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888Y1 -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888Y1
KR200199888Y1 KR2020000014994U KR20000014994U KR200199888Y1 KR 200199888 Y1 KR200199888 Y1 KR 200199888Y1 KR 2020000014994 U KR2020000014994 U KR 2020000014994U KR 20000014994 U KR20000014994 U KR 20000014994U KR 200199888 Y1 KR200199888 Y1 KR 200199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otrest
chair
scaffol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84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49631B1/ko
Application filed by 정관영 filed Critical 정관영
Priority to KR2020000014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47C1/03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in combination with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장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로 하여금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석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 다리의 중앙에 세워진 수직 지주의 상단에 등받이를 포함한 좌판부가 지지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주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연장된 발판 지지구와, 발판 지지구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발판 지지구는 대략 역 'V'자로 절곡된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된 상향 경사구간의 상단부를 지나서는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구간을 이루며, 하향 경사구간의 하단부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의자에서는 신장이 적어서 착석시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떠있을 수 밖에 없는 유아나 어린이로 하여금 착석자의 신체에 맞게끔 높이조절된 발판위에 발이 놓여져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해 착석중의 유아나 어린이가 의자에서 떨어져 다치거나 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유아나 어린이가 의자에 올라 앉거나 의자로부터 내려오려고 할 때 지면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구에 고정된 발판을 밟고서 오르내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Chair having a movable stepping board}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손쉽게 자기 체격에 맞게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들떠 있거나 함이 없이 발판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의자 착석자로 하여금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석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나 학생용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의자의 높이, 즉 지면으로부터 좌판부까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장치가 구비된 의자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 장치가 구비된 의자의 착석자는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판 높이와 본인의 앉은키를 고려하여 의자의 좌판부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편안한 상태로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유아나 어린이 등과 같이 착석자의 신장이 작거나, 의자와 한조를 이루는 책상이나 테이블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의자의 좌판부를 높게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앉는 착석자의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들뜨게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석자의 체격에 비해 의자의 좌고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발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의 착석 자세에서는 착석자의 모든 체중이 좌판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장시간 착석시 대퇴부에서 통증이 느껴지며, 또한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음에 따라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정신이 산만해지게 되고, 나아가 무리하게 발바닥을 지면에 닿게 하기 위해 좌판부의 앞쪽에 엉거주춤한 상태로 앉다가 넘어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판이 장착된 의자가 알려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장착된 의자는, 다수개의 방사상 지지 다리(90)와 수직의 지주(91)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92)의 후방 상부로 등받이(93)가 고정되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92)의 전방 저면으로부터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판(94)이 장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좌판부(92)의 전방 저면 양쪽으부터 아랫쪽을 향해 지지파이프 (95)(95')각 연장되고, 그 지지파이프의 각 하단부에는 발판(94)의 양편을 지지하는 발판지지 아암(96) (96')이 유동가능하게 내삽되어 그 삽입 깊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노브(97)(97')를 이용하여 발판지지 아암을 고정함으로써 발판의 높이조 절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의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판 위에 착석자의 발이 놓여져 지지되도록 함에 의해서 착석자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고 안정적인 착석자세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이점이 있긴 하나,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파이프가 좌판부의 저면에 고정되고 발판의 위치가 좌판부 및 지지 다리의 앞쪽으로 나와 있어서 착석자의 체중이 발판으로 쏠리는 경우 의자가 앞쪽으로 넘어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발판이 구비된 의자를 사용하는 주된 대상은 신장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아나 어린이라고 할 것인 바, 어린이들은 의자에 앉거나 일어서는 과정에서 발판에 자신의 전체 체중이 가해지는 상태로 밟을 가능성이 높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의자 자체가 앞쪽으로 넘어지게 되어 의자와 함께 어린이까지도 넘어져서 부상을 입게되는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다음, 발판의 높이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양 지지파이프의 각 고정노브를 푼 다음 발판지지 아암의 삽입 깊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풀었던 조정노브를 다시 조이게 되는 데, 이때에는 한손으로 발판을 떠받친 가운데 다른쪽 손으로 고정노브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한 쉽지 않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발판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넘어지지 않는 형태의 의자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발판이 구비된 의자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특히 회전 의자의 좌판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주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지지대상에 발판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발판에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의자가 넘어지지 않고 또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손쉽게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도1 내지 도5는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측면도이며,
도3은 발판과 그 지지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a 및 4b는 각기 발판에 대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5는 발판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의자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6은 측면도이고,
도7은 평면도이며,
도8은 발판부에 대한 일부절결 상세도이다.
도9는 종래의 발판이 구비된 의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지 다리 2. 수직 지주
3. 등받이 4. 좌판
5, 15.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
6, 16. 발판 지지구
7, 17. 발판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좌판부 아래에 수직 지주가 결합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주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구와 발판 지지구상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판이 부설되기에 적합한 의자의 형태로는 다수개의 지지 다리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 다리의 중앙에 수직 지주가 세워지고 그 수직 지주의 상단부에 좌판부를 포함한 의자 본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의자를 들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수직 지주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연장된 발판 지지구와, 발 판 지지구 본체상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으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발판 지지구의 한 실시 형태는 대략 역 'V'자로 절곡된 형상을 취하여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된 상향 경사구간의 상단부를 지나서는 다시 아랫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구간을 이룬다. 상기 하향 경사구간의 하단부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발판 지지구에서 이에 결합되는 발판은 상기 하향 경사구간상의 임의의 위치상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발판과 발판 지지구간의 고정은 발판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 내부로 발판 지지구의 하향 경사구간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에 고정 손잡이를 체결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발판 지지용 브래킷은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구간과 수평구간의 외측단부로부터 아랫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하향 경사구간을 이루며 그 외측 단부는 지면에 닿도록 형성된 구성을 취하다. 이때, 발판은 발판 지지용 브래킷의 하향 경사구간상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 내지 도5는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측면도이며, 도3은 발판과 그 지지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a 및 4b는 각기 발판에 대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5는 발판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자는 기본적으로 각기 외측 하단부상에 캐스터(1a)가 구비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다리(1)의 중앙부상에 수직 지주(2)가 세워지고, 수직 지주의 상단부에 등받이(3)가 결합된 좌판부(4)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의 회전 의자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지주(3)의 하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5)이 회전가능하게 외삽되고,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5)에는 대략 역 'V'자 형태로 절곡된 발판 지지구(6)의 내측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5)에 고정되는 내측 단부가 고정되는 발판 지지구(6)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봉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됨에 있어 그 외측단부에서 서로 이어진 형태를 취한다.
한편, 상기 발판 지지구(6)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3에서와 같이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5)과의 고정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된 상향 경사구간(UL)의 상단부를 지나서는 다시 아랫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구간(DL)을 이룬다. 이들 상향 경사구간(UL)과 하향 경사구간(DL) 사이의 정상부에는 수평구간(HL)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구간이 없이 상향 경사구간(UL)과 하향 경사구간(DL)이 바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하향 경사구간의 하단부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구 결합용 브래킷(5)에의 발판 지지구(6)의 고정은 지지구 결합용 브래킷(5)의 덧살부(5a)상에 형성된 두개의 반원형 지지구 삽입홈(5b)에 발판 지지구(6)의 단부를 삽입시킨 후 그 외측에 고정판(5c)을 덧댄 상태에서 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5d)을 통해 손잡이가 구비된 고정볼트(5e)를 체결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음, 발판 지지구(6)의 하향 경사구간(DL)상에 고정결합되는 발판(7)은 타원형 내지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그 중앙 상부로는 발판 지지구(6)가 관통삽입되는 지지구 삽입홈(7b)이 구비된 가이드(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구 삽입홈(7b)은 그 양편에 180°이상의 원호상 내주면(cs)이 구비되어 그 원호상 내주면에 끼워지는 각각의 발판 지지구(6)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7a)의 중앙 하부에는 고정 손잡이(8)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c)이 형성되며, 체결공의 안쪽에는 너트(7d)가 인써트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손잡이(8)는 안쪽중앙면으로부터 체결 볼트(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데, 그 체결 볼트(8a)는 단부측은 나사면(ss)으로 되어 있고 안쪽은 원추형의 테이퍼면(ts)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고정 손잡이(8)를 가이드(7a)의 체결공(7c)에 체결하게 되면, 나사면(ss)으로 이루어진 체결 볼트(8a)의 단부측이 체결공 안쪽의 너트(7d)와 나사결합을 이루게 됨과 아울러 테이퍼면(ts)과 지지구 삽입홈(7b) 내부에 삽입된 양 발판 지지구(6) 외주면간의 압착에 의해 발판 지지구(6)상에서 발판(7)의 고정이 이 루어지게 된다.
도5는 발판 지지구(6)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의 발판 지지구(6)는 그 외측 하단부에 대략 'T'자 형태의 스톱퍼(9)가 결합된 구조로서, 이때 스토퍼의 양편 저면에는 캐스터(9a)가 결합되어 발판 지지구(6)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의자에서는 발판(7)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발판 지지구(6)에서와 같이 발판 지지구(6)의 외측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하게 되므로 발판 지지구(6)를 포함한 발판(7)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판(7)위에 발을 올려 놓거나 의자에 앉거나 착석상태로부터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판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발판 지지구(6)의 하단부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닿아서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발판 지지구(7)에서는 그 단부에 결합된 T자형의 스톱퍼가 지면에 닿아서 지지되기 때문에 발판(6)의 한쪽편에 쏠려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발판 지지구(7)를 포함한 의자가 옆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발판(7) 높이의 조절은 고정 손잡이(8)를 푼 상태에서 발판 지지구(6)의 하향 경사구간(DL)을 따라 가이드(7a)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맞춘 다음 풀었던 고정 손잡이(8)를 다시 조임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음,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6은 측 면도이고, 도7은 발판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8은 발판부에 대한 일부절결 상세도이다.
본 실시예의 의자는, 다수개의 방사상 지지 다리(11)와 수직의 지주(12)에 의해서 지지되는 좌판부(14)의 후방 상부로 등받이(13)가 고정되는 통상의 회전 의자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 지주(12)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15)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에는 캐스터(16a)가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구(16)에 발판(17)이 높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발판 지지구(16)의 상부는 수평구간(HL)을 이루고, 그 수평구간의 외측단부로부터 캐스터(16a) 결합부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하향 경사구간(DL)으로 형성되어 그 경사구간상에 발판(17)이 장착된다.
상기 발판(17)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발판 본체의 중앙 하부에 발판 지지구(16)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가이드(17a) 및 가이드의 일외측에 체결되어 가이드(17a)를 포함한 발판(17)이 발판 지지구(16)의 경사구간(DL)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손잡이(18)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 구조의 의자에서 발판(17)의 높이 조절은 고정 손잡이(18)를 풀어서 발판(17)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 손잡이(18)를 조임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예는 뒤 따르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이들에 의해서 본 고안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은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이내에서 다 양하게 변화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의자에 발판이 구비되도록 하고, 그 발판의 높이 조절을 착석자 스스로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석자세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의자에서는 신장이 적어서 착석시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떠있을 수 밖에 없는 유아나 어린이로 하여금 착석자의 신체에 맞게끔 높이조절된 발판위에 발이 놓여져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해 착석중의 유아나 어린이가 의자에서 떨어져 다치거나 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가 의자에 올라 앉거나 의자로부터 내려오려고 할 때 지면에 지지되는 발판 지지구에 고정된 발판을 밟고서 오르내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지지 다리의 중앙에 세워진 수직 지주의 상단에 등받이를 포함한 좌판부가 지지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주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연장된 발판 지지구와, 발판 지지구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구는 대략 역 'V'자로 절곡된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에 고정되는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된 상향 경사구간의 상단부를 지나서는 다시 아랫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구간을 이루며, 하향 경사구간의 하단부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구의 하향 경사구간 하단부에는 대략 T자형의 스톱퍼가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구의 하향 경사구간에 발판이 결합되며, 이 때 발판과 발판 지지구간의 고정은 발판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 내부로 발판 지지구의 하향 경사구간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에 고정 손잡이가 체결됨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구의 하향 경사구간 하단부에는 대략 T자형의 스톱퍼가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구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고, 그 외측 단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캐스터가 결합되며, 지지구 고정용 브래킷과 인접한 상부는 수평구간을 이루고, 그 수평구간의 외측단부로부터 캐스터 결합부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하향 경사구간으로 형성되어 그 경사구간상에 발판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중앙 하부에 발판 지지구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가이드가 구비되고, 가이드는 이에 체결되는 고정 손잡이에 의해 발판 지지구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20000014994U 2000-05-25 2000-05-26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199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994U KR200199888Y1 (ko) 2000-05-25 2000-05-26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64A KR100349631B1 (ko) 2000-05-25 2000-05-25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20000014994U KR200199888Y1 (ko) 2000-05-25 2000-05-26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464A Division KR100349631B1 (ko) 2000-05-25 2000-05-25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888Y1 true KR200199888Y1 (ko) 2000-10-16

Family

ID=2663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994U KR200199888Y1 (ko) 2000-05-25 2000-05-26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8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601A (ko) * 2012-03-14 2013-09-25 박은정 의자용 무릎받이 체결구조
CN110870639A (zh) * 2018-08-31 2020-03-10 闻名沙发有限公司 用于椅子和扶手椅的搁脚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601A (ko) * 2012-03-14 2013-09-25 박은정 의자용 무릎받이 체결구조
CN110870639A (zh) * 2018-08-31 2020-03-10 闻名沙发有限公司 用于椅子和扶手椅的搁脚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160A (en) Device for use in a kneeling-like sitting position
US4653808A (en) Device for supporting a person in a seated position
US4960305A (en) Air comprising supports for the posterior and the shins, respectively, of a chair occupant
US5028024A (en) Footrest for toilet
AU605496B2 (en) Posture chair
US20180325338A1 (en) Adjustable footrest with book holder
KR100349631B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200199888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US5054144A (en) Tiltable and horizontally adjustable leg or foot rest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CN209965844U (zh) 一种防侧翻的儿童餐椅
KR20019986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CN215604395U (zh) 一种高稳定性的高脚凳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CN218607102U (zh) 一种稳定性强的护理椅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0341728B1 (ko) 명상 및 기도용 의자
CN215229956U (zh) 多功能助行器
US5052755A (en) Chai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CN219249628U (zh) 折叠便携椅
CN219940471U (zh) 一种座圈升降调节式儿童马桶梯
JP3144540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安全フレ−ム
SE518430C2 (sv) Stol för personer med begränsad rörelseförmåga
CN215456819U (zh) 一种便于调节的儿童餐椅脚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