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60Y1 - 전통 현악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전통 현악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60Y1
KR200460460Y1 KR2020100003157U KR20100003157U KR200460460Y1 KR 200460460 Y1 KR200460460 Y1 KR 200460460Y1 KR 2020100003157 U KR2020100003157 U KR 2020100003157U KR 20100003157 U KR20100003157 U KR 20100003157U KR 200460460 Y1 KR200460460 Y1 KR 200460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legs
upper plate
str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71U (ko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영동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군 filed Critical 영동군
Priority to KR2020100003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6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를 연주 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상기 전통 현악기가 안치되며, 상기 전통 현악기에 구비된 공명통에서 울리는 음향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 하면에 제1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다리와 상기 상판의 하면 중 상기 한 쌍의 다리 사이에 제 2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 하부외측으로 펼쳐지며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다리가 상기 상판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다리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통 현악기 받침대{Support for stringed instrument}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를 거치하여 연주하기 위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를 거치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상기 상판과 상기 한 쌍의 다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로 이루어지며, 현악기 받침대를 이동시 수납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리와 지지판이 접철되게 회동되며 설치가 쉽고 용이한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로서, 특히 가야금, 거문고, 아쟁과 같은 전통 현악기를 본 받침대위에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통 현악기의 연주는 받침대 없이 보통 바닥에 놓은 상태로 연주하거나, 연주자의 무릎 위에 악기 일측을 올려놓고 다른 이측은 바닥에 내려 놓은체 연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의 연주를 위해서는 통상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전의 받침대는 본 고안의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103)로 연결되어 양쪽으로 분리되며 복판에 공간부(104)를 갖는 상판(101)과, 분리된 상판의 연결을 위한 연결지지판(102)을 상판 바닥에서 나사로 조이는 것과, 연결된 상판의 양단 하방에는 힌지로 연결된 받침다리(105)와, 받침다리를 상판으로부터 지지시키기 위한 걸고리(106)와, 걸고리(106)를 체결하기 위한 걸고리조임나사(107)와, 상기 상판(101) 양측상단에 쿠숀패드(109)와, 접어져 상호 대향 인접되는 상판(101) 일편과; 상판 하측으로 받침다리(105)가 접어져 상호 대향 인접되는 일편에 각 벨크로(velcro)(108,108')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악기의 특성상 현의 진동에 의해 악기 몸체 내부 공명통에 의해 소리가 연주되기 때문에 연주전 상판이나 받침다리를 확고히 고정시켜야 했었다.
이를 위해 상기 걸고리(106)나 연결지지판(102)과 같은 각 연결부재에 걸고리조임나사(107)로 이들의 조립에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실정이며, 좌?우로 일측에만 구비되는 얇은 걸고리(106)에만 의존하여 상판(101)과 받침다리((105)를 지지하여 현악기 연주 시 받침대 전체가 흔들리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현악기의 하단 중앙에 구비되는 공명통(미도시)을 상판(101)의 상면 중앙에 구비되는 힌지(103)와 연결지지판(102)이 막게 되어 정확하고 맑은 음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와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하며, 상판, 한 쌍의 다리, 지지판이 모두 현악기와 같은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품의 설치에 있어서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조립 후 전통 현악기 연주 시 받침대의 흔들림이 없는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10)를 연주 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60)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상기 전통 현악기(10)가 안치되며, 상기 전통 현악기(10)에 구비된 공명통(13)에서 울리는 음향이 외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장홀 형상의 통공(21)이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상판(20)의 양단 하면에 제 1 힌지(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다리(30); 상기 상판(20)의 하면 중 상기 한 쌍의 다리(30) 사이에 제 2 힌지(2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 외측으로 펼쳐지며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40); 상기 한 쌍의 다리(30)가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다리(3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4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돌기(31); 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을 보강하기 위해 상판(20)의 양단 하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 보강판((23); 상기 한 쌍의 다리(30)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다리(30) 내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제 2 보강판(32);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힌지(24)는 일단이 상기 제 1 보강판((23)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보강판(32)에 체결되는 경첩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40) 하단의 경사면(41)에 구비된 철편(42); 상기 한 쌍의 다리(30)의 내측면 중 상기 지지판(40)의 경사면(41)과 맞닿는 부위에 구비된 자석(33)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어 현악기(10)를 고정하기 위한 현악기 고정부(22)가 포함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30)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34)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 1 체결공(52)이 구비된 연장판(51)과, 상기 연장판(5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다리(30)에 형성된 제 2 체결공(35)을 통하여 상기 제 1 체결공(52)에 끼워지는 고정핀(36)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부(50)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51)의 하단에 구비되어 받침대(6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53)가 더 구비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상판, 한 쌍의 다리 및 한 쌍의 지지판이 전통 현악기와 같은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현악기와 맞닿는 받침대로 인하여 발생되는 음의 변화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상판의 통공을 통하여 전통 현악기의 공명통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원활하게 받침대 하단의 외부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상단에 구비되는 악기 고정부에 의해 전통 현악기를 연주 시 현악기의 움직임을 방지 할 수 있으며,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을 사용함에 따라 쇽업쇼바 및 핀 형상의 다른 현악기 받침대에 비해 지지력이 견고하며 조립이 용이하다.
또, 상판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 및 지지판이 제 1 힌지 및 제 2 힌지에 의해 접혀짐에 따라 이동 시 부피가 작아져 수납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저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가 접힌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저면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정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가 접힌 상태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전통 현악기(10)는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악기로서 통상 가야금, 거문고, 아쟁 등이 이에 속하며, 이들 악기는 공통적으로 몸체에 팽팽한 상태로 현(弦;줄)을 고정시키고, 이 현을 튕겨 주거나 활 등으로 마찰시킴으로서 공명체로 된 몸체의 공명통(13)을 통해 음향을 내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명통(13)이 전통 현악기(10)의 하단에 형성되어 대부분 연주자의 무릎 위에 전통 현악기(10)를 올려놓고 연주를 하게 되는데,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 보다 높게 하여 전통 현악기(10)를 일정각도로 비스듬히 놓은 상태로 연주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60) 역시 한 쌍의 다리(30) 중 일측 다리(30)가 타측 다리(30)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현악기(10)를 올려놓게 되면 현악기(10)의 용두부(11)가 봉미부(12)보다 높게 되어 일정각도 비스듬한 상태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10)를 거치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60)는 상면에 상기 전통 현악기(10)가 안치되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양단 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다리(30)와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20)은 상기 전통 현악기(10)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공명통(13)과 일치되는 위치에 상기 공명통(13)의 음향이 상기 상판(2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형태의 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20)의 상면 양단에는 상기 전통 현악기(10)를 고정하기 위한 악기 고정부(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악기 고정부(22)는 상기 전통 현악기(10)를 연주 시 발생되는 움직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상기 상판(20)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우레탄 및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다리(30)는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 양단에 수직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30)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제 1 힌지(2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다리(30) 중 일측의 다리(30)가 타측의 다리(30)보다 그 길이가 일정 비율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상판(20)이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리(30)의 양 단부는 상기 다리(30)를 펼쳤을 경우 상기 상판(20)과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다리(30)의 양단부가 상기 다리(30)의 양면과 수직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받침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다리(30) 하측이 상기 상판(20)보다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다리(30)의 상측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상판(20)의 하면 중 상기 한 쌍의 다리(30) 사이에 제 2 힌지(25)에 의해 180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판(40)이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30) 사이에 경사지게 지지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40)의 양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한 쌍의 다리(30)가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되게 세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다리(3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1)에 걸려 경사지게 고정되며 종래의 쇽업쇼바 등의 핀 형태의 지지대 보다 판 형태의 본 고안의 지지판(40)이 더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고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상판(20)의 양단 하면에 제 1 힌지(24)에 의해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30)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다리(30)와 맞닿는 상판(2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보강판((23)과 상기 다리(30)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30)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보강판(32)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힌지(24)는 일단이 상기 제 1 보강판((23)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보강판(32)에 체결되는 경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 및 받침대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상판(20)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어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30)와 상기 다리(30)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40)은 상기 제 2 힌지(25)에 의해 회동되어 경사지게 설치됨에 있어 상기 지지판(40)의 양단부가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다리(30)의 내측과 맞닿는 상기 지지판(40)의 경사면(41)에는 철편(42)이 함몰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0)의 경사면(41)과 맞닿는 다리(30)의 내측 부위의 걸림돌기(31) 상단에는 상기 철편(4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3)이 함몰되어 구비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다리(30)와 지지판(40)이 상기 걸림돌기(31)와 어울려 2차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40)이 상기 상판(20)과 다리(3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31)와 자력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다리(30)와 한 쌍의 지지판(40)이 제 1 힌지(24) 및 제 2 힌지(25)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내측으로 접혀짐에 따라 받침대의 부피가 매우 얇게 줄어들어 상기 받침대의 이동 및 수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60)의 사용상태 저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60)의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 받침대(6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50)는 상기 한 쌍의 다리(30) 하단에 구비된 삽입홈(3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장판(51)과 상기 연장판(5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판(51)에는 상기 다리(3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제 1 체결공(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장판(51)이 삽입되는 다리(30)의 하부에는 상기 연장판(51)의 제 1 체결공(52)과 연통되는 제 2 체결공(35)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체결공(35)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판(51)의 제 1 체결공(52)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판(51)을 고정하는 고정핀(3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판(51)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60)가 바닥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53)가 결합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53)는 그 재질이 우레탄 및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전통 현악기 11: 용두부
12: 봉미부 13: 공명통
20: 상판 21: 통공
22: 악기 고정부 23: 제 1 보강판
24: 제 1 힌지 25: 제 2 힌지
30: 다리 31: 걸림돌기
32: 제 2 보강판 33: 자석
34: 삽입홈 35: 제 2 체결공
36: 고정핀 40: 지지판
41: 경사면 42: 철편
50: 높이 조절부 51: 연장판
52: 제 1 체결공 52: 미끄럼 방지부

Claims (6)

  1. 삭제
  2. 전통 현악기(10)를 연주 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60)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전통 현악기(10)가 안치되며, 상기 전통 현악기(10)에 구비된 공명통(13)에서 울리는 음향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통공(21)이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상판(20)을 보강하기 위해 상판(20)의 양단 하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 보강판(23);
    상기 상판(20)의 양단 하면에 제 1 힌지(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다리(30);
    상기 한 쌍의 다리(30)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다리(30) 내측면 상단에 구비되는 제 2 보강판(32);
    상기 상판(20)의 하면 중 상기 한 쌍의 다리(30) 사이에 제 2 힌지(2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판(20) 하부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상판(20) 하부외측으로 펼쳐지며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40); 및
    상기 한 쌍의 다리(30)가 상기 상판(20)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다리(30)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4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돌기(31);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힌지(24)는 일단이 상기 제 1 보강판(23)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보강판(3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40) 하단의 경사면(41)에 구비된 철편(42);
    상기 한 쌍의 다리(30)의 내측면 중 상기 지지판(40)의 경사면(41)과 맞닿는 부위에 구비된 자석(3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어 현악기를 고정하기 위한 현악기 고정부(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30)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34)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다리(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 1 체결공(52)이 구비된 연장판(51)과, 상기 연장판(5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다리(30)에 형성된 제 2 체결공(35)을 통하여 상기 제 1 체결공(52)에 끼워지는 고정핀(36)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51)의 하단에 구비되어 현악기 받침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20100003157U 2010-03-26 2010-03-26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60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57U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0-03-26 전통 현악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57U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0-03-26 전통 현악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1U KR20110009371U (ko) 2011-10-05
KR200460460Y1 true KR200460460Y1 (ko) 2012-05-25

Family

ID=466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57U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0-03-26 전통 현악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1U (ko) 2016-05-11 2017-11-21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48Y1 (ko) * 2018-03-19 2019-07-16 주진희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33B1 (ko)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1U (ko) 2016-05-11 2017-11-21 임도수 전통 현악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1U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316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4305581A (en) Pivotable playing table
US5315910A (en) Detachable retrofit for a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US20190295514A1 (en) Foldable Stringed Instrument
US20180053491A1 (en) Travel Guitar
KR200460460Y1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JP2020507820A (ja) 小型ドラムキット
KR102220418B1 (ko) 오토하프
KR101676922B1 (ko)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KR200396465Y1 (ko) 탁구대 겸용 테이블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20080290227A1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and
KR101309117B1 (ko) 현악기 연주용 받침장치
KR200415764Y1 (ko) 전통 현악기용 받침대
US5739449A (en) Collapsible drum stand
KR200239351Y1 (ko) 북 고정대
KR200489648Y1 (ko) 일체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101961243B1 (ko) 실로폰
US6273250B1 (en) Golf bag with a foldaway chair
US20070113719A1 (en) Sound box for floor-standing string instrument
KR101751134B1 (ko) 악기 받침대용 장석 및 이를 구비한 악기받침대
KR200432429Y1 (ko) 징 받침대
KR200267781Y1 (ko) 전통 현악기용 안치대
JP4656020B2 (ja) 譜面立て
KR200391693Y1 (ko) 상자형 타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