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815Y1 -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 Google Patents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815Y1
KR200471815Y1 KR2020130002835U KR20130002835U KR200471815Y1 KR 200471815 Y1 KR200471815 Y1 KR 200471815Y1 KR 2020130002835 U KR2020130002835 U KR 2020130002835U KR 20130002835 U KR20130002835 U KR 20130002835U KR 200471815 Y1 KR200471815 Y1 KR 200471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oupled
coupling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일
Original Assignee
천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승일 filed Critical 천승일
Priority to KR2020130002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전면에 책이 놓여지며 배면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에 놓여진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바닥면에 세우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배면을 지지하여 세워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책을 올려놓아 독서를 즐길 수 있는 독서대로써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펼침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걸림바를 통하여 독서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부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독서대 본연의 기능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지지대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보관 및 운반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고정지지대의 구성으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독서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고정지지대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고정지지대를 이루는 고정바와 회동부재의 결합이 연결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바와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손상된 연결부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독서대 전체의 재구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Reading board}
본 고안은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고정지지대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독서대를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란, 책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를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독서대는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 형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책이 올려 놓여 진 상태에서도 독서대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플레이트(7)와 상기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는 레그(3) 및 거치대(5)로 구성된 독서대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파일형을 이루는 독서대로 구성한 독서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에서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는 사용자가 책을 올려놓고 볼 수 있는 독서대 본연의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독서대를 거치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독서대를 거치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로워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는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독서대를 이루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독서대판(20)의 일측에 놓여지는 책의 하중에 의하여 독서대판(20)과 하우징(10)을 연결하는 힌지(21,41)의 구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독서대를 이루는 하우징(10), 독서대판(20)의 구성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0)과 독서대판(20)을 밀착하여 휴대하기가 어려워 독서대를 편리하게 휴대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08483(2006.10.18).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05554(2008.02.13)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펼침 가능하게 고정지지대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와 고정지지대를 접은 상태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는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독서대의 설치시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추어 고정지지대를 세팅하는 것이 용이하고, 사용중 외부의 충격에도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면에 책이 놓여지며 배면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에 놓여 진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바닥면에 세우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세워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길이방향 일측으로 압입 형성되는 장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형홈의 양 측부에는 볼트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탄성바(220)가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대향되는 방향을 이루며 볼트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와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어 상기 고정바의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바의 외측으로 펼쳐진 회동부재를 견고하게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바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는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과, 상기 연결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걸림바의 일측이 밀착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삽입홈과 결합홈을 연결할 시, 상기 삽입홈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의 결합돌기가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안착돌기와 치합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에 연결된 회동부재의 유동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안착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밀착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삽입홈과 결합홈을 연결할 시, 상기 삽입홈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의 결합돌기가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안착돌기와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에 연결된 회동부재의 유동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더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 결합되는 스프링안착홈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는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결합부의 안착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외측으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돌출경사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밀착되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배면에서 펼쳐지는 경우 세워지는 바닥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는 탄성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책을 올려놓아 독서를 즐길 수 있는 독서대로써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펼침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바에 구비된 안착돌기와 회동부재를 상기 고정바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부에 구비된 결합돌기를 통하여 독서대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추어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부플레이트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독서대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지지대가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보관 및 운반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넷째, 조립,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고정지지대의 구성으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독서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고정지지대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제작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연결부 외측의 위치에서 고정바의 삽입홈과 회동부재의 결합홈에 스프링이 연결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력으로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독서대의 설치상태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지지대의 고정바, 회동부재, 걸림바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지지대의 고정바, 회동부재, 걸림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독서대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고정바와 회동부재가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바와 회동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바와 회동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바와 연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전면에 책이 놓여지며 배면에는 다수개의 고정공(110)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100)에 놓여 진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와 하부플레이트(200)를 바닥면에 세우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배면을 지지하여 세워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10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는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지지대(30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110)을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는 본 고안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지지대(300)를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수개의 판 형상을 이루는 상부플레이트(100)가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200)는 도시된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힌지(H)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0) 및 하부플레이트(200)는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인 나무,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장형홈(210)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장형홈(210)의 양 측부에는 볼트(P)를 통하여 탄성바(220)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장형홈(21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압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바(220)가 장형홈(210)의 내측에 밀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바(220)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200)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탄성바(220)를 파지하여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에 놓여지는 책(10)의 일측을 압력을 가하며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바(220)는 탄성력을 갖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펼침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대(3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바(310)와 상기 고정바(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회동부재(320)와 걸림바(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바(310)는 도시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볼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바(310)에 상술한 회동부재(310)와 걸림바(3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바(310)가 상기 회동부재(310)와 걸림바(330)의 회동에도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2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와 연결부(400)를 통하여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바(310)의 외측 방향으로 펼침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310)는 볼트(P)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311)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4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312)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20)는 상기 연결부(400)가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홈(321)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걸림바(330)와 밀착되는 경우에 걸림바(330)의 일측이 안착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출경사부(322)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400)는 도시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재(32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400)는 일측이 상기 결합홈(321)에 안착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삽입홈(312)의 내측으로 안착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홈(321)과 결합되는 부위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1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41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321a)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부(400)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312)과 결합홈(321)을 연결 구성할 시, 상기 삽입홈(312)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가 결합홈(3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321)에 구비된 안착돌기(321a)와 치합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 구성된 회동부재(320)의 유동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연결부(400)를 통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가 상호 연결되게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바(310)의 삽입홈(312)에 안착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312)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재(320)의 결합홈(321) 내측으로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타측은 상기 결합홈(321)의 안착돌기(321a)와 밀착되는 경우에도 연결부(4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재(3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부(400)를 통하여 연결 구성된 회동부재(32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320)가 고정바(310)와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회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와 결합홈(321) 내측의 안착돌기(321a)의 밀착되는 결합 형태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40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400)의 일측이 상기 삽입홈(312)에 안착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21)과 결합되는 부위의 타측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10)를 구비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기(410)를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400)의 끝단에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410)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321a)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를 도 6에서와 같이, 연결부(40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결부(400)의 길이방향 끝단에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결합홈(321a)의 내측면에 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착돌기(321a)의 일측으로 밀착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의 삽입홈(312)에 안착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312)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재(320)의 결합홈(321) 내측으로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타측은 상기 결합홈(321)의 안착돌기(321a)와 밀착되는 경우에도 연결부(4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재(3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부(400)를 통하여 연결 구성된 회동부재(32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320)가 고정바(310)와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회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와 결합홈(321) 내측의 안착돌기(321a)가 밀착되는 결합 형태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삽입홈(312)에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일측이 원통형을 이루도록 설명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400)의 형상을 원통형의 바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삽입홈(312)과 결합홈(321)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312)과 연결부(400)의 결합은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견고하게 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삽입홈(312)에 결합되는 연결부(400)의 타측으로 상기 회동부재(320)가 결합 된 상태를 이루며 회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삽입홈(312)에 결합된 연결부(400)가 상기 회동부재(320)의 회동방향과 대응되게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홈(312)과 연결부(400)는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312)과 연결부(4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400)에 연결 구성된 회동부재(320)가 연결부(400)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회동부재(320)가 상기 고정바(310)의 외측으로 원활한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연결부(400)를 통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의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의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400)를 교체하여 원활하게 독서대 본연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의 연결부(400)는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지 않고,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바(310)의 삽입홈(312)을 제외하고, 결합돌기(410)가 구비된 연결부(400)를 상기 삽입홈(312)의 위치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연결부(400)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부(4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를 연결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독서대를 생산하고자 하는 작업환경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연결부(400)의 외측에는 스프링(500)을 더 결합 구성하되, 상기 스프링(500)의 일단은 상기 삽입홈(31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321)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500)이 안착 결합 될 수 있도록 스프링안착홈(321a)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400)를 통하여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고정바(310)의 삽입홈(312)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부(400)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재(320)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4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500)이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321a) 내측으로 안착되게 결합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회동부재(320)를 파지하여 사용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는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부재(320)가 상부프레이트(100)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400)로 상기 고정바(310)와 회동부재(32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410)와 안착돌기(321a)의 치합에 따른 상기 회동부재(320)의 유동을 통해 사용자의 시야각에 알맞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독서대를 세팅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연결부(400)의 외측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500)의 탄력으로 독서대가 세팅된 상태를 유지해 줌으로써, 사용중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독서대의 설치상태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바(310)는 도 1에서와 같이, 연결홈(313a)이 형성되어 고정바(3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313)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바(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바(330)는 상기 연결홈(313a)에 삽입 가능하게 결합돌기(331)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결합돌기(331)의 외측으로는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320)의 돌출경사부(322)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는 걸림판(332)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313)의 연결홈(313a)에 상기 걸림바(330)의 결합돌기(331)를 회동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홈(313a)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바(33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바(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와 걸림바(330)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20)와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부재(320)를 펼친 후에는 상기 회동부재(320)의 돌출경사부(322)에 상기 걸림바(330)의 걸림판(332)이 안착 결합되도록 조절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책(10)이 놓여지는 상부플레이(100)의 일측으로 고정지지대(300)를 이루는 고정바(310), 회동부재(320), 걸림바(330)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며 편리하고 효율적인 독서대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바(310)에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와 걸림바(330)의 구성을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바(330)가 고정바(310)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320)가 상기 걸림바(33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고정바(310)의 내측으로 밀착되게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본 고안인 독서대를 편리하게 휴대하거나, 독서대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에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와 걸림바(330)를 고정바(310)의 내측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는 편리하게 펼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310)에 결합되는 회동부재(320)와 걸림바(330)를 상기 고정바(3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부재(320)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결합부(313)가 내측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323)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상기 고정바(310)의 내측으로 상기 회동부재(320)가 회동되어 밀착되게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와 회동부재(320)가 밀착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배면으로 회동부재(320)를 펼치는 경우에는 세워지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회동부재(320)가 손쉽게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돌기(324)를 더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지지돌기(324)는 독서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밀착되는 경우에는 마찰력을 형성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320)의 유동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면과 밀착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밀착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고, 과다한 밀착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 (100) 또는 회동부재(3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바(310)와 걸림바(330)를 결합 구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바(310)의 내측 또는 걸림바(330)의 결합돌기(331) 외측에는 스프링(S)을 결합 구성하여 상기 고정바(310)의 일측으로 걸림바(330)가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휴대하여 운반한 후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고정지지대를 펼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독서대의 사용중에 어느 하나의 부품이 손상되더라도 손쉽게 교차하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전체적인 제작비용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상부플레이트 110: 고정공
200: 하부플레이트 210: 장형홈
220: 탄성바 300: 고정지지대
310: 고정바 311: 체결공
312: 삽입홈 312b: 스프링안착홈
313: 결합부 313a: 연결홈
320: 회동부재 321: 결합홈
321a: 안착돌기 321b: 스프링안착홈
322: 돌출경사부 323: 안착홈
324: 탄성지지돌기 330: 걸림바
331: 결합돌기 332: 걸림판
400: 연결부 410: 결합돌기
500: 스프링 H: 힌지
P: 볼트

Claims (9)

  1. 전면에 책이 놓여지는 상부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연결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100)에 놓여 진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를 지지하여 세워놓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지지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지지대(3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대향되는 방향을 이루며 결합되고 연결부(400)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홈(312)을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바(310)와, 상기 고정바(310)와 연결부(400)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310)의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4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321)을 포함하는 회동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400)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312)에 안착 결합되고 타측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1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410)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321a)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400)로 삽입홈(312)과 결합홈(321)을 연결할 시, 상기 삽입홈(312)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가 결합홈(321)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안착돌기(321a)와 치합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된 회동부재(320)의 유동이 조절되어 고정된 위치로 유지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400)의 외측에는 스프링(500)이 더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500)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삽입홈(312)과 결합홈(321)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500)이 안착 결합되는 스프링안착홈(321b)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320)의 상부에 탄성지지돌기(324)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와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0)의 배면으로 회동부재(320)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상기 회동부재(3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0)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312)에 안착 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1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321)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410)와 밀착 결합되는 다수개의 안착돌기(321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00)로 삽입홈(312)과 결합홈(321)을 연결할 시, 상기 삽입홈(312)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400)의 결합돌기(410)가 결합홈(321)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안착돌기(321a)와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310)에 연결된 회동부재(320)의 유동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30002835U 2013-04-12 2013-04-12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KR200471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35U KR200471815Y1 (ko) 2013-04-12 2013-04-12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35U KR200471815Y1 (ko) 2013-04-12 2013-04-12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815Y1 true KR200471815Y1 (ko) 2014-03-14

Family

ID=5148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35U KR200471815Y1 (ko) 2013-04-12 2013-04-12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1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61U (ko) * 2015-08-20 2017-03-02 정운태 독서대 세트
KR20190129642A (ko) 2018-05-12 2019-11-20 최현범 독서대
KR20210000557U (ko) * 2019-08-29 2021-03-10 조나빈 독서대 어셈블리
KR102327322B1 (ko) * 2020-06-25 2021-11-17 (주)나이스통상 독서대의 변형 방지구조
KR102349596B1 (ko) 2020-08-19 2022-01-10 천원석 독서대
KR20230001446A (ko) 2021-06-28 2023-01-04 이지영 독서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306A (ko) * 2008-10-22 2010-04-30 김동선 다기능 독서대
KR20100009966U (ko) * 2009-04-01 2010-10-11 신우암 학생용 책상 부착 독서대
KR20120007808U (ko) * 2011-05-04 2012-11-14 박준규 헤마타이트가 부설된 독서대
KR101207295B1 (ko) * 2010-04-27 2012-12-03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306A (ko) * 2008-10-22 2010-04-30 김동선 다기능 독서대
KR20100009966U (ko) * 2009-04-01 2010-10-11 신우암 학생용 책상 부착 독서대
KR101207295B1 (ko) * 2010-04-27 2012-12-03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KR20120007808U (ko) * 2011-05-04 2012-11-14 박준규 헤마타이트가 부설된 독서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61U (ko) * 2015-08-20 2017-03-02 정운태 독서대 세트
KR200483444Y1 (ko) * 2015-08-20 2017-05-16 정운태 독서대 세트
KR20190129642A (ko) 2018-05-12 2019-11-20 최현범 독서대
KR20210000557U (ko) * 2019-08-29 2021-03-10 조나빈 독서대 어셈블리
KR200494803Y1 (ko) 2019-08-29 2022-01-03 조나빈 독서대 어셈블리
KR102327322B1 (ko) * 2020-06-25 2021-11-17 (주)나이스통상 독서대의 변형 방지구조
KR102349596B1 (ko) 2020-08-19 2022-01-10 천원석 독서대
KR20230001446A (ko) 2021-06-28 2023-01-04 이지영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US8360085B2 (en) Top support structure of tent frame
US4609174A (en) Foldable easel
US8272605B2 (en) Secur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for outdoor free-standing umbrellas
US9402467B2 (en) Collapsible tabl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KR200481747Y1 (ko) 셀카봉용 삼각대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2899155A (en) Fishing pole holder
US6931679B1 (en) Foldable stand for a hammock
US20100024855A1 (en) Electrical fixture for outdoor umbrella
KR20130007433U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200479697Y1 (ko)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WO2006014074A1 (en) A reading desk functioning as file case
KR200439926Y1 (ko) 독서대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US20190254417A1 (en) Collapsible Table System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GB2139881A (en) Collapsible support mechanism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KR2004452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70002746U (ko) 자동으로 밖으로 뒤집히는 우산
US20200146459A1 (en) Portable Cot
KR20130000046U (ko) 접이식 테이블
KR200221902Y1 (ko) 파라솔지지장치
KR200307727Y1 (ko) 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낚싯대 받침
KR20160130555A (ko) 접이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