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550B1 - 수납식 침대 - Google Patents

수납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550B1
KR101561550B1 KR1020130136086A KR20130136086A KR101561550B1 KR 101561550 B1 KR101561550 B1 KR 101561550B1 KR 1020130136086 A KR1020130136086 A KR 1020130136086A KR 20130136086 A KR20130136086 A KR 20130136086A KR 101561550 B1 KR101561550 B1 KR 10156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fixing member
plat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107A (ko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 filed Critical 김혁
Priority to KR102013013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8Folding bedsteads only legs being fol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용이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으며, 침대를 펼칠 때 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수납장(10)과,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장(10)에 수납되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50)와, 수납장(10)과 프레임(30)을 연결하여 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와, 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서 프레임(30)을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은, 바닥쪽을 향하여 구비되는 밑판(31)과, 밑판(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판(34)과, 전면에 구비되는 앞판(32)과, 후면에 구비되는 뒷판(33)과, 상기 측판(34), 앞판(32) 및 뒷판(33)의 내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35)와, 테두리부재(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레임(30)의 상부에 2개의 중간판(38)이 더 구비되며, 다리부(40)가 구비되는 밑판(31)에는 다리(42)가 통과하기 위한 다리통과 슬롯(37)이 형성되고, 수납장(10)의 상부 내측에는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식 침대{Collapsible Bed}
본 발명은 수납장에 수납되는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저면에 자동적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는 다리 및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침대를 펼칠 때에 다리를 별도로 펼칠 필요가 없고, 프레임과 조립된 프레임 고정부재의 일단부가 수납장의 안쪽을 향하여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의 확산과 더불어 최근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 아파트, 원룸, 소형 오피스텔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좁은 주거 공간에서는 책상, 옷장 및 침대 등의 가구를 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침대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의 활용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좁은 주거 공간에서는 접이식 침대나 수납식 침대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접이식 침대는 접을 수 있는 매트리스 프레임 위에 분리된 매트리스를 배치하여 매트리스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침대를 접은 상태로 두었다가 취침시에 매트리스를 펼쳐서 사용한다.
상기 접이식 침대는 공간의 활용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펼쳐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접을 침대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수납식 침대는, 건물에 일체로 설치되는 붙박이장 또는 별도로 설치되는 수납장에 매트리스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수납식 침대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13-0095210호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식 침대는, 외측 고정물(S)의 내부에 매트리스(M)및 프레임(F)이 수납되는 구조로서, 프레임(F)의 하부에는 다리(L)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F)에는 링크 구동장치(100)가 구비되어, 매트리스(M)를 외측 고정물(S)의 내부로 수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식 침대는, 링크 구동장치(100)가 프레임(F)에 구비된 2개의 고정축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F)에 설치된 다리(L)를 고정구 및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접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수납식 침대의 또 다른 예인 공개특허 10-2012-0109717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식 침대는, 우뮤선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수납장(1)의 개방부(9)에 매트리스(3)를 수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몸체(4)의 일측부에 전동모터를 구비한 전동부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4)의 타측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6)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식 침대는, 유무선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침대를 수납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의 수납식 침대는, 전동모터와 제어부 및 리모컨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가격이 매우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 20-0331209호에는 침대를 펼칠 때 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침대가 바닥에서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한 절첩다리는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 20-0360170호에는 침대를 펼치거나 접을 때 다리가 전면판에 밀착되도록 하여 마찰과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한 절첩다리 역시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5-0009968호에는 수납장에 침대가 절첩되도록 하고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력조절장치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탄성력이 저하되고, 장력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 KR 20-0331209 Y1 특허문헌 2: KR 20-0360170 Y1 특허문헌 3: KR 10-2005-0009968 A 특허문헌 4; 10-2012-0109717 A 특허문헌 5: 10-2013-0095210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용이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를 펼칠 때 프레임의 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고, 침대가 펼쳐진 후에는 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프레임의 기울어짐이나 움직임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를 접을 경우 다리가 자동적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다리를 접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의 다리와 손잡이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침대를 펼칠 때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트리스 프레임을 매트리스를 장착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대형의 매트리스도 프레임에 손쉽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 구동장치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작동불량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모터 및 제어부와 같은 별도의 전장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동식 구동장치와 같이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 구동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수납장과,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장에 수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수납장과 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쪽을 향하여 구비되는 밑판과, 밑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판과, 전면에 구비되는 앞판과, 후면에 구비되는 뒷판과, 상기 측판, 앞판 및 뒷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2개의 중간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가 구비되는 밑판에는 다리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장의 상부 내측에는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은,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밑판의 양 측면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판 및 뒷판은 매트리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앞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밑판과 접하는 일측에 다리가 회동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앵글과, 상기 고정앵글의 안쪽에 구비되어 다리가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조립되어 밑판의 슬롯을 통과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2개의 다리와, 상기 2개의 다리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와 조립되는 다리의 일단부는, 힌지부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침대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조립되는 다리의 타단부는, 침대를 접었을 때 손잡이가 밑판의 슬롯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깥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실리콘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납장의 측면 양쪽에 고정되는 수납장 고정부재와, 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재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의 하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의 안쪽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의 상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의 바깥쪽 일단을 연결하여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쇼크 업소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슬리브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암나사부와,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조립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립볼트가, 프레임 고정부재에 조립된 중공의 슬리브를 통과하여 수납장 고정부재의 하부 단부에 구비된 암나사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쇼크 업소버는, 유압식 또는 가스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용이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침대를 펼칠 때에는 프레임의 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고, 침대가 펼쳐진 후에는 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의 기울어짐이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를 접을 경우 다리가 자동적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다리를 접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를 펼칠 때에는 다리와 일체형으로 구비된 손잡이를 가볍게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의 매트리스도 프레임에 손쉽게 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 구동장치의 구조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소음 발생이 없고 탄성력의 저하에 따른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모터 및 제어부와 같은 별도의 전장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동식 구동장치와 같이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 구동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납식 침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납식 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프레임과 매트리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다리부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다리부 조립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로서, 도 7a는 침대를 접은 상태, 도 7b는 침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는,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수납장(10)과,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장(10)에 수납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50)와, 상기 수납장(10)과 프레임(30)을 연결하여 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와,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서 프레임(30)을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수납장의 내부로 완전히 수용된다. 이에 따라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 손잡이(43)를 당기면 도 3b 및 도 3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43)는 바닥을 지지하게 되어 침대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쪽을 향하여 구비되는 밑판(31)과, 밑판(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판(34)과, 전면에 구비되는 앞판(32)과, 후면에 구비되는 뒷판(33)과, 상기 측판(34), 앞판(32) 및 뒷판(33)의 내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35)와, 상기 테두리부재(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수납장(10)과 같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중간판(38)이 더 구비된다. 상기 중간판을 2개로 분할하여 설치하는 것은 중간판(38)을 프레임(30)의 상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40)가 구비되는 밑판(31)에는 다리(42)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침대를 펼치게 되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42)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바닥쪽으로 펼쳐져 프레임(30)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리부(40)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장(10)의 상부 내측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스프링식 또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되어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30)의 밑판(31)과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측판(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가 작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밑판(31)의 양 측면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장(10)의 측면과 프레임(30)의 측판(3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구동부(60)가 이 공간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34) 및 뒷판(33)은 앞판(3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를 앞에서부터 밀어 넣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밑판(31)과 접하는 일측에 다리(42)가 회동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36)에 고정되는 고정앵글(41)과, 상기 고정앵글(41)의 안쪽에 구비되어 다리(42)가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힌지부(44)와, 상기 힌지부(44)와 조립되어 밑판(31)의 슬롯(37)을 통과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2개의 다리(42)와, 상기 2개의 다리(42)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44)와 조립되는 다리(42)의 일단부는, 힌지부(44)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침대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3)와 조립되는 다리(42)의 타단부는, 침대를 접었을 때 손잡이(43)가 밑판(31)의 슬롯(3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깥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리부(40)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고정앵글(41)을 밑판(31)에 조립하고, 손잡이(43)를 조립한 다리(42)를 밑판(31)의 하부에서 밀어 넣은 후, 상기 다리(42)의 일단부(상부)를 힌지부(44)에 조립한다.
즉, 고정앵글(41)은 밑판(31)의 안쪽에 조립하고, 손잡이(43)는 밑판(31)의 바깥쪽(지면쪽)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 6a 및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42) 및 손잡이(43)는 90도 범위내 에서 그 자중에 의해 회동한다.
이에 따라 침대를 펼칠 때에 다리부(40)가 자동으로 펼쳐져 바닥에 안착되므로, 다리부(40)를 별도로 펼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43)는 실리콘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에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의 측면 양쪽에 고정되는 수납장 고정부재(61)와, 프레임(3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재(62)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62)의 안쪽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6)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상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62)의 바깥쪽 일단을 연결하여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쇼크 업소버(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쇼크 업소버(63)는, 유압식 또는 가스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62)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공(66-4)에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슬리브(66-1)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66-1)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암나사부(66-3)와,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조립볼트(6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볼트(66-2)가, 프레임 고정부재(62)에 조립된 중공의 슬리브(66-1)를 통과하여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단부에 구비된 암나사부(66-3)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62)는 프레임(30)의 측판(34) 및 뒷판(33)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단과 조립된 프레임 고정부재(62)가 수납장(10)의 안쪽을 향하여 90도범위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 고정부재(62)와 조립된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90도 범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쇼크 업소버(63)의 일단이 제1 연결부(64)에 의해 상기 수납장(1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된 수납장 고정부재(61)의 상단과 연결되고, 쇼크 업소버(63)의 타단이 제2 연결부(65)에 의해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6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는 상기 쇼크 업소버(63)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부드럽게 펼쳐지고 접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침대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및 매트리스를 접어둔다. 이때 다리(42)는 밑판(31)에 형성된 슬롯(37)을 통해 밑판(31)을 통과한 상태가 되고, 다리의 단부에 구비된 손잡이(34)는 밑판(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4)를 약간 당기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는 그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의 하측 양 단부가 프레임 고정부재(6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62)가 제2 연결부(65)에 의해 쇼크 업소버(63)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는 부드럽게 내려오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쇼크 업소버(63)의 압력은,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의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4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기 시작하고,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아래로 완전히 내려오게 되면 다리(42)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수직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침대를 펼칠 때마다 다리(42)를 별도로 펼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침대를 접을 경우에는 프레임(30)의 앞쪽(상부)을 들어올리면 되는데, 일정 각도 이상이 되면 프레임(30)과 매트리스(50)의 무게중심이 수납장(10)의 안쪽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는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된다.
즉, 침대를 접을 때는 프레임(30)의 하측 단부와 연결된 프레임 고정부재(62)가 수납장(10)의 바깥쪽을 향하여 회동하므로, 프레임(30)과 매트리스(50)의 무게 중심점이 수납장(10)의 안쪽을 향하게 되어,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부드럽게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장(10)의 상부 양 측면에는 완충부재(70)가 설치되어 있어, 침대를 접을 경우 프레임의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를 접은 상태에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리(42) 및 손잡이(43)가 그 자중에 의해 밑판에 접하게 된다(도 3a 참조).
또한 침대를 펼칠 때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42)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바닥에 안착된다.
또한, 침대를 접을 경우에는, 프레임(30)과 매트리스(50)의 무게 중심점이 수납장(10)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의 중량에 따라 쇼크 업소버의 압력을 조절하면,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접을 수가 있다.
즉,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일정 각도로 상승된 이후에는 무게 중심점이 수납장(10)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프레임(30) 및 매트리스(50)가 부드럽게 접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침대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수납식 침대를 가로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링크구동장치 F: 프레임
L: 다리 M: 매트리스
S:외측고정물
1: 수납장 3: 매트리스
4: 몸체 5: 받침대
6: 장력조절부 7: 전동부
26: 제어부
10: 수납장 30: 프레임
31: 밑판 32: 앞판
33: 뒷판 34: 측판
35: 테두리부재 36: 보강부재
37: 슬롯(Slot) 38: 중간판
40: 다리부 41: 고정앵글
42: 다리 43: 손잡이
44: 힌지부 50: 매트리스(Mattress)
60: 구동부 61: 수납장 고정부재
62: 프레임 고정부재 63: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64: 제1 연결부 65: 제2 연결부
66: 연결부재 70: 완충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전방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수납장(10)과,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장(10)에 수납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50)와, 상기 수납장(10)과 프레임(30)을 연결하여 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와,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서 프레임(30)을 지지하는 다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은,
    바닥쪽을 향하여 구비되는 밑판(31)과, 밑판(3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판(34)과, 전면에 구비되는 앞판(32)과, 후면에 구비되는 뒷판(33)과, 상기 측판(34), 앞판(32) 및 뒷판(33)의 내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35)와, 상기 테두리부재(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2개의 중간판(38)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40)가 구비되는 밑판(31)에는 다리(42)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37)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장(10)의 상부 내측에는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70)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34)은, 상기 구동부(60)가 작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밑판(31)의 양 측면에서 안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판(34) 및 뒷판(33)은 매트리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앞판(3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밑판(31)과 접하는 일측에 다리(42)가 회동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어상기 보강부재(36)에 고정되는 고정앵글(41)과, 상기 고정앵글(41)의 안쪽에 구비되어 다리(42)가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힌지부(44)와, 상기 힌지부(44)와 조립되어 밑판(31)의 슬롯(37)을 통과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2개의 다리(42)와, 상기 2개의 다리(42)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4)와 조립되는 다리(42)의 일단부는, 힌지부(44)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침대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43)와 조립되는 다리(42)의 타단부는, 침대를 접었을 때 손잡이(43)가 밑판(31)의 슬롯(3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깥쪽을 향하여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3)는 실리콘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중심축(43-1)에대해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수납장(10)의 측면 양쪽에 고정되는 수납장 고정부재(61)와, 프레임(3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재(62)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62)의 안쪽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6)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상부 일단과 프레임 고정부재(62)의 바깥쪽 일단을 연결하여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쇼크 업소버(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6)는,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62)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공(66-4)에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슬리브(66-1)와, 상기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66-1)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암나사부(66-3)와,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조립볼트(6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립볼트(66-2)가, 프레임 고정부재(62)에 조립된 중공의 슬리브(66-1)를 통과하여 수납장 고정부재(61)의 하부 단부에 구비된 암나사부(66-3)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63)는, 유압식 또는 가스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KR1020130136086A 2013-11-11 2013-11-11 수납식 침대 KR10156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86A KR101561550B1 (ko) 2013-11-11 2013-11-11 수납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86A KR101561550B1 (ko) 2013-11-11 2013-11-11 수납식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07A KR20150054107A (ko) 2015-05-20
KR101561550B1 true KR101561550B1 (ko) 2015-10-19

Family

ID=5339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086A KR101561550B1 (ko) 2013-11-11 2013-11-11 수납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434U1 (ru) * 2020-04-30 2020-10-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густ Диэсджи"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392B1 (ko) 2016-02-24 2018-09-28 정영웅 수납식 침대의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CN106617886A (zh) * 2017-01-24 2017-05-10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亲子沙发
CN108283405B (zh) * 2018-02-28 2023-09-22 深圳技术大学(筹) 一种沙发床减震组件和具有沙发床减震组件的组合沙发床
CN110215079A (zh) * 2019-06-27 2019-09-10 西安博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腿折叠式陪护床
KR102152548B1 (ko) * 2019-12-13 2020-09-04 최영숙 댐퍼가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KR102347327B1 (ko) * 2020-09-21 2022-01-04 최영숙 사이드 레일용 댐퍼 및 댐퍼가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3207A (ja) * 2006-09-21 2008-04-03 Takuma Fujisawa 起倒式収納ベッド・ソファーベッド・長椅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3207A (ja) * 2006-09-21 2008-04-03 Takuma Fujisawa 起倒式収納ベッド・ソファーベッド・長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434U1 (ru) * 2020-04-30 2020-10-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густ Диэсджи"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07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550B1 (ko) 수납식 침대
US8801581B2 (en) Treadmill foldable into a chair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US8006327B1 (en) Pivoting leg assembly for folding furniture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30074029A (ko) 접이식 의자 겸용 침대
EP2838400B1 (en) Convertible piece of furniture, from sofa use to bed use and vice versa
KR101921791B1 (ko) 수납식 침대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US7921785B1 (en) Furniture with foldable support
KR10054951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101090842B1 (ko) 접힘구조를 갖는 테이블
KR101892843B1 (ko) 트랜스포머 침대
JP3209237U (ja) エクササイズバイクの機能を有する椅子の調整構造
KR101445231B1 (ko) 다기능 가구
KR100824077B1 (ko) 침대 겸용 다용도 테이블 세트
KR102085745B1 (ko)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KR101439648B1 (ko)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 구동 장치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CN114568875B (zh) 一种搁脚可折叠的功能沙发机械伸展装置
CN212650625U (zh) 可自动复位的双缓冲折叠凳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KR101809422B1 (ko) 수강용 탁자
CN212878529U (zh) 折合椅结构
KR200360170Y1 (ko) 수납침대의 절첩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