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39B1 -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 Google Patents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39B1
KR101536339B1 KR1020150022458A KR20150022458A KR101536339B1 KR 101536339 B1 KR101536339 B1 KR 101536339B1 KR 1020150022458 A KR1020150022458 A KR 1020150022458A KR 20150022458 A KR20150022458 A KR 20150022458A KR 101536339 B1 KR101536339 B1 KR 10153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on
leg
chai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5002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2083/025Computer workstation with integrated seat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하부공간에 의자가 수납된 상태에서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통해 의자가 회전되어 하부공간 밖으로 전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자동복귀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다리가 구비되는 테이블본체부; 상기 테이블다리에 설치되고 측면에 오목캠이 형성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복원디스크와 상기 복원디스크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 및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판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다리는 상기 회전로드에 연결되는 좌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로드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원디스크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Table Storaging Chai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하부공간에 의자가 수납된 상태에서 테이블과 의자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통해 의자가 회전되어 하부공간 밖으로 전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자동복귀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식당이나 구내식당에 구비되는 식사용 테이블의 의자는 이용 후 정리 정돈이 요구되는데, 대규모 식당일수록 식사시간마다 이루어지는 이러한 정돈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 후 테이블의 하부공간으로 의자가 자동 수납되는 종래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1191047호(등록일자: 2012.10.0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연결프레임(1) 양단이 테이블상판(2)과 의자(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의 상부에는 테이블상판(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1)을 회전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의자(3)의 자동수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테이블상판(2)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절곡 구조의 연결프레임(1)은 강도 측면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므로, 연결프레임(1)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잦은 고장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1191047 B1 2012.10.09.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테이블의 하부공간 밖으로 전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공간으로 자동수납되고, 이를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테이블다리가 구비되는 테이블본체부; 상기 테이블다리에 설치되고 측면에 오목캠이 형성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복원디스크와 상기 복원디스크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 및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판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다리는 상기 회전로드에 연결되는 좌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로드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원디스크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연결부에 블록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본체는 상기 테이블다리가 관통되는 다리삽입홀 및 상기 회전로드가 안치되는 유닛장착공이 형성되며, 본체의 상면에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유닛장착공이 한 쌍의 고정단을 통해 중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3단의 중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의 협소부에는 상기 복원디스크가 승/하강가능하게 안치되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는 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회전로드가 오링, 상부베어링, 복원디스크, 복원스프링, 상부와셔, 하부베어링, 하부와셔, 스냅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유닛장착공에 안치되되, 상기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고정단에 각각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회전로드가 막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에는 걸림단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복원디스크가 디스크본체, 볼록캠 및 회전방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본체의 중심에는 회전로드에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주변에는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볼록캠이 돌출 형성되고, 디스크본체의 외곽에는 상기 제어돌기와 암수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연결부에 상판, 수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채널구조의 회전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림 고정되는 상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좌판다리 연결용 부재인 회전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에는 회전로드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테두리 일부 구간에는 상기 멈춤돌기가 내부에 안치되는 회전제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다리삽입홀의 측부를 경계로 분리되어 한 쌍의 볼트를 통해 테이블다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좌판다리는 좌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판브라켓, 상기 판브라켓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직파이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 내부에 T자형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수직파이프가 내장되는 T형브라켓, 상기 수직파이프를 관통한 수직바의 하부와 결합하는 좌판받침대 및 상기 수직바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판브라켓의 배면과 T형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이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은, 상기 오목캠의 윤곽이 정상홈에서 멀어질수록 접선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 의하면, 회전로드에 형성된 오목캠과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복원디스크 및 상기 복원디스크의 배면을 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을 통해, 좌판의 원위치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 의하면, 좌판에 하중이 제거되면 좌판받침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스프링을 통해, 좌판의 원위치 수납시 바닥의 불특정물로부터 간섭됨이 없이 좌판 복귀가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작동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연결부와 좌판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회전유닛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서 연결부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좌판다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서 오목캠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회전로드와 복원디스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테이블본체부(100), 연결부(200) 및 좌판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부(300)는 연결부(200)를 통해 테이블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테이블본체부(100)의 하부공간에 수납된 초기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하부공간 외부로 전개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자동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블본체부(100)는 통상의 식사용 테이블로서, 원형 또는 장방형의 테이블상판(110), 상기 테이블상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상판프레임(120) 및 상기 상판프레임(120)의 각 코너에 구비되는 다리고정 브라켓(121)에 상단이 고정되는 테이블다리(13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연결부와 좌판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양단이 테이블다리(130)와 좌판부(300)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전개되되 전개를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좌판부(300)의 자동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테이블다리(13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0), 양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구비되는 회전유닛(220), 상기 회전유닛(220)의 노출된 양단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230) 및 상기 회전브라켓(230)에 일단이 고정되는 회전프레임(240)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회전유닛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에서 연결부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연결부(200)를 테이블다리(1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블록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 본체(211)에는 테이블다리(130)가 관통되는 다리삽입홀(213)과 회전유닛(220)이 안치되는 유닛장착공(215)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 본체(211)는 상기 다리삽입홀(213)의 측부(A)를 경계로 분리되어 한 쌍의 볼트(212)를 통해 테이블다리(130)에 고정되게 되며, 상면에는 후술할 회전브라켓(230)의 회전제약홈(237)에 배치되는 멈춤돌기(216)가 형성되게 된다.
좌판부(300)는 함께 회전되는 회전제약홈(237)의 양단이 상기 멈춤돌기(216)에 의해 걸림 고정됨으로써 특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테이블본체부(100)의 하부공간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좌판(310)이 상호 간섭됨이 없이 수납되게 되며, 사용자가 테이블상판(110)을 이용하기 알맞은 각도로 좌판(310)이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닛장착공(215)은 한 쌍의 고정단(217)을 통해 중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3단의 중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단(217)에는 후술할 상부베어링(223)과 하부베어링(227)이 안치되며, 상기 중앙 협소부에는 후술할 복원디스크(224)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제어돌기(218)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회전유닛(220)은 좌판부(300)를 전개 또는 자동 복귀시키는 구성으로서, 회전로드(221) 및 상기 회전로드(2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오링(222), 상부베어링(223), 복원디스크(224), 복원스프링(225), 상부와셔(226), 하부베어링(227), 하부와셔(228), 스냅링(22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로드(221)는 막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에는 회전브라켓(23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단(a)과 걸림홈(b)이 각각 형성되며, 원주면에는 상기 복원디스크(224) 및 복원스프링(225)과 함께 전개된 좌판부(300)를 자동 복귀시키는 오목캠(c)이 돌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상부베어링(223)과 하부베어링(227)은 좌판부(300)의 전개 및 복귀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회전로드(221)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닛장착공(215)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단(217)에 각각 안치되며, 베어링의 안정적 회전을 위해 각 베어링의 상하에는 오링(222), 상부와셔(226) 및 하부와셔(228)가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복원디스크(224)는 디스크본체(d), 볼록캠(e) 및 회전방지홈(f)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디스크본체(d)의 중심에는 회전로드(221)에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홀 주변에는 상기 오목캠(c)과 암수 결합하는 볼록캠(e)이 돌출 형성되며, 디스크본체(d)의 외곽에는 제어돌기(218)와 암수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회전방지홈(f)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복원스프링(225)은 상기 디스크본체(d)의 배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전개된 좌판부(300)의 자동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복원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해 오목캠(c)의 정상홈(M)과 볼록캠(e)의 정점(m)은 상호 맞물린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이 맞물린 상태에서는 좌판부(300)가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좌판부(300)가 전개되면 회전프레임(240)을 거처 회전브라켓(23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회전로드(221)를 회전시키나, 복원디스크(224)는 회전방지홈(f)이 제어돌기(218)와 맞물린 상태에 있어 회전이 억제되고, 이로 인해 오목캠(c)의 정상홈(M)과 볼록캠(e)의 정점(m)은 상호 이격되게 된다.
이러한 이격과정에서 복원디스크(224)는 하강하게 되어 복원스프링(225)을 압축하게 되고, 이후 좌판부(300)가 비착석 상태가 되면 복원스프링(225)의 복원력이 복원디스크(224)를 상승시켜 정상홈(M)과 정점(m)의 맞물린 상태, 즉 좌판부(300)의 수납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회전브라켓(230)은 회전로드(221)와 회전프레임(24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판(231), 수직판(233) 및 하판(2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들이 채널구조를 이루며 상호 결합하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판(231)과 수직판(233)이 유닛장착공(215)의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유닛(220)과 결합하게 되며, 상판(231)의 테두리 일부 구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멈춤돌기(216)가 내부에 안치되는 회전제약홈(237)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상판(231)에는 걸림단(a)이 걸림 고정되는 상부고정홀(23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233)에는 회전프레임(240)의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고정홀(234)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판(235)에는 회전로드(221)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고정홀(236)이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회전로드(221)의 하부와 하판(235)의 결합은 회전로드(22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b)이 상기 하부고정홀(236)을 통해 하판(235)의 하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b)에 스냅링(229)이 고정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40)은 회전유닛(220)과 좌판부(3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중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은 프레임고정홀(234)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판부(300)에 고정되며, 좌판부(300)의 수납시 이웃하는 좌판부와 상호 간섭됨이 없도록 일부 구간(241)이 적정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좌판부(300)에 고정되는 회전프레임(240)의 단부에는 수직파이프(242)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파이프(242)에 후술할 수직바(323)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의 좌판다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좌판부(300)는 좌판(310) 및 상기 좌판(310)을 지지하는 좌판다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좌판다리(320)는 좌판(310)의 원위치 복귀시 하단이 바닥에 끌리며 복귀되지 않도록, 비 착석시에는 바닥으로부터 하단이 이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판다리(320)는 좌판(3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판브라켓(321), 상기 판브라켓(321)의 배면에 고정되고 수직파이프(242)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323), 내부에 T자형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수직파이프(242)가 내장되는 T형브라켓(325), 상기 수직파이프(242)를 관통한 수직바(323)의 하부와 결합하는 좌판받침대(327) 및 상기 수직바(323)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판브라켓(321)의 배면과 T형브라켓(32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이격스프링(329)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T형브라켓(325)이 회전프레임(240)에 고정된 상태에서 T형브라켓(325)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격스프링(329)에 나머지 구성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석시에는 이격스프링(329)의 압축변형으로 좌판받침대(327)의 하단이 바닥에 닿되, 비 착석시에는 이격스프링(329)의 탄성 복원으로 상기 하단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좌판부(300)가 테이블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구간에서는 복귀가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는 다른 실시 예로서 오목캠(c)의 윤곽이 상기와 같은 서행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오목캠(c)의 경사도가 급할수록 좌판부(300)의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목캠(c)의 윤곽이 정상홈(M)에서 멀어질수록 접선각(θ)이 작아지는 완경사 구간이 형성되도록 하면, 볼록캠(e)의 정점(m)이 상기 정상홈(M)으로부터 멀어진 상태, 즉 좌판부(300)의 복귀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정점(m)이 오목캠(c)의 완경사 구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좌판부(300)는 급경사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테이블본체부
110: 테이블상판
120: 상판프레임
130: 테이블다리
200: 연결부
210: 고정브라켓
211: 고정브라켓 본체 213: 다리삽입홀
215: 유닛장착공 216: 멈춤돌기
217: 고정단 218: 제어돌기
220: 회전유닛
221: 회전로드 222: 오링
223: 상부베어링 224: 복원디스크
225: 복원스프링 226: 상부와셔
227: 하부베어링 228: 하부와셔
229: 스냅링
230: 회전브라켓
231: 상판 232: 상부고정홀
233: 수직판 234: 프레임고정홀
235: 하판 236: 하부고정홀
237: 회전제약홈
240: 회전프레임
300: 좌판부
310: 좌판
320: 좌판다리
321: 판브라켓 323: 수직바
325: T형브라켓 327: 좌판받침대
329: 이격스프링

Claims (10)

  1. 테이블다리가 구비되는 테이블본체부;
    상기 테이블다리에 설치되고 측면에 오목캠이 형성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복원디스크와 상기 복원디스크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부; 및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판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다리는 상기 회전로드에 연결되는 좌판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로드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원디스크는 회전이 억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블록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본체는 상기 테이블다리가 관통되는 다리삽입홀 및 상기 회전로드가 안치되는 유닛장착공이 형성되며, 본체의 상면에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장착공은 한 쌍의 고정단을 통해 중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3단의 중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의 협소부에는 상기 복원디스크가 승/하강가능하게 안치되되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는 제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오링, 상부베어링, 복원디스크, 복원스프링, 상부와셔, 하부베어링, 하부와셔, 스냅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유닛장착공에 안치되되, 상기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고정단에 각각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막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단과 하단에는 걸림단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디스크는 디스크본체, 볼록캠 및 회전방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본체의 중심에는 회전로드에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의 주변에는 상기 오목캠과 암수 결합하는 볼록캠이 돌출 형성되고, 디스크본체의 외곽에는 상기 제어돌기와 암수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판, 수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채널구조의 회전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림 고정되는 상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좌판다리 연결용 부재인 회전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에는 회전로드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테두리 일부 구간에는 상기 멈춤돌기가 내부에 안치되는 회전제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다리삽입홀의 측부를 경계로 분리되어 한 쌍의 볼트를 통해 테이블다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다리는 좌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판브라켓, 상기 판브라켓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직파이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 내부에 T자형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수직파이프가 내장되는 T형브라켓, 상기 수직파이프를 관통한 수직바의 하부와 결합하는 좌판받침대 및 상기 수직바에 외삽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판브라켓의 배면과 T형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이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캠은 윤곽이 정상홈에서 멀어질수록 접선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KR1020150022458A 2015-02-13 2015-02-13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KR10153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58A KR101536339B1 (ko) 2015-02-13 2015-02-13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58A KR101536339B1 (ko) 2015-02-13 2015-02-13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339B1 true KR101536339B1 (ko) 2015-07-13

Family

ID=5379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458A KR101536339B1 (ko) 2015-02-13 2015-02-13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33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597A (zh) * 2018-04-17 2018-08-10 桂林电子科技大学 旋转式收纳桌凳套件
KR101941007B1 (ko) * 2018-06-20 2019-01-23 (주)코아스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KR101944281B1 (ko) * 2017-09-18 2019-01-31 강준기 스툴 장착형 테이블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1982262B1 (ko) 2018-11-05 2019-08-28 주식회사 야흥금속 이동식 스툴 테이블의 의자 회전장치
KR102120289B1 (ko) 2019-07-04 2020-06-16 박형한 수납식 회전의자를 갖는 테이블과 상기 회전의자를 연결하는 회전부재
CN112415363A (zh) * 2020-11-06 2021-02-26 金禄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pcb板高压测试机
KR102258998B1 (ko) 2020-11-13 2021-06-02 주식회사 주경 의자 자동 수납 테이블용 의자 탄지장치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569324B1 (ko) * 2023-06-05 2023-08-23 주식회사 이노프 착석 방향 제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595032B1 (ko) * 2023-06-05 2023-10-30 주식회사 이노프 착석 방향 제어 및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22Y1 (ko) *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100103438A (ko) * 2010-07-26 2010-09-2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0996274B1 (ko) * 2010-04-29 2010-11-23 영남강철 주식회사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384113B1 (ko) * 2013-05-13 2014-04-10 조국환 복합기능 힌지수단 및 상기 복합기능 힌지수단을 사용하는 출몰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22Y1 (ko) *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996274B1 (ko) * 2010-04-29 2010-11-23 영남강철 주식회사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100103438A (ko) * 2010-07-26 2010-09-2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384113B1 (ko) * 2013-05-13 2014-04-10 조국환 복합기능 힌지수단 및 상기 복합기능 힌지수단을 사용하는 출몰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281B1 (ko) * 2017-09-18 2019-01-31 강준기 스툴 장착형 테이블
CN108378597A (zh) * 2018-04-17 2018-08-10 桂林电子科技大学 旋转式收纳桌凳套件
KR101941007B1 (ko) * 2018-06-20 2019-01-23 (주)코아스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KR101982262B1 (ko) 2018-11-05 2019-08-28 주식회사 야흥금속 이동식 스툴 테이블의 의자 회전장치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120289B1 (ko) 2019-07-04 2020-06-16 박형한 수납식 회전의자를 갖는 테이블과 상기 회전의자를 연결하는 회전부재
CN112415363A (zh) * 2020-11-06 2021-02-26 金禄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pcb板高压测试机
KR102258998B1 (ko) 2020-11-13 2021-06-02 주식회사 주경 의자 자동 수납 테이블용 의자 탄지장치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569324B1 (ko) * 2023-06-05 2023-08-23 주식회사 이노프 착석 방향 제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KR102595032B1 (ko) * 2023-06-05 2023-10-30 주식회사 이노프 착석 방향 제어 및 오토리턴 기능이 내장된 간편 조립식 스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39B1 (ko)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US9588548B2 (e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84975B1 (ko) 탁자의 의자 회전장치
JPH081407U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を調節可能に取付けるためのインタロック組立体
CN106551538B (zh) 具有摩擦阻尼部件的折叠椅
WO2011111946A2 (ko) 의자용 캐스터의 고정장치
US20170099951A1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EP1761401A1 (en) Locking roller for an article of furniture
KR102075533B1 (ko)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JP5166071B2 (ja) キャスタ−のロック機構および折り畳みテ−ブル
US20050017558A1 (en) Pivotal mounting mechanism
US3098677A (en) Chair seat or the like hinge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557992B1 (ko) 직선주행이 개선된 가구용 캐스터
JP4837496B2 (ja) キャスタ装置
KR101721911B1 (ko) 침대용 간이 책상
US5887531A (en) Folding table
JP3132059U (ja) 伸縮調整定位装置
WO2016068284A1 (ja) 天板付き什器
KR101847351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AU2021201647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KR102004516B1 (ko) 이동식 레일형 조립의자
JP2009131357A (ja) 椅子
US2877973A (en) Cabinet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