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07B1 -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1007B1 KR101941007B1 KR1020180070936A KR20180070936A KR101941007B1 KR 101941007 B1 KR101941007 B1 KR 101941007B1 KR 1020180070936 A KR1020180070936 A KR 1020180070936A KR 20180070936 A KR20180070936 A KR 20180070936A KR 101941007 B1 KR101941007 B1 KR 1019410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otary block
- holder
- circumferential direction
- sto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반자동작동부로써, 레그에 구비되는 홀더, 서포트리브에 연장 형성되어 홀더의 상측과 하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홀더에 대해 브라켓이 원주 방향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와 브라켓을 연결하는 피벗핀, 및 홀더의 내측에 구비되어 서포트리브가 회동되려는 설정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시점에 서포트리브가 외력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대칭되어 면접되는 경사면부 및 평면부를 통해, 스툴을 사용 후 사용자가 테이블 방향으로 밀 경우, 탄성부재와 경사면부로 인해 스툴을 테이블 방향으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스툴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대칭되어 면접되는 경사면부 및 평면부를 통해, 스툴을 사용 후 사용자가 테이블 방향으로 밀 경우, 탄성부재와 경사면부로 인해 스툴을 테이블 방향으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스툴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칭되어 면접되는 경사면부 및 평면부를 통해, 스툴을 사용 후 사용자가 테이블 방향으로 밀 경우, 탄성부재와 경사면부로 인해 스툴을 테이블 방향으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스툴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하나의 테이블에 복수의 의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 장소는 주로 학교나 회사 등의 공공장소에 사용되고 사용인원이 많은 가정집에서도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자 사용 후 의자가 자동으로 테이블 하부로 절첩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이 개발되어 의자정리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자동철접방식은 스프링의 강한 힘에 의해 의자 사용 후 복귀되는데, 이때 강한 회전력에 의해 절첩시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고, 이러한 충격으로 인해 절첩작동을 하는 각 부품들의 내구성 감소와 연결부위의 유격이 발생되어 착석시 불쾌감을 줄 수 있고, 과도한 회전력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복귀되는 의자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216327호(발명의 명칭: 의자 일체형 테이블)가 제안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0892호(발명의 명칭: 이동식 스툴 테이블)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스툴 테이블은 착석 가능 상태의 스툴 위치를 고정하기 어렵고, 스툴이 테이블에 대해 임의적으로 회전되어 테이블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에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스툴 테이블용 의자는 사용상태 또는 사용미상태로 유지되지 못하여 임의적으로 테이블의 외측으로 돌출시 유아나 어린이와 부딪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칭되어 면접되는 경사면부를 통해, 스툴을 사용 후 사용자가 테이블 방향으로 밀 경우, 탄성부재와 경사면부로 인해 스툴을 테이블 방향으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스툴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부 각각의 정점(頂點) 부위에 평면부를 형성하여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스툴을 사용시 평면부끼리 접하도록 함에 따라, 스툴에 테이블 방향으로 미는 외력이 미작용시 사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는: 레그에 연장되고, 스툴을 연결하는 서포트리브; 및 상기 레그에 대해 상기 서포트리브나 상기 스툴을 이동하려는 외력을 작용시, 상기 서포트리브가 상기 레그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동 회동되는 반자동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자동작동부는, 상기 레그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서포트리브에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브라켓이 원주 방향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피벗핀; 및 상기 홀더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리브가 회동되려는 설정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시, 상기 서포트리브가 외력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홀더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픽스블록; 상기 픽스블록에 적층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속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리브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터리블록; 및 상기 로터리블록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 작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통한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호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이 설정 회전량만큼 자동 회전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벗핀은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중심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픽스블록의 상기 로터리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경사면부; 상기 제 1경사면부에 대칭되도록 상기 로터리블록의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픽스블록에 대해 상기 로터리블록이 원주 방향 회전 작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로 인해, 상기 제 1경사면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로터리블록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경사면부; 및 상기 제 1경사면부의 정점 부위에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부의 정점 부위와 접함으로써, 설정치 이상의 외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로터리블록이 임의적으로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제 1평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부; 및 상기 스토퍼돌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픽스블록에 원주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돌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는 내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픽스블록은 원주 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면서 조립시의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대칭되어 면접되는 경사면부를 통해, 스툴을 사용 후 사용자가 테이블 방향으로 밀 경우, 탄성부재와 경사면부로 인해 스툴을 테이블 방향으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스툴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부 각각의 정점(頂點) 부위에 평면부를 형성하여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스툴을 사용시 평면부끼리 접하도록 함에 따라, 스툴에 테이블 방향으로 미는 외력이 미작용시 사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반자동작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 및 구속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반자동작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 및 구속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의 반자동작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픽스블록과 로터리블록 및 구속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작동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10)는 테이블(20), 스툴(30), 서포트리브(40) 및 반자동작동부(100)를 포함한다.
테이블(20)은 상판을 포함한 프레임(22), 및 프레임(22)을 지지하는 레그(24)를 포함한다. 물론, 레그(24)가 프레임(22) 자체일 수도 있다. 프레임(22)과 레그(2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레그(24)는 개수 및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툴(30)은 착석할 수 있는 본체(32), 및 본체(32)의 하부로 연장되는 다리(34)를 포함한다. 본체(32)와 다리(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서포트리브(40)는 레그(24)에서 연장되고, 스툴(30)의 다리(34)를 연결한다. 이때, 서포트리브(40)는 일측이 레그(24)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다리(34)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서포트리브(40)는 스툴(30)의 본체(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서포트리브(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반자동작동부(100)는 레그(24)에 대해 서포트리브(40)나 스툴(30)을 이동하려는 외력을 작용시, 서포트리브(40)가 레그(24)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동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스툴(30)을 살짝 미는 동작으로만 사용 상태 또는 미사용 상태인 스툴(30)을 그 반대 상태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자동작동부(100)는 홀더(110), 브라켓(120), 피벗핀(130) 및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한다.
홀더(110)는 레그(24) 각각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레그(2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서포트리브(40)에 연장 형성된다. 이때, 브라켓(120)은 홀더(110)에 연결되어, 홀더(110)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 안내된다. 아울러, 브라켓(120)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후술할 로터리블록(240)을 연동하여 회전시킨다. 물론, 브라켓(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피벗핀(130)은 홀더(110)에 대해 브라켓(120)이 원주 방향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110)와 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120)은 홀더(110)의 상측과 하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피벗핀(130)은 브라켓(120)과 홀더(110)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래서, 브라켓(120)은 피벗핀(130)을 기준으로 홀더(1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200)는 홀더(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서포트리브(40)가 회동되려는 설정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시, 서포트리브(40)가 외력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스툴(30)을 사용상태 방향 또는 사용미상태 방향으로 살짝 밀면, 스툴(30)은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된다.
상세히, 액추에이터(200)는 수용부(210), 탄성부재(220), 픽스블록(230), 로터리블록(240) 및 구속부(250)를 포함한다.
수용부(210)는 홀더(110)에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20)는 수용부(210)에 안착되고,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발생된다. 이때, 탄성부재(22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편의상 코일스프링으로 도시한다.
픽스블록(230)은 탄성부재(220)에 탄성 지지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수용부(210)에 수용된다.
특히, 수용부(210)는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리브(212)를 돌출 형성하고, 픽스블록(230)은 대응되는 리브(212)를 수용하는 끼움홈부(232)를 둘레면에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픽스블록(230)은 홀더(110)의 수용부(210) 내측에서 원주 방향의 회전이 방지되고, 홀더(110)에 조립시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리브(2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로터리블록(240)은 수용부(210) 내측에서 픽스블록(230)에 적층되고, 브라켓(120)에 결속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서포트리브(40)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특히, 피벗핀(130)은 픽스블록(230)과 로터리블록(240)의 중심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픽스블록(230)과 로터리블록(240)은 겹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로터리블록(240)이 원주 방향으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로터리블록(240)은 다양하게 브라켓(120)에 구속될 수 있다.
예로서, 로터리블록(240)은 상측면에 키이(key,242)를 돌출 형성하고, 브라켓(120)은 키이(242)를 수용하기 위해 키이장착부(122)를 형성한다. 키이(242)가 키이장착부(122)에 수용됨으로써, 로터리블록(240)은 서포트리브(40)의 이동 방향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한편, 구속부(250)는 로터리블록(24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 작용시, 탄성부재(220)의 탄성 지지력을 통한 픽스블록(230)과 로터리블록(240)의 상호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로터리블록(240)이 설정 회전량만큼 자동 회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터리블록(24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는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설정 위치까지 이동되고, 타방향으로는 사용자의 초기 미는 힘이 작용시 자동적으로 다른 설정 위치까지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스툴(30)은 사용자의 미는 힘에 전적으로 의존해서 사용상태까지 이동되고, 사용자의 살짝 미는 힘이 작용시 초기상태까지 자동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구속부(250)는 제 1경사면부(251), 제 2경사면부(252) 및 제 1평면부(253)를 포함한다.
픽스블록(230)과 로터리블록(240)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 1경사면부(251)는 로터리블록(240)을 향하는 픽스블록(230)의 해당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 1경사면부(251)가 복수 개일 경우, 각 제 1경사면부(251)는 원주 방향으로 비연속되게 배치된다. 물론, 제 1경사면부(251)의 경사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경사면부(252)는 제 1경사면부(251)에 대칭되도록 로터리블록(240)의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제 1경사면부(251)와 면접된다. 그래서, 픽스블록(230)에 대해 로터리블록(240)이 원주 방향 회전 작용시, 탄성부재(220)의 탄성 지지로 인해, 제 1경사면부(251)와 제 2경사면부(252)가 접한 상태로 로터리블록(240)의 원주 방향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특히, 제 1경사면부(251)와 제 2경사면부(252)가 각각 높은 측으로 이동시, 로터리블록(240)은 픽스블록(230)의 상측면과 서서히 거리가 증가되도록 유격된다. 이때, 탄성부재(220)는 압축되며 초기 위치로 탄성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 1평면부(253)는 제 1경사면부(251)의 높은 측 정점(頂點) 부위에 평면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 2경사면부(252)는 높은 측 정점 부위에 제 2평면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스툴(30)을 사용하기 위해 테이블(20)의 내측에 위치한 스툴(30)을 외측으로 밀거나 당길 경우, 제 1경사면부(251)와 제 2경사면부(252)가 상호 정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평면부(253)와 제 2경사면부(252)의 높은 측 정점 부위가 접할 때, 스툴(30)은 임의적으로 이동이 방지되면서 사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스툴(30)을 테이블(20)의 내측 방향으로 밀 경우, 제 1경사면부(251)와 제 2경사면부(252)가 상호 정점 부위에서 면접되는 시점부터, 탄성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터리블록(240)은 자동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스툴(3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구속부(250)는 스토퍼돌부(255)와 스토퍼홈부(256)를 포함한다.
로터리블록(240)과 픽스블록(230)이 적층된 상태에서, 스토퍼돌부(255)는 픽스블록(230)을 향하는 로터리블록(240)의 해당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스토퍼홈부(256)는 스토퍼돌부(255)를 일대일 수용하도록 픽스블록(230)에 원주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그래서, 스토퍼돌부(255)가 스토퍼홈부(256)의 궤적 이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함에 따라, 스토퍼홈부(256)는 스토퍼돌부(255)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이를 통해, 로터리블록(24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즉, 스토퍼돌부(255)가 스토퍼홈부(256)의 일측 최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 1경사면부(251)와 제 2경사면부(252)는 상호 낮은 측에 위치한다.
반대로, 스토퍼돌부(255)가 스토퍼홈부(256)의 타측 최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 1평면부(253)와 제 2경사면부(252)의 정점 부위가 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브라켓(120)이 홀더(110)의 내부 상측에만 구비되는 로터리블록(240)을 회전시, 편심력이 작용함에 따라, 서포트리브(40)가 원활하게 호 궤적을 따라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홀더(110)는 하측 내부에 스페이서(260)를 구비하고, 브라켓(120)이 스페이서(260)와 결속된다. 브라켓(120)과 스페이서(260)가 호 궤적을 따라 이동시, 로터리블록(240)과 스페이서(260)가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스페이서(2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스페이서(260)는, 브라켓(120)의 상측이 로터리블록(240)과 결속되는 것과 같이, 브라켓(120)의 하측과 결속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가구 20: 테이블
24: 레그 30: 스툴
34: 다리 40: 서포트리브
100: 반자동작동부 110: 홀더
120: 브라켓 122: 키이장착부
130: 피벗핀 200: 액추에이터
210: 수용부 212: 리브
220: 탄성부재 230: 픽스블록
232: 끼움홈부 240: 로터리블록
242: 키이 250: 구속부
251: 제 1경사면부 252: 제 2경사면부
253: 제 1평면부 255: 스토퍼돌부
256: 스토퍼홈부 260: 스페이서
24: 레그 30: 스툴
34: 다리 40: 서포트리브
100: 반자동작동부 110: 홀더
120: 브라켓 122: 키이장착부
130: 피벗핀 200: 액추에이터
210: 수용부 212: 리브
220: 탄성부재 230: 픽스블록
232: 끼움홈부 240: 로터리블록
242: 키이 250: 구속부
251: 제 1경사면부 252: 제 2경사면부
253: 제 1평면부 255: 스토퍼돌부
256: 스토퍼홈부 260: 스페이서
Claims (6)
- 레그에 연장되고, 스툴을 연결하는 서포트리브; 및 상기 레그에 대해 상기 서포트리브나 상기 스툴을 이동하려는 외력을 작용시, 상기 서포트리브가 상기 레그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동 회동되는 반자동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자동작동부는, 상기 레그에 구비되는 홀더; 상기 서포트리브에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브라켓이 원주 방향으로 왕복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피벗핀; 및 상기 홀더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리브가 회동되려는 설정치 이상의 외력이 작용시, 상기 서포트리브가 외력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홀더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피벗핀을 축 삽입하는 픽스블록; 상기 픽스블록에 적층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속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리브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피벗핀을 축 삽입하는 로터리블록; 및 상기 로터리블록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 작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통한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상호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이 설정 회전량만큼 자동 회전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블록은 상측면에 키이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키이를 수용하기 위해 키이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는 하측 내부에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벗핀은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중심에 삽입되어 상기 픽스블록과 상기 로터리블록의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픽스블록의 상기 로터리블록을 향하는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1경사면부; 상기 제 1경사면부에 대칭되도록 상기 로터리블록의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픽스블록에 대해 상기 로터리블록이 원주 방향 회전 작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로 인해, 상기 제 1경사면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로터리블록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경사면부; 상기 픽스블록을 향하는 상기 로터리블록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부; 및 상기 스토퍼돌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픽스블록에 원주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돌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 1경사면부의 정점 부위에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부의 정점 부위와 접함으로써, 설정치 이상의 외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까지, 상기 로터리블록이 임의적으로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제 1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핀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 상기 탄성부재, 픽스블록 및 로터리블록 각각의 중심에 축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터리블록은 상기 피벗핀과 별개로 원주 방향 회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픽스블록은 원주 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면서 조립시의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936A KR101941007B1 (ko) | 2018-06-20 | 2018-06-20 |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936A KR101941007B1 (ko) | 2018-06-20 | 2018-06-20 |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1007B1 true KR101941007B1 (ko) | 2019-01-23 |
Family
ID=6528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936A KR101941007B1 (ko) | 2018-06-20 | 2018-06-20 |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10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2778B1 (ko) * | 2019-12-30 | 2020-05-15 | (주) 파트라 |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0799A (ko) * | 2007-12-26 | 2010-08-17 |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 회전 댐퍼 |
KR101536339B1 (ko) * | 2015-02-13 | 2015-07-13 | 주식회사 우드메탈 |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
-
2018
- 2018-06-20 KR KR1020180070936A patent/KR1019410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0799A (ko) * | 2007-12-26 | 2010-08-17 |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 회전 댐퍼 |
KR101536339B1 (ko) * | 2015-02-13 | 2015-07-13 | 주식회사 우드메탈 | 의자 자동수납 테이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2778B1 (ko) * | 2019-12-30 | 2020-05-15 | (주) 파트라 |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4281B1 (ko) | 스툴 장착형 테이블 | |
US4848840A (en) | Locking mechanism for armrest | |
US5324096A (en) | Adjustable height chair arm | |
JP2001524336A (ja) | 椅子用の調節自在なアームレスト | |
KR101941007B1 (ko) | 오토 리턴 기능을 갖는 가구 | |
CA3020679A1 (en) |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 |
WO2020233434A1 (zh) | 多档位支撑调节机构以及可调式坐具 | |
JP2011050476A (ja) |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 |
KR101543553B1 (ko) |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 |
US10939769B1 (en) | Headrest angle adjuster | |
KR101752893B1 (ko) | 테이블이 구비된 침대 | |
JP3977515B2 (ja) |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 |
EP4201736A1 (en) | Safety seat | |
KR102258600B1 (ko) | 의자용 헤드레스트 | |
KR102120595B1 (ko) |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 |
JP4007759B2 (ja) |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 |
KR101974037B1 (ko) | 위치설정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의자용 팔걸이 | |
JP4254633B2 (ja) | 回転椅子の回転規制装置 | |
WO2017113496A1 (zh) | 一种角度调节装置 | |
JP2019083954A (ja) | ランバーパッド装置 | |
JP3513925B2 (ja) | 椅 子 | |
JP4510210B2 (ja) | 可動天板を備えるテーブル | |
CN111449530A (zh) | 一种家用电器的控制面板机构 | |
JPH0540757Y2 (ko) | ||
CN109774551A (zh) | 具有椅背角度调节装置的儿童安全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