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72Y1 -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 Google Patents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72Y1
KR200488072Y1 KR2020180001916U KR20180001916U KR200488072Y1 KR 200488072 Y1 KR200488072 Y1 KR 200488072Y1 KR 2020180001916 U KR2020180001916 U KR 2020180001916U KR 20180001916 U KR20180001916 U KR 20180001916U KR 200488072 Y1 KR200488072 Y1 KR 20048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ece
folding
pai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학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필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필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필발트
Priority to KR202018000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형으로 형성한 전자 키보드의 바닥면 양측에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다리로서 접고 펴는 동작을 할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접이식 다리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가이드홈을 유선형으로 구성한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접철식 다리보다 접이식 다리가 이동하는 슬라이드 홈이 완만한 곡선으로 구성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판상형의 상판의 저부에 위치한 접철식 다리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고, 접이식 다리를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되므로 전자 키보드의 상판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되며, 접이식 다리를 구성하는 받침부재가 전자 키보드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접이식 다리가 갑자기 내측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Folding leg for electronic keyboard}
본 고안은 전자 키보드의 아랫면에 결합하는 접이식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판형의 전자 키보드의 바닥면 양측에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다리로서 접고 펴는 동작을 할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접이식 다리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가이드홈을 유선형으로 구성한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키보드(key board)는 건반 악기 중에서도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악기의 총칭으로서, 특히 클래식에서 옛날부터 사용하고 있는 피아노, 오르간 및 하모니카와 같은 전통 악기가 아닌, 신종 건반 악기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키보드를 연주하는 사람을 키보디스트라고 한다.
한편, 판형으로 형성한 상판의 상면에 음식 또는 책 또는 소도구 들을 놓아서 식사를 하거나 독서를 하거나 소도구들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접이식 다리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접이식 다리는 용도에 따라서 접철식과 고정식으로 구분하는데, 고정식은 상판과 접이식 다리를 일체로 형성하여 무거운 물건 등을 올려 놓아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식탁 또는 책상 등을 말하고, 접철식은 상판과 접이식 다리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접이식 다리가 분리되거나 또는 접이식 다리가 상판의 하면 방향으로 누워지면서 접히는 방식으로 주로 보관의 용이성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철식 다리는 다리와 다리 사이의 저부에 편축으로 회동하는 횡대가 설치되어 다리를 고정하는 수단이 되는데 다리를 입설한 상태에서 이 횡대를 회동시켜 횡대의 양측단이 다리의 내측단에 밀착시켜 다리를 고정하게 한다.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접이식 다리의 접철장치는 상판의 하부면에 결합된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서 평각에서 아래 직각 방향으로 선회하여 펴지고 또한, 하향 직각 방향에서 안쪽을 향하여 평각으로 접어지는 접이식 다리가 2개 내지 4개 이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판에는 접이식 다리가 접히거나 펴졌을 때 레버형 스토퍼의 선단부가 기어 들어가서 걸리는 2개의 멈춤홈을 갖추고 있으며, 접이식 다리판에는 멈춤홈을 걸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하는 레버형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도 있다.
레버형 스토퍼는 수동식으로 접이식 다리를 접거나 펼칠때마다 접이식 다리판을 따라서 움직이면서 접이식 다리를 편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접이식 다리의 접철장치는 다리를 접거나 펼때 한 손으로 다리를 조작하면서 레버형 스토퍼까지 함께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고 접이식 다리의 정지기능이 미흡해서 펴진 다리가 갑자기 접혀져서 상판의 위에 있던 물건들이 쏟아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견고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착판과 접이식 다리판의 사이에 끼운 강력한 탄성을 발휘하는 스토퍼용 복귀 스프링은 접이식 다리를 접거나 펴는 조작이 불편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키보드와 접이식 다리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997-55851호에 버팀관의 하단과 조절봉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받침대와 고정편에 연결설치한 그 조절봉을 버팀관 내부로 삽입연결되게 고정캡 내로 삽입설치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하고 고정캡측의 나사로서 고정시키도록 함으로 양측받침대의 폭을 넓게 할 사이즈의 전자오르간과 폭을 좁게 할 사이즈의 전자오르간 구분없이 어느 것에나 조절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오르간 받침대의 폭조절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며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19285호에 바닥부와 한 쌍의 벽면부와 측면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절단면이 'ㄷ'자 형인 베이스와 돌기 스프링과 끝단 부분이 오무려져 있는 고정돌기 원통 및 돌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간격 만큼만 들어가고 나오고를 반복할 수 있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 돌기 원통부와 힌지봉과 슬라이드홈부와 버튼을 포함하여 버튼을 눌러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접철이 가능한 버튼을 활용한 접이식 상다리의 고정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고 또,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6-0002786호에 상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철식 상다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 공보 등록번호 제20-0231088호에 상판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어 접철이 가능하도록 된 다리에 있어, 내측 공간부의 양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격벽과 하방으로 돌출되고 양측에 고정공을 갖는 고정날개부와 돌출된 외면에는 그 일단에 걸림홈이 형성된 2개의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된 덮개부와 결합공에 끼워지며 대향되게 절곡된 상부 양측 끝단부와 하부에는 일측으로 절곡된 지지대를 갖는 소정 형상의 철제 지지대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다리를 펼치거나 접을 때 몸체의 외면으로 입출동작을 하는 지지다리의 양측 끝단부의 외부에 덮개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손이 입출되는 지지다리와 결합공 사이에 끼게되어 입는 신체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는 접철식 상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위에 서술한 문제점과 같이 접이식 다리의 정지기능이 미흡해서 펴진 접이식 다리가 갑자기 접혀져서 상판 위의 물건들이 쏟아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견고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부착판과 접이식 다리판의 사이에 끼운 강력한 탄성을 발휘하는 스토퍼용 복귀 스프링은 접이식 다리를 접거나 펴는 조작이 불편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정지기능을 강화하여 접이식 다리가 갑자기 접혀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접이식 다리를 접을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적절한 힘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접이식 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판상형의 전자 키보드의 하부에 접이식 다리를 장착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판상형의 전자 키보드 상판(100) 저면에 2개 내지 8개의 다리본체(1)를 형성하여, 체결볼트(12)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체결공(11)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체결편(2)과 상기 한 쌍의 수평체결편(2)의 사이에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납작한 부분이 수평체결편(2)과 수평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분의 외면에 상기 수평체결편(2)이 형성된 방향에서 시작하며 평행을 이루는 걸림턱을 갖지 않는 한 쌍의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 통공된 회동공(4)을 형성한 수직마감편(3)과 상기 반 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양 측면에 형성한 회동공(4)에 고정결합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결합바(21)와 상기 결합바(21)에 이어져서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마감편(3)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수직바(22)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22)가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바(23)를 포함하는 받침부재(20)로 구성하는 본체(1)로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체결편(2)의 긴 변이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수직마감편(3)의 긴 변과 각각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 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재(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비어있으며, 상기 한 쌍의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은 상기 수직마감편(3)의 외면에 구성하고, 한 개의 슬라이드홈(30)은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까지 이어지며, 상기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인 상부걸림부(31)에서 중앙부인 안내부(32)를 거쳐서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인 하부걸림부(33)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바(22)가 상부걸림부(31)에 있는 상태에서 수직바(22)를 하부걸림부(33) 방향으로 밀면, 상기 한 쌍의 수직바(22)가 상부걸림부(31)에서 시작하여 안내부(32)를 지나서 하부걸림부(33)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를 이용하면 기존의 접철식 다리보다 본 고안인 접이식 다리가 이동하는 슬라이드 홈이 완만한 곡선으로 구성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전자 키보드 상판의 저부에 위치한 접이식 다리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고, 접이식 다리를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되므로 판상형의 전자 키보드를 보관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되며, 접이식 다리를 구성하는 받침부재가 전자 키보드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접이식 다리가 갑자기 내측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펼침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펼침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접힌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접힌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펼침상태에서의 저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의 접힌상태에서의 저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폭이 좁고 두 변의 길이가 긴, 바 형태로 형성한 한 쌍의 수평체결편(2)의 양 끝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개의 수평체결편(2)의 긴 변과 맞닿도록 반원통형상의 수직마감편(3)의 일측과 결합하고, 또 하나의 수평체결편(2)의 긴 변이 상기 수직마감편(3)의 타측과 결합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체결편(2)과 수직마감편(3)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반원통형상의 수직마감편(3)의 내측은 비어있고, 양측에는 통공되어 형성하는 회동공(4)이 구성된다.
상기 반원통형상의 수직마감편(3)의 외면에는 한 쌍의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30)은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까지 곡선을 이루면서 구성된다.
상기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은 상기 수직마감편(3)의 양 측면을 향하여 'C' 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C'자의 벌어진 방향이 수직마감편(3)의 양 측면을 향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은 하부걸림부(33)라 하고 슬라이드홈(30)의 중간부는 안내부(32)라 하며,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슬라이드홈(30)은 상부걸림부(31)라 한다.
받침부재(20)는 반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양 측면에 형성한 회동공(4)에 고정결합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결합바(21)와 상기 결합바(21)에 이어져서 슬라이드홈(30)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마감편(3)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수직바(22)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22)가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바(2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수평체결편(2)과 수직마감편(3)과 받침부재(20)를 포함하여 본체(1)로 구성한다.
상기 받침부재(20)의 구성은 넓게 구성한 수평바(23)와 같이 구성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 수평바(23)를 좁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23)를 넓게 구성하면 본체(1)를 2개만 사용해도 안정적으로 전자 키보드용 다리 역할을 할 수 있고, 수평바(23)를 좁게 구성하면 본체(1)를 4개 이상으로 사용하여야 안정적으로 전자 키보드용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받침부재(20)가 상부걸림부(31)에 위치해 있는 상태로서, 상판(100)을 본체(1)가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받침부재(20) 중 결합바(21)가 수직마감편(3)의 양 측에 형성한 회동공(4)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바(22)가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 중 상부걸림부(31)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결과 본체(1)가 상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걸림부(31)는 반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에 형성하지만, 보다 안정적으로 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해서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을 지나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걸림부(31)가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이 정점을 지나서 형성되면 받침부재(20)가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받침부재(20)가 하부걸림부(33)에 위치해 있는 상태로서, 상판(100)의 저면에 받침부재(20)가 접혀 있는 상태이다.
받침부재(20) 중 결합바(21)가 수직마감편(3)의 양 측에 형성한 회동공(4)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바(22)가 슬라이드홈(30) 중 하부걸림부(33)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결과 상판(100)의 하부면에 받침부재(20)가 접혀서 맞닿아 있는 것이다.
상기의 하부걸림부(33)는 반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에 형성한다.
도 2 및 도 3과 도 4 및 도 5는 받침부재(20)가 상판(100)의 저면과 수직을 이루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면서, 본체(1)에서 받침부재(20)가 슬라이드홈(30)을 따라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나타낸다.
받침부재(20) 중 수직바(22)가 슬라이드홈(30) 중 하부걸림부(33)에 위치해 있으면 상기 받침부재(20)가 접혀서 있는 것이다. 이때 받침부재(20)를 잡고서 잡아 당기거나 밖으로 밀어내면, 수직바(22)가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을 따라서 이동하고, 곡선으로 형성한 안내부(32)를 따라서 상부걸림부(31)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받침부재(20)가 상판(100)의 저면부와 수직을 이루면서 접이식 다리가 펴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받침부재(20)를 잡고서 안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수직바(22)가 슬라이드홈(30)을 따라서 이동하고, 곡선으로 형성한 안내부(32)를 따라서 하부걸림부(33)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받침부재(20)가 상판(100)의 저면부와 수평을 이루면서 접이식 다리가 접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선행기술 중에서 걸림턱을 형성하여 접이식 다리를 펴거나 접을 때, 큰 힘을 소모했던 구성에서 걸림턱을 제거하고 슬라이드홈(30)을 유선형으로 완만하게 형성하여 작은 힘으로도 상판(100)을 지지하는 받침부재(20)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본체
2. 수평체결편
3. 수직마감편
4. 회동공
11. 체결공
12. 체결볼트
20. 받침부재
21. 결합바
22. 수직바
23. 수평바
30. 슬라이드홈
31. 상부걸림부
32. 안내부
33. 하부걸림부
100. 상판

Claims (5)

  1. 상판(100) 저면에 체결볼트(12)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체결공(11)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체결편(2)과 상기 한 쌍의 수평체결편(2)의 사이에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납작한 부분이 수평체결편(2)과 수평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분의 외면에 상기 수평체결편(2)이 형성된 방향에서 시작하며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30)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 통공된 회동공(4)을 형성한 수직마감편(3) 및 받침부재(20)을 갖는 전자 키보드인 상판(100)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하는 접이식 다리에 있어서,
    상기 반 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외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유선형의 슬라이드홈(30)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동일하게 구성되며,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수직마감편(3)의 양 측면을 향하여 'C' 자 형태로 형성하여 걸림턱을 갖지 않는 볼록한 부분의 정점까지 곡선으로 이어지며, 또한 한 쌍의 수직바(22)가 상부걸림부(31)에 있는 상태에서 수직바(22)를 하부걸림부(33) 방향으로 밀면, 상기 한 쌍의 수직바(22)가 상부걸림부(31)에서 시작하여 안내부(32)를 지나서 하부걸림부(33)까지 이동하는 상기 수직마감편(3)의 볼록한 부분의 정점인 상부걸림부(31)에서 중앙부인 안내부(32)를 거쳐서 수직마감편(3)과 수평체결편(2)이 맞닿는 부분인 하부걸림부(33)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받침부재(20)에 힘을 가해 손아귀로 누르지 않고 상판(100)을 지지하는 받침부재(20)를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한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체결편(2)의 긴 변이 반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수직마감편(3)의 긴 변과 각각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 원통형상인 수직마감편(3)의 내측에는 상기 받침부재(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판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100)의 하부 양 끝부분에 본체(1)를 2개 내지 8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KR2020180001916U 2018-05-02 2018-05-02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KR20048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16U KR200488072Y1 (ko) 2018-05-02 2018-05-02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16U KR200488072Y1 (ko) 2018-05-02 2018-05-02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72Y1 true KR200488072Y1 (ko) 2018-12-11

Family

ID=6466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16U KR200488072Y1 (ko) 2018-05-02 2018-05-02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7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0U (ja) * 1992-08-07 1994-03-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底部構造
KR200231088Y1 (ko) * 2001-02-23 2001-07-19 손동준 접철식 상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0U (ja) * 1992-08-07 1994-03-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底部構造
KR200231088Y1 (ko) * 2001-02-23 2001-07-19 손동준 접철식 상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982B2 (en) Latching mechanism for foldable table
US6779466B2 (en) Collapsible portable folding table with folding legs
US9167893B2 (en) Folding table
US20050082884A1 (en) Foldable chair assembly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488072Y1 (ko) 전자 키보드용 접이식 다리
US5152491A (en) Reading material support
KR200431756Y1 (ko) 사용이 자유로운 독서대
KR101862572B1 (ko) 버튼을 활용한 접이식 상다리의 고정장치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110003025U (ko) 절첩식 탁자의 절첩장치
KR102240234B1 (ko) 이중독서대
US7226031B1 (en) Collapsible bookstand
WO2004010824A1 (en) Portable fold up work surface and seat combination
KR19980058035U (ko) 절첩식 휴대용 테이블
KR200279323Y1 (ko) 보조 받침용 테이블
JP2002223862A (ja) 折り畳み自在なテーブル
JP3072050U (ja) 折畳み式譜面台
KR101861532B1 (ko) 스마트 보면대
KR200479615Y1 (ko)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JP3093218U (ja) テーブルおよび椅子の足の伸縮構造
KR200310981Y1 (ko) 독서대
KR200184707Y1 (ko) 상다리
JPH0636767Y2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