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566B1 - 색소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색소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566B1
KR102659566B1 KR1020220002224A KR20220002224A KR102659566B1 KR 102659566 B1 KR102659566 B1 KR 102659566B1 KR 1020220002224 A KR1020220002224 A KR 1020220002224A KR 20220002224 A KR20220002224 A KR 20220002224A KR 102659566 B1 KR102659566 B1 KR 10265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axophone
ring support
pilla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391A (ko
Inventor
김남섭
Original Assignee
(주) 재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재화산업 filed Critical (주) 재화산업
Priority to KR102022000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56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하며 안정적으로 받치고 각 부품의 분리를 통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스를 갖는 레그스탠드, 상기 레그스탠드의 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축을 갖는 베이스필러, 상기 베이스필러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에 수평슬릿이 형성된 홀더를 갖는 익스텐션필러, 상기 수평슬릿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을 받치는 링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수평슬릿에 상기 회전로드가 수용되도록 회전할 때에, 상기 링서포트는 상기 익스텐션필러와 평행한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홀더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로드를 회전하여 홀더의 수평슬릿에 수용하고 링서포트를 회전하여 익스텐션필러에 평행하게 하므로 부피의 슬림화에 따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링서포트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색소폰의 아랫관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색소폰 거치대{SAXOPHONE SUPPORT}
본 발명은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하고 색소폰을 안정적으로 받치며, 각 부품의 분해 조립을 통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색소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색소폰은 원뿔형의 관 끝부분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고 음역을 발음하는 키(key)가 구성 되어 있으며 입을 대고 부는 리드(reed)가 장착된악기로서, 부드럽고 감미로운 음을 내어 경음악이나 취주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소폰은 다른 악기에 비하여 중량이 크므로, 근래에는 연주자가 거치대를 이용하여 색소폰의 아랫관(breech)을 받쳐서 연주를 하고 있다.
여기서, 아랫관은 나팔 모양의 벨(bell)을 목과 몸체(body)에 연결하는 굽은 부분이다.
색소폰 거치대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1729호(등록일자 2018년02월19일) ‘색소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색소폰의 'U'자관을 파지하도록 제1,2클램프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1,2 클램프의 일단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2클램프의 타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비된 홀더;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 상기 홀더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하는 스탠드; 및 상기 홀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포함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스탠드가 관통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스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걸림턱에 고정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상기 관통공을 가로질러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볼트에 형성된 절개홈 및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높이조절볼트의 외주면을 감싸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관통공을 가로질러 걸림턱에 걸리며, 고정핀은 경사면을 타고 인접하는 상부의 걸림턱으로 이동하여 고정핀의 분리 없이 홀더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2클램프 중 하나는 색소폰의 'U'자관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2클램프 중 색소폰의 'U'자관의 외주면을 지지하지 않는 다른 하나는 'U'자관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상대적으로 폭을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거치대.”를 기술의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클램프를 통해 색소폰의 'U'자관을 지지하므로 체결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연주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분해 및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걸림턱과 볼트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1729호(등록일자 2018년02월1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소폰의 아랫관을 안정적으로 받치고 각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 및 접어서 휴대성을 향상시키며 연주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낮이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는 색소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스를 갖는 레그스탠드, 상기 레그스탠드의 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축을 갖는 베이스필러, 상기 베이스필러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에 수평슬릿이 형성된 홀더를 갖는 익스텐션필러, 상기 수평슬릿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을 받치는 링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수평슬릿에 상기 회전로드가 수용되도록 회전할 때에, 상기 링서포트는 상기 익스텐션필러와 평행한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홀더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필러의 하단에는 볼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결합축을 갖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서포트는 색소폰의 아랫관을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필러에 평행하게 회전된 상기 링서포트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익스텐션필러의 외경에 결합되는 칼라, 상기 칼라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링서포트의 외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로드를 회전하여 홀더의 수평슬릿에 수용하고 링서포트를 회전하여 익스텐션필러에 평행하게 하므로 부피의 슬림화에 따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링서포트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색소폰의 아랫관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에 의해 링서포트가 익스텐션필러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색소폰 거치대는, 보스(111)를 갖는 레그스탠드(100), 레그스탠드(100)의 보스(111)에 결합되도록 결합축(221)을 갖는 베이스필러(200), 베이스필러(200)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에 수평슬릿(311)이 형성된 홀더(310)를 갖는 익스텐션필러(300), 수평슬릿(311)에 수용되도록 홀더(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로드(500), 회전로드(50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BR)을 받치는 링서포트(600)를 포함한다.
레그스탠드(100)는 본 발명의 중심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레그스탠드(100)는 상부에 보스(111)를 갖는 스탠드바디(110), 스탠드바디(110)에 방사상으로 하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레그(120)를 포함한다.
스탠드바디(110)의 상부 중심에는 보스(111)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베이스필러(200)의 결합축(22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탠드바디(110)의 일측에는 손잡이를 갖는 고정볼트(112)가 구비되어 보스(111)에 결합된 결합축(221)의 외면을 가압하여 베이스필러(200)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레그는 복수로 이루어져 스탠드바디(110)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방사상 모양으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레그(120)는 스탠드바디(110)에 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부피를 줄여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베이스필러(200)는 레그스탠드(100)의 보스(111)에 결합되어 색소폰을 받치는 기초를 이루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필러(200)는 내부가 비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필러(200)의 하단에는 볼조인트(210)가 구비되고, 볼조인트(210)는 하부에 결합축(221)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결합축(221)은 레그스탠드(100)의 보스(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베이스필러(200)는 결합축(221)에 의해 레그스탠드(100)의 보스(111)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휴대성을 높일 수 있고, 볼조인트(21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둘레를 선회하므로 연주자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면서 색소폰을 받칠 수 있다.
익스텐션필러(300)는 베이스필러(200)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을 하는 구성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익스텐션필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익스텐션필러(300)는 베이스필러(200)의 내경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플러(400)에 의해 신축된 높낮이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커플러(400)는 베이스필러(200)와 익스텐션필러(300)를 연결하며 신축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노브(410)를 갖는다.
그리고 익스텐션필러(300)의 상부에는 회전로드(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31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홀더(310)의 상단에는 수평슬릿(311)이 형성되어 회전로드(500)를 수용한다.
회전로드(500)는 홀더(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링서포트(6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로드(500)는 홀더(310)의 수평슬릿(311) 좌측에 로드핀(5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로드(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핀(5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슬릿(311)에 수평으로 수용된다.
이때, 회전로드(500)는 외측 단부가 수평슬릿(311)에서 돌출되도록 수평슬릿(311)의 수평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링서포트(600)는 회전로드(500)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BR)을 받치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링서포트(600)는 링(ring) 모양으로 형성되어 회전로드(500)의 외측 단부에 서포트핀(6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링서포트(60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색소폰의 아랫관(BR)을 안정적으로 받치게 된다.
이때, 링서포트(600)는 회전로드(500)와 수평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더이상 하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된다.
즉, 링서포트(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500)가 회전하여 홀더(310)의 수평슬릿(311)에 수용될 때에,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익스텐션필러(300)와 수직으로 평행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부피를 줄여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레그(120)를 펼친 레그스탠드(100)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베이스필러(200)의 결합축(221)을 레그스탠드(100)의 보스(111)에 결합한 후 고정볼트(112)를 통해 베이스필러(200)를 견고히 고정한다.
이어서, 베이스필러(200)의 상단 내경에 익스텐션필러(300)를 결합한 후 커플러(400)를 통해 익스텐션필러(30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그러면, 연주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서포트(600)의 상면에 색소폰의 아랫관(BR)을 받쳐서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주자의 연주가 끝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로드(500)를 회전시켜서 홀더(310)의 수평슬릿(311)에 수용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링서포트(600)를 회전시키면 링서포트(600)는 익스텐션필러(300)와 평행한 방향을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베이스필러(200)에서 익스텐션필러(300)를 분리하고, 레그스탠드(100)에서 베이스필러(200)를 분리한 후 레그스탠드(100)의 레그(120)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으면, 레그스탠드(100)와 베이스필러(200) 및 익스텐션필러(300)가 슬림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로드(500)를 회전하여 홀더(310)의 수평슬릿(311)에 수용하고 링서포트(600)를 회전하여 익스텐션필러(300)에 평행하게 하므로 부피의 슬림화에 따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링서포트(600)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색소폰의 아랫관(BR)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익스텐션필러(300)에 평행하게 회전된 링서포트(600)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700)는 익스텐션필러(300)의 외경에 결합되는 칼라(710), 칼라(710)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 링서포트(600)의 외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도록 걸림턱(721)을 갖는 고정편(720)을 포함한다.
칼라(710)(collar)는 익스텐션필러(300)를 관통하여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편(720)은 납작한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칼라(710)에 일체로 연결된다. 고정편(720)의 외측 단부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원호 모양의 걸림턱(721)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링서포트(600)의 외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재(700)에 의해 링서포트(600)가 익스텐션필러(30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레그스탠드 111 : 보스
200 : 베이스필러 221 : 결합축
300 : 익스텐션필러 310 : 홀더
311 : 수평슬릿 400 : 커플러
500 : 회전로드 600 : 링서포트
700 : 고정부재 710 : 칼라
720 : 고정편 BR : 아랫관

Claims (4)

  1. 보스를 갖는 레그스탠드, 상기 레그스탠드의 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축을 갖는 베이스필러, 상기 베이스필러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에 수평슬릿이 형성된 홀더를 갖는 익스텐션필러, 상기 수평슬릿에 수용되도록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색소폰의 아랫관을 받치는 링서포트, 상기 익스텐션필러에 평행하게 회전된 상기 링서포트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수평슬릿에 상기 회전로드가 수용되도록 회전할 때에, 상기 링서포트는 상기 익스텐션필러와 평행한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홀더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익스텐션필러의 외경에 결합되는 칼라, 상기 칼라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링서포트의 외측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러의 하단에는 볼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결합축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서포트는 색소폰의 아랫관을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거치대.
  4. 삭제
KR1020220002224A 2022-01-06 2022-01-06 색소폰 거치대 KR10265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24A KR102659566B1 (ko) 2022-01-06 2022-01-06 색소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24A KR102659566B1 (ko) 2022-01-06 2022-01-06 색소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91A KR20230106391A (ko) 2023-07-13
KR102659566B1 true KR102659566B1 (ko) 2024-04-22

Family

ID=8716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24A KR102659566B1 (ko) 2022-01-06 2022-01-06 색소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5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529A1 (en) * 2005-01-27 2006-07-27 Wu-Hong Hsieh Collapsible and adjustable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KR102089346B1 (ko) * 2020-01-22 2020-05-15 최여경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922B1 (ko) * 2014-01-06 2016-11-17 어수지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KR101831729B1 (ko) 2016-07-22 2018-02-23 서윤석 색소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529A1 (en) * 2005-01-27 2006-07-27 Wu-Hong Hsieh Collapsible and adjustable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KR102089346B1 (ko) * 2020-01-22 2020-05-15 최여경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91A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5257B2 (en) Stand
US9082375B2 (en) Percussion instrument and stand for the same
US10001241B2 (en) Microphone stand having articulating shaft
US5202527A (en) Guitar stanchion
US4407182A (en) Musical instrument stand
US20180315402A1 (en) Go Drum
US5522300A (en) Drumstick station
JP2015161821A (ja) ドラムスタンド
KR102659566B1 (ko) 색소폰 거치대
JP2008139766A (ja) ハンドレスト固定具
US3994198A (en) Cymbal retainer
US6437225B1 (en) Compact stand for musical instrument
JP3874427B2 (ja) 折畳み可能譜面台
KR20100134327A (ko) 색소폰용 스탠드
US20130276617A1 (en) Reversed Cajon Paddle
AU2004200436B2 (en) Damping element
JP2006030231A (ja) 張弦補助装置
KR100445691B1 (ko) 관악기 스탠드
US11538448B1 (en) Cocktail drum
JP3214407U (ja) レゾネータとエンドピンとの接続固定用ホルダ
KR102089346B1 (ko) 자유동작형 색소폰 거치대
US6441282B2 (en) Stringed instrument having height-adjustable bridge assembly
US11670265B2 (en) Stand for musical instrument, and high-hat stand
JPS5825430Y2 (ja) トレモロ演奏用テ−ルピ−ス
JP3244979U (ja) ドラム音質改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