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704A -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 Google Patents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704A
KR20160098704A KR1020150020619A KR20150020619A KR20160098704A KR 20160098704 A KR20160098704 A KR 20160098704A KR 1020150020619 A KR1020150020619 A KR 1020150020619A KR 20150020619 A KR20150020619 A KR 20150020619A KR 20160098704 A KR20160098704 A KR 2016009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hole
attached
coupled
automatic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퍼니처
Priority to KR102015002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704A/ko
Publication of KR2016009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에 결합된 의자를 테이블 내측으로 회동하여 자동으로 접철시키는 회동구조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불필요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스토퍼로 인하여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의자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설된 회동부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 일측면에 연통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의자로 구성된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면에 부설되며,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지지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있는 판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하로 일정한 유격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 1, 2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상, 하부고정판; 상기 상, 하부고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 및 상기 제 1, 2 관통공 및 회동지지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일측단에 제 1 절개홈을 포함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토퍼로 인하여 의자의 안전적인 회전반경을 제공하고, 간편하게 회동부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의자를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회동부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Table with the automatic folding chair}
본 발명은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결합된 의자를 테이블 내측으로 회동하여 자동으로 접철시키는 회동구조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불필요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스토퍼로 인하여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의자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휴게실에 구비된 테이블과 의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인적이 많은 휴게실이나 식당에 설치할 경우 의자의 뒷정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장소가 혼잡스럽고 사람이 테이블과 분리된 의자와 의자 사이로 이동함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테이블과 의자가 배치된 식당이나 휴게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를 테이블의 상판에 일일이 올려놓고 바닥을 청소하여야 함으로써 청소작업자의 청소작업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고 난 후의 의자를 테이블 내부로 밀어 넣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이동성을 간섭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작업자가 일일이 테이블 내부로 의자를 밀어 넣어 정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휴게실 식당의 경우 많은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바, 이 때 정리되지 않은 의자에 걸려 넘어지거나 할 경우 들고 있는 음식물을 그대로 떨어뜨리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또 다른 문제점이 항상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테이블의 하부 측으로부터 의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의자 일체형 타입의 테이블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17322호인 등받이를 갖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시 수직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과,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좌판의 일측에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를 힌지장치와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판의 하부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저면에 상기 좌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의자지지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의자지지장치는 좌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상단에 원기둥 형상의 회전지지구를 설치하고, 상기 좌판의 바닥을 구성하는 받침판의 중앙에 상기 회전지지구가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17322호인 등받이를 갖는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의 경우, 의자지지장치의 회전지지구에 의해 의자가 테이블의 내/외측으로 회전되어 절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게실이나 식당에서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판의 하부로 의자를 직접 회전시켜 밀어 넣음으로써 의자가 정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성의 불편함은 물론 사용자가 의자를 밀어넣지 않을 경우에는 펼쳐진 의자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며, 상기 의자와 테이블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들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의자와 테이블을 분리할 수 없어 예컨대, 의자와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의자가 포함된 테이블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연결된 용접부위를 강제로 분리하여야 하는 등 보수작업이 번거롭고 수리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다시 용접하여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의자가 힌지장치에 의해 테이블로부터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힌지장치가 테이블의 수직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의자의 펼쳐지는 회전반경이 커질 수밖에는 없어 테이블 하나에 많은 개수의 의자를 구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의자의 회전반경에 의해 테이블과 테이블 간격을 넓게 설치할 수밖에 없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11562호와 등록특허 제10-0799188호에는 테이블 프레임에는 보조프레임, 의자에는 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스프링으로 탄성 연결하여 일측방향인 테이블 안쪽으로 자동 절첩되게 구성된 테이블을 제시하여 공간적인 활용도를 극대화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 테이블은 회전되는 부분에서 과다한 마찰이 발생되며, 발생된 마찰력은 의자와 연결된 연결프레임의 회동에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큰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이 요구된다. 또한, 회전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마찰소음도 발생됨으로 주위사람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테이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10-1080706호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의자부재를 테이블의 내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이동시키는 회동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공정시간이 단축되고, 탄성력이 감소된 탄성부재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이미 제시한바 있으나, 스토퍼를 부설하여 안정적인 회전 반경을 가진 의자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오랫동안 교체작업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732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156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991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퍼를 구성하여 의자의 안정적인 회전반경을 제공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회동부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회동부를 가진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설된 회동부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 일측면에 연통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의자로 구성된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면에 부설되며,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지지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있는 판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하로 일정한 유격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 1, 2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상, 하부고정판; 상기 상, 하부고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 및 상기 제 1, 2 관통공 및 회동지지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일측단에 제 1 절개홈을 포함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지지부는, 속이 빈 원통형의 일측단에 제 2 절개홈이 형성된 회동지지부재; 상기 회동지지부재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3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부싱; 상기 상부부싱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하는 마찰저감부재; 상기 회동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4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부싱; 및 상기 상부부싱과 하부부싱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제 1 절개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절개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는, 좌판; 상기 좌판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 상기 연장부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지지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 바닥에 접하여 상기 다리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부는 상기 다리지지부와 결합하며, 하부는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되, 지면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부에서 일정깊이 까지는 상기 다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후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회전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통공에는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돌출된 회전관통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면적 형태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은 스토퍼를 구성하여 의자의 안정적인 회전반경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편하게 회동부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의자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회동부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회동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의자와 회동부 및 지지프레임 연결부분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의자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다리지지부와 받침대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회동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의자와 회동부 및 지지프레임 연결부분을 위에서 본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의자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의 다리지지부와 받침대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은,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테이블(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부설된 회동부(300)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300) 일측면에 연통되어 있는 연장부(400) 및 상기 연장부(4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의자(200)로 구성된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 일측면에 부설되며,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지지부(320); 상기 연장부(40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있는 판형태의 몸체부(315); 상기 몸체부(315)의 상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하로 일정한 유격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32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 1, 2 관통공(312, 314)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상, 하부고정판(311, 313); 상기 상, 하부고정판(311, 313)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316); 및 상기 제 1, 2 관통공(312, 314) 및 회동지지부(320)를 상하로 관통하며, 일측단에 제 1 절개홈(510)을 포함한 연결부재(500)와, 상기 연결부재(500) 일측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600)로 구성된 결합부재; 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지지부(320)는, 속이 빈 원통형의 일측단에 제 2 절개홈(322)이 형성된 회동지지부재(321)와, 상기 회동지지부재(321)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3 관통공(324)이 형성된 상부부싱(323)과, 상기 상부부싱(323)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하는 마찰저감부재(327)와, 상기 회동지지부재(321)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4 관통공(326)이 형성된 하부부싱(325)과, 상기 상부부싱(323)과 하부부싱(325)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제 1 절개홈(51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절개홈(322)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2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의자(200)는, 좌판(210); 상기 좌판(210)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220); 상기 연장부(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지지부(220)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250); 바닥에 접하여 상기 다리지지부(220)를 지지하는 받침대(230) 및 상부는 상기 다리지지부(220)와 결합하며, 하부는 상기 받침대(230)와 결합하되, 지면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기본적으로 상기 의자(200)가 자동으로 접철되는 원리는 종래에 흔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회동부(300)는 회동부재(310)와 회동지지부(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310)가 회동지지부(320)를 상하부 및 측면 일부분을 감싸고 있다. 또한, 상하부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공(312, 314, 324, 326)이 서로 대응되게 상기 회동부재(310)와 회동지지부(320) 중심에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공(312, 314, 324, 326)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부재(500)와 상기 연결부재(50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600)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300)가 마찰을 받지 않고 잘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동지지부(32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마찰저감부재(327)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10)의 상, 하부고정판(311, 313)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하부의 길이가 동일하고, 끝부분이 곡선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돌기형상의 상기 스토퍼(316)가 더 부설되어 있다.
하기에서 상기 스토퍼(316)가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자동 접철식 의자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테이블(100)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의자(200)를 당겨내어 앉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을 마친 후, 상기 의자(200)에서 일어서면 상기 의자(200)가 안쪽으로 접철되어 초기의 위치였던, 상기 테이블(100)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자(200)가 너무 안쪽으로 들어가게 될 경우, 다음에 사용을 할 사용자가 상기 의자(200)를 당겨내기 위해서 상기 테이블(100) 하단 깊숙한 안쪽에 위치한 상기 의자(200)를 향해 몸을 숙여야 잡아 당겨 내야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316)를 부설하였으며, 상기 스토퍼(316)가 부설됨에 따라서 상기 의자(20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반경을 제한함에 따라서 상기 의자(200)가 상기 테이블(100) 하단 깊숙한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상기 스토퍼(316)를 구성할 경우, 사용 후 상기 의자(200)가 상기 탄성부재(328)의 복원력으로 제자리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316)가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타격하게 되고, 이렇게 장시간 사용을 하게 된다면 상기 스토퍼(316)와 지지프레임(120)의 충돌로 인하여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16)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120) 측면부 중에서 상기 스토퍼(316)가 접하는 부분에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도면 미도시)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렇게 상기 충격흡수부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스토퍼(316)와 지지프레임(120)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내구성에 대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의자(200)가 접철되도록 장시간 사용하다가 보면, 상기 탄성부재(328)의 탄성력 저하로 인하여 제대로 접철이 되지 않거나 접철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면적 형태는 다각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500)의 경우 일반적으로 볼트머리와 볼트몸체로 형성되어 있는 볼트로 구성되는데, 상기 볼트머리는 2단 턱이며, 1단(내측)볼트머리 보다 2단(외측)볼트머리가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머리의 2단 턱 중 상기 1단(내측)볼트머리가 상기 제 1 관통공 혹은 제 2 관통공(312, 314) 중 단면적이 다각형인 쪽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관통공(312, 314) 중 단면적이 다각형인 쪽에 상기 연결부재(500)가 내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의자(200)를 사용하다가 상기 탄성부재(328)의 복원력이 약해졌을 경우, 상기 제 1 또는 제 2 관통공(312, 314)에 내입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재(500)를 고정 해지 후(내입되어 있던 상기 연결부재(500)를 빼내어) 상기 탄성부재(328)를 상기 연결부재(500)에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원력을 조절한 후 다시 상기 제 1 또는 제 2 관통공(312, 314) 중 단면적이 다각형인 쪽에 상기 연결부재(500)를 내입 고정하면 된다.
이로 인하여, 복원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회동부(300) 전체를 교체 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자가 손쉽게 상기 탄성부재(328)의 복원력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28)의 경우, 코일스프링 보다는 복원력이 좋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사용자가 앉게 되는 상기 의자(200)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는 회전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일어서거나 상기 의자(200)에서 엉덩이를 마찰하면서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상기 다리지지부(220)와 받침대(230)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240)를 부설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자(200)에 앉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24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부에서 일정깊이 까지는 상기 다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후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회전관통공(24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관통공(241)이 삽입되어 회전부재(2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230)의 중심에는 회전축(2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통공(241)에는 상기 회전축(231)에 끼움 결합 후 결합해지가 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측면을 따라 돌출된 회전관통돌기(2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회동부(300)를 대부분 철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수분에 의해 부식될 가능성이 높다. 부식이 일어나게 되면, 내구성 역시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부싱(323)과 하부부싱(325)을 수분에 강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함으로서 부식이 잘 되지 않고, 이로 인해 내구성도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은, 상기 스토퍼(316)를 구성하여 상기 의자(200)의 안전적인 회전반경을 제공하고, 간편하게 회동부(3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의자(200)에 앉아있는 상태에서도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상기 의자(200)를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난 상기 회동부(300)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테이블
110 - 플레이트
120 - 지지프레임
200 - 의자
210 - 좌판
220 - 다리지지부
230 - 받침대
231 - 회전축
240 - 회전부재
241 - 회전관통공
242 - 회전관통돌기
250 - 완충부재
300 - 회동부
310 - 회동부재
311 - 상부판
312 - 제 1 관통공
313 - 하부판
314 - 제 2 관통공
315 - 몸체부
316 - 스토퍼
320 - 회동지지부
321 - 회동지지부재
322 - 제 2 절개홈
323 - 상부부싱
324 - 제 3 관통공
325 - 하부부싱
326 - 제 4 관통공
327 - 마찰저감부재
328 - 탄성부재
400 - 연장부
500 - 연결부재
510 - 제 1 절개홈
600 - 고정부재

Claims (7)

  1. 지지프레임에 의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설된 회동부와, 일측이 상기 회동부 일측면에 연통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의자로 구성된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면에 부설되며,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지지부;
    상기 연장부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있는 판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하로 일정한 유격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 1, 2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상, 하부고정판;
    상기 상, 하부고정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 및
    상기 제 1, 2 관통공 및 회동지지부를 상하로 관통하며, 일측단에 제 1 절개홈을 포함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일측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속이 빈 원통형의 일측단에 제 2 절개홈이 형성된 회동지지부재;
    상기 회동지지부재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3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부싱;
    상기 상부부싱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하는 마찰저감부재;
    상기 회동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제 4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부싱; 및
    상기 상부부싱과 하부부싱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제 1 절개홈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절개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좌판;
    상기 좌판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
    상기 연장부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지지부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
    바닥에 접하여 상기 다리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부는 상기 다리지지부와 결합하며, 하부는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되, 지면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부에서 일정깊이 까지는 상기 다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후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회전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통공에는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돌출된 회전관통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면적 형태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20150020619A 2015-02-11 2015-02-11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20160098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19A KR20160098704A (ko) 2015-02-11 2015-02-11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619A KR20160098704A (ko) 2015-02-11 2015-02-11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04A true KR20160098704A (ko) 2016-08-19

Family

ID=5687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619A KR20160098704A (ko) 2015-02-11 2015-02-11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7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366938B1 (ko) * 2021-05-26 2022-02-25 송인호 공회전결합체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505959B1 (ko) * 2022-12-08 2023-03-0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62Y1 (ko) 2003-01-20 2003-05-09 최성희 자동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17322Y1 (ko)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799188B1 (ko) 2007-08-17 2008-01-30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62Y1 (ko) 2003-01-20 2003-05-09 최성희 자동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0417322Y1 (ko) 2006-03-06 2006-05-26 최성희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0799188B1 (ko) 2007-08-17 2008-01-30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93B1 (ko) * 2019-03-15 2019-08-02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341304B1 (ko) * 2021-05-06 2021-12-20 이현용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2366938B1 (ko) * 2021-05-26 2022-02-25 송인호 공회전결합체가 구비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505959B1 (ko) * 2022-12-08 2023-03-06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106757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944281B1 (ko) 스툴 장착형 테이블
KR101479865B1 (ko)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21632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RU2008145231A (ru) Стол с сиденьями
KR10113266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연결장치
KR20130044315A (ko) 좌석 지지 시스템
KR200417322Y1 (ko) 등받이를 갖는 절첩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21183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JPS6399809A (ja) 椅子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00023476A (ko) 공간활용형 다용도 가구의 회동 장치
KR101038163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US5335971A (en) Foldable chair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200477254Y1 (ko) 가변 벤치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CN206025756U (zh) 一种座椅休闲搁脚装置
KR20110024001A (ko) 강의용 의자
KR10115928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9980060619U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