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51Y1 - 북 고정대 - Google Patents

북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51Y1
KR200239351Y1 KR2020010008153U KR20010008153U KR200239351Y1 KR 200239351 Y1 KR200239351 Y1 KR 200239351Y1 KR 2020010008153 U KR2020010008153 U KR 2020010008153U KR 20010008153 U KR20010008153 U KR 20010008153U KR 200239351 Y1 KR200239351 Y1 KR 200239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ook
fixed
fasteners
gap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동
Original Assignee
장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동 filed Critical 장세동
Priority to KR2020010008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51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악기의 하나인 북을 앉아서 연주시에 북을 고정하기 위한 북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므로서, 북을 연주시에 북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북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북 고정대를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이동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북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 한 쌍으로 되며, 내측면 상부에는 북을 고정하기 위한 설치요홈(12a)(12b)이 요입형성되고, 하부에는 좌, 우 어느 일측에 통공(13a)(13b)이 형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구(11a)(11b)와; 상기 좌, 우 한 쌍의 고정구(11a)(11b) 하단에 형성되는 통공(13a)(13b)의 타측에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11a)(11b)의 통공(13a)(13b)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북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바(14a)(14b)와; 상기 간격조절바(14a)(14b)의 중앙에 축핀(1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간격조절바(14a)(14b)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연결편(16);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북 고정대{omitted}
본 고안은 전통악기의 하나인 북을 앉아서 연주시 북을 고정하기 위한 북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므로서, 북을 연주시에 북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북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북 고정대를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이동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북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이라 함은 타악기의 하나로 둥근 나무통의 양쪽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워 채나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게 만든 전통악기의 하나로 동물이나 적을 위협하여 격퇴할 때, 또 제사나 주술용으로, 경보나 신호의 도구로, 음악표현을 위한 리듬악기 ·선율악기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북에는 접착제로 막면을 고정시킨 단면고(單面鼓)와, 가축끈 ·등나무 덩굴 ·섬유로 된 끈으로 죄거나, 접착제나 징못으로 고정 또는, 쐐기를 죄는 끈 사이에 박아 장력(張力)을 팽팽히 하거나, 나사못을 박아서 되는 양면고가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북의 사용에는 보통 어깨 등의 신체 일부에 멘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데, 사물놀이 또는, 소릿꾼이 창을 할 때 추임새를 넣는 고수들과 같이 때에 따라서는 앉아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북을 어깨에 멘 상태로 사용시에는 북의 위치 등을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하고 움직이지 않게 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시에 별 무리가 없으나, 앉아서 사용시에는 북을 고정할 만한 마땅한 수단이 없게 되어 사용시에 북이 북을 두드리는 충격에 의해 북의 위치가 약간씩 이동되게 되었고, 외형상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형성되게 제작되는 북의 특성상 사용시에 좌우로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므로서, 북을 연주시에 북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북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북 고정대를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이동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북 고정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북 고정대의 좌, 우폭을 사용하고자 하는 북의 크기에 따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북 고정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를 보인 사시도.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의 절첩됨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북 고정대 11a, 11b ; 고정구
12a, 12b ; 설치요홈 13a. 13b ; 통공
14a, 14b ; 간격조절바 15 ; 축핀
16 ; 연결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 한 쌍으로 되며, 내측면 상부에는 북을 고정하기 위한 설치요홈이 요입형성되고, 하부에는 좌, 우 어느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좌, 우 한 쌍의 고정구 하단에 형성되는 통공의 타측에 고정되며, 대응되는 고정구의 통공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북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바와;
상기 간격조절바의 중앙에 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간격조절바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즉,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므로서, 북을 연주시에 북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북 고정대를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이동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의 절첩됨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는 도 l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11a)(11b)를 좌, 우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1a)(11b)의 내측면 상부에는 북을 재치할 수 있는 설치요홈(12a)(12b)을 요입형성하고, 하부에는 좌, 우 어느 일측에 통공(13a)(13b)을 형성하되, 그 통공(13a)(13b)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 좌, 우 한 쌍으로 되는 각각의 고정구(11a)(11b) 하단의 통공(13a)(13b)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11a)(11b)의 통공(13a)(13b)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북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바(14a)(14b)를 고정설치한다.
이어, 고정구(11a)(11b)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북의 크기에 따라 고정구(11a)(11b)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간격조절바(14a)(14b)에는 간격조절바(14a)(14b)를 절첩하여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편(16)을 축핀(1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간격조절바(14a)(14b)를 절첩가능토록 축핀(1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편(l6)의 설치위치는 간격조절바(14a)(14b)를 절첩시 절첩을 용이하게 하고, 절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정구(11a)(11b)로부터고정구(11a)(11b)의 폭만큼을 이동된 위치에 연결편(16)을 설치토록 한다.
한편, 상기 북 고정구(11a)(11b)에 북을 고정하여 연주시 북 고정대(10)가 연주자의 격렬한 몸짓과 타격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될 우려가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좌, 우 한 쌍의 고정구(11a)(11b)의 저면에 고무패킹(17)을 설치하여 고정구(11a)(11b)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북 고정대를 이용하여 북을 연주시에는, 상부 내측면에는 설치요홈(12a)(12b)이 형성되며, 하부일측에는 통공(13a)(13b)이 관통형성되고, 타측에는 간격조절바(14a)(14b)가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구(11a)(11b)를 구비한 다음, 각각의 고정구(11a)(11b)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간격조절바(14a)(14b)를 대응되는 고정구(11a)(11b)의 통공(13a)(13b)에 끼움결합하여 연주시 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10)를 조립한다.
이때, 각각의 고정구(11a)(11b)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11a)(11b)의 통공(13a)(13b)에 끼움결합되는 간격조절바(14a)(14b)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되는 북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용으로, 한 쌍으로 되어 북의 크기에 맞게 좌, 우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북 고정대(10)가 설치되면, 각각의 고정구(11a)(11b) 상부의 설치요홈(12a)(12b)에 북을 재치시킨 상태에서 북을 연주하게 되면, 연주시 북이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게 되어 완벽한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북을 연주하지 않을 시에는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10) 상부에 재치된 상태의 북을 빼낸 다음, 각각의 고정구(11a)(11b) 하부의 통공(13a)(13b)에 간격조절바(14a)(14b)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구(11a)(11b)를 서로 내측으로 밀어 각각의 고정구(11a)(11b)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여 간격조절바(14a)(14b)가 통공(13a)(13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구(11a)(11b) 통공(13a)(13b)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간격조절바(14a)(14b)는 간격조절바(14a)(14b)의 중간부에서 축핀(1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편(16)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첩하게 되면, 고정대(10)의 크기 및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이동시에는 간편,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주에 사용되는 북을 고정대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하므로서, 북을 연주시에 북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연주자는 연주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고, 관객들은 좋은 연주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 북 고정대를 절첩가능토록 하므로서, 이동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좌, 우 한 쌍으로 되며, 내측면 상부에는 북을 고정하기 위한 설치요홈(12a)(12b)이 요입형성되고. 하부에는 좌, 우 어느 일측에 통공(13a)(13b)이 형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구(11a)(11b)와; 상기 좌, 우 한 쌍의 고정구(11a)(11b) 하단에 형성되는 통공(13a)(13b)의 타측에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고정구(11a)(11b)의 통공(13a)(13b)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북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바(14a)(14b)와; 상기 간격조절바(14a)(14b)의 중앙에 축핀(1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간격조절바(14a)(14b)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연결편(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고정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1a)(11b)의 저면에는 고무패킹(17)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고정대.
KR2020010008153U 2001-03-23 2001-03-23 북 고정대 KR200239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153U KR200239351Y1 (ko) 2001-03-23 2001-03-23 북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153U KR200239351Y1 (ko) 2001-03-23 2001-03-23 북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351Y1 true KR200239351Y1 (ko) 2001-10-10

Family

ID=7309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153U KR200239351Y1 (ko) 2001-03-23 2001-03-23 북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43B1 (ko) 2012-03-06 2014-03-25 배윤수 기타 스탠드
KR101465350B1 (ko) * 2013-07-03 2014-11-26 주식회사 기퍼기타 현악기용 거치대
KR20230117833A (ko) * 2022-02-03 2023-08-10 류종필 북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43B1 (ko) 2012-03-06 2014-03-25 배윤수 기타 스탠드
KR101465350B1 (ko) * 2013-07-03 2014-11-26 주식회사 기퍼기타 현악기용 거치대
KR20230117833A (ko) * 2022-02-03 2023-08-10 류종필 북 받침대
KR102607832B1 (ko) * 2022-02-03 2023-11-29 류종필 북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702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барабан
US7601901B2 (en) Musical instrument, in particular a cajon
EP3580749B1 (en) Compact drum kit
US9570053B2 (en) Adjustable cajón instrument
US20090173207A1 (en) Travel st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141488A1 (en) Hinge for travel string instrument
USD482904S1 (en) Fold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2218783B1 (ko)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
JP2010513957A (ja) 旅行用弦楽器システム
KR20200021642A (ko) 오토하프
KR200239351Y1 (ko) 북 고정대
US7638701B2 (en) Musical drum practice pads
US20130276617A1 (en) Reversed Cajon Paddle
AU2007333749B2 (en) Foldable guitar
KR200239350Y1 (ko) 징 고정대
KR20020075308A (ko) 손가락홈이 형성된 건반덮개를 구비한 키보드 음악기구
US8624095B2 (en) Musical instrument
CN213183554U (zh) 一种铝板小钟琴
JP2005173515A (ja) 三駒型一弦楽器
KR20110009371U (ko) 전통 현악기 받침대
KR20020046361A (ko) 전통악기 받침대
JPS6022388Y2 (ja) ピアノにおけるペダル機構
JP3101727U (ja) 打楽器
KR200226441Y1 (ko) 전통악기 받침대
KR200349332Y1 (ko) 어린이 학습교재용 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