두는데,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와 같이 변기시트(110)의 상면 후방측에 허리받침대(130)가 장착되어 있으면 변기시트(110)가 덮여지도록 변기커버(120)를 회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상기 변기시트(1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허리받침대(13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단(132)이 형성되고, 상기 변기시트(110)의 상면 후방측에는 상기 체결단(132)이 삽입 가능한 상측체결공(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단(132)은 상측체결공(114)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단(132)은 착탈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상측체결공(1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의 사용상태도이다.
허리받침대(130)가 변기시트(1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허리받침대(130)를 탈거함으로서 변기커버(120)를 덮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변기시트(110)의 후방측으로부터 탈거시킨 허리받침대(130)를 바닥에 두면 허리받침대(130)가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허리받침대(130)는 변기시트(110) 중 변기커버(120)의 회전 궤적을 벗어난 지점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기시트(110)의 측면 중 후방측에 상기 체결단(132)이 삽입 가능한 측방체결공(116)이 형성되어, 변기커버(120)를 닫기 위해 변기시트(110)의 후방측으로부터 탈거시킨 허리받침대(130)를 변기시트(110) 측방에 장착시켜둘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변기시트(110) 측방에 장착된 허리받침대(130)는 변기커버(120)의 회전 궤적에 간섭되지 아니하는바, 사용자는 변기커버(120)를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변기를 대변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허리받침대(130)를 변기시트(110) 측방에 장착시켜 둠으로서, 용변기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방체결공(116)이 변기시트(110) 측방 중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받침대(130)가 변기커버(120) 측면 중 전방측에 결합되면, 변기시트(110)에 앉아 있던 사용자가 변기시트(110)에서 일어나는 과정에서 허리받침대(130)에 다리가 간섭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측방체결공(116)은 변기시트(110) 측방 중 후방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방체결공(116)은 변기시트(110)의 측면 중 후방으로 치우친 2/3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허리받침대(130)가 후방으로 치우친 지점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변기시트(110)에 앉아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팔을 올려놓을 곳이 없으므로, 변기시트(110)에 앉아 있는 자세가 불편할 수 있다. 특히, 용변기에 앉아 볼일을 보는 중 스마트폰을 보거나 책을 읽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 및 책을 자신의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보거나 책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100)는,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의 팔이 거치될 수 있도록 팔거치대(1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팔거치대(140)가 변기본체(10)에 결합되거나 바닥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브라켓이 요구되는바, 상기 팔거치대(14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받침대(13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거치대(140)는 허리받침대(130)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변기시트(110)의 전방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바, 변기시트(110)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몸통에 간섭되지 아니하면서 사용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팔거치대(140)가 추가로 구비되면, 변기시트(110)에 앉은 사용자는 자신의 팔을 팔거치대(140)에 거치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책을 잡은 손을 팔거치대(140)에 안착시켜 둠으로써 보다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보거나 책을 읽을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 거치대를 팔거치대(140)에 부착시킴으로써, 더욱 편안하게 스마트폰을 볼 수도 있다.
또한, 팔거치대(140)가 추가로 구비되면, 자신의 체중 일부를 펄거치대에 실을 수 있으므로, 자신의 척추로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팔거치대(140)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팔거치대(140)의 형상은 원호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팔거치대(140)는, 허리받침대(130)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팔거치대(140)는 좌우 한 쌍으로 각각 제작되어 길이방향 일단이 허리받침대(13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평면형상이 말굽 형상을 이루도록 하나로 크게 제작되어 가운데 부위가 허리받침대(130)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팔거치대(140)의 형상은 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는바, 상기 팔거치대(140)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변기본체 100 : 변기시트 조립체
110 : 변기시트 112 : 지압돌기
114 : 상측체결공 116 : 측방체결공
120 : 변기커버 130 : 허리받침대
132 : 체결단 140 : 팔거치대

Claims (5)

  1. 변기본체(1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면에 다수 개의 지압돌기(112)가 형성되는 변기시트(110);
    상기 변기시트(110)의 상면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110)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되,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면이 사람의 척추 형상에 맞춰 곡면으로 형성되는 허리받침대(130);
    상기 변기시트(11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변기시트(110)를 덮거나 개방시키는 변기커버(120)를 포함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110)에는
    상면 후방과 측면 후방으로 상기 허리받침대(13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한 체결단(132)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측체결공(114)과 측방체결공(116)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면에 형성되는 지압돌기(112)는 상기 변기시트(110)의 후단에 가까울수록 수평면적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허리받침대(130)에는 좌우 측면으로부터 상기 변기시트(1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팔거치대(14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8159A 2015-04-06 2015-04-06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KR10172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59A KR101726386B1 (ko) 2015-04-06 2015-04-06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59A KR101726386B1 (ko) 2015-04-06 2015-04-06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69A KR20160119469A (ko) 2016-10-14
KR101726386B1 true KR101726386B1 (ko) 2017-04-12

Family

ID=5715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59A KR101726386B1 (ko) 2015-04-06 2015-04-06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3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89Y1 (ko) * 2001-12-17 2002-03-27 이석희 통풍성과 지압기능을 부여한 양변기 커버용 보조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55A (ko) * 2001-06-05 2002-12-12 김종찬 변기에 등받이와 팔걸이를 설치하는 장치
KR20130003036U (ko) 2011-11-16 2013-05-23 조형진 다리 저림 방지 변기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89Y1 (ko) * 2001-12-17 2002-03-27 이석희 통풍성과 지압기능을 부여한 양변기 커버용 보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69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759B2 (en) Chair for personal relief
US6418571B1 (en) Chair with toilet sink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10575646B2 (en) Meditation seat
US10806311B2 (en) Portable commode aid
KR101726386B1 (ko) 기능성 변기시트 조립체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KR101402516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KR101884131B1 (ko) 쾌변용 발 거치대
US20160081481A1 (en) Foldable cushioned seat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JP2002282167A (ja) 便 座
KR102152141B1 (ko) 착탈식 가슴받침대를 포함하는 목욕의자
KR102359635B1 (ko) 요추지지방석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2019042421A (ja) クッション
KR102034036B1 (ko) 삼각형 방석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JPH08173348A (ja) 可変機構付簡易トイレ
KR20230164402A (ko) 허벅지 받침장치
JP3096371U (ja) 腰が疲れにくい効果がある座布団
KR200462900Y1 (ko) 양변기 커버
KR101275065B1 (ko) 척추보호대
JP3134257U (ja) 入浴姿勢保持具
KR20220075156A (ko) 휴대용 신체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