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013A -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 Google Patents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013A
KR20180101013A KR1020170027686A KR20170027686A KR20180101013A KR 20180101013 A KR20180101013 A KR 20180101013A KR 1020170027686 A KR1020170027686 A KR 1020170027686A KR 20170027686 A KR20170027686 A KR 20170027686A KR 20180101013 A KR20180101013 A KR 2018010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t
coupled
footres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126B1 (ko
Inventor
안준
Original Assignee
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 filed Critical 안준
Priority to KR102017002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2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는, 배설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용기; 용기에 결합되어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용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및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TOILET WHICH IS ATTACHED FOOT PEDESTAL}
본 발명은,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착석시 자연스러운 자세로 배변 활동이 가능한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둔분를 밀착하게 하여 배변 활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주거 공간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화장실 또는 공중 화장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대, 소변을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 및 신체가 불편한 환자에게는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시설물이다.
하지만, 종래 일반적인 좌변기를 사용하여 배변 활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좌변기의 시트에 앉은 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대장 등이 꼬이거나 직장이 꺾여서 원활한 배변 활동이 어렵게 되고, 또한 항문 주위가 압박되면서 항문 주변의 모세혈관을 손상하게 되어 치질과 같은 항문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동 등 신체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좌변기에 착석시 다리가 바닥에 닿지 않아 배변 활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남성의 경우 선 자세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튀면서 좌변기 외측으로 이탈하여 바닥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좌변기에 착석시 자연스러운 자세로 배변 활동이 가능하여 대장 등이 꼬이거나 직장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연스러운 자세에 의한 배변 활동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아동 등 신체가 작은 사용자에게 발 받침대를 제공하여 편안한 배변 활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남성이 소변을 보는 경우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설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용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대를 포함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가 제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부재; 및 상기 발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의 회동시 상기 용기에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안착부재는, 상기 발 받침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 안착되도록 상기 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액체 배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받침대에는 물내림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 받침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좌변기에 착석시 다리의 위치가 변화되어 자연스러운 자세로 배변 활동이 가능하여 대장 등이 꼬이거나 직장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변기 착석시 자연스러운 자세에 의한 배변 활동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동 등 신체가 작은 사용자에게 발 받침대를 제공하여 편안한 배변 활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남성이 소변을 보는 경우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가 내려진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가 올려진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와 발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발 받침대의 높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가 내려진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가 올려진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시트와 발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는, 용기(100)와, 수조(200)와, 시트(300)와, 발 받침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배설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용기(10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흙 등으로 구워서 제작되는 도기(陶器)일 수 있다. 다만, 용기(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100)에는 소변 또는 대변 등의 배설물이 유입되어 수용되며, 배설물이 수조(200)에 저장된 물과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0)는 하측지지부(110)와, 하측지지부(110)로부터 연장되는 배설물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지지부(110)는 배설물수용부(120)에 결합되고 예를 들어 바닥에 설치되어 배설물수용부(120)를 지지한다. 하측지지부(110)는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설물수용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강성을 가진다.
배설물수용부(120)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입체형상으로 마련되고,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이 곡선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설물수용부(120)는 전체적으로 그릇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용기(10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배설물수용부(120)의 상측에는 시트(300)가 안착될 수 있는 테두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200)는 용기(100)에 결합되어 용기(1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200)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파이프 등의 공급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이와 같이 공급받은 물을 저장한다. 수조(200)의 구성은 통상의 좌변기와 공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미도시)는 용기(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100)를 보호하기 위해 시트(300)의 상측에서 용기(10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미도시)는 용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미도시)의 구성 또한 통상의 좌변기와 공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300)는 용기(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대변이나 소변 등 필요한 용도에 따라 시트(300)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접촉되도록 시트(300)를 내린 후(도 1 참조) 시트(300)에 착석해서 사용하거나, 시트(300)를 올려서(도 2 참조) 사용할 수 있다.
발 받침대(400)는 시트(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300)가 소정 방향으로 회동되어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접촉되는 경우 시트(300)에 결합된 발 받침대(400)도 회동되어 용기(100)의 하측지지부(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트(300)에 착석하는 경우 발 받침대(400)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성인의 경우 좌변기에 앉은 채 발을 발 받침대(400)에 올려놓으면 다리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자연스러운 자세로 배변 활동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대장 등이 꼬이거나 직장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항문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동 등의 체구가 작은 사용자도 발 받침대(400)에 발을 올려놓은채 편안하게 배변 활동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300)가 테두리부(130)에 접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용기(100)의 테두리부(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시트(300)에 결합되어 있는 된 발 받침대(400)는 용기(100)의 배설물수용부(12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발 받침대(400)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되면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 용기(100)에 떨어진 소변이 튀더라도 발 받침대(400)에 부딪혀 배설물수용부(120) 내부로 낙하하므로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좌변기에 사용되는 용도의 발 받침대(400)가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좌변기용 발 받침대(400)는 좌변기와 분리된 형태이므로 항상 바닥에 위치하여 공간을 차지하며 화장실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는 발 받침대(400)가 시트(300)에 결합되어 있고 시트(300)를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면 발 받침대(400)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되므로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발 받침대(400)의 방해없이 화장실에서 이동가능한 효과가 있다.
발 받침대(400)는 시트(300)에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시트(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따라 발 받침대(400)가 필요없는 경우 또는 발 받침대(400)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발 받침대(400)를 분리하여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발 받침대(400)의 파손 또는 사용 수명 경과 등으로 인해 발 받침대(400)를 교체하는 경우 사용중인 발 받침대(400)를 분리하고 새로운 발 받침대(4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 받침대(400)와 시트(300)의 착탈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힌지부재(600)가 볼트, 너트, 나사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를 통해 발 받침대(400)와 시트(30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고, 후크 구조(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홈(미도시)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발 받침대(400)의 연결부재(410)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시트(300)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발 받침대(400)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시트(300)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발 받침대(400)와 시트(300)의 착탈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 받침대(400)는 연결부재(410)와, 발 받침부재(420)와, 용기 안착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10)는 시트(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410)는 접철식 내지 접이식으로 시트(300)에 결합되며, 시트(300)의 회동시 연동되어 회동한다.
발 받침부재(420)는 연결부재(41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발 받침부재(420)는 사용자의 발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발 받침부재(420)에는 발의 지압을 위한 다양한 형상의 지압용 돌기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발 받침부재(420)에는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미도시)는 마찰저항이 큰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안착부재(430)는 발 받침부재(420)에 결합되며, 시트(300)의 회동시 용기(100)에 안착될 수 있다. 용기 안착부재(430)는 지지부(431)와 안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31)는 발 받침부재(420)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431)에는 액체 배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를 참조하면, 시트(300)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시트(300)에 결합된 발 받침대(400)는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되므로,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 용기(100)에 떨어진 소변이 튀더라도 발 받침대(400)에 부딪혀 배설물수용부(120) 내부로 낙하한다. 여기서, 용기(100) 내부로부터 튀어오른 소변은 발 받침대(400)의 지지부(431)에 부딪히게 되는데, 지지부(431)에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변이 지지부(431)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용기(100) 내부로 다시 이동한다. 그리고, 코팅층은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막 코팅에 의해 지지부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코팅층이 유리막 코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발 받침대(400)는 사용자에게 발 받침대(400)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소변의 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432)는 지지부(431)에 결합되며, 용기(100)에 안착되도록 용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 받침대(400)가 용기(100)의 배설물수용부(12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 받침대(400)의 안착부(432)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부(432)는 제1 부재(435)와 제2 부재(4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35)는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부재(436)는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 받침대(400)에는 물내림 버튼(500)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좌변기에는 물내림 버튼(500)이 수조(200) 또는 용기(100)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의 경우 다양한 방식의 물내림 버튼(500), 예를 들어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물내림 버튼(500)이 발 받침대(4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조(200) 또는 용기(100)에는 기계식 버튼이 설치되고, 발 받침대(400)에는 전자식 물내림 버튼(50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전자식으로 작동하는 물내림 버튼(500)은 일반적인 좌변기의 수조(200), 용기(100) 또는 좌변기에 근접한 건물벽 등에 설치된 물내림 버튼과 구조상 공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 받침대(400)는 시트(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시트(300)가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접촉되는 경우 시트(300)에 결합된 발 받침대(400)도 회동되어 용기(100)의 하측지지부(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트(300)에 착석하는 경우 발 받침대(400)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로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성인의 경우 대장 등이 꼬이거나 직장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항문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동 등의 체구가 작은 사용자도 발 받침대(400)에 발을 올려놓은채 배변 활동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300)가 테두리부(130)에 접촉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용기(100)의 테두리부(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시트(300)에 결합된 발 받침대(400)는 용기(100)의 배설물수용부(12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용기(100)의 테두리부(13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 용기(100)에 떨어진 소변이 튀더라도 소변이 발 받침대(400)의 지지부(431)에 부딪혀 지지부(431)의 코팅층에 의해 용기(100) 내부로 흘러내리므로, 소변이 좌변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에서 발 받침대의 높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발 받침대(400)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사용자의 키 또는 앉은 키에 따라 발 받침대(400)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발 받침대(400)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44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텔레스코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프(telescope)는 망원경을 의미하며, 텔레스코프 구조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부재 중 직경이 작은 부재가 직경이 큰 부재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재(410)와, 용기 안착부재(430)의 지지부(431)에 각각 텔레스코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이동부(441a, 441b)와, 제2 이동부(442a, 4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441a, 441b)는 임의의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이동부(442a, 442b)는 제1 이동부(441a, 44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이동부(441a, 441b)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이동부(442a, 442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이에 의해, 발 받침대(4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442a, 44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제3 직경을 가지는 제3 이동부(443a, 443b)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동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발 받침대(400)의 지지부(431)는 제1 이동부(441a)와, 제2 이동부(442a)와, 제3 이동부(443a)를 포함할 수 있고, 발 받침대(400)의 연결부재(410)는 제1 이동부(441b)와, 제2 이동부(442b)와, 제3 이동부(44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상 높이의 발 받침대(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 받침대(400)의 전체 높이를 높이는 경우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지지부(431)의 높이는 증가하고, 연결부재(410)의 높이는 감소하게 되며, 도 6을 참조하면, 발 받침대(400)의 전체 높이를 낮추는 경우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지지부(431)의 높이는 감소하고, 연결부재(410)의 높이는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발 받침대(4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발 받침대(400)의 높이 조절이 전술한 텔레스코프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100 : 용기
110 : 하측지지부 120 : 배설물수용부
130 : 테두리부 200 : 수조
300 : 시트 310 : 결합홈
400 : 발 받침대 410 : 연결부재
411 : 결합돌기 420 : 발 받침부재
430 : 용기 안착부재 431 : 지지부
432 : 안착부 435 : 제1 부재
436 : 제2 부재 440 : 높이조절부
441 : 제1 이동부 442 : 제2 이동부
443 : 제3 이동부 500 : 물내림 버튼
600 : 힌지부재

Claims (10)

  1. 배설물이 수용되고 배출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용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 받침대를 포함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부재; 및
    상기 발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의 회동시 상기 용기에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안착부재는,
    상기 발 받침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 안착되도록 상기 용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액체 배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에는 물내림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는 상기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20170027686A 2017-03-03 2017-03-03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197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686A KR101971126B1 (ko) 2017-03-03 2017-03-03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686A KR101971126B1 (ko) 2017-03-03 2017-03-03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13A true KR20180101013A (ko) 2018-09-12
KR101971126B1 KR101971126B1 (ko) 2019-04-22

Family

ID=6359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686A KR101971126B1 (ko) 2017-03-03 2017-03-03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34B1 (ko) 2021-04-05 2021-09-17 박채성 발받침대가 구비된 변기좌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92Y1 (ko) * 2001-10-13 2002-02-04 전인 유아용 보조 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92Y1 (ko) * 2001-10-13 2002-02-04 전인 유아용 보조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26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cation and urination
JP6227761B2 (ja) 乳幼児用ビデ
US6256800B1 (en) Toilet accessory
JP2008523928A6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JP2008523928A (ja) 乳児、幼児、及び就学前児童のためのトイレ訓練用、沐浴用、及びトイレ装置
KR101971126B1 (ko)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US6401263B2 (en) Portable urinal apparatus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US4876750A (en) Water closet and bidet apparatus
EP0556237B1 (en) Sanitary seat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KR200437903Y1 (ko) 좌변기의 덮개
JP3785233B2 (ja) 跳ね上げ式簡易ひじ掛け体
US11457780B1 (en) Rearward-facing toilet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KR200320368Y1 (ko) 좌변기
CN220442576U (zh) 一种方便清洗的妇产科座便器
CN218960612U (zh) 一种大便座椅
CN203878699U (zh) 带沙发式固定椅的防溅水的坐便器
KR102451292B1 (ko)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
JP2019058359A (ja) 浴室内介助用チェア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US20200245829A1 (en) Toilet Bowl with Foot Support for Multipurpose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