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93B1 -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93B1
KR100485493B1 KR10-2002-0065553A KR20020065553A KR100485493B1 KR 100485493 B1 KR100485493 B1 KR 100485493B1 KR 20020065553 A KR20020065553 A KR 20020065553A KR 100485493 B1 KR100485493 B1 KR 10048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molo
string
spring
block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285A (ko
Inventor
신지로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호시노 각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노 각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노 각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10D3/147Devices for altering the string tension during playing
    • G10D3/153Tremolo devices

Abstract

트레몰로 블록(40)이 기저판(11)의 배면으로부터 몸체(B) 내에 형성된 공간(Bc) 내로 연장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은 기저판(11)과 함께 피봇 동작을 한다. 트레몰로 블록(40)은 선단부에 후크부(50)를 갖는다. 몸체(B)의 배면에는 베이스(61)가 위치한다. 베이스(61)의 후방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65)에는 가동부(90)가 분리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가동부(90)는 결합부(65)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한 쌍의 제1 스프링(75)이 베이스와 트레몰로 블록(40)을 연결하여 현의 장력에 대항하여 트레몰로 블록(40)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힘을 작용한다. 제1 스프링(75)의 작용력은 조절이 가능하다. 한 쌍의 제2 스프링(80)은 베이스(61)와 가동부(90)를 연결한다. 제2 스프링(80)은 가동부(90)가 결합부(65)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작용한다. 정상 상태에서, 제2 스프링(80)은 가동부(90)가 결합 위치에 있도록 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정지되거나 전방으로 피봇될 때, 가동부(90)는 제2 스프링(80)의 작용력에 의해서 결합 위치에 있게 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가동부(90)는 가동부와 후크부(50)의 접촉에 의해서 결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TREMOLO UNIT FOR STRING INSTRUMENT}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는 주지되어 있고 종종 전자 기타에 장착된다. 트레몰로 장치는 현악기의 현의 장력을 증가 및 감소시켜 악기의 음향을 인상적으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기타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110)를 도시한다. 트레몰로 장치(110)는 기저판(111), 현 지지대(브리지 새들)(121), 트레몰로 몸체(브리지)(120), 트레몰로 암(125) 및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현 지지대(121)는 기타의 몸체(B)에 피봇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현(S)을 기저판(111)의 상부 표면에 지지한다. 트레몰로 몸체(120)는 기저판(111) 아래서 몸체(B)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트레몰로 블록(122)을 포함한다. 트레몰로 몸체(120)를 피봇시키기 위해서 트레몰로 암(125)이 트레몰로 몸체(120)에 부착된다. 트레몰로 블록(122) 및 몸체(B) 사이에 스프링(130)이 위치한다. 현(S)의 장력과 협력하여 스프링(130)은 트레몰로 몸체(120)를 평형 위치에 유지한다. 기저판(111)은 한 단부에 나이프 에지(112)를 포함한다. 각각 그루브가 형성된 스터드 볼트(115)가 몸체(B)에 고정된다. 각 스터드 볼트(115)는 그루브에 대응하는 나이프 에지(112)를 피봇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스프링(130)이 걸리는 스프링 결합 부재(135)가 몸체에 고정된다. 스프링(130)의 작용력은 스프링 볼트(135)에 의해서 조정된다.
트레몰로 장치(110)는 트레몰로 몸체(120)가 현의 장력과 현(S)의 장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130)의 작용력에 의해서 평형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트레몰로 암(125)을 움직여 트레몰로 몸체(120)가 피봇되면 현(S)의 장력이 증가 및 감소되어, 각 현의 피치를 높이거나 낮춘다. 암(125)이 릴리스되면 트레몰로(120)가 평형 위치로 돌아가 각 현의 피치가 원래 피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트레몰로 몸체(120)의 평형은 극히 민감하고 여러 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피봇 받침의 마찰, 스프링의 불완전한 탄성, 기타 연주자의 트레몰로 몸체나 트레몰로 암의 접촉, 초킹, 플래터(연주가가 갑자기 트레몰로 암을 릴리스했을 때 내부 장력에 의한 음의 변동), 및 현의 스냅은 트레몰로 몸체(120)가 피봇된 후에 평형 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S)의 튜닝 상태를 변화시킨다. 트레몰로 장치(110)의 또 하나의 큰 단점은 튜닝이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장력을 증가시켜 하나의 현(S)의 피치가 올라갔을 때 모든 현의 장력의 합이 증가된다. 이러한 장력은 트레몰로 몸체(10)를 평행 위치로부터 네크를 향하여 피봇시키고, 그리하여 너트와 현 지지대(121)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다른 현(S)들의 장력이 감소되어 다른 현들의 피치가 낮아진다. 반대로 하나의 현의 장력이 감소되면 다른 현들의 피치가 올라간다. 그리하여 원리적으로 모든 현들을 완벽하게 튜닝 하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완벽한 조율 상태로 모든 현들의 피치를 조정하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각 현(S)의 목표 피치, 선 밀도 및 길이 간에 소정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각 현(S)의 하나의 단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전술한 트레몰로 장치(110)의 스케일 길이는 스프링(130)의 강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개방 현을 튜닝할 때에 개방 현이 스케일 길이 외부에서 튜닝되는 많은 중립점들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트레몰로 장치(120)가 설계된 평형 위치에 대하여 네크를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되었을 때 스케일 길이가 설계치로부터 변경되고 현이 네크의 소정의 프렛에 눌려졌을 때 원하는 피치의 음향이 발생되지 않는다.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의 단점은 주의를 끌어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장력이 현의 장력보다 큰 스프링을 포함하는 트레몰로 장치가 소개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1-93737 및 일본 특허공보 2-48120은 개량된 트레몰로 장치를 제시한다. 그러한 공개특허공보 1-93737에 개시된 기구는 피치를 올리기 위해 현의 장력을 높이거나, 트레몰로 암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큰 힘을 필요로 한다. 특허공보 2-48120에 기재된 트레몰로 장치는 트레몰로 블록이 하나의 현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하여 트레몰로 몸체의 피봇 동작에 의하여 현이 기울어지거나 인장 및 수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형되었을 때, 스프링의 탄성이 영향을 받는다. 이 트레몰로 장치는 트레몰로 몸체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스토퍼를 포함한다. 트레몰로 몸체와 스토퍼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무 등으로 제작된 완충 부재가 트레몰로 몸체와 스토퍼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완충 부재의 변형은 현의 조율 상태를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몰로 장치는 다수의 조정기를 포함한다. 조정기의 위치를 찾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정 절차도 숙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제4,928,564호는 트레몰로 블록과 기타 몸체 사이에 위치한 브라켓을 가지는 트레몰로 장치를 제시한다. 브라켓 상에는 평형 스프링 어셈블리가 위치한다. 이 어셈블리는 브라켓에 부착된 튜브 및 봉(rod)을 포함한다. 봉은 튜브에 수용된다. 봉의 한 단부가 트레몰로 블록에 결합된다. 트레몰로 블록이 움직일 때에 봉이 튜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트레몰로 암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한다.
전술한 트레몰로 장치는 종종 연주자를 불편하게 한다. 예를 들어, 브리지 또는 트레몰로 블록이 중립 위치에 복귀했을 때, 암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부동 브리지의 느낌을 선호하는 연주자들을 거북하게 한다. 평형 스프링 어셈블리의 부재들 간의 마찰이 연주 도중에 연주자에게 전달되면 플레이어는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율 상태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현이 용이하게 조율될 수 있고, 연주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트레몰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저판 및 다수의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가 제공된다. 기저판은 상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몸체에 의해서 피봇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각 현의 전단부는 네크에 의해서 지지되고 각 현의 후단부는 기저판 상면에 의해서 지지된다. 트레몰로 장치는 트레몰로 암의 동작에 응답하여 기저판이 피봇될 수 있도록 한다. 트레몰로 장치는 트레몰로 블록, 베이스, 결합부, 가동부,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트레몰로 블록은 기저판의 배면으로부터 몸체에 의해서 정의된 공간 내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기저판과 함께 피봇 동작을 한다. 트레몰로 블록은 그 선단부에 후크부를 가진다. 베이스는 몸체의 배면부에 위치한다. 결합부가 베이스의 배면부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가동부는 가동부가 결합부와 연결되는 결합 위치와 가동부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는 대기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제1 스프링은 베이스를 트레몰로 블록에 연결하고, 트레몰로 블록을 현의 장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밀치는 힘을 작용한다. 제1 스프링의 작용력은 조절될 수 있다. 제2 스프링은 베이스를 가동부에 연결하고 가동부를 결합 위치로 향하도록 하는 힘을 작용한다. 정상 상태에서, 제2 스프링은 가동부를 결합 위치에 있도록 한다. 트레몰로 블록이 정지되거나 전방으로 피봇되면, 가동부는 제2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서 결합 위치에 있게 된다. 트레몰로 블록이 후방으로 피봇되면, 가동부는 가동부와 후크부간의 접촉에 의하여 결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기타인 현악기를 도시한다. 기타는 네크(N), 몸체(B) 및 6개의 현(S)을 포함한다. 헤드(H)가 네크(N)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헤드(H)에는 튜닝 포스트(Nb)가 제공되어 있다. 각 현(S)의 한 단부가 튜닝 포스트(Nb)에 고정된다. 트레몰로 장치(1)는 몸체(B) 내에 위치한다. 트레몰로 장치(1)는 브리지를 형성하고 현 튜닝 장치 및 피치 변경 장치로 기능한다. 헤드(H)에 고정된 반대편 각 현의 단부는 트레몰로 장치(1)에 고정된다. 네크(N)의 전단부에는 너트(Na)가 위치하여 헤드(H)에 연결된 네크(N)의 단부에 현(S)의 일부를 지지한다. 헤드(H)에는 튜닝 페그(Nc)가 제공되어 있다. 튜닝 페그(Nc)는 튜닝 포스트(Nb)에 연결되고 현을 튜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몰로 장치(1)는 트레몰로 몸체(10), 트레몰로 암(K) 및 복귀 기구(60)를 포함한다. 트레몰로 암(K)은 트레몰로 몸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트레몰로 몸체(10)를 작동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복귀 기구(60)는 트레몰로 몸체 복귀 기구를 형성하는데, 이는 트레몰로 몸체(10)가 피봇된 후에 트레몰로 몸체를 평형 위치로 복귀시킨다. 복귀 기구(60)는 몸체(B)의 배면부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몰로 몸체(10)는 기저판(11), 6개의 독립된 현 지지부(브리지 새들)(20), 트레몰로 블록(40)을 포함한다. 기저판(11)은 상면과 배면을 가지고 몸체의 상면에 피봇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브리지 새들(20)은 현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기저판(11) 상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면, 전방이라는 용어는 네크(N)을 향한 위치를 의미하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네크(N)으로부터 먼 위치를 의미한다.) 트레몰로 블록(40)은 기저판(11)의 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트레몰로 암이 눌리거나 들리는 동작을 할 때, 트레몰로 블록(40)은 몸체의 공간 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피봇 동작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 지지부(20)는 기저판(11) 상에 위치한다. 각 현 지지부는 하나의 현에 대응한다. 현 지지부(20)는 각 현(S)의 음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트레몰로 몸체(10)가 평형 위치에 있고 연주자가 트레몰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트레몰로 장치(1)와 주변 기구를 도시한다. 도 4는 평형 위치에 있는 복귀 기구(60)를 도시한다.
기저판(11)은 전단부 또는 네크(N)에 가까운 단부의 양면에 나이프 에지(12)를 가진다. 기저판(11)은 스터드 볼트(Bs)에 의해서 피봇 가능하도록 지지되는데, 각 볼트는 나이프 에지(12)의 하나를 고정한다. 기저판(11)에는 6개의 홈(13)이 형성된다. 각 홈(13)은 하나의 현 지지부(20)에 대응한다.
각 현 지지부(20)는 새들 홀더(21), 새들 본체(25) 및 조정기 봉(31)을 포함한다. 각 새들 홀더(21)는 기저판(11)에 부착되어 있다. 각 새들 홀더의 위치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새들 본체(25)는 대응하는 새들 홀더(21)에 의하여 현(S)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핀(26)을 사용하여 피봇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각 새들 본체(25)는 곡면으로 형성된 현 수용부(27)를 가진다. 현 수용부(27)는 새들 본체(25)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각 새들 본체(25)는 또한 후방부에 현 고정 리세스(28)를 가진다. 현 고정 리세스(28)에는 블록(29)이 삽입되어 리세스(28)의 내부 벽과 블록(29) 사이에 대응하는 현을 고정한다. 각 새들 본체(25)에는 고정 스크루(29A)가 삽입된다. 스크루(29A)의 선단부는 리세스(28) 내로 돌출하여 블록(29)을 고정시킨다.
각 조정기 봉(31)은 하나의 새들 본체(25)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조정기 봉(31)은 새들 본체(25)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각 조정기 봉(31)은 기저판(11)에 형성된 하나의 홈(13) 내에 위치한다. 기저판(11)의 배면에는 판 스프링(35)이 위치한다. 각 판 스프링(35)은 하나의 조정기 봉(31)에 대응한다. 각 판 스프링(35)은 조정기 봉(31)을 통하여 항시 대응하는 새들 본체(25)에 핀(26)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한다. 기저판(11)의 후방 단부에는 6개의 현 튜닝 볼트(미세 튜닝 볼트)(36)가 제공된다. 각 현 튜닝 볼트(36)는 하나의 조정기 봉(31)을 접촉한다. 각 현 튜닝 볼트(36)는 대응하는 새들 본체(25)를 피봇시켜 대응 현을 튜닝하도록 나사 운동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각 현 튜닝 볼트(3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대응하는 새들 본체(25)는 대응하는 조정기 봉(31)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그리하여 새들 본체(25)는 후방으로 피봇된다. 이는 대응하는 현(S)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현의 피치를 상승시킨다. 각 현 튜닝 볼트(36)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대응하는 새들 본체(25)는 대응하는 조정기 봉(31)을 통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즉, 새들 본체(25)가 전방으로 피봇된다. 이는 대응하는 현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현의 피치를 하강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새들 고정기(21) 및 새들 본체(25)를 가지는 현 지지부(20)는 로킹 유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 로킹 유형의 현 지지부(20)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현 지지부(20)는 서로 독립적이어서 각 지지부는 하나의 현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해서 하나의 현을 지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체형 현 지지부를 가지는 기저판(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트레몰로 장치는 트레몰로 블록(40)에 형성된 후크부(50)와 복귀 기구(60)를 포함한다. 복귀 기구(60)는 결합부(65), 조정 부재(70), 제1 스프링(75), 제2 스프링(80) 및 봉 부재(90)를 포함한다.
도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몰로 블록(40)은 트레몰로 몸체(10)의 기저판(11)으로부터 몸체의 배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 후크부(50)는 트레몰로 블록(40)의 선단부 부근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후크부(50)는 봉 부재(90)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50)는 양호하게는 개방 선단부를 가지는 오목 표면으로 형성된다.
복귀 기구 베이스(61)는 복귀 기구(60)를 몸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특히 복귀 기구 베이스(61)는 스크루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몸체(B)의 배면에 형성된 리세스(Bb)에 고정된다.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5)는 복귀 기구 베이스(61)의 측면에 위치한다. 각 결합부(65)는 후방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귀 기구 베이스(61)와 일체로 돌출 블록(67)이 형성된다. 돌출 블록(67)은 복귀 기구 베이스(61)의 측면 부에 위치한다. 각 결합부(65)는 하나의 돌출 블록(67)에 형성된 V자 형상의 노치이다. 그러한 결합부(65)가 봉 부재(90)를 수용할 수 있는 한 결합부(65)의 구조 및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봉 부재(90)는 가동부로 기능하며, 가동부재는 결합부(65)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와 결합부(65)로부터 분리되는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양호하게는 봉 부재(90)는 원형 단면을 가진다.
조정 부재(70)가 복귀 기구 베이스(61)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즉, 네크를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조정기 볼트(72)는 베이스 기구(61)로부터 돌출하는 브라켓(71)에 나사 결합된다. 조정 부재(70)는 조정기 볼트(72)와 나사 결합된다. 볼트(72)가 회전할 때에 조정 부재(7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각 제1 스프링(75)은 전방 단부(76) 및 후방 단부(77)를 가진다. 전방 단부(76)는 조정 부재(70)에 고정되고, 후방 단부(77)는 트레몰로 블록(40)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제1 스프링(75)은 스프링의 장력에 대항하여 트레몰로 블록(40)을 전방으로 미는 힘을 항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제1스프링(75)이 조정 부재의 측면부에 위치한다.
각 제2 스프링(80)은 전방 단부(81) 및 후방 단부(82)를 가진다. 전방 단부(81)는 복귀 기구 베이스(61)에 고정된다. 특히 각 전방 단부(81)는 복귀 기구 베이스(61)에 형성된 결합 돌기(62)에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80)은 제1 스프링(75)의 외측에 위치한다.
봉 부재(90)는 트레몰로 블록(4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스프링(80)의 후방 단부(82)는 봉 부재(90)와 결합하여 항상 봉 부재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작용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피봇되지 않거나 전방으로 피봇된 경우, 봉 부재(90)는 결합부(65)와 결합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된 경우, 봉 부재(90)는 트레몰로 블록(40)에 형성된 후크부(50)와 결합되어 결합부(65)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봉 부재(90)는 결합부(65)와 분리되기 이전에 결합부(65)의 하단 슬로프 상에서 미끄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 부재(70)의 위치는 제1 스프링(75)의 힘을 조정하기 위해서 조정 볼트(72)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그리하여 다양한 현 게이지에서의 현의 장력에 따라 스프링(75)의 힘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트레몰로 본체(10)(기저판 11)의 스터드 볼트(Bs)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조정된다.
정상 상태, 또는 트레몰로 몸체(10)가 평형 위치에 있을 때, 제1 스프링(75)이 평상시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 트레몰로 블록(40)을 전방으로 미는 힘을 작용한다. 또한 제2 스프링(80)도 정상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봉 부재(90)가 결합부(65)와 결합하도록 하는 방향의 힘을 봉 부재에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트레몰로 몸체(10)(기저판 11)는 연주자가 트레몰로를 사용하지 않는 기준 각도에 있게 된다.
현(S)에 장력이 걸리지 않을 때, 트레몰로 블록(40)은 제1 스프링(75)에 의하여 가동 범위 내에서 전방 단부로 이동한다. 현이 튜닝되면, 각 현에 장력이 걸리게 된다. 그리하여, 후크부(50)가 봉 부재(90)와 결합될 때까지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트레몰로 블록(40)은 평형 상태에 있는다. 만약 스프링의 힘이 충분하지 않으면 현의 장력이 결합 후크부(50)를 봉 부재(90)와 접촉시켜 봉 부재를 결합부(65)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1 스프링(75)의 힘이 과도하면 후크부(50)가 봉 부재(90)와 접촉하기 이전에 현의 장력과 제1 스프링(75)의 힘이 평형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트레몰로 블록(40)은 평형 상태가 되고 도 11에 도시된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110)와 같이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제1 스프링(75)의 힘이 현의 장력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봉 부재(90)가 결합부(65)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트레몰로 블록(40)의 후크부(50)가 봉 부재(90)와 접촉하도록 제2 스프링(80)의 힘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주자가 부동 상태를 선호하면 트레몰로 장치(1)는 다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스프링(80)과 봉 부재(90)가 복귀 기구(61)로부터 제거되면, 트레몰로 장치(1)는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봉 부재(91)가 트레몰로 블록(40)의 후크부(50) 부분과 접촉하는 봉 부재의 위치에 베어링(91)이 장착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베어링(91)이 후크부(50) 상에서 회전하여 후크부(50)와 봉 부재(90)간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후크부(50)는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되고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 베어링(91)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베어링(91)은 한 쌍의 링(93)으로 봉 부재(91)에 장착된다.
2개의 베어링(92)이 또한 봉 부재(91)에 장착된다. 베어링(92)은 봉 부재(90)가 결합부(65)와 접촉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각 베어링(92)은 한 쌍의 링(93)으로 봉 부재(90)에 부착된다. 트레몰로 블록(40)이 원래의 위치(평형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스프링(80)의 힘은 봉 부재(90)가 결합부(65)의 개방부(66)와 접촉하도록 한다. 이 때에, 베어링(92)은 봉 부재(90)와 개방부(66)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트레몰로 블록(40)의 후크부(50)가 오목 형태로 형성되므로,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후크부(50)와 봉 부재(90) 간의 변위가 흡수된다. 이는 트레몰로 블록(40)의 연속적인 후방 피봇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트레몰로 블록(40)의 후크부(50)에는 고무 완충 부재(95)가 부착된다. 고무 완충 부재(96)는 각 결합부(65)에 부착된다. 완충 부재(95, 96)는 베어링(91, 92)이 후크부(50) 및 결합부(65)와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하에서는 트레몰로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트레몰로 암(K)이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기타 몸체의 상면(Ba)을 향하여 눌려졌을 때, 트레몰로 몸체(10)(기저판 11)는 스터드 볼트(Bs)를 중심으로 피봇하여 트레몰로 몸체(10)의 후방 부분이 위를 향하여 기울어진다. 이는 현(S)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현의 피치를 낮춘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11)의 후면에 있는 트레몰로 블록(40)이 몸체(B)의 공간(Bc) 내에서 화살표(b1)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피봇된다. 그리하여, 조정기 부재(70) 및 트레몰로 블록(40) 사이의 제1 스프링(75)들이 연장된다. 동시에, 트레몰로 블록(40)은 후크부(50)의 봉 부재(90)와 접촉하여, 화살표 c1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5)의 개방부(66)로부터 후방으로 봉 부재(90)를 밀친다. 따라서, 제2 스프링(80)이 연장된다.
트레몰로 암(K)이 눌린 후 릴리스되면, 제1 스프링(75)과 제2 스프링(80)은 스터드 볼트(Bs)를 중심으로 공간 Bc 내에서 트레몰로 블록(40)을 전방으로, 또는 화살표 b1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킨다. 그래서 트레몰로 블록(40)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초기의 평형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봉 부재(90)는 전방, 또는 화살표 c1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부(65)와 결합된다.
트레몰로 암(K)이 도 9의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몸체 표면(B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들리면, 트레몰로 몸체(10)의 기저판(11)이 피봇되어 후방부가 스터드 볼트(Bs)를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는 현(S)의 장력을 증가시켜, 각 현의 피치가 올라가게 된다. 이 때에,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11)의 후면에 위치한 트레몰로 블록(40)은 화살표 e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제1 스프링(75)들이 수축된다. 이때에 제2 스프링(80)은 봉 부재(90)를 결합부(65)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한다.
트레몰로 암(K)이 들어올려진 후에 릴리스되면, 현의 장력은 스터드 볼트(Bs)를 중심으로 공간 Bc 내에서 후방으로, 또는 화살표 e1과 반대 방향으로 트레몰로 블록(40)을 피봇시킨다. 그리고 트레몰로 블록(40)은 도 3 및 6에 도시된 초기 평형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많은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75)과 제2 스프링(80)이 모두 2개씩 사용되었다. 그러나, 스프링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6현 기타의 트레몰로 장치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베이스 기타와 같은 다른 유형의 현악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된 세부적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및 균등 영역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몰로 장치는 조율 상태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현이 용이하게 조율될 수 있고, 연주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몰로 장치를 장착한 전자 기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레몰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시의 목적으로 몇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의 트레몰로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트레몰로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암이 눌려졌을 때의 도 1의 트레몰로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암이 눌려졌을 때의 도 1의 트레몰로 장치의 배면도.
도 9는 암이 올려졌을 때는 도 1의 트레몰로 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암이 올려졌을 때의 도 1의 트레몰로 장치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11은 현악기에 장착된 전형적인 종래의 트레몰로 장치의 단면도.

Claims (8)

  1. 기저판(11)과 다수의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에 사용되는 트레몰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1)이 상부면과 배면을 가지고 몸체에 의하여 피봇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각 현의 전단부가 네크에 의하여 지지되고 각 현의 후단부가 상기 기저판의 표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트레몰로 장치가 트레몰로 암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기저판(11)이 피봇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트레몰로 장치가,
    상기 기저판(11)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몸체(B) 내에 형성된 공간(Bc) 내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저판(11)과 함께 피봇 동작을 하며 그 선단부에 후크부(50)를 갖는 트레몰로 블록(40);
    상기 몸체(B)의 배면부에 위치한 베이스(61);
    상기 베이스(61)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결합부(65);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65)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65)와 결합하는 결합 위치와 상기 결합부(65)로부터 분리되는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부(90);
    상기 베이스(61)와 트레몰로 블록(40)을 연결하고, 상기 현의 장력에 대항하여 상기 트레몰로 블록(4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하고 그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스프링(75);
    상기 베이스(61)와 상기 가동부(90)를 연결하고, 상기 가동부(90)에 상기 결합부(65)를 향하는 힘을 작용하고, 정상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90)를 상기 결합부(65)에 있도록 하는 제2 스프링(80)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몰로 블록(40)이 정지하거나 전방으로 피봇될 때, 상기 가동부(90)가 상기 제2 스프링(80)의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트레몰로 블록(40)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상기 가동부(90)는 상기 후크부(50)와 접촉하여 상기 결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50)에 대응하는 상기 가동부(90)의 부분에 베어링(91)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5)에 대응하는 상기 가동부(90)의 부분에 베어링(92)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90)가 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5)가 상기 가동부(90)의 양 단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부(65)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90)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후크부(50)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50)에 완충 부재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5)에 완충 부재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1)에 조절 부재(70)가 부착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위치가 현의 종 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프링(75)이 상기 조절 부재(70)를 상기 트레몰로 블록(40)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몰로 장치.
KR10-2002-0065553A 2002-01-30 2002-10-25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KR100485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1360A JP3774666B2 (ja) 2002-01-30 2002-01-30 弦楽器用トレモロ装置
JPJP-P-2002-00021360 200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285A KR20030065285A (ko) 2003-08-06
KR100485493B1 true KR100485493B1 (ko) 2005-04-28

Family

ID=1919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553A KR100485493B1 (ko) 2002-01-30 2002-10-25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86524B2 (ko)
EP (1) EP1333423B1 (ko)
JP (1) JP3774666B2 (ko)
KR (1) KR100485493B1 (ko)
CN (1) CN1187731C (ko)
TW (1) TW5848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7872A1 (de) * 2000-04-11 2001-10-25 Harald Hoentsch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Rückstellkraft bei einem Tremolo für ein Saiteninstrument
JP3902182B2 (ja) 2004-01-23 2007-04-04 星野楽器株式会社 弦楽器用ブリッジ及び電気ギター
US7838751B2 (en) * 2006-02-06 2010-11-23 Hendricks Predice D Hand actuated tremolo system for guitars
GB2446216B (en) * 2007-01-31 2011-08-24 Reno Ueberbacher A device for producing a tremolo effect in stringed instruments
JP5282402B2 (ja) * 2008-01-08 2013-09-04 ヤマハ株式会社 ドラムのラグ構造
US8946530B1 (en) 2012-12-26 2015-02-03 Armen Karapetyan Hand-operated clapping percussion and rhythm device with controllable tone of sound
BG111644A (bg) * 2013-12-04 2014-05-30 Теодор МАСЛАРОВ Тремоло устройство за струнен музикален инструмент
AU2016236832B2 (en) * 2015-03-20 2021-03-11 Technology Connections International Pty Ltd Vibrato arm and system
US9484007B1 (en) 2015-11-18 2016-11-01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top tuner and tremolo stabilizer
US9847076B1 (en) 2016-10-18 2017-12-19 Geoffrey Lee McCabe Tremolo spring and stabilizer tuner
US9536504B1 (en) 2015-11-30 2017-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tuning floating bridge for electric stringed instruments
US9691364B1 (en) * 2016-04-22 2017-06-27 Geoffrey Lee McCabe Integrated pivot mechanism for fulcrum tremolo
US10249272B2 (en) * 2017-01-17 2019-04-02 Drum Workshop, Inc. Percussion instrument with adjustable auxiliary device
CN108257587A (zh) * 2017-09-19 2018-07-06 许昌义 音柱带有拾功能的提琴
CN109064831B (zh) * 2018-07-23 2021-05-04 贵州萨伽乐器有限公司 一种初学者吉他练习装置
RU205412U1 (ru) * 2020-02-10 2021-07-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астер" Механизм тремоло для гитары
US11100905B1 (en) 2020-10-20 2021-08-24 Daniel Swartz Tremolo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5970A (en) * 1983-06-15 1985-12-03 Rose Floyd D Tremolo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ension on the strings of a musical instrument
US4823669A (en) * 1988-06-21 1989-04-25 Sarricola Jr William Tremolo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4984493A (en) * 1990-05-11 1991-01-15 Schaller Helmut F K Adjustable counter-tensioning mechanism for stringed instrument tremolo device
WO1995017744A1 (en) * 1993-12-21 1995-06-29 Antonio Iovane Stable tremolo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adjust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711A (en) 1981-10-26 1987-01-27 Stroh Paul F Tremolo accessory
JPH0193793A (ja) 1987-10-06 1989-04-12 Hiroaki Sato ギター用トレモロ装置
JPH0248120A (ja) 1988-08-04 1990-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US4928564A (en) 1988-08-22 1990-05-29 Borisoff David J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tremolo on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guitar
US5747713A (en) * 1993-09-07 1998-05-05 Clement; Andrew Tremolo
US6100459A (en) * 1997-12-08 2000-08-08 Yost; John A. Tremolo and/or vibrato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US5986192A (en) * 1998-05-21 1999-11-16 Arthur Neil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tremolo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5970A (en) * 1983-06-15 1985-12-03 Rose Floyd D Tremolo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ension on the strings of a musical instrument
US4823669A (en) * 1988-06-21 1989-04-25 Sarricola Jr William Tremolo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4984493A (en) * 1990-05-11 1991-01-15 Schaller Helmut F K Adjustable counter-tensioning mechanism for stringed instrument tremolo device
WO1995017744A1 (en) * 1993-12-21 1995-06-29 Antonio Iovane Stable tremolo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adjus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731C (zh) 2005-02-02
US6686524B2 (en) 2004-02-03
JP3774666B2 (ja) 2006-05-17
CN1435815A (zh) 2003-08-13
EP1333423A3 (en) 2011-10-26
EP1333423B1 (en) 2013-03-27
JP2003223163A (ja) 2003-08-08
US20030140764A1 (en) 2003-07-31
KR20030065285A (ko) 2003-08-06
EP1333423A2 (en) 2003-08-06
TW584834B (en)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493B1 (ko) 현악기용 트레몰로 장치
US4967631A (en) Tremolo and tuning apparatus
US5208410A (en) Adjustable bridge for acoustic guitar
US4512232A (en) Tremolo tailpiece and bridge device
US4768415A (en) Tremolo bridge for guitars
US4677891A (en) Tremolo bridge for guitars
US20060162528A1 (en) Stringed instrument bridge and stringed instrument
US5986192A (en) Locking device for tremolo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6875910B2 (en) Guitar bridge for improved sound transfer
US6552252B2 (en) Tremolo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S6347395U (ko)
US5747713A (en) Tremolo
US5088374A (en) Tremolo device for a guitar
US5277094A (en) Device for inserting strings
US4655116A (en) Fine tuning mechanism for guitars and the like stringed instruments
US4610190A (en) Pitch raising system for guitars
US5783763A (en) Bi-directional vibrato mechanism for a guitar
US4823669A (en) Tremolo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4932302A (en) Tremolo device for a guitar
JPH0263234B2 (ko)
US5381716A (en) Tremolo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4658693A (en) Rear operated control device for guitar
US6015945A (en) Tremolo bridge apparatus
US6080921A (en) Blade sharping device for a lever harp
GB2304224A (en) Saddle assembly for a tremol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