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156A - 휴대용 신체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신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156A
KR20220075156A KR1020200163432A KR20200163432A KR20220075156A KR 20220075156 A KR20220075156 A KR 20220075156A KR 1020200163432 A KR1020200163432 A KR 1020200163432A KR 20200163432 A KR20200163432 A KR 20200163432A KR 20220075156 A KR20220075156 A KR 20220075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lcro tape
portable body
attach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움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움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6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156A/ko
Publication of KR2022007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는,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오각 형태를 구비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며, 전면(110a)에 사용자의 목을 받치기 위한 베개(112)가 탈부착되고, 일측면 중앙부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14)가 부착되는 한편, 후면(110b)에는 수벨크로테이프(118)를 구비한 고정부재(116)가 부착된 주(主) 받침대(110); 및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구비하고, 좌우 양단부에 상기 고정부재(116)의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되는 암벨크로테이프(122)가 각각 구비된 보조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주 받침대(110)의 전면(110a)은,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에 대해 10~3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신체 받침대{Body supporter with portable}
본 발명은 신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지나 척추등의 근골격계의 형태와 기능을 물리학적 방법으로 서포트 하기 위한 휴대용 신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대부분은 출퇴근 또는 서서 일하거나 한자리에 오래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혈액순환의 불균형 및 인체의 하중이 하체로 집중 전달되어 하체에 많은 육체 피로가 쌓이게 된다.
이 경우 하체에 집중되어 쌓인 피로를 적절하게 풀어 주어야 하지만 바쁜 생활로 인해 피로를 풀어 줄 수 있는 적절한 장소를 찾기가 어려우며, 별도의 장소를 물색해서 따로 시간을 투자하여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가정에서는 실내에 전동식 안마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고 유지보수에도 적지 않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침대 또는 매트리스에 누운 상태에서 등부분에 베개 또는 쿠션등을 대고 휴식을 취하거나, 사용자에 따라 허리 아래 또는 종아리 아래에 베개 또는 쿠션등을 받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하체의 피로를 풀어주는 실정이다.
그러나, 베개의 경우 단순히 머리받침 용도이므로 높이가 일정 이하로 낮아서 신체받침용으로 적당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별도 쿠션의 경우 단순한 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자세를 정확히 유지시키기 어려워서 사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80922호(2016년 07월 2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84724호(2011년 07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당한 장소(바닥면, 침대, 매트리스)에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등이나 척추, 하체(종아리,허벅지등)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 가능하고, 콤팩트한 크기를 가지므로 사용 후 수납이 용이한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오각 형태를 구비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며, 전면(110a)에 사용자의 목을 받치기 위한 베개(112)가 탈부착되고, 일측면 중앙부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14)가 부착되는 한편, 후면(110b)에는 수벨크로테이프(118)를 구비한 고정부재(116)가 부착된 주(主) 받침대(110); 및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구비하고, 좌우 양단부에 상기 고정부재(116)의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되는 암벨크로테이프(122)가 각각 구비된 보조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주 받침대(110)의 전면(110a)은,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에 대해 10~3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체 받침대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신체 받침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저비용의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통해 적당한 장소(바닥면, 침대, 매트리스)에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등이나 척추, 하체(종아리,허벅지등)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손잡이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 가능하고, 콤팩트한 크기를 가지므로 사용 후 수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신체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받침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신체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받침대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전면, 측면, 후면등의 구분은 편의상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는 주 받침대(110)와 보조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주(主) 받침대(110)는 고탄성 스폰지인 메모리폼 소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가로, 세로, 높이(560 x 560 x 320)를 갖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각 형태를 구비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된 형태이다.
이러한 주 받침대(110)는 편평한 형태의 전면(110a)에 사용자의 목을 받치기 위한 베개(112)가 탈부착되고(추후 상술함), 일측면 중앙부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14)가 가령, 재봉을 통해 부착된다.
또한,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116)가 가령, 재봉을 통해 부착되고, 이 고정부재(116)의 좌우 양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1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받침대(120) 역시 메모리폼 소재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가로, 세로, 높이를 갖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태이다.
이러한 보조 받침대(120)는 좌우 양단부에 암벨크로테이프(122)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전술한 고정부재(116)의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주 받침대(110)의 전면(110a)은, 후면(110b)에 대해 약 2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한 기울기는 20°에 한정되지 않으며, 10~30°가 바람직하다.
기울기가 10°미만시,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받치기 곤란해진다.
기울기가 30°초과시, 바닥면과 이루는 경사도가 높아져서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통해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수면시 머리가 필요 이상으로 들려서 숙면에 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등부위에 대고 양발을 모두 뻗은 채로 바닥면에 누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바닥면이 나타나 있으나, 침대나 매트리스에 누워서도 물론 사용이 가능하며, 손잡이(114)를 잡고 적당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손잡이(114)는 등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보조 받침대(120)는 가장 길이가 긴 변이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과 밀착된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등을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의 전면(110a)에 편안하게 기대어 누운 상태에서 천장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주 받침대(110)가 메모리폼 재질을 가지므로 등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약 90 % 이상 흡수하면서 천천히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려는 특성에 의해 경추 교정등 등이나 척추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등부위에 대고 양발을 모두 뻗은 채로 벽면에 기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손잡이(114)는 등의 윗쪽에 위치하고, 보조 받침대(120)는 가장 길이가 긴 변이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과 밀착되며, 보조 받침대(120)의 다른 두 변은 벽면과 바닥면에 밀착되고,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 역시 벽면과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등을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의 전면(110a)에 기대어 앉은 상태에서 정면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이 또한 경추 교정등 등이나 척추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허벅지와 종아리 사이에 대고 양 무릎을 세운 채로 벽면에 기대어 앉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손잡이(114)는 발 뒤꿈치 쪽에 위치하고, 주 받침대(110)는 바닥면과 밀착되며, 보조 받침대(120)의 가장 길이가 긴 변이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과 밀착되고, 보조 받침대(120)의 다른 두 변은 종아리 및 허벅지와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등을 벽면에 대고 앉은 상태에서 정면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이 경우 종아리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허벅지와 종아리 사이에 대고 양 무릎을 세운 채로 벽면에 기대어 앉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주 받침대(110)의 전면(110a)은 종아리와 밀착되고,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은 바닥면과 밀착된다.
또한, 보조 받침대(120)는 가장 길이가 긴 변이 바닥면에 밀착되고, 보조 받침대(120)의 한 변은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과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등을 벽면에 대고 앉은 상태에서 정면을 보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이 경우 하체(종아리, 허벅지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저비용의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통해 적당한 장소(바닥면, 침대, 매트리스)에서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등이나 척추, 하체(종아리,허벅지등)등의 근골격계를 서포트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휴대용 신체 받침대(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 가능하고, 콤팩트한 크기를 가지므로 사용 후 수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신체 받침대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휴대용 신체 받침대 110 : 주 받침대
112 : 베개 114 : 손잡이
116 : 고정부재 118 : 수벨크로테이프
120 : 보조받침대 122 : 암벨크로테이프

Claims (1)

  1.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오각 형태를 구비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며, 전면(110a)에 사용자의 목을 받치기 위한 베개(112)가 탈부착되고, 일측면 중앙부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14)가 부착되는 한편, 후면(110b)에는 수벨크로테이프(118)를 구비한 고정부재(116)가 부착된 주(主) 받침대(110); 및
    메모리폼 소재로서 측면에서 보아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구비하고, 좌우 양단부에 상기 고정부재(116)의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되는 암벨크로테이프(122)가 각각 구비된 보조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주 받침대(110)의 전면(110a)은, 주 받침대(110)의 후면(110b)에 대해 10~30°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체 받침대.
KR1020200163432A 2020-11-28 2020-11-28 휴대용 신체 받침대 KR20220075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32A KR20220075156A (ko) 2020-11-28 2020-11-28 휴대용 신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32A KR20220075156A (ko) 2020-11-28 2020-11-28 휴대용 신체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56A true KR20220075156A (ko) 2022-06-07

Family

ID=8198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432A KR20220075156A (ko) 2020-11-28 2020-11-28 휴대용 신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1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2783A1 (en) * 2020-03-11 2023-05-11 Ungloo LLC Meditation seat system
US12004659B2 (en) * 2022-11-30 2024-06-11 Ungloo LLC Meditation sea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200480922Y1 (ko) 2015-04-07 2016-07-22 김종석 매트리스용 발목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24A (ko)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아시아엠이 논슬립 자세변환용 쿠션
KR200480922Y1 (ko) 2015-04-07 2016-07-22 김종석 매트리스용 발목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2783A1 (en) * 2020-03-11 2023-05-11 Ungloo LLC Meditation seat system
US12004659B2 (en) * 2022-11-30 2024-06-11 Ungloo LLC Meditation sea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9527B1 (en)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US6128797A (en) Face down tanning and massage pad
US3284817A (en) Therapeutic cushion
US3266061A (en) Couch
US3843980A (en) Mattress or mattress covering of novel shape
US20030084513A1 (en) Angle-adjustable tabletop personal support apparatus
JP2007503281A (ja) 背部支持システム
US7645219B1 (en) Recumbent therapeutic system
CA2062214A1 (en) Device for relief of back pain
KR101666765B1 (ko) 마스크와 안장이 구성된 휴대용 인체받침대
US5149033A (en) Extremity support apparatus
US3491385A (en) Postural drainage rest
US20080022448A1 (en) Bathing aid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US4030487A (en) Foldable vibration massage device
JP2013123635A (ja) おんぶラッコ
KR20220075156A (ko) 휴대용 신체 받침대
JP5462280B2 (ja) 腰痛治療具
US20130181497A1 (en) Anti-slip table top pillow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H0646556U (ja) 胸あて付椅子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