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392Y1 - 유아용 보조 좌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조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392Y1
KR200263392Y1 KR2020010031311U KR20010031311U KR200263392Y1 KR 200263392 Y1 KR200263392 Y1 KR 200263392Y1 KR 2020010031311 U KR2020010031311 U KR 2020010031311U KR 20010031311 U KR20010031311 U KR 20010031311U KR 200263392 Y1 KR200263392 Y1 KR 200263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backrest
footrest
holes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
Original Assignee
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 filed Critical 전인
Priority to KR2020010031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392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유아용 보조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의 용기 형태의 유아용 보조 변기는 사용 후 매번 용기를 비워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출원된 좌변기에 장착하는 형태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등받이가 없기 때문에 유아들이 독자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유아들이 안정된 자세로 성인용 좌변기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저면에 일반 좌변기의 내주면의 모양과 같은 형태의 고정틀이 형성된 좌대(1), 한 쌍의 발받침 다리(6)가 회동식으로 연결된 발받침(5), 반원형의 등받이 상단부(2)와 저면에 세 개의 고정통공(11)이 형성된 반원형의 등받이 하단부(4), 상기 등받이 상단부(2)와 등받이 하단부(4)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원호형 손잡이(3), 상기 좌대(1)의 윗면에 있는 세 개의 고정통공(12)과 상기 등받이 하단부(4)의 저면에 있는 세 개의 고정통공(11)을 연결하는 세 개의 지지대(9), 상기 좌대(1)의 양쪽 측면과 상기 발판(5)의 양쪽 측면을 연결하여 상기 발판(5)의 회동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피스톤(8), 그리고 보관통(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등받이와 손잡이(3) 그리고 발판(5)을 갖추어 유아들이 안정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다는 장점과 일반 좌변기에 올려놓고사용하기 때문에 용변 후 처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와 발판(5)을 회동식으로 접어서 보관통(15)에 넣어 보관하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보조 좌변기{An infants auxiliary bedpan}
본 고안은 유아용 보조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좌변기에 등받이와 손잡이 그리고 발판을 갖는 보조 좌변기를 설치함으로써, 유아들이 용변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보조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좌변기는 성인의 체형을 기준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유아들이 앉아서 용변을 보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용기 형태의 보조 변기인데, 이는 매번 용기를 비워야하는 단점이 따랐다.
또한, 기존에 출원된 좌변기에 장착하는 형태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들은 등받이가 없기 때문에 유아들이 독자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등받이와 손잡이 그리고 발판이 장착된 좌대를 기존의 좌변기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유아들이 안정된 자세로 성인용 좌변기에서 직접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등받이와 발판을 접철식으로 좌대에 연결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통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유아용 보조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하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조립도.
도 8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
도 10은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를 기존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좌대 2.. 등받이 상단부
3.. 손잡이 4.. 등받이 하단부
5.. 발받침 6.. 발받침 다리
7.. 다리 고정구 8.. 지지 피스톤
9.. 지지대 10.. 지지대 고정구
11, 12, 13.. 고정통공 14.. 고정틀
15.. 보관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윗면에 세 개의 고정통공(12)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일반 좌변기의 내주면의 모양과 같은 형태의 고정틀(14)이 형성된 좌대(1)가 구비되고, 한 쌍의 발받침 다리(6)가 회동식으로 연결된 발받침(5)이 구비되며, 반원형의 등받이 상단부(2)와 저면에 세 개의 고정통공(11)이 형성된 반원형의 등받이 하단부(4)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 상단부(2)와 등받이 하단부(4)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원호형 손잡이(3)가 구비되어, 상기 좌대(1)의 윗면에 있는 세 개의 고정통공(12)과 상기 등받이 하단부(4)의 저면에 있는 세 개의 고정통공(11)을 연결하는 세 개의 지지대(9), 상기 좌대(1)의 양쪽 측면과 상기 발판(5)의 양쪽 측면을 연결하여 상기 발판(5)의 회동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피스톤(8), 그리고 보관통(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평면도이고, 제 2도는 하면도, 제 3도는 정면도, 제4도는 측면도 그리고 제 5도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는 기존 좌변기에 올려놓았을 때에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그 저면에 기존 좌변기의 내주면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고정틀(14)이 형성되며, 윗면에는 세 개의 고정통공(12)이 형성된다.
원호형의 손잡이(3)는 등받이 상단부(2)와 등받이 하단부(4)로 구성되는 반원형의 등받이에 삽입되는데, 이 때에 상기 손잡이(3)가 등받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손잡이(3) 호의 각도는 대략 270°이다.
상기 등받이 하단부(4)의 저면에는 세 개의 고정통공(11)이 형성되며, 세 개의 지지대(9)가 상기 세 개의 고정통공(11)에 지지대 고정구(10)로 연결되어 회동된다. 상기 세 개의 지지대(9)의 다른 쪽 끝은 상기 좌대(1)에 형성된 세 개의 고정통공(12)에 지지대 고정구(10)로 연결되어 회동된다.
즉,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대(1)에 세 개의 지지대(9)로 연결되어 두 곳의 회동점을 갖춘 상태로 접철된다.
발받침(5)의 저면에는 두 개의 고정통공(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두 개의 발받침 다리(6)가 상기 고정통공(13)에 다리 고정구(7)로 연결되어 회동된다.
상기 발받침(5)은 상기 좌대(1)에 길이가 변화되는 두 개의 지지 피스톤(8)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좌대(1)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지지 피스톤(8)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너트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 피스톤(8)의 다른 쪽 끝은 상기 발받침(5)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일자형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식으로 움직이도록 너트로 고정된다.
즉, 상기 발받침(5)은 두 개의 지지 피스톤(8)으로 상기 좌대(1)에 연결되어 접철 및 회동된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 7도는 조립도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8도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등받이 안에 삽입된 손잡이(3)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제 5도와 같이 손잡이(3)를 등받이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유아를 보조 좌변기에 앉히고, 그다음 제 8도와 같이 등받이와 손잡이(3)가 하나의 원을 만드는 형태가 되도록 손잡이(3)를 등받이에서 꺼내어 유아가 보조 좌변기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제 9도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에서, 시계 방향으로 접어서 보관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보관상태(16)에서 사용상태(22)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관통(15)에서 보조 좌변기를 꺼내어 기존 변기 위에 올려놓는다.(17)
그 다음, 발받침(5)을 끌어내고(18), 아래로 회동시킨다.(19)
그런 후, 두 개의 발받침 다리(6)를 펼쳐서 화장실 바닥에 닿도록 한다.(20)
그 다음, 등받이를 회동시켜 세워서(21) 유아를 앉힌 후에 손잡이(3)를 꺼내어 손잡이(3)와 등받이가 원형이 되도록 한다.(22)
제 10도는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를 기존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등받이와 손잡이(3) 그리고 발판을 갖춤으로써, 유아들이 안정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유아용 보조 좌변기는 성인용 일반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용변 후 처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와 발판이 회동식으로 접힘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통(15)에 넣어 보관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일반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보조 좌변기에 있어서,
    윗면에 세 개의 고정통공(1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일반 좌변기의 내주면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고정틀(14)이 형성된 좌대(1), 등받이 상단부(2)와 저면에 세 개의 고정통공(11)이 형성된 등받이 하단부(4)로 구성되는 반원형의 등받이, 상기 등받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원호형의 손잡이(3), 상기 등받이 하단부(4)의 고정통공(11)과 좌대(1)의 고정통공(12)을 회동식으로 연결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대(9), 저면에 두 개의 고정통공(13)이 형성되어 두 개의 발받침 다리(6)가 다리 고정구(7)로 연결되어 상기 발받침 다리(6)가 접철되는 발받침(5), 상기 좌대(1)의 측면 구멍과 상기 발받침(5)의 측면 일자형 구멍을 연결하는 길이가 변화되는 두 개의 지지 피스톤(8), 및 보관통(15)으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와 상기 발받침(5)이 상기 좌대(1)에 회동되어 접혀서 보관통(15)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조 좌변기.
KR2020010031311U 2001-10-13 2001-10-13 유아용 보조 좌변기 KR200263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11U KR200263392Y1 (ko) 2001-10-13 2001-10-13 유아용 보조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11U KR200263392Y1 (ko) 2001-10-13 2001-10-13 유아용 보조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392Y1 true KR200263392Y1 (ko) 2002-02-04

Family

ID=7308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311U KR200263392Y1 (ko) 2001-10-13 2001-10-13 유아용 보조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13A (ko) * 2017-03-03 2018-09-12 안준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13A (ko) * 2017-03-03 2018-09-12 안준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1971126B1 (ko) * 2017-03-03 2019-04-22 안준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333B1 (en) Combination child walker and high chair
KR101221882B1 (ko) 식탁 겸용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KR200263392Y1 (ko) 유아용 보조 좌변기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JP2005278972A (ja) 幼児用シート
JP6687458B2 (ja) 椅子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JP2004313512A (ja) 簡易便器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TWI425924B (zh) 腳件以及具有可拆卸腳件的兒童座椅
CN209826510U (zh) 一种软包裹的老年家具
CN215937185U (zh) 一种可拆卸阶梯座便架
KR200301432Y1 (ko) 의자용 발판
US20230371713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WO2005004674A1 (en) Seating furniture
KR200219597Y1 (ko) 유아용 보조 좌변기_
KR200201300Y1 (ko) 유아용 식탁의자
JP2009118937A (ja) 入浴介助用車椅子
JP3437948B2 (ja) 卓 体
JP3039705U (ja) 浴室用座椅子
KR200199888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JP3981471B2 (ja) 浴槽内装着用椅子
JPS5913888Y2 (ja) 幼児用食卓高椅子
WO2023224849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JP3034839U (ja) 浴槽用踏み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