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46B1 -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46B1
KR102089346B1 KR1020200008389A KR20200008389A KR102089346B1 KR 102089346 B1 KR102089346 B1 KR 102089346B1 KR 1020200008389 A KR1020200008389 A KR 1020200008389A KR 20200008389 A KR20200008389 A KR 20200008389A KR 102089346 B1 KR102089346 B1 KR 10208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saxophone
upper plate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여경
Original Assignee
최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여경 filed Critical 최여경
Priority to KR102020000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거치된 색소폰을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움직이게 하는 동작부위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색소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직한 자세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기둥의 하단부에 수평한 자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다리가 원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세워지는 하단 지지체; 상기 하단 지지체의 상단부에 구성되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자유롭게 변화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간 지지체; 및 상기 상판부재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판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구형 볼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색소폰의 거치를 위한 다수의 U자형 메인 그립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구형 볼을 내부에 수용하여 색소폰이 거치된 거치대의 자유로운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볼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상단 지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Stand for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거치상태에서 색소폰의 각도와 방향 및 높낮이를 연주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움직이면서 자유롭게 연주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은 리드, 마우스피스, 리가춰, 목, 본체로 이루어진 목관악기로, 대부분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굉장히 복잡하고 민감한 기구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색소폰은 음역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바리톤 5가지 색소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가장 대중적인 색소폰인 알토 색소폰은 약 2.8㎏, 테너 색소폰은 약 3.8㎏의 무게를 가지며, 바리톤 색소폰의 경우 약 7㎏의 무게를 갖고 있으므로, 바리톤 색소폰의 경우 연주자가 색소폰을 들고 연주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그 보다 가벼운 알토 색소폰이나 테너 색소폰의 경우도 장시간 들고 연주하게 되면 연주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상당한 무게를 갖는 색소폰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더불어 색소폰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연주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색소폰용 스탠드'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색소폰용 스탠드는 스탠드를 지면에 세워놓기 위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수직한 자세로써 신장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본체회동수단과, 상기 본체 상단에 마련된 거치대회동수단과, 상기 거치대 회동수단의 전단에 마련된 안치대 회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색소폰용 스탠드는 안치대 회동수단의 끝단에 마련된 주 안치대에 색소폰의 벨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연주자의 동작에 맞추어 색소폰의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거치 상태에서 색소폰의 연주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색소폰용 스탠드의 경우,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본체회동수단과 거치대회동수단 및 안치대 회동수단에 각기 마련된 회전구조를 이용하여 색소폰을 움직이도록 구성됨에 따라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한 색소폰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색소폰이 움직이도록 본체회동수단과 거치대회동수단 및 안치대 회동수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동수단 간의 부조화로 인하여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색소폰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327호(2010.12.23.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된 색소폰을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움직이게 하는 동작부위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색소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직한 자세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기둥의 하단부에 수평한 자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다리가 원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세워지는 하단 지지체; 상기 하단 지지체의 상단부에 구성되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자유롭게 변화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간 지지체; 및 상기 상판부재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판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구형 볼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색소폰의 거치를 위한 다수의 U자형 메인 그립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구형 볼을 내부에 수용하여 색소폰이 거치된 거치대의 자유로운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볼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상단 지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는, 상기 하단 지지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의 수직 상부에서 하판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체가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재; 상기 하판부재와 상판부재를 연결하되, 상판부재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 유니트; 및 상기 가이드 유니트와 다른 위치에서 하판부재와 상판부재를 연결하되, 상판부재의 상하 이동 시 상판부재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탄성 유니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니트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판부재를 향하여 직립되게 세워진 볼트기둥; 상기 상판부재의 저면으로부터 하판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상판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기둥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볼트기둥과 결합된 채로 상판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볼트기둥에 설치되되, 상판부재의 하강 시 이동브라켓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판부재와 이동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 및 상기 볼트기둥에 설치되되, 상판부재의 상승 시 이동브라켓에 의해 압축되도록 볼트기둥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이동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색소폰이 미리 정해진 보관자세로 변화될 때 거치대와 접촉하면서 거치대를 지지하는 돌출턱이 볼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더 형성되고, 거치대와 마주하는 돌출턱의 측면에는 거치대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구형 볼의 회전에 의해 거치대가 기울어지나 회전하는 동작을 구현하고, 중간 지지체를 구성하는 상판부재의 상하 이동을 통해 거치대의 높낮이 변화를 구현하며, 구형 볼과 상판부재가 근접 위치에 형성되어 거치대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동작부위를 한 곳으로 집중시킴으로써 거치대에 거치된 색소폰을 연주자의 동작에 맞추어 보다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의 이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지지체와 상단 지지체의 내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에 색소폰이 거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의 이면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지지체와 상단 지지체의 내부 구성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거치대에 색소폰이 거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는 색소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연주자가 색소폰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연주를 실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하단 지지체(100)와 중간 지지체(200) 및 상단 지지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 지지체(100)는 색소폰 거치대가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110)의 하단부에 다수의 다리(12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둥(110)은 수직한 자세를 가지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 이상의 파이프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2에는 2개의 파이프(111,112)가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1파이프(111)의 상단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파이프(112)가 삽입되어 제2파이프(112)의 상하 이동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도록 이루어진 기둥(1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3은 제1파이프(111)에 체결되며, 내측 단부가 제2파이프(112)를 가압하여 제1,2파이프(111,112)를 고정시키는 볼트이다.
상기 다리(120)는 기둥(11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자세로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로 이루어지되, 상단부가 수평한 자세의 힌지축(HS)을 매개로 기둥(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힌지축(HS)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다리(12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다리(120)는 기둥(110)의 하단부에서 기둥(110)을 중심으로 원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중간 지지체(200)는 상단 지지체(300)에 거치된 색소폰이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 지지체(100)를 구성하는 기둥(11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상하로 이동하는 상판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지지체(200)는 하판부재(210), 상판부재(220), 가이드 유니트(230), 탄성 유니트(240)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부재(210)는 수평한 판재로 이루어지되, 저면이 기둥(11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기둥(110)과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재(220)는 수평한 판재로 이루어지되, 하판부재(210)의 상부에서 하판부재(210)로부터 이격된 채로 하판부재(210)와 평행한 자세를 갖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상판부재(220)의 상부에 상단 지지체(3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유니트(230)는 하판부재(210)와 상판부재(220)를 연결하여 하판부재(210)와 상판부재(220)를 결합하되, 상판부재(220)가 측면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하판부재(21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23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231)을 관통하여 상판부재(220)에 체결된 가이드 볼트(23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231)은 하판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수직부(2311)와, 상기 수직부(2311)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수평부(2312)와, 상기 수평부(2312)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안내홀(231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볼트(232)는 두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수평부(2312)의 하부로부터 안내홀(2313)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이때 가이드 볼트(232)의 상단부는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221)에 체결 고정되어 상판부재(22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 볼트(232)의 두부는 안내홀(2313)의 주변에 걸림으로써 가이드 볼트(232)가 안내홀(2313)을 완전히 관통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유니트(230)는 다수개가 하판부재(210)와 상판부재(220)의 둘레를 따라 분산되게 설치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3개의 가이드 유니트(230)가 탄성 유니트(240)를 중심으로 원형의 구조로 분산되게 배치된다.
상기 탄성 유니트(240)는 상하로 이동하는 상판부재(22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볼트기둥(241), 이동브라켓(242), 제1압축스프링(243), 제2압축스프링(2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기둥(241)은 하판부재(210)의 상면 중심부에서 상판부재(220)를 향하여 직립되게 세워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기둥(241)은 하단부가 하판부재(210)에 고정되어 기립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브라켓(242)은 상판부재(220)의 저면으로부터 하판부재(210)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기둥(241)이 관통하는 관통공(2424)이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브라켓(242)은 좌우측면부재(2421,2422)와, 상기 좌우측면부재(2421,2422)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바닥부재(2423)로 구성되며, 좌우측면부재(2421,2422)의 상단이 상판부재(22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2424)이 바닥부재(2423)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축스프링(243)은 볼트기둥(241)에 설치되되, 상판부재(220)의 하강 시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판부재(210)와 이동브라켓(242)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압축스프링(244)은 볼트기둥(241)에 설치되되, 이동브라켓(242)의 바닥부재(2423)를 관통하여 바닥부재(2423)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기둥(24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볼트기둥(241)의 상단부에는 상판부재(220)의 상승 시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제2압축스프링(244)이 압축되게 하는 고정너트(245)가 설치된다.
결국, 상기 제2압축스프링(244)은 이동브라켓(242)의 바닥부재(2423)와 고정너트(24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볼트기둥(241)에 설치되어 상판부재(220)의 상승 시 압축되면서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 지지체(300)는 색소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색소폰을 지지하되, 거치된 색소폰이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전후좌우 특정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기울어지고 또한 회전하는 움직임을 통해 색소폰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거치대(310)와 볼하우징(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3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의 봉재로 이루어지되, 상단부에는 색소폰의 벨부분이 거치되는 U자형의 메인 그립(31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그립(311)의 하단부에는 색소폰의 본체부분이 거치되는 U자형의 보조 그립(31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볼하우징(320)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구형 볼(31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하우징(320)은 구형 볼(313)과 결합되어 거치대(3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판부재(22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구형 볼(31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구형 볼(313)을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볼 지지공간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볼하우징(320)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구형 볼(313)을 가압하여 구형 볼(313)과 볼하우징(320)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구형 볼(313)의 자유회전을 억제하는 마찰조절기구(330)가 볼하우징(32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찰조절기구(330)는 구형 볼(3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볼하우징(320)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마찰블록(331)과, 상기 두 마찰블록(331)의 하부에서 마찰블록(331)을 상부로 밀어올려 구형 볼(313)에 밀착시키는 2개의 캠블록(332)과, 상기 두 캠블록(332)을 이동시키는 이송축(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 마찰블록(331)은 구형 볼(313)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된 채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형 볼(313)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면(3311)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1경사면(3312)이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구형 볼(313)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볼하우징(3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 캠블록(332)은 마찰블록(3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볼하우징(3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경사면(3312)에 마주하여 밀착되면서 마찰블록(331)을 밀어 올리거나 내려오도록 허용하는 제2경사면(332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축(333)은 수평한 자세로써 두 캠블록(332)을 관통하도록 볼하우징(320)에 설치되며, 두 캠블록(332)과 나사결합되어 두 캠블록(33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송축(333)의 회전 시 두 캠블록(332)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축(333)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선구조로 이루어진 제1나사부(3331)와 제2나사부(33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나사부(3331)가 오른나사로 형성된 경우, 제2나사부(3332)는 왼나사로 형성되고, 두 캠블록(332) 중 어느 한 캠블록(332)은 제1나사부(3331)에 나사결합되며, 나머지 한 캠블록(332)은 제2나사부(3332)에 나사결합되어 이송축(333)의 회전 시 두 캠블록(332)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축(333)의 외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이송축(333)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절노브(33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단 지지체(300) 있어서, 거치대(310)에 거치된 색소폰이 미리 정해진 보관자세로 변화될 때 거치대(310)와 접촉하면서 거치대(310)를 지지하여 색소폰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하는 돌출턱(340)이 볼하우징(320)의 상단 일측에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턱(340)은 볼하우징(32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거치대(310)와 마주하는 측면(341)은 색소폰의 보관자세일 때의 거치대(310)에 대응하여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며, 이처럼 경사진 측면(341)에는 거치대(3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연주를 마친 후 색소폰을 보관자세로 전환하게 되면, 거치대(310)가 돌출턱(340)의 경사진 측면(341)에 기대어 의지하는 것과 더불어 안착홈(342)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보관자세의 색소폰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는 거치대(310)에 거치된 색소폰을 연주자가 잡고 연주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중간 지지체(200)와 상단 지지체(300)가 다음과 같이 작동하면서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색소폰의 움직임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연주과정에서 색소폰이 거치대(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밴드로 색소폰과 거치대(310)를 결속할 수 있다.
한편, 상단 지지체(300)는 구형 볼(313)과 볼하우징(320)의 결합에 의한 구형 볼(313)의 자유회전에 기초한 거치대(310)의 기울어지는 동작 그리고 거치대(31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거치대(310)의 회전동작을 통해 거치대(310)가 특정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색소폰을 기울이거나 색소폰의 방향을 전환하는 등 다양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며, 동작을 구현하는 작동부위를 구형 볼(313)로 집중시킴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중간 지지체(200)는 상단 지지체(300)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여 상단 지지체(3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므로, 상단 지지체(30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색소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색소폰의 연주과정에서 연주자가 허리를 펴거나 굽히는 동작 또는 색소폰을 들거나 내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단 지지체(300)와 이의 하부에 고정된 상판부재(2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므로, 색소폰의 높낮이를 연주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판부재(220)가 하강하는 경우 제1압축스프링(243)이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판부재(220)의 복원을 위한 에너지를 축적하고, 상판부재(220)가 상승하는 경우 제2압축스프링(244)이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판부재(220)의 복원을 위한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므로, 상판부재(22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판부재(220)가 원래의 높이로 복원되면서 색소폰을 초기 높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단 지지체(3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상판부재(220)는 제1,2압축스프링(243,24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공중 부양된 것과 같은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연주자는 거치대(310)에 거치된 색소폰을 직접 들고 연주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연주를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거치대(310)에 거치된 색소폰을 연주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단 지지체 110: 기둥
120: 다리 200: 중간 지지체
210: 하판부재 220: 상판부재
230: 가이드 유니트 240: 탄성 유니트
241: 볼트기둥 242: 이동브라켓
243: 제1압축스프링 244: 제2압축스프링
300: 상단 지지체 310: 거치대
311: 메인 그립 312: 보조 그립
313: 구형 볼 320: 볼하우징
330: 마찰조절기구 340: 돌출턱
342: 안착홈

Claims (4)

  1. 수직한 자세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기둥(110)의 하단부에 수평한 자세의 힌지축(HS)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다리(120)가 원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세워지는 하단 지지체(100);
    상기 하단 지지체(100)의 상단부에 구성되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자유롭게 변화되는 상판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간 지지체(200); 및
    상기 상판부재(220)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판부재(22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구형 볼(313)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색소폰의 거치를 위한 다수의 U자형 메인 그립(311)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거치대(310)와, 상기 거치대(310)의 구형 볼(313)을 내부에 수용하여 색소폰이 거치된 거치대(310)의 자유로운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볼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진 상단 지지체(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200)는,
    상기 하단 지지체(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하판부재(210);
    상기 하판부재(210)의 수직 상부에서 하판부재(2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체(300)가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부재(220);
    상기 하판부재(210)와 상판부재(220)를 연결하되, 상판부재(22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 유니트(230); 및
    상기 가이드 유니트(230)와 다른 위치에서 하판부재(210)와 상판부재(220)를 연결하되, 상판부재(220)의 상하 이동 시 상판부재(220)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탄성 유니트(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니트(240)는,
    상기 하판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상판부재(220)를 향하여 직립되게 세워진 볼트기둥(241);
    상기 상판부재(220)의 저면으로부터 하판부재(210)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상판부재(2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기둥(241)이 관통하는 관통공(2424)이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볼트기둥(241)과 결합된 채로 상판부재(22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브라켓(242);
    상기 볼트기둥(241)에 설치되되, 상판부재(220)의 하강 시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압축되도록 하판부재(210)와 이동브라켓(242)의 사이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243); 및
    상기 볼트기둥(241)에 설치되되, 상판부재(220)의 상승 시 이동브라켓(242)에 의해 압축되도록 볼트기둥(241)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45)와 이동브라켓(242)의 사이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2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10)에 거치된 색소폰이 미리 정해진 보관자세로 변화될 때 거치대(310)와 접촉하면서 거치대(310)를 지지하는 돌출턱(340)이 볼하우징(320)의 상단부 일측에 더 형성되고, 거치대(310)와 마주하는 돌출턱(340)의 측면에는 거치대(3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KR1020200008389A 2020-01-22 2020-01-22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KR10208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89A KR102089346B1 (ko) 2020-01-22 2020-01-22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89A KR102089346B1 (ko) 2020-01-22 2020-01-22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346B1 true KR102089346B1 (ko) 2020-05-15

Family

ID=7067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389A KR102089346B1 (ko) 2020-01-22 2020-01-22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66B1 (ko) * 2022-01-06 2024-04-22 (주) 재화산업 색소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529A1 (en) * 2005-01-27 2006-07-27 Wu-Hong Hsieh Collapsible and adjustable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KR100834409B1 (ko) * 2007-10-02 2008-06-04 박재홍 삼각대용 볼 헤드
KR20100134327A (ko) 2009-06-15 2010-12-23 고재수 색소폰용 스탠드
KR101924046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529A1 (en) * 2005-01-27 2006-07-27 Wu-Hong Hsieh Collapsible and adjustable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KR100834409B1 (ko) * 2007-10-02 2008-06-04 박재홍 삼각대용 볼 헤드
KR20100134327A (ko) 2009-06-15 2010-12-23 고재수 색소폰용 스탠드
KR101924046B1 (ko) * 2018-04-30 2018-11-30 삼부기술 주식회사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66B1 (ko) * 2022-01-06 2024-04-22 (주) 재화산업 색소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497A (en) Adjustable instrument stand
US4535670A (en) String bender attachment construction
US4381690A (en) Cymbal stand
US73421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setting and tilting hi-hat cymbals
CN1722224B (zh) 弦线更换辅助装置
JP2012173619A (ja) シンバルの取付構造、ハイハットスタンド、及びクローズドハイハットアタッチメント
US10229659B2 (en) Low-friction bridge for stringed instrument
US9978349B2 (en) Drum accessory and drumming method
KR100485493B1 (ko)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KR102089346B1 (ko)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US20070199429A1 (en) Drum stand with a vibration-reducing device
US6559365B2 (en) Stand
KR101514978B1 (ko) 보면대
CA2552396C (en) Adjustable tremolo bridge
US6220459B1 (en) Saxophone stand
US7655853B1 (en) Weight-relieving device for a woodwind instrument
EP1067509A2 (en) Compact stand for musical instrument
US5553529A (en) Thumbrest ring adapter for musical instrument
KR20100134327A (ko) 색소폰용 스탠드
US20130276617A1 (en) Reversed Cajon Paddle
US5528971A (en) Musical instrument having a stabilization apparatus
WO1991005328A1 (en) Violin bow guide
US5767428A (en) Drum pedal support
JP3244979U (ja) ドラム音質改善具
KR102445152B1 (ko) 색소폰 지지용 숄더홀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