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48Y1 -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48Y1
KR200489648Y1 KR2020180001179U KR20180001179U KR200489648Y1 KR 200489648 Y1 KR200489648 Y1 KR 200489648Y1 KR 2020180001179 U KR2020180001179 U KR 2020180001179U KR 20180001179 U KR20180001179 U KR 20180001179U KR 200489648 Y1 KR200489648 Y1 KR 200489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edestal
supporting
traditio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희
박학수
Original Assignee
주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희 filed Critical 주진희
Priority to KR2020180001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판형의 제1 연결부;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제1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부; 제1 연결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연결부의 일측을 중심축으로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제2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제2 연결부가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립 작업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고 빠르게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고정부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부품을 분실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개시된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보관 시 한 쌍의 지지부가 회전되어 받침대의 형태를 변형해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쉽게 들고 다닐 수 있고, 자작나무 합판 재질로 온도와 습도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INTEGRATED SUPPORT FO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
개시된 내용은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현악기로는 가야금, 거문고, 및 아쟁 등이 있다. 이러한 전통 현악기는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양반다리로 바닥에 앉아 연주하는데, 한 쪽을 바닥에 내려놓고 다른 한쪽을 연주자의 무릎 위에 올려놓아 연주한다. 즉, 연주자는 전통 현악기의 한 쪽을 비스듬히 세워서 연주한다.
따라서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는 동안 전통 현악기 자체의 무게와 함께 연주자가 전통 현악기의 현을 밀거나 당기는 힘이 연주자의 무릎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연주자가 의자에 앉아 연주할 수 있도록 전통 현악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가 고안되었다. 기존의 받침대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조립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받침대는 설치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잦은 조립과 해체로 인해 일부 부품을 분실하여 받침대를 조립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더욱이, 기존의 받침대는 원목 재질로 형성되어 온도와 습도로 인해 균열이 쉽게 발생하고, 충격에 매우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 받침대가 쉽게 파손되어 사용가 받침대의 내구성에 대해 불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1144호 ‘전통악기 받침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립 작업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고 빠르게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부품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부품을 분실할 우려가 없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관 시 받침대의 형태를 변형해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쉽게 들고 다닐 수 있고, 온도와 습도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판형의 제1 연결부;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제1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부;
제1 연결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연결부의 일측을 중심축으로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제2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제2 연결부가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립 작업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고 빠르게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고정부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아도 받침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부품을 분실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보관 시 한 쌍의 지지부가 회전되어 받침대의 형태를 변형해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쉽게 들고 다닐 수 있고, 자작나무 합판 재질로 온도와 습도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서 제2 연결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등이 조합된 구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이들을 조합한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100)는,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있어서, 제1 연결부(110), 지지부(120), 제2 연결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용어 ‘전통 현악기’는, 거문고, 가야금, 및 아쟁과 같은 현악기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10)는, 판형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10)는, 후술하는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를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15)는, 제1 연결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115)에는 전통 현악기 연주에 필요한 도구, 예를 들어, 술대를 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통구(115)에 컵을 비치하고 그 컵 내부에 술대를 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관통구(115)에 술대를 비치하더라도 술대가 제2 연결부(1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통구(115)에 복수의 술대를 비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전통 현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통구(115)에 음료가 담긴 컵을 비치하여 연주 도중이라도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지지부(120)는, 한 쌍일 수 있다. 지지부(120)는,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0)의 양단부에서 제1 경첩부(111)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는, 제1 연결부(110)의 길이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 현악기는 한 쪽을 약간 세워서 비스듬히 연주하기 때문에, 한 쌍의 지지부(12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전통 현악기가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놓인 상태에서도 비스듬히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적어도 제1 연결부(110)의 너비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20)가 제1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연결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120)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받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받침부(121)는, 지지부(120)의 일측에서 전통 현악기의 하부면을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21)는, 전통 현악기의 측면을 받치는 받침턱(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턱(123)은, 전통 현악기의 측면을 지지하여 전통 현악기가 받침대에 놓인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턱(123)은, 일측에 형성되어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일측면을 받칠 수 있다. 받침턱(123)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받침턱(123) 사이의 공간에 따라 받침대에 올려놓을 수 있는 전통 현악기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받침부(121)는, 쿠션 패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패드(125)는, 받침부(121)가 전통 현악기와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21)가 전통 현악기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전통 현악기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또한, 쿠션 패드(125)는, 전통 현악기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전통 현악기가 받침대에 비스듬히 놓인 상태에서도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서 제2 연결부(130)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10)의 일측에서 제2 경첩부(도 2의 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연결부(110)의 일측을 중심축으로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10)의 길이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공간 사이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고정부(140)는, 제2 연결부(130)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한 쌍의 지지부(120)를 제2 연결부(130)와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40)는, 제2 연결부(130)가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27)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40)는, 나사부(141) 및 머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나사부(141)는, 제2 연결부(130)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홀(131)에 결합될 수 있다. 머리부(143)는, 나사부(14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머리부(143)는, 나사부(141)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머리부(143)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나사부(141)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부(140)는, 머리부(143)가 회전되면서 머리부(143)의 일측이 한 쌍의 지지부(120)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30)가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나사부(14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홈(12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141)는 나사홀(131)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2 연결부(130)가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로 회전되면 나사홀(131) 외부와 머리부(143) 사이에 노출되는 나사부(14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홈(12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부(14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홈(127)에 삽입된 상태에서 머리부(143)가 회전되면 나사부(141)가 회전되면서 머리부(143)의 일측이 한 쌍의 지지부(12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머리부(143)의 회전에 따라 나사부(141)가 같이 회전되어 나사부(141)가 나사홀(131)에 보다 깊게 삽입되면서 머리부(143)의 일측이 한 쌍의 지지부(12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140)의 가압에 의해 한 쌍의 지지부(120)가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130)에 지지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27)은, 한 쌍의 지지부(120) 일측에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7)이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나사부(14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홈(127)에 삽입되는 경우,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는 제2 연결부(130)가 다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제2 연결부(130)가 회전되어 세워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120)가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머리부(143)가 반대로 회전되면, 고정부(140)로 인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머리부(143)는, 머리부(143)의 일측이 한 쌍의 지지부(120)를 가압하지 않을 정도로만 회전되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를 해체하기 위해 고정부(140)를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없어, 받침대의 잦은 조립 및 해체에도 고정부(140)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더욱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제1 경첩부(111) 및 제2 경첩부(113)에 의해 제1 연결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립 작업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한 쌍의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를 회전시켜 간단하고 빠르게 받침대를 조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지지부(120)는, 제1 연결부(110)와 수직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0)가 제1 경첩부(111)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한 쌍의 지지부(120)의 일측면이 제1 연결부(110)의 단부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므로, 제1 연결부(110)의 높이만큼 한 쌍의 지지부(120)의 일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120)가 회전되는 경우, 제1 연결부(110)의 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20)를 일측면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한 쌍의 지지부(120)는 제1 연결부(110)와 수직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10)와 수직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가 제1 연결부(110)와 수직한 상태까지 회전되도록 삽입홈(127)이 한 쌍의 지지부(120)에서 일정 깊이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130)가 회전되는 경우, 고정부(140)가 삽입홈(127)에 안착되므로,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10)와 수직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는 자작나무 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목으로 형성된 기존의 받침대와는 달리 원목의 미감을 살리면서도 온도와 습도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제1 연결부(110),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가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즉, 한 쌍의 지지부(120)를 회전시켜 제1 연결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및 제2 연결부(130)의 각각의 면이 평행하도록 하면 받침대의 형태가 판형이 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받침대를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판형으로 변형되어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받침대를 쉽게 들고 다닐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서 받침부(121)는,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전통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악기를 연주하는 방식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가야금은 가야금의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연주하므로 전면에서 볼 때 가야금의 옆면만이 보인다. 반면, 거문고는 연주자가 앞으로 일정 각도 기울여서 연주하므로 전면에서 볼 때 거문고의 앞면이 같이 보인다. 따라서 전통 현악기에 따라서 받침대에 올려놓았을 때 놓이는 각도가 달라져야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한 쌍의 지지부(120)의 받침부(121)가 수평하므로, 면이 수평한 상태로 연주해야 하는 가야금을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다. 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받침부(121)의 각도가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연주해야 하는 거문고를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다양한 전통 현악기에 대한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100: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110: 제1 연결부
111: 제1 경첩부
113: 제2 경첩부
115: 관통구
120: 지지부
121: 받침부
123: 받침턱
125: 쿠션 패드
127: 삽입홈
130: 제2 연결부
131: 나사홀
140: 고정부
141: 나사부
143: 머리부

Claims (8)

  1.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있어서:
    판형의 제1 연결부;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제1 경첩부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통 현악기를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제1 연결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서 제2 경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을 중심축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나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머리부의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일측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전통 현악기의 측면을 받치는 받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일정하게 기울어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자작나무 합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20180001179U 2018-03-19 2018-03-19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89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79U KR200489648Y1 (ko) 2018-03-19 2018-03-19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79U KR200489648Y1 (ko) 2018-03-19 2018-03-19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48Y1 true KR200489648Y1 (ko) 2019-07-16

Family

ID=6743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179U KR200489648Y1 (ko) 2018-03-19 2018-03-19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41U (ko) * 2020-08-13 2022-02-22 임도수 거문고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4-23 임창훈 전통악기 받침대
KR200415764Y1 (ko) * 2006-02-03 2006-05-08 영동군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
KR20110009371U (ko) * 2010-03-26 2011-10-0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170122976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목림 양방향 접이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144Y1 (ko) 2003-01-23 2003-04-23 임창훈 전통악기 받침대
KR200415764Y1 (ko) * 2006-02-03 2006-05-08 영동군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
KR20110009371U (ko) * 2010-03-26 2011-10-0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170122976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목림 양방향 접이식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41U (ko) * 2020-08-13 2022-02-22 임도수 거문고 받침대
KR200495302Y1 (ko) * 2020-08-13 2022-04-20 임도수 거문고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5495A1 (en) Supporting stand for a keyboard of a musical instrument
TWI667053B (zh) 遊戲桌
KR200489648Y1 (ko)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JPH07124021A (ja) 椅子およびテーブル用の木製十字枠
JP3874427B2 (ja) 折畳み可能譜面台
US5739449A (en) Collapsible drum stand
JP3153830U (ja) 弦楽器演奏補助具
JP3801614B1 (ja) 仕切り板
US10176790B2 (en) Guitar support
KR200415764Y1 (ko)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
KR20030087802A (ko) 관악기 스탠드
US6596933B2 (en) Percussion instrument mounting apparatus
CN113160778A (zh) 一种大抱号的两用支撑架及其支撑方法
KR200432429Y1 (ko) 징 받침대
US6441282B2 (en) Stringed instrument having height-adjustable bridge assembly
KR200460460Y1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CN111564146B (zh) 一种扬琴便携式可伸缩琴架
KR200285794Y1 (ko) 관악기 스탠드
JP2538044Y2 (ja) エンドピン立具
JP3245763U (ja) 弦楽器用ウェイト
US9468300B1 (en) Universal back support for piano/organ benches
JPH11249647A (ja) 演奏用ギタースタンドのクランプ、ギターホルダー、ギターブラケット及び演奏用ギタースタンド
KR20170055793A (ko) 악기 받침대용 장석 및 이를 구비한 악기받침대
US20230040497A1 (en) Multi-function at-home playset kit
KR101901331B1 (ko) 연주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