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532B1 - 스마트 보면대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532B1
KR101861532B1 KR1020160075579A KR20160075579A KR101861532B1 KR 101861532 B1 KR101861532 B1 KR 101861532B1 KR 1020160075579 A KR1020160075579 A KR 1020160075579A KR 20160075579 A KR20160075579 A KR 20160075579A KR 101861532 B1 KR101861532 B1 KR 10186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upport
support leg
bas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324A (ko
Inventor
반진영
Original Assignee
반진영
강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진영, 강우규 filed Critical 반진영
Priority to KR102016007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5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스마트 보면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보면대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판이 구비된 악보 받침부; 베이스판에 결합 되며, 다단으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포스트부; 지지 포스트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납작한 형상의 복수의 지지 다리가 구비된 지지 다리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접혀진 한 쌍의 접힘판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커버 하는 악보받침 커버부; 및 베이스판에 신축되어 접혀진 지지 다리부를 밀폐하도록 베이스판에 결합 되는 지지포스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보면대{SAMRT MUSIC STAND}
본 발명은, 스마트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들이 악기를 이용하여 곡을 연주할 때는 연주하고자 하는 곡이 기록된 다수장의 악보를 보면서 악기를 다루게 되고, 연주를 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악보를 볼 수 있도록 보면대를 이용하여 연주자의 전방 쪽 시선 높이에 악보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주자가 원하는 위치에 악보를 놓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면대(또는 악보대)인 바 종래 보면대의 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보면대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지지구의 상단부에 판상의 악보 거치판을 경사지게 결합시킨 구조로, 연주자는 경사진 악보 거치판의 전면에 놓여진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기 때문에 연주하는 곡의 전부를 외우지 않더라도 악보를 보면서 연주할 수 있다.
즉 보면대는 연주자가 악보를 편안한 시선으로 볼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연주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연주 도중 연주자가 악보를 넘겨가면서 볼 수 있도록 해주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평판형 보면대는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하여 개선책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삼각대는 삼발이 고정 형태 및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부피가 커서 사용이 불편하고, 접이식으로 하게 되면 들고 다니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보면대의 악보판을 지지하는 봉은 고정된 형태나 일부만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어 보면대를 최소 높이로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악보판을 지지하는 봉은 다양한 악기들의 연주 예를 들어 팀파니와 심벌 등은 서서 연주하기 때문에 80cm 이상으로 되어야 한다. 이전의 악보판을 지지하는 봉을 볼트와 너트 형태로 길이 조절을 하게 되면 기성품의 크기가 6-7cm 정도로 3단봉을 했을 시 보면대의 최소 높이인 80cm를 충족시키기 못한다. 이러한 충족을 시키려면 악보판의 크기가 커져야 되서 실용성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455호(박성균) 2009.07.2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421호(조용찬) 2010. 12. 0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면대의 구성을 접거나 신축 가능하게 마련하여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휴대성을 높임으로써 편리하고 사용함과 아울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보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판이 구비된 악보 받침부;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 되며, 다단으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포스트부; 상기 지지 포스트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납작한 형상의 복수의 지지 다리가 구비된 지지 다리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접혀진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커버 하는 악보받침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판에 신축되어 접혀진 상기 지지 다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 되는 지지포스트 커버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면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포스트부는, 상기 지지 다리부에 결합 되는 베이스 포스트; 상기 베이스 포스트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베이스 포스트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중간 포스트; 상기 중간 포스트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중간 포스트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단부 포스트; 및 상기 중간 포스트와 상기 단부 포스트가 상기 베이스 포스트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포스트와 상기 단부 포스트를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하는 포스트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록킹부는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베이스 포스트를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하며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중심 위치로부터 이격 된 위치에 회전 중심이 마련되는 록킹 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록킹부는, 상기 단부 포스트의 하단부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 되는 결합 바디; 상기 결합 바디 보다 직경이 커도록 마련되며 일측부에 절개홈이 마련되는 록킹 바디; 및 상기 절개홈에 배치되는 상기 록킹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로드의 외주면 일측부는 상기 록킹 로드가 상기 절개홈의 벽부에 접촉 시 상기 록킹 바디의 외주면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되는 지지 다리 바디; 상기 지지 다리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접이 가능하게 상기 지지 다리 바디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다리편; 및 상기 지지 다리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토핑 시키는 복수의 스토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의 단부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악보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마련되어 악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보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마련되는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보 받침 커버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지퍼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탈착 가능하게 지퍼를 이용하게 결합 되거나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악보 받침부와 지지 다리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고, 지지 포스트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보면대의 전체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휴대 하기가 편리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악보받침 커버부에 의해 악보 받침부를 접은 상대로 고정함과 아울러 악보 받침부의 공간부에 악보책이나 각종 음악 도구를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지지포스트 커버부에 의해 이동 시 악보 받침부에 접혀진 지지 포스트부와 지지 다리부의 외부 노출을 막아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면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보 받침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보 받침부의 접힘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와 지지 다리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 록킹부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다리편의 접힘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의 길이 축소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가 베이스판에 접히는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악보 받침부에 악보받침 커버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베이스판에 지지포스트 커버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힘판에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면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보 받침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보 받침부의 접힘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와 지지 다리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스트 록킹부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다리편의 접힘 작동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의 길이 축소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가 베이스판에 접히는 작동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악보 받침부에 악보받침 커버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베이스판에 지지포스트 커버부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접힘판에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면대(1)는,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판(120)이 구비된 악보 받침부(100)와, 베이스판(110)에 결합 되며 다단으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포스트부(200)와, 지지 포스트부(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납작한 형상의 복수의 지지 다리가 구비된 지지 다리부(300)와,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에 접혀진 한 쌍의 접힘판(120)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커버 하는 악보받침 커버부(400)와, 베이스판(110)에 신축되어 접혀진 지지 다리부(300)를 밀폐하도록 베이스판(110)에 결합 되는 지지포스트 커버부(500)를 구비한다.
악보 받침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의 양측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판(120)과, 베이스판(110)의 배면에 마련되는 브래킷(130)과, 브래킷(130)에 결합되며 지지 포스트부(2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연결바(140)를 포함한다.
악보 받침부(100)의 한 쌍의 접힘판(120)은, 베이스판(110)에 접힘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판(110)과 접힘판에 결합되어 베이스판(110)을 기준으로 양 접힘판(120)이 접힘 가능하도로 구성된 접이부재가 포함된다. 접이부재로는 경첩, 접이금이 형성된 플라스틱소재의 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첩에 의해 베이스판(110)에 접힘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실시 예를 보관하거나 휴대하여 이동시 한 쌍의 접힘판(120)은,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접힘판(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21)과 지지 밴드(12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판(121)은 악보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지지 밴드(122)는 야외 공연 시 바람 등에 의해 악보가 날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악보 받침부(100)의 브래킷(130)은 베이스판(11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될 수 있다.
악보 받침부(100)의 연결바(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결합이나 핀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바(140)에는 단부 포스트(230)의 상단부가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부(200)는, 상단부가 악보 받침부(100)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지 다리부(300)에 결합 되어 악보 받침부(100)를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포스트부(20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될 수 있어 휴대성이 편리하고, 3단으로 마련됨과 아울러 새로운 록킹 메커니즘에 의해 80cm 이상으로 마련되어 다양한 악기들의 연주 예를 들어 팀파니와 심벌 등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포스트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부(300)에 결합 되는 베이스 포스트(210)와, 베이스 포스트(210)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베이스 포스트(21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중간 포스트(220)와, 중간 포스트(220)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중간 포스트(220)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단부 포스트(230)와, 중간 포스트(220)와 단부 포스트(230)가 베이스 포스트(210)에 수용 가능하도록 중간 포스트(220)와 단부 포스트(230)를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하는 포스트 록킹부(240)를 포함한다.
지지 포스트부(200)의 베이스 포스트(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지지 다리 바디(310)의 결합 로드(311)에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포스트(210)의 직경, 중간 포스트(220)의 직경, 단부 포스트(230)의 순서로 직경이 커서,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포스트(220)는 베이스 포스트(210)의 내부로, 단부 포스트(230)는 중간 포스트(220)의 내부로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지지 포스트부(200)의 전체 높이는 축소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부(200)의 포스트 록킹부(240)는, 선택된 포스트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포스트가 세팅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포스트를 록킹함과 아울러 록킹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선택된 포스트를 회전시켜 그 록킹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포스트 록킹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포스트(230)의 하단부와 중간 포스트(22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결합 바디(241)와, 결합 바디(241)로부터 연장되며 결합 바디(241)보다 큰 직경을 가져 중간 포스트(220)의 상단부와 베이스 포스트(210)의 상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 되는 록킹 바디(242)와, 록킹 바디(242)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선택된 포스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베이스 포스트(210)와 중간 포스트(220)와 단부 포스트(230)를 서로 록킹시키거나 그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로드(244)를 포함한다.
포스트 록킹부(240)의 결합 바디(241)는 단부 포스트(230)와 중간 포스트(220)에 각각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포스트 록킹부(240)의 록킹 바디(242)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243)이 마련되고, 이 절개홈(243)을 통해서 록킹 로드(244)는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포스트 록킹부(240)의 록킹 로드(2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포스트(2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미 도시되었지만 결합 바디(241)와 록킹 바디(242)를 관통하는 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 로드(244)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포스트(220)의 중심 위치로부터 이격 된 위치에 회전 중심이 마련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로드(244)의 외주면 일측부는 록킹 로드(244)가 절개홈(243)의 벽부에 접촉 시 록킹 바디(242)의 외주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중간 포스트(220)의 시계 방향 회전 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로드(244)도 같이 회전되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포스트(220)의 내벽을 가압하여 중간 포스트(220)를 록킹시킨다. 이러한 록킹의 해제는 중간 포스트(220)를 반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지지 다리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포스트(230)에 결합 되어 지지 포스트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 포스트부(200)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체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다리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포스트(21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되는 지지 다리 바디(310)와, 지지 다리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접이 가능하게 지지 다리 바디(310)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과, 지지 다리 바디(310)에 마련되어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토핑 시키는 복수의 스토퍼핀(330)과,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단부에 다단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절곡부(340)를 포함한다.
지지 다리부(300)의 지지 다리 바디(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로드(311)가 마련되고, 베이스 포스트(210)는 결합 로드(311)에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다리 바디(310)는 다각형으로 마련되어 회전된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하측부를 지지 다리 바디(310)에 밀착 접촉시킬 수 있다.
지지 다리부(300)의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마련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 되어 베이스 포스트(210)에 평행하게 세워지도록 지지 다리 바디(310)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은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기존의 봉 형태의 둥근 형상이 아닌 납작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다리부(300)의 스토퍼핀(330)은, 지지 다리 바디(310)에 마련되어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상측부를 지지하여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이 지면에 평행하게 펴지지 않도록 즉 일정 각도 예를 들어 5도 이하로는 펴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편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핀(330)은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 예를 들어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다리부(300)의 절곡부(3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단부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마련되어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휘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절곡부(340)는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단부가 지면과 접촉되는 면을 늘려 지지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악보받침 커버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과 이 베이스판(110)에 접혀진 한 쌍의 접힘판(120)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악보 받침 커버부는 한 쌍의 접힘판(120)에 지퍼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악보받침 커버부(400)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에 악보와 각종 음악 도구를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포스트 커버부(500)는, 도 9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200)와 지지 다리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판(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포스트 커버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판(110)에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형태로 끼워 맞춤 결합 되거나 지퍼, 벨크로 테입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힘판(120)에 마련되어 본 실시 예를 휴대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600)는 한 쌍의 접힘판(120)에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 사용시에는 한 쌍의 접힘판(1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악보 받침부와 지지 다리부가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고, 지지 포스트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보면대의 전체 부피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휴대 하기가 편리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악보받침 커버부에 의해 악보 받침부를 접은 상대로 고정함과 아울러 악보 받침부의 공간부에 악보책이나 각종 음악 도구를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지지포스트 커버부에 의해 이동 시 악보 받침부에 접혀진 지지 포스트부와 지지 다리부의 외부 노출을 막아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보면대
100 : 악보 받침부 110 : 베이스판
120 : 접힘판 121 : 지지판
122 : 지지 밴드 130 : 브래킷
140 : 연결바 200 : 지지 포스트부
210 : 베이스 포스트 220 : 중간 포스트
230 : 단부 포스트 240 : 포스트 록킹부
241 : 결합 바디 242 : 록킹 바디
243 : 절개홈 244 : 록킹 로드
300 : 지지 다리부 310 : 지지 다리 바디
311 : 결합 로드 320 : 지지 다리편
330 : 스토퍼핀 340 : 절곡부
400 : 악보받침 커버부 500 : 지지포스트 커버부
600 : 손잡이

Claims (11)

  1.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한 쌍의 접힘판(120)이 구비된 악보 받침부(100);
    상기 베이스판(110)에 결합 되며, 다단으로 신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포스트부(200);
    상기 지지 포스트부(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납작한 형상의 복수의 지지 다리가 구비된 지지 다리부(300);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접혀진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커버 하는 악보받침 커버부(400); 및
    상기 베이스판에 신축되어 접혀진 상기 지지 다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지지포스트 커버부(500)를 포함하여,
    상기 악보 받침부(100)는, 상기 베이스판(110)과 접힘판에 결합되어 베이스판(110)을 기준으로 양 접힘판(120)이 접힘 가능하도로 구성된 접이부재를 포함하고, 베이스판(110)의 배면에 마련되는 브래킷(130)과, 브래킷(130)에 결합되며 지지 포스트부(2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연결바(1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포스트부(200)는,
    상기 지지 다리부에 결합 되는 베이스 포스트(210);
    상기 베이스 포스트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베이스 포스트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중간 포스트(220);
    상기 중간 포스트의 상측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중간 포스트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는 단부 포스트(230); 및
    상기 중간 포스트와 상기 단부 포스트가 상기 베이스 포스트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포스트와 상기 단부 포스트를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하는 포스트 록킹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록킹부는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베이스 포스트를 록킹 또는 록킹을 해제하며 상기 단부 포스트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중심 위치로부터 이격 된 위치에 회전 중심이 마련되는 록킹 로드(24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다리부(300)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되는 지지 다리 바디(310);
    상기 지지 다리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접히 가능하게 상기 지지 다리 바디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 및
    상기 지지 다리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토핑 시키는 복수의 스토퍼핀(33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 다리 바디(310)는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은 납작한 막대 형상을 가져 회전된 복수의 지지 다리편(320)의 하측부가 지지 다리 바디(310)에 밀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면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록킹부는,
    상기 단부 포스트의 하단부와 상기 중간 포스트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 되는 결합 바디;
    상기 결합 바디 보다 직경이 커도록 마련되며 일측부에 절개홈이 마련되는 록킹 바디; 및
    상기 절개홈에 배치되는 상기 록킹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로드의 외주면 일측부는 상기 록킹 로드가 상기 절개홈의 벽부에 접촉 시 상기 록킹 바디의 외주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면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의 단부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면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편은 3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면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보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마련되어 악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면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악보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마련되는 지지 밴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면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보 받침 커버부는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지퍼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면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탈착 가능하게 지퍼를 이용하게 결합 되거나 끼워 맞춤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면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힘판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보면대.
KR1020160075579A 2016-06-17 2016-06-17 스마트 보면대 KR10186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79A KR101861532B1 (ko) 2016-06-17 2016-06-17 스마트 보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79A KR101861532B1 (ko) 2016-06-17 2016-06-17 스마트 보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324A KR20170142324A (ko) 2017-12-28
KR101861532B1 true KR101861532B1 (ko) 2018-05-30

Family

ID=609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79A KR101861532B1 (ko) 2016-06-17 2016-06-17 스마트 보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5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208U (zh) * 1991-02-04 1991-07-03 杨世平 两用乐谱包
US5564661A (en) * 1991-10-11 1996-10-15 Gershon; Monty B. Lectern or stand primarily for musicians
JP2003076363A (ja) * 2001-09-03 2003-03-14 Meichi Yu 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208U (zh) * 1991-02-04 1991-07-03 杨世平 两用乐谱包
US5564661A (en) * 1991-10-11 1996-10-15 Gershon; Monty B. Lectern or stand primarily for musicians
JP2003076363A (ja) * 2001-09-03 2003-03-14 Meichi Yu 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324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0645B2 (en) Multi-legged stand with stabilizers
US20090277320A1 (en) Instrument stand
US20060016945A1 (en) Portable podium
US9295866B2 (en) Portable ballet bar exercise device
US3057591A (en) Collapsible multi-purpose stand
WO1993006763A1 (en) A lectern or stand primarily for musicians
US6159111A (en) Basketball shooting guide and defensive partner
JP2003518969A (ja) 携帯式楽譜スタンド
WO2014008872A1 (zh) 可折叠便携式乐谱架
US100377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KR101861532B1 (ko) 스마트 보면대
KR101514978B1 (ko) 보면대
CN207403774U (zh) 一种多功能乌龟车
US7414185B2 (en) Portable trombone stand
US5106048A (en) Support stands
US9651196B1 (en) Multi-functional self-timer lever
US11045741B2 (en) Hurdle structure
US4187947A (en) Combination musical instrument stand
CN204499881U (zh) 折叠式可调支架
CN209606939U (zh) 一种计算机键盘的调节装置
CN208909244U (zh) 一种底部角度可调的谱架底座
US20240105150A1 (en) Collapsible musical instrument stand
CN209017998U (zh) 一种可收纳的乐谱支架
KR20210126946A (ko) 각도조절 및 조작이 용이한 독서대를 갖는 테이블
CN208463227U (zh) 一种多功能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