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660B1 -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 Google Patents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660B1
KR102079660B1 KR1020190102947A KR20190102947A KR102079660B1 KR 102079660 B1 KR102079660 B1 KR 102079660B1 KR 1020190102947 A KR1020190102947 A KR 1020190102947A KR 20190102947 A KR20190102947 A KR 20190102947A KR 102079660 B1 KR102079660 B1 KR 10207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guide
coupled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진
Original Assignee
김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진 filed Critical 김서진
Priority to KR102019010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에 좌대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부에 상판을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된 좌대를 가지는 좌대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용 다리가 적용되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주수단은, 상부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하단에 바닥에 대한 지지하도록 된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를 관통하면서 횡방향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속되되 상기 지주부재와의 사이에 태엽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원위치로의 탄성복귀력을 가지도록 된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와 축결합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수평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좌대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종단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관에 수직상 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관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귀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좌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Movable stall table with automatic return speed control}
본 발명은, 급식소, 휴게소 및 구내식당 등에서 적용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에 좌대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최소로 하여 좌대의 회전을 간편하게 하여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휴게실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시식하거나 물건을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된 테이블과 의자가 비치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블과 의자는, 통상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의자의 뒷정리 문제와 사람들의 통행로를 의자가 점유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테이블과 의자를 일체로 결합하여 공간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지주에 좌대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용 다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04787호(명칭: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의 테이블에 있어서,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일 끝단 부가 테이블 하부의 프레임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타 끝단 부는 의자의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연결프레임과 의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공압 실린더로 연결하여서 된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이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자가 테이블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자동으로 정확히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67702호(명칭: 연결 지지대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테이블 상판과, ∪" 형으로 분할되어 구비되고 연결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각각 결합 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단부가 측면에 각각 결합 되는 막대형태의 연결 지지대와, 상기 연결 지지대의 양단부에 측면이 각각 결합 되어 직 하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모서리에 테이블 다리가 결합 되고 상기 테이블 다리의 중간부와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의자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에 절첩 식 의자조립체가 테이블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자조립체가 테이블 내측으로 회전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76547호(명칭: 절첩 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테이블 상판, 마주보는 한 쌍의 장변프레임과 한 쌍의 단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사각형태의 가로프레임, 상기 단변 프레임 각각으로 부터 평행으로 이격 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 프레임 내측에 양단이 결합 되는 2개의 보강지지대, 수평 부와 하향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 부는 상기 2개의 보강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 되며, 하향 절곡 부에는 절첩 식 의자조립체가 테이블 내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조립되는 현수 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 부, 어깨 부, 날개 부로 이루어지는 테이블다리를 배치하되, 상기 수직 부에는 절첩 식 의자조립체가 테이블 내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어깨 부는 가로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 되며, 상기 날개 부는 상기 어깨 부에서 수평으로 만곡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자조립체가 테이블 내측으로 회전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들은, 의자다리와 좌판이 일체로 형성된 통상의 의자가 테이블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어, 의자조립체의 회전시 의자다리가 바닥면과 마찰되어 의자다리 및 바닥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의자조립체의 회동 시 지주가 유동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테이블 다리 및 의자 다리 등과 같이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가 많아 바닥 청소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42721호(명칭: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제안된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542721호의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은,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단에 테이블 상판이 지지 되도록 결합하며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상으로 직립 되게 구비되는 다리지주와, 양단이 상기 다리지주들을 일 측면에 결합하여 연결하도록 된 연결프레임와, 일단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하며 타 단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가 결합 되는 좌대 결합지주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회전 고정부가 구비되는 고정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부에 결합 된 테이블 상판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한 다리지주는, 반원 형태의 링 체가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결합 되어 다리지주의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하측에서 반원형의 상기 링 체의 중심 측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지지하도록 되며; 상기한 연결프레임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상기 다리지주의 내측면들을 연결하도록 된 연결편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좌대 결합지주에 의자다리가 없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가지지 않는 좌대가 결합 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됨에 따라, 좌대의 회전시 바닥면과의 마찰 등과 같은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바닥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좌대 결합지주가 다리지주들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연결된 고정지주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회전시 다리지주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04787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67702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76547호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542721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블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의 저하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에 좌대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최소로 하여 좌대의 회전을 간편하게 하여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은,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부에 상판을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된 좌대를 가지는 좌대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용 다리가 적용되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주수단은, 상부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하단에 바닥에 대한 지지하도록 된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를 관통하면서 횡방향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속되되 상기 지주부재와의 사이에 태엽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원위치로의 탄성복귀력을 가지도록 된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와 축결합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수평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좌대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종단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관에 수직상 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관상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귀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좌대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은, 좌대수단이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가지지 않음에 따라, 좌대의 회전시 바닥면과의 마찰 등과 같은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바닥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좌대수단을 상판의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필요시 상판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공간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보인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보인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구성하는 진동흡수수단을 보인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를 구성하는 지주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은,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부에 상판(11)을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된 좌대(31)를 가지는 좌대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용 다리(1)를 가진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좌대수단을 상기 상판(11)의 하부에 배치하여 테이블의 주위공간을 넓게 사용한 상태에서, 필요시 상기 좌대수단을 상기 상판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판의 외측에 상기 좌대수단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착석하도록 되어 있어, 공간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에서, 상기 지주수단은, 상부는 상기 상판(11)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하단에 바닥에 대한 지지하도록 된 지주부재(2)와; 상기 지주부재(2)를 관통하면서 횡방향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속되되 상기 지주부재(2)와의 사이에 태엽스프링(S1)을 통해 연결되어 원위치로의 탄성복귀력을 가지도록 되며 상기 좌대수단이 결합된는 회동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주부재(2)를 통해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상판(1)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며; 필요시 상기 회동부재(4)를 통해 상기 좌대수단을 상기 상판(11)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판(11)의 외측에 상기 좌대수단을 배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주부재(2)는, 길이를 가지는 '봉(rod)' 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지는 지주봉(21)과; 상기 지주봉(21)의 상단에 결속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11)이 결속되는 상부지지체(22)와; 상기 지주봉(21)의 하단에 결속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바닥지지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바닥지지체(23)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저면은 바닥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적합하게 하도록 된 넓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부지지체(22)에는, 상기 지주봉(21)의 상단이 결속되는 결속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체(23)에는, 상기 지주봉(21)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너트관이 억지 끼움결속하는 결합공(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에서, 상기 회동부재(4)는, 상기 지주부재(2)와 축결합하는 회동부(41)와; 상기 회동부(41)에서 수평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좌대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동부(41)를 통해 상기 지주부재(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42)를 통해 상기 좌대수단이 결속되어 상기 지주부재(2)에 대하여 상기 좌대수단을 축회동가능하게 조립하게 된다.
상기에서 회동부(41)는, 상기 지주봉(21)을 관통하면서 축결하며 상기 지주봉(21)에 대하여 상기 태엽스프링(S1)을 통해 탄성적으로 결속되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좌대수단은, 상기 연결부(42)의 종단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관(33)에 수직상 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관(33)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귀탄성력을 가지는 좌대지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좌대지주(32)가 상기 고정관(33)에 대하여 상측으로 탄성가압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이격된 높이에서 배치 및 회동운동하며, 사용자가 상기 좌대(31)에 착석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좌대지주(32)의 하단이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지지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착석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관(33)과 상기 좌대지주(32)의 사이에는, 미도시된 복귀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관(33)에 대하여 상기 좌대지주(3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는, 상기 지주봉(21)에서 상기 회동부재(4)의 상기 회동부(41)와 상기 바닥지지체(23)의 사이에는, 상기 바닥지지체(23)에 대한 상기 회동부(41)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보조지지체(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적용된 상기 보조지지체(24)의 높이이 따라 상기 지주봉(21)에 대한 상기 회동부재(4)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바닥면에 대한 상기 좌대수단 사이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면에 대한 환경요건에 따라 상기 좌대수단의 적합한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품질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에서, 상기 지주봉(21)에는, 상기 회동부재(4)의 상기 회동부(41)를 상기 보조지지체(24)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함과 아울러 수직상 진동운동을 보조하도록 된 진동흡수수단(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흡수수단(5)을 통해 상기 좌대수단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상쇄하여 상기 회동부재(4)에 대한 충격내성을 보조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상쇄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상기에서 진동흡수수단(5)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체(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안내홈(511)들이 저면에 형성된 안내체(51)와; 상기 지주봉(21)을 관통하면서 상하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안내홈(511)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수직상 직선운동하면서 안내되는 안내돌기(521)들이 구비된 안내관(52)과; 상기 안내체(51)와 상기 안내관(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체(51)에 대하여 상기 안내관(52)을 상기 회동부재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스프링(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홈(511)들과 상기 안내돌기(521)들을 통해 상기 안내관(52)이 상기 안내체(51)의 하부에서 수직상 이동가능하게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관(52)의 하단이 상기 회동부재(4)의 회동부(41)의 상단을 상기 가압스프링(S2)의 탄성력을 통해 탄성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4)에 대한 수직상 진동운동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대수단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상기 회동부재(4)의 수직상 진동운동으로 상쇄하여 상기 회동부재(4)에 대한 충격내성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내홈(511)은, 상기 안내체(51)의 저면에서 중앙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6개 1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돌기(521)들은, 상기 안내관(52)의 상면에서 중앙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안내홈(511)들에 맞춤되게 배치되는 3개 1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스프링(S2)은, 상기 안내돌기(521)가 미결합되는 상기 안내홈(511)들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에서 상기 지주수단에는, 상기 지주부재(2)에는, 상기 회동부재(4)의 상기 회동부(41)에 부여된 복귀탄성력에 대한 저항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동부재(4)의 복귀회전시간을 조절하도록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한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적용되는 테이블용 다리(1)에서 상기 지주수단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체(23)의 결합공(231)에 끼움결속되며 내부에 상기 지주봉(21)에서 일부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들과 나사결합되는 너트관(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봉(21)이 상기 너트관(6)에 대하여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지주봉(21)의 상단에 결속된 상기 상부지지체(22)를 상기 안내관(52)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운동시키어, 상기 가압스프링(S2)의 압축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4)의 회동부(41)에 대한 상기 안내관(52)의 가압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동부재(4)의 복귀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4)의 복귀회전시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테이블용 다리(1)는, 상기 좌대수단이 상기 회동부재(4)를 통해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2)에 대하여 상기 회동부재(4)의 회동운동을 통해, 회전운동하도록 된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테이블용 다리 11 : 상판
2 : 지주부재 21 : 지주봉
22 : 상부지지체 221 : 결속공
23 : 바닥지지체 231 : 결합공
24 : 보조지지체 31 : 좌대
32 : 좌대지주 33 : 고정관
4 : 회동부재 41 : 회동부
42 : 연결부 5 : 진동흡수수단
51 : 안내체 511 : 안내홈
52 : 안내관 521 : 안내돌기
6 : 안내관
S1 : 태엽스프링 S2 : 가압스프링

Claims (2)

  1.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부에 상판(11)을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된 좌대(31)를 가지는 좌대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수단은 상부는 상기 상판(11)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하단에 바닥에 대한 지지하도록 된 지주부재(2)와 상기 지주부재(2)를 관통하면서 횡방향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속되되 상기 지주부재(2)와의 사이에 태엽스프링(S1)을 통해 연결되어 원위치로의 탄성복귀력을 가지도록 된 회동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4)는 상기 지주부재(2)와 축결합하는 회동부(41)와 상기 회동부(41)에서 수평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좌대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수단은 상기 연결부(42)의 종단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관(33)에 수직상 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관(33)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복귀하는 복귀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좌대지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용 다리(1)가 적용되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2)는,
    길이를 가지는 '봉(rod)' 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지는 지주봉(21)과; 상기 지주봉(21)의 상단에 결속되며 상부에 상기 상판(11)이 결속되는 상부지지체(22)와; 상기 지주봉(21)의 하단에 결속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밀착지지하도록 된 바닥지지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봉(21)에는,
    상기 회동부재(4)의 상기 회동부(41)를 보조지지체(24)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함과 아울러 수직상 진동운동을 보조하도록 된 진동흡수수단(5)이 구비되되;
    상기 진동흡수수단(5)은,
    상기 상부지지체(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된 안내홈(511)들이 저면에 형성된 안내체(51)와; 상기 지주봉(21)을 관통하면서 상하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안내홈(511)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수직상 직선운동하면서 안내되는 안내돌기(521)들이 구비된 안내관(52)과; 상기 안내체(51)와 상기 안내관(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체(51)에 대하여 상기 안내관(52)을 상기 회동부재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스프링(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2. 삭제
KR1020190102947A 2019-08-22 2019-08-22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07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47A KR102079660B1 (ko) 2019-08-22 2019-08-22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47A KR102079660B1 (ko) 2019-08-22 2019-08-22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60B1 true KR102079660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947A KR102079660B1 (ko) 2019-08-22 2019-08-22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50B1 (ko) * 2023-05-04 2023-11-22 영남강철 주식회사 식탁다리용 홀드 브레이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77A (ja) * 2000-03-27 2001-10-09 Samhongsa Co Ltd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KR200331262Y1 (ko) * 2003-07-10 2003-10-30 손경섭 의자일체형 테이블
KR100805784B1 (ko) *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1038163B1 (ko) * 2010-07-28 2011-05-31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JP2011137502A (ja) * 2009-12-28 2011-07-14 Ebisu Furniture Kk 緩衝装置および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104787B1 (ko) 2008-09-19 2012-01-12 권재국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
KR101467702B1 (ko) 2013-09-17 2014-12-0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연결지지대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76547B1 (ko) 2013-07-30 2014-12-2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상부프레임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2721B1 (ko) 2015-03-05 2015-08-0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KR101925302B1 (ko) * 2018-07-06 2018-12-05 한일기업합자회사 회전 효율과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기능성 스툴테이블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77A (ja) * 2000-03-27 2001-10-09 Samhongsa Co Ltd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KR200331262Y1 (ko) * 2003-07-10 2003-10-30 손경섭 의자일체형 테이블
KR100805784B1 (ko) * 2007-03-14 2008-02-21 조국환 의자 일체형 다용도 데스크
KR101104787B1 (ko) 2008-09-19 2012-01-12 권재국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
JP2011137502A (ja) * 2009-12-28 2011-07-14 Ebisu Furniture Kk 緩衝装置および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038163B1 (ko) * 2010-07-28 2011-05-31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76547B1 (ko) 2013-07-30 2014-12-2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상부프레임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67702B1 (ko) 2013-09-17 2014-12-02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연결지지대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2721B1 (ko) 2015-03-05 2015-08-0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KR101925302B1 (ko) * 2018-07-06 2018-12-05 한일기업합자회사 회전 효율과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기능성 스툴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50B1 (ko) * 2023-05-04 2023-11-22 영남강철 주식회사 식탁다리용 홀드 브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974A (en) Seat furniture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KR101633915B1 (ko) 좌대 일체형 테이블
US8256360B2 (en) Massage table with secure lock legs
KR102079660B1 (ko) 자동복귀 속도 제어기능이 내장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1925302B1 (ko) 회전 효율과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제고되는 기능성 스툴테이블
KR10054951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101467702B1 (ko) 연결지지대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2721B1 (ko) 의자 지지봉이 없는 일체형 테이블
US3053571A (en) Chair iron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KR10119104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109431757B (zh) 一种具有可调坐凳功能的折叠式拐杖
KR101090195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102604550B1 (ko) 식탁다리용 홀드 브레이크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20120137202A (ko) 좌식 겸용 입식 의자
CN210433155U (zh) 一种自动沙发铁架的伸展传动组件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RU2537758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US20130119739A1 (en) Foldable Chair
CN110638247A (zh) 一种便携式圆柱板凳
CN113425110A (zh) 一种稳固的折叠椅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