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432Y1 - 의자용 발판 - Google Patents

의자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432Y1
KR200301432Y1 KR20-2002-0031361U KR20020031361U KR200301432Y1 KR 200301432 Y1 KR200301432 Y1 KR 200301432Y1 KR 20020031361 U KR20020031361 U KR 20020031361U KR 200301432 Y1 KR200301432 Y1 KR 200301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hair
footrest
fix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이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형 filed Critical 이태형
Priority to KR20-2002-0031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자에 부설하는 의자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자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된 절곡된 형상의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 받침대로 구성된 것으로, 필요시 제1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아암을 절첩하면 발판 부분이 좌판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자의 점유 공간이 줄어들고 발판 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의자용 발판{foot board for chair}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자에 부설하는 의자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자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좌판과 등받이, 그리고 상기 좌판을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지주와 다리 등이며, 상기와 같은 의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발은 통상 바닥면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의자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판을 부설한 의자도 있으며, 이러한 의자는 주로 이,미용실이나 기타 특수한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발판이 부설된 종래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의자는 좌판(1)과 등받이(2)와 지주(3) 및 다리(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은 좌판(1) 저면의 플레이트(5)에고정된 고정관(11)과, 상기 고정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된 절곡된 형상의 아암(12)과, 상기 아암에 고정된 베이스(13)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 받침대(14)와, 상기 고정관에 결합된 아암을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판(1)에 앉은 상태에서 발 받침대(14)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발 받침대(14)는 베이스(13)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고정용 나사(15)에 의해 아암(12)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발 받침대(14)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자용 발판은 발판을 구성하는 아암(12)이 고정용 나사(15)에 의해 고정관(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의자의 용도에따라 발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고정용 나사(15)를 풀어 아암(12)을 고정관(11)으로부터 분해하지 않는 한 아암(12)과 베이스(13) 및 발 받침대(14)가 항상 좌판(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발판으로 인해 의자의 점유 공간이 크고 의자의 운반이나 이동시 베이스(13)나 발 받침대(14) 등 좌판(1)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다른 물체에 부딪쳐 돌출 부분이 파손되거나 또는 부딪친 다른 물체가 손상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한편 발판이 필요없는 경우 고정용 나사(15)를 풀고 아암(12)을 고정관(11)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분리된 발판 부분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가 아암(12)을 고정관(11)에서 분해하거나 고정관(11)에 조립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판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부분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발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용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된 절곡된 형상의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 받침대로 구성된 의자용 발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발판이 부설된 종래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a 는 발판이 접혀진 상태로 도시한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b는 발판이 펼쳐진 상태로 도시한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고정관 12a : 제1아암
12b : 제2아암 12c : 힌지
13 : 베이스 14 : 발 받침대
16 : 스토퍼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발판의 절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의자는 좌판(1)과 등받이(2)와 지주(3) 및 다리(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은 좌판(1) 저면의 플레이트(5)에 고정된 고정관(11)과, 상기 고정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된 절곡된 형상의 제1아암(12a)과, 상기 제1아암에 힌지(12c)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아암(12b)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에 고정된 베이스(13)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 받침대(14)와, 상기 고정관에 결합된 아암을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15)와, 상기 제2아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아암(12b)은 힌지(12c)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스토퍼(16)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하방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관(11)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의자의 전면을 향해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의자는 발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2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12b)을 펼쳐 베이스(13)와 발 받침대(14)가 좌판(1)의 전방으로 노출되게 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의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발판 부분을 절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13)부분을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제1아암(12a)과 제2아암(12b)을 연결하는 힌지(12c)를 축으로 제2아암(12b)이 베이스(13) 및 발 받침대(14)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발 받침대(14)부분이 고정관(11)과 접속하면 도 4a와 같이 제2아암(12b)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절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고정관(11)이 수직방향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에따라 제2아암(12b)이 절첩되어 발 받침대(14)부분이 고정관(11)에 접속되면 제2아암(12b)과 베이스(13)도 고정관(11)과 같이 경사를 이루게되므로 자중에 의해 제2아암(12b)이 다시 펼쳐지는 일이 없게 됨은 물론 의자에 상당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2아암(12b)은 펼쳐지지 않고 절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발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베이스(13)와 제2아암(12a)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토퍼(16)는 제2아암(12b)의 과잉 회전을 막아 제2아암(12b)을 도 4a와 같은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판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발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발판을 접어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의자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판을 접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와 발 받침대 등이 좌판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발판 또는 다른 물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좌판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된 절곡된 형상의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에 제2아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고정하여서 된 의자용 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각도를 가지는 의자용 발판.
KR20-2002-0031361U 2002-10-21 2002-10-21 의자용 발판 KR200301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61U KR200301432Y1 (ko) 2002-10-21 2002-10-21 의자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61U KR200301432Y1 (ko) 2002-10-21 2002-10-21 의자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432Y1 true KR200301432Y1 (ko) 2003-01-24

Family

ID=4932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361U KR200301432Y1 (ko) 2002-10-21 2002-10-21 의자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4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841B1 (ko) * 2008-12-01 2011-06-17 이두형 발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1213877B1 (ko) 2010-12-15 2012-12-18 김선규 의자용 발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841B1 (ko) * 2008-12-01 2011-06-17 이두형 발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1213877B1 (ko) 2010-12-15 2012-12-18 김선규 의자용 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459B2 (en) Adjustable chair
US20110181079A1 (en) Reconfigurable seating device with integral document shelf
US2869620A (en) Adjustable ottoman
KR200301432Y1 (ko) 의자용 발판
US7195310B2 (en) Collapsi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JP4435583B2 (ja) 簡易便器
US20030011219A1 (en) Folding collapsible deck chair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JP2004313512A (ja) 簡易便器
KR102531897B1 (ko) 접이식 의자
WO2019180570A1 (en) Toilet seat with footrest and buttocks support
JPH0114215Y2 (ko)
JP2007068575A (ja) 椅子型簡易便器
KR100938827B1 (ko) 독서대
JP2004129721A (ja) メモ台付き椅子
JP2006110189A (ja) 椅子型簡易便器
JPH0355320Y2 (ko)
CN212661453U (zh) 一种折叠椅
KR200263392Y1 (ko) 유아용 보조 좌변기
JP3277362B2 (ja) 車椅子
KR101062216B1 (ko) 의자
JP2007000295A (ja) トイレテーブル
JP2023046049A (ja) 入浴介助用椅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