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047B1 - 의자 일체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의자 일체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047B1
KR101191047B1 KR1020120024790A KR20120024790A KR101191047B1 KR 101191047 B1 KR101191047 B1 KR 101191047B1 KR 1020120024790 A KR1020120024790 A KR 1020120024790A KR 20120024790 A KR20120024790 A KR 20120024790A KR 101191047 B1 KR101191047 B1 KR 10119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vertical
mount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2002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본적으로 사용여부에 따른 의자의 정리정돈이 용이하고 특히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지지프레임 및 의자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간에서의 테이블의 이동 및 사용에 있어서 매우 편리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테이블과, 쿠션과 상기 쿠션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 및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며 수직의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 구조의 수직받침대와; 상기 수직받침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받침대를 관통한 연결프레임의 끝단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수직받침대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장착공의 둘레 상면과 상기 캡부재의 둘레 하면의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장착부재와 캡부재를 서로 이격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일체형 테이블{Table attached to the chair}
본 발명은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용여부에 따른 의자의 정리정돈이 용이하고, 특히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지지프레임 및 의자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간에서의 테이블의 이동 및 사용에 있어서 매우 편리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테이블과 분리된 의자가 준비된다.
한편 학교 또는 기업의 공동급식시설인 구내식당 등에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는 큰 크기의 테이블의 경우, 식사시간에 맞추어 많은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게 되고, 사용인원의 수에 맞춰 다수개의 의자 역시 일일이 구비해야 하는데, 별도로 분리된 다수개의 의자를 구비 시, 테이블 주변으로 의자가 흩어지기 쉬워, 사용 전 또는 사용 후에 이를 일일이 정리 정돈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고, 정리정돈 및 사용과정 중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사용을 마친 의자가 통로 등으로 흩어지게 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의자의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컸고, 흩어진 의자에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컸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테이블을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과 의자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한 의자 일체형의 테이블이 제안되어, 사용자에 의한 테이블의 사용여부와 무관하게 정리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종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공동급식시설인 구내식당에 사용되는 큰 크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제1 지지프레임뿐만 아니라 의자를 구성하는 쿠션과 제2 지지프레임을 모두 일체로 하기 때문에, 전체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무게 및 부피가 상당히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렇게 크기와 부피가 큰 테이블의 유통과정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식당과 같은 공간에 한번 설치된 상태라 하더라도 자유로운 이동이 어려워 사용 중에도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하나의 테이블에 사용할 수 있는 일정한 개수의 의자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 제1 지지프레임, 쿠션, 제2 지지프레임들 중 어느 한 부분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체형을 이루고 있는 전체 제품으로부터 파손된 어느 한 부분에 대한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전체 테이블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큰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 의자 일체형 테이블 구조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테이블의 지지프레임과 의자의 안장프레임을 힌지구조로 연결한 자동 접철동작이 가능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접철동작이 가능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국내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549523호, 제10904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의자를 구성하는 쿠션과 쿠션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힌지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어, 사용할 시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테이블로부터 의자용 제2 프레임을 회전시켜 테이블로부터 의자를 뽑아서 사용하게 되고, 상기 힌지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의자용 제2 프레임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만족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의자들이 모두 테이블의 밑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테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자동 접철기능을 갖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이다.
자동 접철기능을 갖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상판(1)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2)과 의자의 쿠션(3)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4)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 프레임(2)과 연결프레임(5)이 연결되는 일단에 제1 스프링(6a)이 개재된 제1 회전축(6)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프레임(4)과 연결프레임(5)이 연결되는 타단에 제2 스프링(7a)이 개재된 제2 회전축(7)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의자의 쿠션(3)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회전축(7)에 구비된 제2 스프링(7a)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 프레임(7)이 바닥으로부터 약간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 회전축(6)에 구비된 제1 스프링(6a)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프레임(2)으로부터 연결프레임(5)이 회전하게 되어 의자가 테이블 밑으로 수납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자동 접철기능을 갖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제1,2 회전축(6,7)과 이러한 제1,2 회전축(6,7)마다 제1,2 스프링(6a,7a)이 각기 개재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은 바, 자동 접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되어 제작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자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6)이 바닥과 근접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의자의 잦은 회전 작동에 따라 제1 회전축(6)에 강한 뒤틀림이 작용하게 되어 제1 스프링(6a) 및 제1 회전축(6)이 쉽게 훼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자동 접철기능이 둔화되거나 의자가 테이블 밑으로 완전히 수납되진 못하는 등의 정확한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의자를 자동 접철시키기 위해 테이블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2)을 의자 쪽으로 확장시켜야 하고, 이렇게 확장된 제1 프레임(2)의 하단과 의자의 하단을 연결프레임(5)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이 연결프레임(5)과 회전축(6,7)에 직접적으로 닿제 되어 테이블과 의자 사용에 매우 큰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이렇게 사용자의 발에 자주 부딪히게 됨으로 인하여 회전축의 내구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549523호(2006.01.27) 국내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90420호(2011.11.3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간 분리 결합뿐만 아니라 테이블과 의자 간의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부품별 이동과 현장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자의 접철기능을 위한 회전축의 구성요소를 매우 간소하게 구현할 수 있음에 불구하고 의자의 잦은 사용에도 견고한 접철기능을 만족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테이블과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다리에 주위 프레임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테이블과, 쿠션과 상기 쿠션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 및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며 수직의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부재;
상기 장착공에 끼워져 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 구조의 수직받침대;
상기 수직받침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받침대를 관통한 연결프레임의 끝단과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수직받침대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장착공의 둘레 상면과 상기 캡부재의 둘레 하면의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장착부재와 캡부재를 서로 이격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장착공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캠부재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결합되어, 의자에 가해진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될 시 테이블의 내측으로 의자를 회전시켜 접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쪽 수평단부와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다른쪽 수직단부가 절곡되어 'ㄴ'자 구조를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판과 제1 프레임은 상기 장착부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에는 제1 프레임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받침대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테이블의 내측과 외측으로 접철 가능한 일체형 의자 결합 관계를 제공함으로써, 미사용 중인 의자에 대해서는 테이블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정리정돈이 용이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만족시키며, 테이블, 의자, 및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각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부품수를 대폭 줄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판매나 현장 설치를 위한 이동이 간편하며,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조립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중 다수의 의자 혹은 특정 부품이 훼손되는 경우 훼손된 부품에 대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부분별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이 직접 가해지는 의자와 근접한 위치에 회전축 연결부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회전축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에서 가해지는 외력이 회전축 연결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가 연결프레임이나 회전축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테이블과 의자를 편안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도 1은 종래 자동 접철기능을 갖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 접철기능을 갖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회전축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회전축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프레임의 회전축 구성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테이블(A)과 의자(B)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A)은 상판(10)과, 상판(1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의한 제1 프레임(20)은 역 'U'자 형을 이루며 상판(10)의 좌우 양측에 설치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B)는 쿠션(30)과, 쿠션(3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 프레임(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A)과 의자(B)는 연결프레임(50)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50)은, 제2 프레임(40)과 연결되는 수평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상판(10)과 연결되는 다른쪽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며, 대략 'ㄴ'자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연결프레임(50)은 수평의 한쪽 단부가 의자(B)에 일체로 결합되고, 테이블(A)과 결합되는 수직의 다른쪽 단부는 테이블(A)로부터 회전 가능한 회전축(51) 연결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블(A)과 연결되는 한쪽 단에만 회전축(51) 연결부를 구성하여, 테이블(A)의 내측과 외측으로 의자(B)를 회전시키며 접철 가능한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 연결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프레임(50)의 한쪽 단에 구성되는 회전축(51) 연결부는 장착부재(510), 수직받침대(520), 캡부재(530), 및 코일스프링(54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장착부재(510)는, 기본적으로 테이블(A)의 상판(10)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 연결프레임(50)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상판(10)의 저면에 고정볼트(519)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장착부재(510)는 박스형의 프레임구조를 이루며 중앙 일측에는 상기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의 장착공(513)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513)은 장착부재(510)의 함몰부(512)에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함몰부(512)에 장착공(513)을 구성한 이유는 후술되는 코일스프링(540)이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장착부재(510)는 테이블(A)을 구성하는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을 연결하는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재(510)에는 제1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게 제1 프레임(20)의 상단부 형상과 대응하는 결합홈(515)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부재(510)는 테이블(A)을 구성하는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의 연결부재 기능을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장착부재(510)를 이용하여,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A)과 의자(B)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장착부재(510)는 결합홈(515)을 통해 제1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20)은 장착부재(510)의 결합홈(515)에 미리 일체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볼트(519)를 이용하여 장착부재(510)를 상판(10)에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테이블(A)의 제작 조립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에 표시된 도면번호 '517'은 커버부재이고, '517a'는 커버부재에 형성된 고정클램프로써, 고정볼트(519)를 이용하여 장착부재(510)를 상판(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519)를 향해 커버부재(517)의 고정클램프(517a)를 압박하여 결합함으로서 장착부재(510)의 개방된 측면을 커버부재(517)로 마감하여 밀폐시킨다.
수직받침대(520)는, 상기 장착부재(510)의 장착공(513)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며,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중공의 원통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수직받침대(520)는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외팔보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프레임(50)과 의자(B)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도록 장착부재(510)의 하방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 연장되도록 구성한다.
캡부재(530)는, 상기 수직받침대(520)의 상단에 올려져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직받침대(520)를 관통한 연결프레임(50)의 상부 끝단과 체결볼트(535)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결국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는 끝단에 고정된 캡부재(530)로 인하여 수직받침대(520)로부터 하방으로 빠짐없이 견고히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장착부재(510)로부터 하방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연장된 수직받침대(510)의 내부에서 뒤틀림 없이 정확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받침대(520)에 삽입된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의 수직상태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받침대(520)와 연결프레임(50)의 사이에 리테이너(522,524)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좋다. 실시 예에 의한 리테이너(522,524)는 수직받침대(52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기 억지 끼움 결합되는 제1,2 리테이너(522,52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522,524)는 마찰저항을 줄이고 마찰저항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수지 재질을 권장한다.
코일스프링(540)은, 상기 장착부재(510)의 함몰부(512)에 설치 구성되어 장착부재(510)의 내부로 삽입된 수직받침대(52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장착공(513)의 상면 둘레와 캡부재(530)의 하면 둘레의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장착부재(510)로부터 캡부재(530)를 상부로 이격시키도록 탄성 설치되어 있다.
결국, 쿠션(30)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의자(B)와 함께 하강하는 연결프레임(50)과 연결된 상기 캡부재(530)가 코일스프링(540)을 하향 압박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는 쿠션(30)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40)이 바닥에 접촉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쿠션(30)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장착부재(510)로부터 캡부재(530)를 상향 이격(상판 저면에 접촉할 때까지)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에는 쿠션(30)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40)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미사용 중인 의자(B)는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정리정돈 시 의자(B)에 약간의 힘만 주더라도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의자(B)가 회전하여 테이블(A)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마찬가지 반대로 의자(B)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사용자는 테이블(A) 내측에 수납된 의자(B)를 잡고 측방으로 약간의 힘만 주더라도 테이블(A)의 외측으로 의자(B)를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도 선행특허 제0549523호 및 제1090420호와 마찬가지 자동 접철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특허 제0549523호 및 제1090420호와 달리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에 구성된 하나의 코일스프링(540)을 이용하여 의자(B)의 자동 접철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에 큰 차이점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캡부재(530)와 장착부재(510)의 사이에서 탄성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40)은, 그 하부 일단(542)은 상기 장착공(513)의 상면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514)에 결합되고, 상부 타단(544)은 상기 캡부재(531)의 하면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532)에 결합되어, 캡부재(530)와 결합된 연결프레임(50)을 테이블(A)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탄성 가압시키게 된다.
결국, 코일스프링(540)의 상하방향 복원력에 의하여 장착부재(510)로부터 캡부재(530)가 상향 이동됨으로써, 미사용 중인 의자(B)는 바닥으로부터 살짝 뜨게 되고, 이와 동시에 코일스프링(540)의 반경방향 복원력에 의하여 테이블(A)의 내측으로 회전하며 자동 접철되어 수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테이블(A)을 구성하는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을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의자(B)가 결합된 연결프레임(50)을 테이블(A)에 연결하는 기능으로써 하나의 장착부재(51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비해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구현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고정볼트(519)로 상판(10)에 결합된 장착부재(510)만을 분리하면, 테이블(A)를 구성하는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의 분리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블(A)로부터 의자(B)를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사용할 수 있게 큰 크기로 제작되는 공동급식시설의 테이블의 경우 그 설치나 판매를 위한 이동이 매우 편리하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테이블의 조립 시공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 중 만약 다수의 의자들 중 선택된 의자가 훼손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의자에 대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부분별 유지보수의 이점도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직접 가해지는 의자(B)쪽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A)의 상판(10) 저면에 회전축(51)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잦은 사용과 과도한 사용자의 체중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회전축(5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고, 의자(B)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로부터 연결프레임(50)과 회전축(51) 연결부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 : 테이블 (B) : 의자
(10) : 상판 (20) : 제1 프레임
(30) : 쿠션 (40) : 제2 프레임
(50) : 연결프레임 (51) : 회전축
(510) : 장착부재 (513) : 장착공
(514) : 끼움홈 (515) : 결합홈
(520) : 수직받침대 (522),(524) : 리테이너
(530) : 캡부재 (532) : 끼움홈
(540) : 코일스프링

Claims (6)

  1.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테이블(A)과, 쿠션(30)과 상기 쿠션(30)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 의자(B), 및 상기 테이블(A)과 의자(B)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0)을 포함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결합되며 수직의 장착공(513)이 형성된 장착부재(510);
    상기 장착공(513)에 끼워져 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 구조의 수직받침대(520);
    상기 수직받침대(5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받침대(520)를 관통한 연결프레임(50)의 끝단과 결합되는 캡부재(530); 및
    상기 수직받침대(520)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장착공(513)의 둘레 상면과 상기 캡부재(530)의 둘레 하면의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장착부재(510)와 캡부재(530)를 서로 이격시키는 코일스프링(540); 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0)과 제1 프레임(20)은 상기 장착부재(510)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540)은, 일단(542)이 상기 장착공(513)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514)에 결합되고 타단(544)은 상기 캡부재(530)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532)에 결합되어, 의자에 가해진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될 시 테이블(A)의 내측으로 의자(B)를 회전시켜 접철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50)은, 제2 프레임(40)과 결합되는 한쪽 수평단부와 상기 장착부재(510)와 결합되는 다른쪽 수직단부가 절곡되어 'ㄴ'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510)에는 제1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결합홈(515)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받침대(520)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프레임(50)의 수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테이너(522,5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120024790A 2012-03-12 2012-03-12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19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90A KR101191047B1 (ko) 2012-03-12 2012-03-12 의자 일체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90A KR101191047B1 (ko) 2012-03-12 2012-03-12 의자 일체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047B1 true KR101191047B1 (ko) 2012-10-18

Family

ID=4728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790A KR101191047B1 (ko) 2012-03-12 2012-03-12 의자 일체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0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900A (zh) * 2018-03-08 2018-07-24 宁波象吹塑家具有限公司 桌凳一体户外桌
CN108391938A (zh) * 2018-03-29 2018-08-14 湖州南浔瑞奇木业有限公司 一种折叠型桌椅结构
KR102092778B1 (ko) 2019-12-30 2020-05-15 (주) 파트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147942B1 (ko)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22B1 (ko)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22B1 (ko)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900A (zh) * 2018-03-08 2018-07-24 宁波象吹塑家具有限公司 桌凳一体户外桌
CN108391938A (zh) * 2018-03-29 2018-08-14 湖州南浔瑞奇木业有限公司 一种折叠型桌椅结构
KR102092778B1 (ko) 2019-12-30 2020-05-15 (주) 파트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147942B1 (ko)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04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79918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6757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US9259092B2 (en) Cup holder for chair
US10039382B2 (en) Stool seat
KR101633915B1 (ko) 좌대 일체형 테이블
KR20130044315A (ko) 좌석 지지 시스템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578838B1 (ko) 절첩식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테이블
CA2923646C (en) Swivelling lounge chair with limited recline
KR101484975B1 (ko) 탁자의 의자 회전장치
KR10054951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US7921785B1 (en) Furniture with foldable support
KR10121183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00005049U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549523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101542721B1 (ko)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KR101080706B1 (ko)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90195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20160120589A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KR102079660B1 (ko)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1456095B1 (ko) 스톨테이블용 의자 인입출구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