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21U - 전통 현악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전통 현악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21U
KR20170003921U KR2020160002532U KR20160002532U KR20170003921U KR 20170003921 U KR20170003921 U KR 20170003921U KR 2020160002532 U KR2020160002532 U KR 2020160002532U KR 20160002532 U KR20160002532 U KR 20160002532U KR 20170003921 U KR20170003921 U KR 201700039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g plate
upper plate
leg
ga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384Y1 (ko
Inventor
임도수
Original Assignee
임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수 filed Critical 임도수
Priority to KR2020160002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8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판에 대하여 다리판을 쉽게 펼쳐 전통 현악기의 받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연주가 끝난 후에는 상판에 대하여 쉽게 접어 편리하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우로 기다란 상판(20); 상기 상판에 대하여 90도를 이루는 다리판 펼침 상태와 다리판 접힘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20)의 저면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판(40, 40);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 연결부재(50);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대응되게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 연결부재(60);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 측에 연결되는 가스 스프링(70); 및 상기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기 다리판(40)과 상기 상판(20) 사이를 고정하는 잠금 고리 유닛(90)을 포함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통 현악기 받침대{Support for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
본 고안은 전통 현악기를 상판에 받쳐 놓고 연주하기 위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판을 쉽게 펼쳐 전통 현악기, 특히, 가야금의 받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연주가 끝난 후에는 상판에 대하여 다리판을 쉽게 접어 편리하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전통 현악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가야금과 같은 전통 현악기는 바닥에 자리를 깔고 연주하는 것이 정례이다. 이 경우, 연주자는 전통 현악기의 일측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타측은 바닥에 내려 놓은 상태로 연주한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의자에 앉아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예컨대, 국악 교향악 연주에 있어서는 서양 교향악 연주와 마찬가지로 지휘자가 서서 지휘하고 연주자들은 의자에 앉아 가야금 등의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게 된다.
의자에 앉아 가야금 등의 전통 현악기를 연주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전통 현악기 받침대이다. 종래의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다리를 포함한다. 연주시에는 다리를 수직으로 펼쳐 세운 후 상판에 전통 현악기를 올려놓고 연주를 하며, 연주가 끝나면 다리를 상판과 수평이 되게 접어 운반하다. 상판과 다리가 경첩에 의해 연결되므로, 현악기 연주중 상판을 단단하고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판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볼트 또는 나사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조임구를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연주자가 연주를 끝낸 후 다리를 접기 위해 조임구를 푸는 번거롭고 긴 시간이 요하는 동작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0460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14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판에 대하여 다리판을 쉽게 펼쳐 전통 현악기의 받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연주가 끝난 후에는 상판에 대하여 쉽게 접어 편리하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좌우로 기다란 상판(20); 상기 상판에 대하여 90도를 이루는 다리판 펼침 상태와 다리판 접힘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20)의 저면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판(40, 40);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 연결부재(50);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대응되게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 연결부재(60);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 측에 연결되는 가스 스프링(70); 및 상기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기 다리판(40)과 상기 상판(20) 사이를 고정하는 잠금 고리 유닛(9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부(72)와 상기 실린더부(72)와 동일 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7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로드부(74)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판(40)이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특정 임계 각도에서 최대로 압축되며, 그 임계 각도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가스압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다리판(40)을 펼치거나 또는 상기 다리판(40)을 접는 힘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힌지 연결부재(50)는 상기 상판(20)에 체결되는 체결부(52)와, 핀 또는 축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실린더부(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5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연결부재(60)는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직접 접하여 체결되는 접촉 체결부(62)와, 상기 접촉 체결부(62)와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다리판(40)과 경사지게 이격되는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로드부(74)를 연결하는 핀형 연결부(6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은 상기 상판(20)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922)와 후크 형상부(924)를 포함하는 후크부재(92)와,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92)의 후크 형상부(92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942) 및 상기 회전 고리부(942)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94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리부재(94)는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회전축 주위로 설치된 토션스프링(94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션스프링(946)은 상기 회전 고리부(942)와 상기 후크 형상부(924) 사이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부(944)를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판(40)은 평행하게 놓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판(40) 각각은 상기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수용하는 개구부(22, 42)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가야금 받침대, 특히, 25현 가야금 받침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잠금 고리 유닛이 전통 현악기가 놓인 상판과 그 상판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진 다리판을 잠금 고리 유닛이 단단히 고정하고 또한 가스 스프링이 상판을 신뢰성 있게 잡아주므로 연주자가 흔들림 없이 연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잠금 고리 유닛을 원터치로 조작하여 다리판과 상판 사이의 고정을 해제한 후 다리판을 접어 쉽게 철거 가능하다. 반대로, 접혀 있는 다리판을 쉽게 세운 후에 잠금 고리 유닛으로 상판과 다리판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연주자에 의해 간단하고 쉽게 그리고 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리판을 접거나 피는 과정 그리고 전통 현악기 받침대를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가스 스프링이 다리판을 신뢰성 있게 지지하므로 원치 않는 흔들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가스 스프링에 충전된 가스가 다 빠져 나와 가스 스프링이 역할을 못하더라도 잠금 고리 유닛만으로 다리판과 상판 사이의 단단한 고정이 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현악기 받침대는 모양과 형태가 미려하고 가볍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더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를 가야금을 받쳐 사용할 수 있는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야금 받침대를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 "B"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원 "C"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를 다리 접음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좌우로 기다란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저면 좌우 양측에 대략 0도의 다리판 접힘 상태와 대략 90도 펼쳐 세워진 다리판 펼침 상태 사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리판(40, 4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상기 다리판(4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상판(20)의 저면과 상기 다리판(40)의 상단 사이에는 경첩(30)이 설치된다. 상기 경첩(30)의 회전축 중심은 상기 다리판(40)의 상단 안쪽 모서리에 인접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0)은, 목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평평한 상면과 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전체 무게를 줄이도록 그리고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이하 설명되는 가스 스프링(70) 일부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받침 패드(24, 24)가 가야금을 이격된 상태로 그리고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다리판(40, 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에 대하여 대략 90도를 이루도록 펼쳐 세워지는 것으로서,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지면에 접하는 하단과,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의 저면과 면하는 상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판(40)은, 목재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이하 설명되는 가스 스프링(70) 일부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개구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다리판(40, 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판(20)에 대하여 90도를 이루지만, 경첩(30)에 의해 안쪽으로 회전하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20)에 대하여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접혀질 수 있다. 가야금 연주시, 상기 가야금 받침대(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리판 펼침 상태로 가야금을 받치고, 가야금 연주가 끝나면, 다리판(40)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 편하게 운반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정면과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은 상기 다리판(20)의 회전 각도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상판(20)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 연결부재(50)와 이에 대응되게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 연결부재(60)와,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 측에 연결되는 가스 스프링(7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다리판(40)이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특정 각도, 즉, 임계 각도에서 최대로 압축되며, 그 임계 각도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가스압에 의해 신장되어 다리판(40)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또는 다리판(40)을 자동으로 접는 신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부(72)와 상기 실린더부(72)와 동일 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7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로드부(74)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로드부(74)가 상기 실린더부(72) 내로 후퇴하여 전체 길이가 감소할 때 압축되며,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70)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는 상기 다리판(40)이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임의의 임계 각도 지점이다. 따라서,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상기 다리판(40)이 90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0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신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힌지 연결부재(50)는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상판(20)에 체결되는 체결부(52)와, 핀 또는 축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실린더부(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연결부재(60)는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직접 접하여 체결되는 접촉 체결부(62)와, 상기 접촉 체결부(62)와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다리판(40)과 경사지게 이격되는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로드부(74)를 서로 교차시킴 없이 거의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핀형 연결부(66)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 형성부(64)는,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체결된 상기 접촉 체결부(62)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이격된 상태로 존재하며, 또한, 그 상태에서, 상기 핀형 연결부(66)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로드부(74)와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신장력이 상기 다리판(40)을 미는 힘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상기 다리판(40)을 잡아 유지하는 힘으로 작용하며, 이는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기 다리판(40)이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야금 받침대(1)는, 다리판 펼침 상태, 즉, 다리판(40)이 상판(20)에 대해 90도로 펼쳐져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다리판(40)과 상기 상판(20) 사이를 고정하는 잠금 고리 유닛(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으로는 흔히 "매미 고리"로 칭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다리판(40)의 정면과 상기 상판(20)의 정면은 서로 거의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데,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은 상기 상판(20)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922)와 후크 형상부(924)를 포함하는 후크부재(92)와,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92)의 후크 형상부(92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942) 및 상기 회전 고리부(942)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944)를 포함하는 고리부재(9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94)는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회전축 주위로 설치된 토션스프링(946)을 더 포함하는데, 이 토션스프링(946)은 상기 회전 고리부(942)와 상기 후크 형상부(924) 사이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부(944)를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원치 않는 회전 및 흔들림을 막는다.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은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다리판(40)과 상기 상판(20) 사이의 고정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연주자는 연주를 끝낸 후 토선스프링(946)의 편향력에 대항하면서 회전 작동부(944)를 위로 들어 올리는 원터치 동작으로 후크 형상부(924)에 걸려 있던 회전 고리부(942)가 후크 형상부(924)로부터 빠지게 하여 쉽게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면, 연주자는 다리판(40)을 상판(20)과 접하는 각도인 O도가 되게 접는다. 다리판(40)을 접는 중간 과정에서 임계 각도에 이르면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최대로 압축되고 그 다음에는 추가의 힘을 더하지 않아도 다리판(40)의 가스 스프링(70)의 신장력에 의해 상판(20)과 평행하게 면하는 각도까지 접힌다. 상기 다리판(40)이 상기 상판(20)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상판(20)과 평행한 상태로 대략 90도 회전하는 동안, 상기 가스 스프링(70) 또한 그에 대응하는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결국 상판(20)과 상기 다리판(40)의 총 두께 영역 내에 누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일측 일부와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타측 일부가 각각 상기 다리판(40)의 개구부(42) 및 상기 상판(20)의 개구부(22) 내에 수용된다.
20.........................................상판
40.........................................다리판
50.........................................힌지 연결부재
60.........................................고정 연결부재
70.........................................가스 스프링
90.........................................잠금 고리 유닛

Claims (7)

  1. 좌우로 기다란 상판(20);
    상기 상판에 대하여 90도를 이루는 다리판 펼침 상태와 다리판 접힘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20)의 저면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판(40, 40);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 연결부재(50);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대응되게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 연결부재(60);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판(20)의 저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연결부재(60)에 의해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 측에 연결되는 가스 스프링(70); 및
    상기 다리판 펼침 상태에서 상기 다리판(40)과 상기 상판(20) 사이를 고정하는 잠금 고리 유닛(90)을 포함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70)은 가스가 충전된 실린더부(72)와 상기 실린더부(72)와 동일 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7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로드부(74)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판(40)이 상기 상판(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특정 임계 각도에서 최대로 압축되며, 그 임계 각도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가스압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다리판(40)을 펼치거나 또는 상기 다리판(40)을 접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재(50)는 상기 상판(20)에 체결되는 체결부(52)와, 핀 또는 축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실린더부(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5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연결부재(60)는 상기 다리판(40)의 내측면에 직접 접하여 체결되는 접촉 체결부(62)와, 상기 접촉 체결부(62)와 경사지게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다리판(40)과 경사지게 이격되는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이격 형성부(64)와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로드부(74)를 연결하는 핀형 연결부(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고리 유닛(90)은 상기 상판(20)의 정면에 설치되고 고정부(922)와 후크 형상부(924)를 구비하는 후크부재(92)와,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92)의 후크 형상부(92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회전 고리부(942) 및 상기 회전 고리부(942)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작동부(944)를 구비하는 고리부재(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94)는 상기 회전 작동부(944)의 회전축 주위로 설치된 토션스프링(94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션스프링(946)은 상기 회전 고리부(942)와 상기 후크 형상부(924) 사이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부(944)를 상기 다리판(40)의 정면에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판(40)은 평행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판(20)과 상기 다리판(40) 각각은 상기 다리판 접힘 상태에서 상기 가스 스프링(70)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수용하는 개구부(22, 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20160002532U 2016-05-11 2016-05-11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8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32U KR200485384Y1 (ko) 2016-05-11 2016-05-11 전통 현악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32U KR200485384Y1 (ko) 2016-05-11 2016-05-11 전통 현악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21U true KR20170003921U (ko) 2017-11-21
KR200485384Y1 KR200485384Y1 (ko) 2018-01-30

Family

ID=6048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32U KR200485384Y1 (ko) 2016-05-11 2016-05-11 전통 현악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09U (ko) * 2018-09-10 2020-03-18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13A (ko) 2019-05-02 2020-11-11 전성식 전통 현악기 받침대 겸 캐리어
KR20200000746U (ko) 2020-04-06 2020-04-13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95302Y1 (ko) * 2020-08-13 2022-04-20 임도수 거문고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14A (ja) * 2002-08-30 2004-03-25 Honko Mfg Co Ltd 作業台
KR100745333B1 (ko) *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200453166Y1 (ko) * 2008-09-03 2011-04-15 이동철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줄자용 클립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2-05-2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460999Y1 (ko) * 2009-12-03 2012-06-15 김낙권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14A (ja) * 2002-08-30 2004-03-25 Honko Mfg Co Ltd 作業台
KR100745333B1 (ko) * 2007-04-27 2007-08-02 안영석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KR200453166Y1 (ko) * 2008-09-03 2011-04-15 이동철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줄자용 클립
KR200460999Y1 (ko) * 2009-12-03 2012-06-15 김낙권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KR200460460Y1 (ko) 2010-03-26 2012-05-25 영동군 전통 현악기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09U (ko) * 2018-09-10 2020-03-18 임도수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84Y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384Y1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US9644785B2 (en) Keyboard stand
US20070056485A1 (en) Foldable frame structure for foldable table
US20140115827A1 (en) Foldable table
JPH07500034A (ja) 主に音楽用のレクターンもしくはスタンド
US20090320205A1 (en) Playpen Bottom Frame that is Foldable Easily and Quickly
US6193204B1 (en) Music stand
KR100964997B1 (ko) 이젤
US20060131251A1 (en) Performance riser assembly
US9293123B2 (en) Portable guitar stand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7375272B2 (en) Pedal stand for musical instrument
JP3648207B2 (ja) 折畳脚柱のロック構造
KR101572230B1 (ko) 이동식 연주대
US7293753B1 (en) Four-legged artist easel
CN107261393A (zh) 一种跑步机的折叠结构
KR101561230B1 (ko) 전개 방향, 각도의 자유 조절이 가능한 후방 지주를 갖는 이젤
KR200491589Y1 (ko)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197298Y1 (ko) 접이식 교자상
KR20200000746U (ko) 높이 가변형 전통 현악기 받침대
JP2007054272A (ja) 折畳み式ランニングマシーン
US2810972A (en) Folding ironing board
US9767775B2 (en) Instrument case with built in stand
US20050103958A1 (en) Foldable article of furniture
KR200488072Y1 (ko)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