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18B1 - 어뎁터 - Google Patents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18B1
KR101369218B1 KR1020107005321A KR20107005321A KR101369218B1 KR 101369218 B1 KR101369218 B1 KR 101369218B1 KR 1020107005321 A KR1020107005321 A KR 1020107005321A KR 20107005321 A KR20107005321 A KR 20107005321A KR 101369218 B1 KR101369218 B1 KR 10136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instrument
edge
shoulder rest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634A (ko
Inventor
베렌트 코퍼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카게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5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어깨받침대(30)를 현악기에 고정하기 위한 어뎁터(28)에 있어서,상기 어뎁터는 어뎁터 본체(38)를 포함하고,상기 어뎁터 본체에는 받쳐지는 현악기의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맞물릴수 있는 적어도 4개의 클램핑 핑거(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어뎁터는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악기 음질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클램핑 핑거(32)는 현악기 코너 블럭(20)의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12)와 맞물린다.

Description

어뎁터{ADAPTER}
본 발명은 어깨받침대를 현악기에 고정하기 위한것으로서, 받쳐지는 현악기의 뒷판 테두리의 엣지에 맞물릴수 있는 적어도 4개의 클램핑 핑거를 설치한 어뎁터 본체를 구비한 어뎁터에 관한것이다.
현악기에 있어서, 특히 바이올린, 비올라는 연주시 본체의 뒷부가 연주자의 턱과 어깨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현악기를 받칠 경우, 시간이 오래 되면 연주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바이올린 및 비올라에는 턱받침대(턱판이라고도 함)와 어깨받침대가 더 설치되어 있다.
어깨받침대는 연주자가 현악기를 편하게 받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장치에 의해 악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일반적으로, 어깨받침대는 바이올린 및 바이올린과 유사한 악기에 안착되는 것으로 ,연주자의 어깨에 놓일수 있도록 지지접촉면을 구비하고, 악기자체는 연주자의 체형 특히는 목의 길이에 따르는 소정의 높이에 놓일수 있다.
매장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어깨받침대가 제공되여 있으나, 그중 시장분액을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은, 연주자의 어깨 형태에 정합하는 고정적인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어깨받침대이다. 이런 고정적인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는 하부에 탄성쿠션이 설치되여 있는 경우가 많으며,악기 연주시 탄성쿠션이 연주자의 어깨에 직접 접촉되게 된다. 베이스의 양단에는 각각 위로 연장하는 고정장치 또는 받이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고정장치 또는 받이에는 또 스윙백 할수 있는 포크형 단부부재가 설치되여 있다. 이런 단부부재는 뒷판근처에서 악기 본체의 측벽에 안착된다. 이런 어깨받침대를 악기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어깨받침대의 베이스는 일정한 탄성을 가져야 하며, 탄성으로 인한 클림핑 력으로 상기 포크형 단부부재를 악기에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다. 상기 포크형 단부부재는 기존의 다른 방식으로 받침부재와 배합 할수도 있으나, 대부분이 일정한 클림핑 력으로 악기에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다.
높이를 조절 하여 연주자의 목에 잘 대응되도록 할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깨받침대에 어뎁터를 설치하였다. 어깨받침대를 어뎁터에 안착하는 한편 그 어뎁터를 악기에 안착하였다. 이리하여 악기의 높이는 어뎁터를 통해 조절되며, 또한 어뎁터는 구조가 간단한 어깨받침대, 예컨대 어깨에 걸칠수 있는 어깨받이로서의 어깨띠와도 연결 될수 있다.
이런 어뎁터는 인공재료 또는 경금속으로 제작되여 불요한 무게가 과다하게 추가되는것이 방지되여 있다. 상기 어깨받침대처럼, 어뎁터도 단부부재를 구비하는 고정장치를 통해 일정한 클림핑 력으로 악기 본체의 뒷부 근처 양측에 안착되거나, 일정한 각도로 악기 본체의 뒷판의 엣지까지 연장되여 있다. 대 부분의 경우, 어뎁터는 악기 본체의 제일 넓은 위치에서 악기의 종축방향과 수직되게 또는 약간 경사되게 악기에 고정된다.
이런 어뎁터의 단점은 악기에 대한 가압으로 인해 음질에 큰 영항을 주는 것이다. 클림프 력으로 악기 본체에 고정되는 어깨받침대도 마찬가지로 이런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고정된 어뎁터는 안정성이 높지 않기에, 연기가 높은 연주를 할시 악기의 위치가 경사지거나 일부가 고정창지에서 이탈되는 가능성이 있다. 한편, 악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킨 어뎁터는 거의 그 전체가 악기 뒷판에 부착되는 동시에 외측부분이 악기 본체에서 돌출된다. 이 돌출된 부분은 연주자의 연주에 방애를 줄 뿐만아니라, 접촉 면적이 큰 이런 어뎁터는 악기음질에도 큰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높고 음질에 대한 영향이 매우 작도록 억제 할수 있는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악기의 코너 블럭의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에 맞물릴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클램핑 핑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어뎁터와 악기 본체의 기계적 접촉을 의식적으로 악기의 진동방식과 조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현악기의 음질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소리의 선명도 등 현악기음질에 불리한 영향은 진동방식에 대한 간섭에 인한 것이다. 현악기의 진동방식으로서, 현악기의 본체에는 보강된 곳이 몃개 있으며, 이런 보강된 곳에서 파절이 형성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이런 보강된 곳 즉 블럭이 설치되여 있는 곳에서, 악기 본체의 진동은 외부에서의 기계적인 간섭 및 접촉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다. 그리하여 어뎁터와 악기 본체가 이런 곳에서 기계적인 접촉을 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 내용으로 구성된다.
클램핑 핑거의 위치는 인체공학의 요구 혹은 개인의 요구에 적응하도록 조절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뎁터를 악기 본체에 안정하게 안착할수 있도록, 악기의 각진 블럭 근처 및 그 양측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와 맞물리는 2개의 클램핑 핑거를 설치한다. 이렇게 대칭하게 설치함으로서, 악기의 진동방식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뎁터는 말굽형태에 유사한 기본형태를 가지고, 말굽형의 어댑터 본체에서 개방된 측 끝단에 코너 블럭 위치에서 악기와 맞물리는 클램핑 핑거를 설치한다.이렇게 어뎁터 본체는 말굽형태인 기본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악기의 외부윤곽과 정합할수 있고 적은 원재료로 제작될수 있으며, 또한 표면적이 큰 어뎁터와 비기면 무게가 가볍다. 또한 어뎁터는 큰 커버면을 가지고 있기에 안정성이 높으며, 한편 악기 본체의 미관에 영향을 주는 돌출한 부분이 없고 둔중하지도 않다.
어뎁터 본체는 알려져 있는 어깨받침대를 계속 사용할수 있도록, 받쳐지는 악기의 외부윤곽에 정합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뎁터 본체의 두께가 현악기 뒷판테두리의 엣지와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어깨받침대를 편리하게 어뎁터와 세트로 사용될수 있으며, 간편하게 고정장치로 어뎁터에 안착할수 있다. 그리고, 이런 형태의 어뎁터 본체는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악기 본체의 미관에 영향을 주는 돌출한 부분이 없고 둔중하지도 않는 우점이 있다.
연주자가 더욱 자유롭고 편하게 연주할수 있도록, 어뎁터 본체의 외부윤곽은 받쳐지는 현악기의 각진 블럭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홈을 구비한 것이 바림직하다. 윤곽의 오목홈은 연주자의 쇄골에 자유로운 공간을 제공해준다. 그러므로 어뎁터가 쇄골을 압박하여 아프게 하는 것이 없고, 독주자가 연기 높은 연주를 할시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악기는 전문적으로 선택된 진동특성 및 음질특성이 매우 우수한 목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어뎁터도 같은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주시 어뎁터도 현악기와 함께 진동하기 때문에, 어뎁터가 악기 본체와 같은 재료로 제작되면 악기 본체와 매우 조화롭게 진동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기 본체는 단풍나무를 사용하는데, 역시 어뎁터에도 단풍나무가 매우 적합하다. 어뎁터를 제작하는 목재는 무늬가 악기의 종축방향을 따르는 것이 압완반응 및 진동반응에 좋다. 악기의 제작에 적합하는 인공재료로 어뎁터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뎁터를 안착 및 해제 할때, 악기 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 예컨대 칠이나 목재에서의 걸리우거나 긁히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뒷판테두리의 엣지에 맞물리는 부분인 클램핑 핑거의 내측에 보호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호층으로서는 펠트층이 바람직하며,펠트층으로 양호한 소음효과를 얻을수 있기에 현악기의 음질을 보정할수 있다. 또한 클램핑 핑거의 보호층으로서 펠트외에도 해면, 직물 및 유사한 재료를 사용할수도 있다.
악기 본체에 안착되는 클램핑 핑거가 악기의 진동방식 및 음질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적어도 코너 블럭에 위치하는 클램핑 핑거는 뒷판 또는 옆판에 접촉하지 않고 뒷판테두리의 엣지에 체결할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 블럭의 위치에서의 기계적 접촉은 진동방식에 대한 영향이 제일 작고, 현악기의 음질을 보장할수 있다.
어뎁터는 여러 종류의 어깨받침대를 안착할수 있도록 어뎁터 본체에 어깨받침대를 고정하는 부재를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부재는 스크루를 수용할수 있는 홀 일수도 있고, 어뎁터 본체에 설치되는 슬리브나 정위나사 일수도 있어, 소형의 거리 조절 로드를 고정하도록 되여 있다. 널리 알려져 있는 클램프 부재를 사용한 어깨받침대는 간편하게 어뎁터 본체에 클림핑 하여 고정할수 있다.
연주자의 목의 구조에 따라 어깨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어뎁터는 양측에 나선방향이 반대된 스크루가 설치되는 륜형노브를 몇개 구비한다. 상기 스크루는 어뎁터 본체의 해당 나선 홀 또는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한편, 어깨받침대의 해당 너트와 나사결합된다. 륜형노브 양측의 스크루는 나선방향이 반대되므로, 어깨받침대를 안착할 때에 륜형노브를 회전시키면 스크루는 각각 두개의 나선홀에 단단히 나사결합될수 있다. 이리하여 간편하고 안정하며 지지력을 구비하는 안착방식을 실현할수 있으며, 어깨받침대의 높이도 일정한 범위에서 조절할수 있다.
륜형노브는 어뎁터와 어깨받침대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15~40 mm인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자유공간을 가지는 동시에 조작성이 우수하는 관점에서, 륜형노브는 직경이 15~25 mm인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서, 평면으로 견고하게 체결할수 있으므로, 어깨받침대와 어뎁터간의 안정성을 보장할수 있다.
본 어뎁터는 현악기에 적합하는 것으로, 특히는 악기의 본체가 연주자의 머리와 어깨사이에 놓이는 바이올린 및 비올라 등 현악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어뎁터는 비올론첼로에도 적합하는데, 어뎁터에 어깨받침대를 안착하는 것이 아니라 비올론첼로의 받침못을 안착할 뿐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현악기의 어깨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어뎁터의 클램핑 핑거가 악기 본체의 코너 블럭의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와 맞물리기 때문에,악기의 진동방식에 큰 영향이 없으며 우수한 음질을 보장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어뎁터는 악기 본체에 정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안착 및 해제할수 있다. 어뎁터는 현악기를 안전하고 편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연주자가 자유롭게 연주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뎁터는 널리 알려져 있는 클램프 부재를 구비하는 어깨받침대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다른 타입의 어깨받침대를 안착할수 있다.
도1은 블럭의 위치가 도시되여 있는 전형적인 바이올린의 뒷면도이다.
도2는 어뎁터 및 어깨받침대가 안착되여 있는 바이올린의 국부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코너 블럭 및 코너 블럭에 안착된 클램핑 핑거를 도시하는 국부 확대도이다.
도4는 도2의 어뎁터 및 어깨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5는 스크루로 어깨받침대가 안착되여 있는 어뎁터 본체의 국부도이다.
이상의 모든 도면에서 같은 부재를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바이올린은, 공명체인 본체(2)와,지판(fingerboard)이 설치되여 있는 넥크(4)와,끝부분에 스크롤(Scroll)(8)를 구비하는 줄감개집(peg box) 및 복수개의 줄감개(6)를 구비한다. 본체(2)는 뒷판(10)과 뒷판테두리에 위치하는 엣지(12)를 구비한다. 바이올린(1)의 넥크(4)는 본체(2)의 넥크측 단부(14)에서 탑블럭(16)을 통해 본체(2)와 연결되여 있다. 그 외에 본체(2)의 내부에 바이올린(1)을 보강하기 위한 블록이 설치되여 있으나, 이런 블록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허선으로 표시한다. 이런 블록은 하나의 각진 블럭(18)와 일반적으로 4개의 코너 블럭(20),(22)을 구비하며,상기 코너 블럭은 본체(2) 측면의 원호형오목(24)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각진 블럭의 위치에서,바이올린(1)의 현이 줄걸이판에 의해 바이올린(1)의 표면에 평평하게 당겨져 있다. 그러므로, 각진 블럭(18)은 매우 안정하고 견고하게 본체(2)내에 고정되여 있다. 넥크(4) 및 지판을 지지하는 탑블럭(16)도 마찬가지로 본체(2)내에 안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여 있다. 현재, 탑블럭(16)과 넥크(4)를 독립적으로 제작한후 붙이는 것으로, 원하는 내력성, 음질특성 및 진동특성을 얻을수 있다.
뒷판(10)의 가장자리에 따라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옆판(26)이 설치되여 있으며,상기 옆판(26)에는 뒷판과 대향하는 보드가 설치되여 있다. 이들은 본체(2)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이며,바이올린(1)의 공명통을 구성한다. 또한 본체는 코너 블럭(20),(22), 탑블럭 및 각진 블럭(16),(18)에 의해 보강된다.
본 발명은 바이올린(1)의 음질이 외부에서의 기계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그리고 연주자가 편안하게 바이올린을 받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깨받침대(30)에 안착가능한 어뎁터(28)를 제공한다. 이 어뎁터(28)는 악기 본체(2)의 진동에 민감하지 않는 부위에 안착되는 4개의 클램핑 핑거(32)를 구비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클램핑 핑거(32) 및 그들의 고리(34)는 코너 블럭(20) 및 각진 블럭(18)의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12)와 견고하게 체결되고 있다. 도 3은 그 중 하나의 클램핑 핑거(32) 및 펠트보호층이 부가되여 있는 고리(34)의 체결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여기서 볼수 있듯이, 펠트보호층이 부가되여 있는 고리(34)는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체결되는것으로,뒷판(10) 및 옆판(26)와 접촉하지 않는다. 코너 블럭(20) 및 각진 블럭(18)이 위치하는 곳은 파절이 형성하기 쉬운 곳이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기계적인 영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다.
어뎁터(28)에 안착되는 어깨받침대(30)는 널리 알려져 있는 어깨받침대이며, 이 어깨받침대는 클램프 부재(36)를 통해 어뎁터 본체38에 클램핑 고정한다. 어깨받침대(30)는 어뎁터(28)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바이올린(1)에 안착될수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악기 본체(2)에 가압이 생기기 때문에,바이올린(1)의 음질에 영향을 준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어뎁터(28)는 바이올린(1)의 윤곽형태에 정합하는 말굽형(Horseshoes)에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도에서 볼 수 있듯이, 어뎁터 본체(38)는 각진 블럭(18)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홈(40)을 구비한다. 상기 오목홈(40)은 연주자가 쇄골을 놓을수 있도록 자유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어뎁터 본체(38)는 뒷판테두리의 엣지(12)와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진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클램핑 핑거(32) 및 그의 고리(34)는 세로 방향에서 일정한 정도로 조절할수 있다. 세로 방향의 홀(42)은 클램핑 핑거(32)의 조절을 허용할수 있도록 형성되여 있으며, 클램핑 핑거를 어뎁터 본체(38)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44)는 풀리도록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었다. 클램핑 핑거(32)를 뒷판(10),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대응시킨후 나사 (44)를 단단히 조일수 있다. 클램핑 핑거(32)는 내부에 나사 (44)를 수용할수 있는 나선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더욱 편리한 실시예로서, 고정된 클램핑 핑거(32)만을 구비하는 어뎁터(28)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뎁터 본체(38)에서의 클램핑 핑거(32)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대칭되는 것으로, 2개의 클램핑 핑거(32)는 각각 앞부의 끝단(46)에 위치하고,다른 2개의 클램핑 핑거(32)는 직접 오목홈(40)의 양측에 대칭하게 위치한다. 또한, 고리(34)의 배치로서, 앞부의 끝단(46)에 배치된 고리(34)의 체결위치는 오목홈(40) 옆에 배치된 고리(34)의 체결위치와 기본상 마주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연기가 높은 연주를 할 때에도 바이올린(1)이 어뎁터(28)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보정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받침대(30)는 스크루(48)과륜형노브(50)를 통해 방향이 반대되는 내부나선으로 어뎁터 본체(38)에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어뎁터 본체(38)에는 2개의 나선홀(52)이 뚤려져 있거나, 나선을 구비하는 슬리브를 설치할수도 있다. 륜형노브(50)의 작용은 어깨받침대(30)를 어뎁터(28)에 간편하게 안착 및 해제 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크루(48)에 의해 어깨받침대(30)의 높이를 일정한 정도로 조절할수 있게 한다. 그리고,직경이 15~25mm 인 륜형노브는 어뎁터 본체(38)와 어깨받침대(30)에 충족한 접촉면적을 제공할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안정성을 보장할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이올린의 어뎁터(28)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일뿐이다. 어뎁터(28)는 비올라 및 비올론첼로에 적합한 크기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비올론첼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어깨받침대(30)가 아니라 비올론첼로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받침못에 안착한다. 그리고, 어뎁터(28)는 여러 종류의 어깨받침대를 안착할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도시한 어깨받침대(30)는 그중의 하나이다. 또한, 어뎁터(28)에 턱받침대를 안착할수도 있으며,안착방식으로서 나사 및 나사와 대응하는 홀을 통하여 안착할 수도 있고, 턱받침대의 클림핑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1:바이올린 2:본체
4:넥크 (neck) 6:줄감개(peg)
8:스크롤(scroll) 10:뒷판
12:뒷판엣지 14:넥크측의 끝단
16:탑블럭(neck block) 18:각진 블럭(bottom block)
20, 22:코너 블럭(corner block) 24:원호형오목
26:옆판 28:어뎁터 (adapter)
30:어깨받침대 32:클램핑 핑거 (clamping fingers)
34:클램핑 핑거의 고리 36:클램프 부재
38:어뎁터 본체 40:오목홈
42:홀 44:나사
46:앞부의 끝단 48:스크루
50:륜형노브 52:나선홀

Claims (12)

  1. 바이올린(1)의 현이 줄걸이판에 의해 바이올린(1)의 표면에 평평하게 당겨지는 위치에 형성되며 본체(2) 내부에 고정된 하나의 각진 블록(18)과, 본체(2) 측면의 원호형오목(24) 끝단에 위치한 코너블럭(20, 22)을 구비하는 현악기에 어깨받침대(30)를 고정하기 위한 어뎁터(28)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28)는 받쳐지는 현악기의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맞물릴수 있는 적어도 4개의 클램핑 핑거(32)가 설치된 어뎁터 본체(38)를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클램핑 핑거(32)는 현악기 코너 블럭(20)의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12)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핑거(32) 중 적어도 2개의 클램핑 핑거는 상기 각진 블럭(18)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진 블럭(18)의 양측 위치에서 뒷판테두리의 엣지(12)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본체(38)는 말굽형에 유사한 기본형태를 가지되,
    코너 블럭(20)의 위치에서 맞물리는 클램핑 핑거(32)는 말굽형의 어댑터 본체(38)에서 개방된 측 끝단(46)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본체(38)는 받쳐지는 현악기와 대응하는 외부윤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본체(38)의 외부윤곽은 받쳐지는 현악기의 각진 블럭(18)에 대응하는 곳에 오목홈(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본체(38)는 받쳐지는 현악기와 같은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7. 제1항에 있어서,
    뒷판테두리의 엣지에 맞물리는 부분인 상기 클램핑 핑거(32)는 내측에 보호층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층은 펠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받쳐지는 현악기의 코너 블럭(20)에 위치하는 클램핑 핑거(32)는 뒷판테두리의 엣지(12)에 맞물리는 고리(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 본체(38)는 상기 어깨받침대(3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받침대(30)를 고정하기 위하여 륜형노브(50)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륜형노브(50)는 양측에 나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루(4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륜형노브(50)는 직경이 15 ~ 4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28).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어뎁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KR1020107005321A 2007-08-10 2008-08-06 어뎁터 KR101369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8004A DE102007038004A1 (de) 2007-08-10 2007-08-10 Adapterstück
DE102007038004.8 2007-08-10
PCT/EP2008/006450 WO2009021657A2 (de) 2007-08-10 2008-08-06 Adapterstü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634A KR20100057634A (ko) 2010-05-31
KR101369218B1 true KR101369218B1 (ko) 2014-03-03

Family

ID=4027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321A KR101369218B1 (ko) 2007-08-10 2008-08-06 어뎁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18392B2 (ko)
EP (1) EP2179413B1 (ko)
JP (1) JP5066257B2 (ko)
KR (1) KR101369218B1 (ko)
CN (1) CN101809649B (ko)
CA (1) CA2733679C (ko)
DE (1) DE102007038004A1 (ko)
WO (1) WO20090216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2629B2 (en) * 2009-04-01 2013-07-23 Pure Acoustic Ltd. Shoulder rest
WO2011098248A2 (de) 2010-02-12 2011-08-18 Gustav Pirazzi & Comp. Kg Schulterstütze
DE102010063175A1 (de) 2010-12-15 2012-06-21 Wittner Gmbh & Co.Kg Schulterstützenvorrichtung für ein Musikinstrument
EP2791934B1 (de) 2011-12-14 2016-02-10 Wittner GmbH & Co. KG Schulterstützenvorrichtung für ein musikinstrument
CA2859094A1 (en) 2011-12-14 2013-06-20 Wittner Gmbh & Co. Kg Shoulder support for a musical instrument
EP2717255B1 (de) 2012-10-02 2019-03-06 Gustav Pirazzi & Comp. KG Schulterstütze
CN103943096A (zh) * 2013-01-21 2014-07-23 赵西林 一种提琴肩托
CN105489205A (zh) * 2014-10-26 2016-04-13 张庆柳 小提琴免夹持琴装置
US9812100B1 (en) 2015-03-09 2017-11-07 David Mobley, LLC Individually customized musical instrument supports, customized element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07248404A (zh) * 2017-06-05 2017-10-13 陆俊豪 一种提琴调节阻尼消噪的方法
WO2019161332A1 (en) * 2018-02-19 2019-08-22 Cyrus Creations Llc Support devices for musical instrument
JP6651170B2 (ja) * 2018-06-06 2020-02-19 株式会社Homare 弦楽器用肩当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5263A (ja) * 2004-08-28 2006-03-09 Takayuki Tsubaki ベルトで肩に接する3点支持のヴァイオリン用肩当て
US20060174743A1 (en) * 2003-02-26 2006-08-10 Vittorio Clemente Clamping member for a violin shoulder res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4285C (ko) *
US2223221A (en) * 1939-01-12 1940-11-26 Miranda Francisco Quintana Chin rest for violins or violas
GB639350A (en) * 1948-02-19 1950-06-28 Erno Meir Goldberg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oulder rests for violins
DE1142856B (de) * 1959-01-23 1963-01-31 Degussa Verfahren zur Erhoehung der Reaktionsfaehigkeit von Paraformaldehyd
NL6601165A (ko) * 1966-01-28 1967-07-31
US3631754A (en) * 1969-02-26 1972-01-04 Joseph Kun Violin support
CH527479A (fr) * 1970-08-04 1972-08-31 Egenter Jean Pierre Coussin-support pour violon
CH647612A5 (de) * 1979-06-08 1985-01-31 Alois Hrdlicka Fatexma Dipl In Haltevorrichtung fuer ein saitenmusikinstrument.
JPS6084597A (ja) * 1983-10-17 1985-05-13 梶原 真子 弦楽器の肩当具
JPH02799Y2 (ko) * 1985-03-25 1990-01-10
JPH0253301U (ko) 1988-10-11 1990-04-17
DE4137918A1 (de) * 1991-11-18 1992-04-02 Voelskow Ingo Rainer Stuetzhilfe fuer geiger
FR2690268B1 (fr) * 1992-04-21 1997-07-04 Roulet Paul Antoine Support a l'epaule pour violon
US6278044B1 (en) 2000-07-12 2001-08-21 Ying Gang Ruan Violin shoulder cradle
WO2006096867A2 (en) * 2005-03-08 2006-09-14 Joe Armstrong Instrument support
CN2901491Y (zh) * 2005-09-12 2007-05-16 姚佳 提琴肩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4743A1 (en) * 2003-02-26 2006-08-10 Vittorio Clemente Clamping member for a violin shoulder rest
JP2006065263A (ja) * 2004-08-28 2006-03-09 Takayuki Tsubaki ベルトで肩に接する3点支持のヴァイオリン用肩当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7853A1 (en) 2012-06-07
US8618392B2 (en) 2013-12-31
JP2010536071A (ja) 2010-11-25
CN101809649B (zh) 2012-08-08
CA2733679A1 (en) 2009-02-19
CN101809649A (zh) 2010-08-18
JP5066257B2 (ja) 2012-11-07
DE102007038004A1 (de) 2009-02-26
EP2179413A2 (de) 2010-04-28
WO2009021657A2 (de) 2009-02-19
EP2179413B1 (de) 2019-07-24
KR20100057634A (ko) 2010-05-31
CA2733679C (en) 2016-11-22
WO2009021657A3 (de)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218B1 (ko) 어뎁터
US6278044B1 (en) Violin shoulder cradle
US7858859B2 (en) Stand for a drum and also relating thereto
US9082374B2 (en) Ergonomic guitar
US6670533B1 (en) Shoulder rest for violin or the like capable of improving tone quality
US7659463B2 (en) Viola/violin shoulder rest
KR101214895B1 (ko) 바이올린 턱받침대용 어댑터
JP2023018089A (ja) ギター
US7893329B2 (en) Chin-rest for a violin
US6515209B2 (en) Add-on headstock mass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3964362A (en) Violin construction
US8269086B1 (en) Flute support
US5949006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of simplified construction
US8766068B2 (en) Interchangeable tuners for a tailpiece of a musical instrument
US5654514A (en) Guitar, classical electronic
KR102503764B1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JP6651170B2 (ja) 弦楽器用肩当て
US8642858B2 (en) String instrument having a baseball bat body
JP6893977B2 (ja) 弦楽器の支持装置用のアダプタ
US6703545B2 (en) Violin
US20090288543A1 (en) Variable stringed instrument
US4238986A (en) Method for altering tonal characteristics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EP0911800A1 (en) String instrument
RU2253909C2 (ru) Альт
US9263006B2 (en) Non-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wah-wah and other effects with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