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74B1 -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74B1
KR100996274B1 KR1020100040167A KR20100040167A KR100996274B1 KR 100996274 B1 KR100996274 B1 KR 100996274B1 KR 1020100040167 A KR1020100040167 A KR 1020100040167A KR 20100040167 A KR20100040167 A KR 20100040167A KR 100996274 B1 KR100996274 B1 KR 10099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otating
bracket
inner r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하나이상의 의자를 절첩 가능하게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일어나면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안쪽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프레임의 절첩부분은 베어링을 내설하여 절첩시 마찰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해 부품마모도를 낮춰 테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TABLE WITH THE AUTOMATIC FOLDING CHAIR}
본 발명은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하나이상의 의자를 절첩 가능하게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일어나면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안쪽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프레임의 절첩부분은 베어링을 내설하여 절첩시 마찰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해 부품마모도를 낮춰 테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휴게실이나 간이식당과 같은 곳에는 의자가 분리구성되는 테이블을 안치할 경우 의자 정리가 잘 되지 않아서 장소가 혼잡스럽고 통행에 많은 불편함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의자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의자를 테이블 안쪽으로 밀어넣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 테이블이 안치된 공간을 협소하게 함으로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0311562호(2003.04.14.)와 등록특허 제0799188호(2008.01.23)에는 테이블프레임에는 보조프레임, 의자에는 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되 회전가능하도록 스프링으로 탄성연결하여 일측방향인 테이블 안쪽으로 자동절첩되게 구성된 테이블을 제시하여 공간적인 활용도를 극대화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 테이블은 회전되는 부분에서 과다한 마찰이 발생되며, 발생된 마찰력은 의자와 연결된 연결프레임의 회동에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큰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이 요구된다. 또한, 회전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마찰소음도 발생됨으로 주위사람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종래등록특허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 7을 살펴보면, 테이블 프레임에 장착되는 연결부(1)의 단부에는 회전절첩제(2)가 설치되고, 의자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3)의 단부에는 회전하우징(4)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을 회전절첩제에 내입시키고, 회전축(5)을 수직방향으로 삽통시켜 장착함으로써 회전절첩제 내에서 회전하우징이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회전절첩제에 고정되는 회전축의 일측과 회전하우징의 일측에는 스프링(6)으로 연결하여 회동가능한 연결프레임이 일측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 고정된 회전축 및 회전절첩제와 접족되는 회전하우징 즉, 회전축의 외면과 이를 내포하는 회전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와, 회전절첩제 하부부재의 상단면과 회전하우징 하부면 사이는 접촉된 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짐으로 접촉마찰이 발생되어 회동시 마찰소음 및 회동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테이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테이블의 수직프레임과 의자의 연결프레임을 베어링으로 연결하여 두 프레임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부품의 마모도를 낮춰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다수의 수직 수평 프레임과 상판으로 형성된 테이블과; 좌판과 다리가 형성된 의자와;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회동연결체;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체는, 관체로 내부에 베어링이 내설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테이블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의자 다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축공이 형성된 상하부지지대를 갖는 브라켓이 형성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회동부를 브라켓에 내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의 하부지지대와 회동부의 베어링 내륜과 브라켓의 상부지지대를 순차적으로 삽통하여 너트로 체결되는 회전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은,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프레임의 절첩부분에 베어링을 내설해 절첩시 마찰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부품마모도를 낮춰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연결부가 형성됨으로 절첩가능한 의자가 구비된 테이블 구입없이 기존에 사용하는 테이블의 수직프레임에 회동연결체를 장착하여 절첩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장치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연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절첩식 의자를 갖는 테이블의 주요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의자가 구비된 테이블(10)은 다수의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 및 상판으로 형성된 테이블(11)과, 앉을 수 있는 좌판과 상기 좌판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리(120)로 형성된 의자(12)와,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내부에 베어링(23)이 설치된 회동연결체(13)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체(13)는 도 2와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베어링(23)이 내설되는 관체형태의 회동부(21)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테이블의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연결부(22)로 이루어진 하우징(2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연결부(22)는 반원으로 나뉘어진 관체의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테이블의 수직프레임(110)에 견고하게 볼트체결되도록 하며, 도시된 형태 이외에 클립으로 조이는 등 다양한 형태의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베어링의 외륜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베어링 내륜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연결체(13)에는 의자 다리(1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프레임(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연장된 단부에 브라켓(31)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연결프레임의 단부 상하부에 각각 상부지지대(311)와 하부지지대(3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에는 후술되는 회전축볼트(40)가 삽통되도록 축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볼트(40)는 회동연결체의 회전축으로 작용되는 볼트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의 회동부(21)를 브라켓(31)에 내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의 하부지지대(312)와 회동부의 베어링 내륜(231)과 브라켓의 상부지지대(311)를 순차적으로 삽통하여 너트(44)로 체결된다. 물론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로부터 삽설되는 형태이외에 상부로부터 삽설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볼트(40)는 볼트머리(41)와 접하는 볼트몸체(42) 부분에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걸림부(43)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볼트가 삽설되어 걸림부가 접하는 브라켓의 축공(313)은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태로 형성하면, 회전축볼트 체결시 걸림부(43)가 다각형 형태의 축공(313)에 내입되어 고정됨으로 회전축볼트(40)와 브라켓(31)이 일체화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볼트(40)는 베어링의 내륜(231)과 억지끼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내륜과 회전축볼트 사이에 부싱과 같은 보조부재를 설치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23)과 상기 베어링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의 상하부지지대(312) 사이에는 와셔(2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셔(27)는 하부지지대(312)와 베어링 내륜(231)의 저면 사이와, 베어링 내륜(231) 상면과 상부지지대(311)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브라켓의 상하부지지대(312)와 하우징 회동부(21) 및 베어링 외륜(232)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동시 마찰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27)를 개재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 회전축볼트(40)의 체결력은 와셔(27)를 통해 베어링의 내륜(231)으로만 전달됨으로 브라켓(31)과 와셔(27), 베어링 내륜(231), 회전축볼트(40)가 축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전에서 언급한 바와같은 베어링 내륜과 회전축볼트 사이에 억지끼움 또는 부싱을 통한 결합이 필요없이도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된 형태 이외에 테이블의 수직프레임에 단부에 회동부가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연장형성하여 의자 다리로부터 연장형성된 브라켓을 갖는 연결프레임과 결합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를 의자측 연결프레임에 형성되도록 하고, 브라켓을 테이블측 연결프레임에 형성되도록 하여 두 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연결체(13)에는 토션스프링(25)을 장착하여 특정위치로 자동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5를 참조한 바와같이 하우징(20)의 회동부(21)에는 베어링(23)이 회동부 내부공간인 통공의 상하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23)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는 베어링 축방향으로 간격조절관(24)이 설치되어 회전축볼트 체결시 상하에서 가해지는 체결력에 의해 간격조절관(24)과 베어링 내륜(231)이 압밀되어 일체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관(24)이 설치된 부분에는 토션스프링(25)이 장착된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내측단부를 간격조절관(24)의 홈(241)에 끼우고, 외측단부를 하우징 회동부(21)의 홈(211)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베어링 회전시 토션스프링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의자를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관(24)은 하우징 회동부(21)의 상부면 선상에서 더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축볼트 체결시 가압되는 브라켓의 상부지지대(311)가 간격조절관(24)에만 접하도록 하여 상부지지대(311)와 회동부(21)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31)의 하부지지대(312)와 베어링 내륜(231)사이에도 와셔(27)를 장착하여 회동부 및 외륜이 하부지지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연결체(13)에는 두 개의 베어링(23a,23b)을 장착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부에는 상부베어링(23a)과 하부베어링(23b)을 축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두 베어링 사이에는 보조간격조절관(26)과, 회동부 통공의 내부면에서 환형태로 돌출된 간극돌기(210)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볼트(40)가 삽통되는 보조간격조절관(26)은 상하부베어링(23a,23b)의 내륜(231)에만 접하도록 설치됨으로 회전축볼트 체결시 체결력이 내륜에만 전달되어 회전축볼트(40), 브라켓(31), 간격조절관(24), 상하부베어링 내륜(231), 보조간격조절관(26)이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21)에 형성된 간극돌기(210)는 두 베어링의 외륜(232)사이에 접하게 되며, 간극돌기(210)의 축방향 길이는 보조간격조절관(26)의 길이와 동일/유사하게 형성하여 베어링의 내륜(231)과 외륜(232)이 보조간격조절관(26)과 간극돌기(21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한다. 물론 상하부베어링(23a,23b)을 간극없이 서로 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하우징과 연결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하부베어링 사이의 간격을 크게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관(24)은 하우징의 회동부보다 외부로 더 돌출시키고, 하부베어링(23b)과 브라켓의 하부지지대(312) 사이에는 와셔(27)를 장착하여 브라켓(31)이 회동부(21) 및 회동부 내의 베어링 외륜(232)과 접하여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셔를 사용하지 않고 베어링 내륜과 접하는 브라켓의 상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 면을 돌출시켜 돌출된 부분이 베어링 내륜에만 접하게 함으로써 브라켓이 회동부 및 회동부 내의 베어링 외륜에 이격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공지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접철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도 1과 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테이블(11) 상판 하부에 안치된 의자(12)를 당기면, 의자는 회동연결체(13)의 회전축볼트(4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외부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의자(12)는 연결프레임(30)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31), 상부베어링(23a)과 하부베어링(23b)의 내륜(231), 상기 상부베어링과 브라켓의 상부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관(24), 상기 상하부베어링의 내륜사이에 개재되는 보조간격조절관(26), 상기 간격조절관과 두 베어링의 내륜과 보조간격조절관과 브라켓 상하부지지대의 축공을 삽통하여 체결되는 회전축볼트(40)가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11)의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부가 결합된 하우징(20)은 베어링의 외륜(232)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의자(12)의 회전시 브라켓 상부지지대(311)는 상부로 돌출된 간격조절관(24)에 의해 외륜(232)과 하우징의 회동부(21)와 이격되고, 하부지지대(312)도 와셔 또는 하부지지대의 돌출에 의해 외륜 및 회동부와 이격됨으로 베어링의 강볼 이외의 접촉에 의한 마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일단이 회전되는 간격조절관에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된 하우징의 회동부에 결합된 토션스프링(25)은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의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의자(12)가 테이블 상판 내측으로 자동으로 절첩되는 것이다.
10 :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11 : 테이블 12 : 의자
13 : 회동연결체
110 : 수직프레임 120 : 다리
20 : 하우징
21 : 회동부 22 : 연결부
23 : 베어링 23a : 상부베어링
23b : 하부베어링 24 : 간격조절관
25 : 토션스프링 26 : 보조간격조절관
27 : 와셔
210 : 간극돌기 211,241 : 홈
231 : 내륜 232 : 외륜
30 : 연결프레임
31 : 브라켓
311 : 상부지지대 312 : 하부지지대
313 : 축공
40 : 회전축모듈
41 : 볼트머리 42 : 볼트몸체
43 : 걸림부 44 : 너트

Claims (6)

  1. 다수의 수직(110) 수평 프레임과 상판으로 형성된 테이블(11)과;
    좌판과 다리(120)가 형성된 의자(12)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부(22)와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회동부(21)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의자다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프레임(30)과, 상기 하우징의 회동부와 연결프레임의 단부를 교차하고 연결프레임과 베어링 내륜(231)을 결합하는 회전축볼트(40)로 이루어져 상기 테이블과 의자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체(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체(13)의
    하우징은 관체로 내부에 베어링(23)이 내설되는 회동부(21)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테이블의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연결부(22)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의자 다리(1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축공(313)이 형성된 상하부지지대(312)를 갖는 브라켓(3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볼트(40)는 하우징의 회동부(21)를 브라켓에 내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의 하부지지대(312)와 회동부의 베어링 내륜(231)과 브라켓의 상부지지대(311)를 순차적으로 삽통하여 너트(44)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볼트(40)는 볼트머리(41)와 접하는 볼트몸체(42) 부분에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걸림부(4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가 내입되는 브라켓의 일측 축공(313)은 걸림부와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브라켓과 회전축볼트 및 베어링 내륜이 일체로 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회동부(21)는,
    회동부의 통공 상하 일측에 설치되는 베어링(23)과;
    상기 베어링의 상하 일측에서 베어링축과 동일한 축으로 설치되어 베어링의 내륜(231)과 고정되는 간격조절관(24)과;
    상기 간격조절관이 설치된 공간에 일단이 회동부(21)에 결합되고 타단이 간격조절관(24)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토션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의자에 하중 제거시 자동으로 일측 방향으로 절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회동부(21)에는 상부베어링(23a)과 하부베어링(23b)을 축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두 베어링 사이에는 회동부 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환형태로 간극돌기(210)를 돌출시켜 두 베어링의 외륜(232)이 간극돌기와 접하도록 하고, 상기 두 베어링의 내륜(231) 사이에는 보조간격조절관(26)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간격조절관에 내륜이 접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의 결합체 일측에 간격조절관(24)과 토션스프링(25)이 장착되도록 하여 회전축볼트(40)의 체결력이 간격조절관(24)과 상부베어링(23a)의 내륜과 보조간격조절관(26)과, 하부베어링(23b)의 내륜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관(24)은 회동부의 축방향 일측 단부보다 더 돌출시키고, 상기 단부로 표출되는 하부베어링의 내륜과 브라켓의 하부지지대 사이에는 와셔(27)를 장착하여 연결프레임의 브라켓이 하우징의 회동부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20100040167A 2010-04-29 2010-04-29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99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67A KR100996274B1 (ko) 2010-04-29 2010-04-29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67A KR100996274B1 (ko) 2010-04-29 2010-04-29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274B1 true KR100996274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67A KR100996274B1 (ko) 2010-04-29 2010-04-29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706B1 (ko)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36339B1 (ko) * 2015-02-13 2015-07-13 주식회사 우드메탈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CN107695960A (zh) * 2017-10-15 2018-02-16 芜湖挺优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双工位装配操作机械工作台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245146B1 (ko) 2020-12-16 2021-04-28 서우산업 주식회사 스툴의 회전이 용이한 스툴 일체형 테이블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22Y1 (ko)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20098Y1 (ko) * 2006-03-06 2006-06-28 최성희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22Y1 (ko)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20098Y1 (ko) * 2006-03-06 2006-06-28 최성희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706B1 (ko)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36339B1 (ko) * 2015-02-13 2015-07-13 주식회사 우드메탈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CN107695960A (zh) * 2017-10-15 2018-02-16 芜湖挺优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双工位装配操作机械工作台
CN107695960B (zh) * 2017-10-15 2020-06-30 湖南宇恒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双工位装配操作机械工作台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245146B1 (ko) 2020-12-16 2021-04-28 서우산업 주식회사 스툴의 회전이 용이한 스툴 일체형 테이블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274B1 (ko)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06757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120054147A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417322Y1 (ko)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CN106551538B (zh) 具有摩擦阻尼部件的折叠椅
KR10113266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연결장치
KR20100005049U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40059414A (ko) 연결식 의자용 시트 브라켓
KR101080706B1 (ko)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00023476A (ko) 공간활용형 다용도 가구의 회동 장치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557992B1 (ko) 직선주행이 개선된 가구용 캐스터
CA2455808C (en) Table structure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ed
KR100459987B1 (ko) 보조등받이가 설치된 의자
KR10101601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결합구조
CN211722478U (zh) 一种扶手转动机构
KR20110006859U (ko) 의자를 일체로 구성한 식탁
CN207821481U (zh) 一种折叠椅
CN205994046U (zh) 头枕调节机构
CN220966865U (zh) 一种折叠椅
CN219556758U (zh) 一种用于办公椅的多角度调节式头枕结构
CN212250559U (zh) 一种风扇支撑脚架
CN214295948U (zh) 一种抗侧滚扭杆用新型两半式内置支撑装置
CN220859748U (zh) 一种分体式回位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