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97Y1 -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97Y1
KR200479697Y1 KR2020140005101U KR20140005101U KR200479697Y1 KR 200479697 Y1 KR200479697 Y1 KR 200479697Y1 KR 2020140005101 U KR2020140005101 U KR 2020140005101U KR 20140005101 U KR20140005101 U KR 20140005101U KR 200479697 Y1 KR200479697 Y1 KR 200479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eg
legs
plate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78U (ko
Inventor
송기중
Original Assignee
송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중 filed Critical 송기중
Publication of KR20150004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3/087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 쌍의 상판 중앙부분이 힌지로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를 상판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다리 조립과정 없이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이 힌지에 의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다리가 같이 회전하여 상판 하부에 밀착됨으로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접었을때 부피가 줄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One-touch table is easy to carry and install}
본 고안은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 쌍의 상판 중앙부분이 힌지로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를 상판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다리 조립과정 없이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이 힌지에 의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다리가 같이 회전하여 상판 하부에 밀착됨으로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접었을때 부피가 줄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0472호(등록일자: 2013년 12월 11일)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은,
사용시에는 제1 확장 테이블(130)과 제2 확장 테이블(140) 및 테이블 다리(150)를 펼쳐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상기 제1 확장 테이블(130)과 제2 확장 테이블(140) 및 테이블 다리(15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릴이 끼워져 걸쳐지도록 중심부에 조립공(H)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릴 프레임(110)과,
상기 그릴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확장 테이블(130)과,
상기 제1 확장 테이블(13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확장 테이블(140)과,
상기 그릴 프레임(110)과 제2확장 테이블(140)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상기 그릴 프레임(110)의 하면과 제2확장 테이블(140)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테이블 다리(150)가 구성되되,
상기 제1 확장 테이블(130)이 결합되지 않는 상기 그릴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홈(111)이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홈(11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121d)가 형성된 결합구(121) 및 일측면에 상기 결합구(121)가 조립되는 보조 테이블(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 다리(150)는 상면에는 체결공(151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각각 회동 홈(151b)이 형성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고정 브라켓(151) 및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리부(125, 153, 154)가 회동축 샤프트(S)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잠금핀(151c)을 통해 상기 회동 홈(151b)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을 연장하는 상판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판과 다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시 나사체결방식 등으로 서로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여성들의 경우 테이블의 설치가 어렵고 무거우며 보관 중 다리 등이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야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서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을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수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판의 하면에 다리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한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서 사용이 용이하고 다리 등의 부속이 분실될 염려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원터치 테이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을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여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며 상판의 저면에 다리를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접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이 용이하고 테이블을 구성하는 부속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일측을 여러 개의 힌지(20)로 연결하여 서로 접철가능하게 형성한 상판(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6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6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6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6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6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641)이 형성된 손잡이(64) 내측에 회전축(63)과 스프링(6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65)으로 구성된 결착수단(60);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고정된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절곡된 상태로 일측에 끼움돌기(411)와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1다리(41)와 상기 끼움돌기(411)에 끼움되는 조립공(421)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2다리(4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는 한 쌍의 다리(40);
상기 다리(40)의 일측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일측을 여러 개의 힌지(20)로 연결하여 서로 접철가능하게 형성한 상판(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6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6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6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6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6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641)이 형성된 손잡이(64) 내측에 회전축(63)과 스프링(6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65)으로 구성된 결착수단(60);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고정된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1다리(41)와, 상기 제1다리(41)의 일측에 밀착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2다리(42)와, 상기 제2다리(42)의 끝부분에 일체로 용접되며 일측에 결합돌기(71)가 제1다리(41)의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체(70)으로 구성된 다리(40);
상기 다리(40)의 일측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70)와 제2다리(42)의 끝부분으로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50)는 다리(40)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노출핀(412)이 삽입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5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다리(40)가 끼움되고 하부에 나사결합된 미세조절부(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이 반으로 접철됨과 동시에 상판의 저면에 다리가 상판과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수납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테이블 전체 하중을 저하시켜 이동 설치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높이조절부 부분의 단면도
도 4 내지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의 접철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결착수단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결착수단의 결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높이 조절부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4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의 접철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결착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결착수단의 결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100)은 크게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다리(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동일한 형태의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일측에 여러 개의 힌지(20)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미사용시에는 상판(10)을 접어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시에는 상판을 펼쳐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판(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다리(40) 일측이 고정브라켓(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판(1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리(40)는 일측이 절곡된 상태로 일측에 끼움돌기(411)와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1다리(41)와 상기 끼움돌기(411)에 끼움되는 조립공(421)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2다리(4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구성과 동일한 다리(4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40)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노출핀(412)이 삽입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51)이 표면에 형성되며 상부에 다리(40)가 끼움되고 하부에 나사결합된 미세조절부(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높이조절부(50)에 의하여 노출핀(412)이 삽입결착되는 위치의 관통공(51)에 따라 다리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야외에서 테이블을 사용시 미세 높이조절을 위하여 미세조절부(52)를 회전시켜 미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은 접혀 보관 중이거나 펼쳐져 사용시 상판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판의 연결부분에 힌지(20)와 더불어 결착수단(60)을 형성하여 사용상태에서 상판(10)의 자연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착수단(60)은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6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6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6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6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6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641)이 형성된 손잡이(64) 내측에 회전축(63)과 스프링(6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6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착수단(60)의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서 상판의 자연회전에 따른 접힘 또는 펼쳐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착수단(60)의 동작과정을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결착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이 접힌 상태의 결착수단의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판(61)과 제2연결판(62)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걸림봉(65)이 일측의 상태유지홈(611)에 일부분이 끼움되어 상판(10, 2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봉(65)은 회전축(63)과 연결된 스프링(66)에 의하여 상태유지홈(611)에 끼움된 상태가 유지되어 자연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판(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이블을 접기 위하여 손잡이(64)를 당기면 걸림봉(65)이 스프링(66)의 탄성을 이기며 후진하여 상태유지홈(611)으로부터 빠짐되고 자연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66)는 걸림봉(65)의 양끝부분이 제2연결판(62)의 장홈(621)에 삽입됨으로써 진행방향의 변동 없이 전 후진만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봉(65)이 상태유지홈(611)에서 분리되어 상판(10)이 자연회전하는 과정에서 걸림봉(65)은 스프링(66)에 의하여 제1연결판(6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계속 접힘되어 걸림봉(65)이 다른 위치의 상태유지홈(611)에 근접하면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봉(65)이 형성된 손잡이(64)가 전진하여 걸림봉(65)의 일측이 다른 위치의 상태유지홈(611)에 끼움되어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봉(65)이 끼움되는 상태유지홈(611)의 위치에 따라서 상판이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의 접철과정을 살펴보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이 펼쳐져 사용되는 상태에서 결착수단에 의하여 저연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자연 접힘없이 안전하게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을 사용중 테이블을 접기 위하여 결착수단의 손잡이(64)를 잡아당겨 결착된 상태를 제거한 후 상판(10)을 회전시키면 힌지에 의하여 테이블이 회전하며 접철되는데, 이때 다리(40)는 고정브라켓(30)에 의하여 상판(10, 2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데 제1다리(41)과 제2다리(42)를 연결하는 끼움돌기(411)와 조립공(421)이 서로 끼움된 상태에서 미끄럼 회전함으로써 원활하게 상판의 접힘과 동시에 다리 또한 접철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판을 접철하는 한번의 동작으로 테이블을 안전하게 접철되며 접철된 상태에서 결착수단(60)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의 다른 실싱d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40)를 구성하는 제1다리(41)의 일측에 결합돌기(71)를 갖는 연결체(70)를 용접하여 일체화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71)에 제2다리(42)의 조립공(421)을 끼움하여 조립함으로써 제1다리(41)와 제2다리(42)의 연결부분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리의 결착과정은 앞서 설명한 다리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판(10) 중앙부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게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중 다리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다리(41)와 제2다리(42)의 연결부분을 힌지(80)로 연결하여 힌지(80)가 상판(1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테이블의 중앙부분으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접철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상판 11 : 제1상판
12 : 제2상판 20 : 힌지
30 : 고정브라켓 40 : 다리
41 : 제1다리 42 : 제2다리
50 : 높이조절부 60 : 결착수단
70 : 연결체 80 : 힌지

Claims (4)

  1.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일측을 여러 개의 힌지(20)로 연결하여 서로 접철가능하게 형성한 상판(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6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6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6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6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6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641)이 형성된 손잡이(64) 내측에 회전축(63)과 스프링(6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65)으로 구성된 결착수단(60);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고정된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절곡된 상태로 일측에 끼움돌기(411)와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1다리(41)와 상기 끼움돌기(411)에 끼움되는 조립공(421)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2다리(4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는 한 쌍의 다리(40);
    상기 다리(40)의 일측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2.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일측을 여러 개의 힌지(20)로 연결하여 서로 접철가능하게 형성한 상판(10);
    상기 제1상판(11)과 제2상판(12)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며 제1상판(11)에 고정되며 일측에 여러 개의 상태유지홈(61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1연결판(61)과, 제2상판(12)에 고정되며 양측에 장홈(621)이 형성된 "ㄷ"형태의 제2연결판(62)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63)에 의하여 힌지와 같은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상판(10)에 연결되며, 제2연결판(32)의 내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641)이 형성된 손잡이(64) 내측에 회전축(63)과 스프링(66)으로 연결되는 걸림봉(65)으로 구성된 결착수단(60);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고정된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1다리(41)와, 상기 제1다리(41)의 일측에 밀착되며 타측에 높이조절부(50)가 형성된 제2다리(42)와, 상기 제2다리(42)의 끝부분에 일체로 용접되며 일측에 결합돌기(71)가 제1다리(41)의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체(70)로 구성된 다리(40);
    상기 다리(40)의 일측에 형성된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70)와 제2다리(42)의 끝부분으로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50)는 다리(40)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노출핀(412)이 삽입되는 여러 개의 관통공(5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다리(40)가 끼움되고 하부에 나사결합된 미세조절부(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KR2020140005101U 2014-05-20 2014-07-07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KR2004796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852 2014-05-20
KR2020140003852 201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78U KR20150004278U (ko) 2015-11-30
KR200479697Y1 true KR200479697Y1 (ko) 2016-03-07

Family

ID=5486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101U KR200479697Y1 (ko) 2014-05-20 2014-07-07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4B1 (ko) 2016-07-04 2017-10-13 김시한 골프클럽의 길이 연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1619A (zh) * 2018-07-16 2018-11-06 深圳怡荣盛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桌
TWM576002U (zh) 2018-12-07 2019-04-01 嘉暘貿易實業有限公司 Folding tabl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17B1 (ko) 2011-09-14 2012-05-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접이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17B1 (ko) 2011-09-14 2012-05-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접이식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54B1 (ko) 2016-07-04 2017-10-13 김시한 골프클럽의 길이 연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78U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246B1 (en) Retainers and foldable table having same
KR200464934Y1 (ko) 휴대용 풋레스트
US4826244A (en) Portable table
US10863819B1 (en) Folding/unfolding mechanism, frame and table having same
CN108697235B (zh) 桌椅装置
KR200479697Y1 (ko)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CA2658999C (en) A stool with telescopic legs
US20140145417A1 (en) Armrest fold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US11700950B2 (en) Adjustable support and bed frame having same
KR200471815Y1 (ko) 설치 및 고정이 편리한 독서대
US6095596A (en) Folding chair structure
US11617448B2 (en) Bed frame
US6698828B1 (en) Folding chair
KR20130007433U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US3158112A (en) Folding ironing board
JPH01305903A (ja) テーブル折畳み機構
WO2016165452A1 (zh) 一种折叠床
US6874427B2 (en) Outdoor table and chair set
CN211323654U (zh) 一种折叠式课桌
KR20110003025U (ko) 절첩식 탁자의 절첩장치
KR200445283Y1 (ko) 접이식 테이블
GB2497673A (en) Foldable baby bed frame
KR20130107771A (ko) 접이식 옷걸이
JP3198421U (ja) 折畳足を備える家具及び足接続装置
CN204318066U (zh) 一种折叠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