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619U -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19U
KR19980060619U KR2019970004711U KR19970004711U KR19980060619U KR 19980060619 U KR19980060619 U KR 19980060619U KR 2019970004711 U KR2019970004711 U KR 2019970004711U KR 19970004711 U KR19970004711 U KR 19970004711U KR 19980060619 U KR19980060619 U KR 199800606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lecture
leg
horizontally
lecture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유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근 filed Critical 유창근
Priority to KR2019970004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619U/ko
Priority to KR2019970015178U priority patent/KR2001570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1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는 엉덩이 착석부와 등받이,팔받침,다리 및 착석부 정면에 수평으로 고정시킨 강의 탁자로 이뤄져 있으며, 이러한 의자에 강의탁자가 붙박이 형태로 고정되어져 있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강의탁자를 피해서 앉게 됨으로서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엉덩이 착석부와 등받이,팔받침,다리 등을 포함한 의자에서 일측 다리를 지점으로 하여 약 180°회전되는 지지봉부와, 이 지지봉부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부를 수평에서 하방 및 하방에서 수평으로 약 90°접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절첩부와, 이 절첩부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를 형성하고 있는 탁자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의하여 사용자가 강의탁자에 앉을 때 편리하고 강의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다리의 측변 측으로 강의탁자를 접어놓고 평범한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의자의 융통적 사용환경을 갖으면서 편리한 의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본 고안은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의자에서 강의탁자를 필요에 따라 다리 측변에 접어 두거나 또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펼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의자의 사용자가 융통적이게 의자를 활용할 수 있으면서 강의용 의자로 사용할 때에 편리한 착석 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강의실 등에 구비되어져 있는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는 엉덩이 착석부와 등받이,다리 및 팔받침대 기능을 하면서 의자 정면에서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고정되어져 있는 탁자부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이러한 의자에서 탁자부는 붙박이 고정식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있어서는 탁자부가 의자 정면으로부터 수평으로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자의 착석부에 앉으려면은 탁자부와 등받이가 형성하는 공간 사이로 비집고 앉게 되는 것이어서 그 착석이 불편한 것이었다.
특히, 사용자 몸체가 정상인을 고려한 의자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착석 동작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었다.
또, 상기와 같은 의자는 이것을 통상의 의자로 활용하는데 따른 불편 때문에 강의용 의자로서 이용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가 전적으로 강의용 의자로서 활용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통상의 의자로서 활용하는데는 불편한 것이었다.
또, 이러한 의자의 정면에 수평으로 고정된 탁자부 때문에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일어설 때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의자로 부터 강의 탁자부를 일측에 젖혀 두거나 또는 정면에 거치하여 이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일어설 때 편리하고 탁자부가 없는 통상의 의자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의자의 융통적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의자의 일측 다리를 지점으로 하여 약 180°회전되는 지지봉부와, 이 지지봉부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부를 수평에서 하방 및 하방에서 수평으로 약 90°접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절첩부와, 이 절첩부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를 형성하고 있는 탁자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참고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받침핀 결합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강의 탁자부를 다리측 측변으로 접어논 상태의 참고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강의 탁자부가 지지봉부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으로 약 180°잡혀지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의 강의 탁자부가 절첩부를 중심으로 하여 약 90°하방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의자 11; 탁자부
12; 절첩부 13; 지지봉부
14; 받침핀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의 탁자부를 갖는 의자(1)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의자의 일측 다리(16)를 지점으로 하여 약 180°회전되는 지지봉부(13)와, 이 지지봉부(13)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부(11)를 수평에서 하방 및 하방에서 수평으로 약 90°접어 놓을 수 있도록 한 절첩부(12)와, 이 절첩부(12)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를 형성하고 있는 탁자부(11) 등으로 이뤄져 있다.
상기 지지봉부(13)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뤄져 있는 다리(13)의 파이프 외주에 결합되어져서 다리(13)를 중심으로 약 180°회전 할 수 있도록 한 고정봉(13a)과, 이 고정봉(13a) 외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시킨 지지날개(13b)와, 이 지지날개(13b)와 일체로 연설되어져서 절첩부(12)의 하몸체(12a)를 고정하고 있는 하몸체 지지봉(13c)으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고정봉(13a)이 결합되는 다리(16)에는 고정봉(13a)이 하부로 쳐지지 않기 위한 돌출 멈춤링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하몸체 지지봉(13c)에 결합되어져 있는 절첩부(12)는 지지봉부(13)와 고정되어져 있는 하몸체 지지봉(12a)과, 이 하몸체 지지봉(12a)의 상측에서 받침핀(14)에 의하여 세워졌다가 받침핀(14)이 풀릴 때는 하몸체 지지봉(12a)에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약 90°절첩되는 절첩편(12b)과, 이 절첩편(12b)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탁자부(11)를 수평으로 고정하고 있는 상몸체(12c)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하몸체 지지봉(12a)에 고정되어져 있는 받침핀(14)은 도 2와 같이 하몸체 지지봉(12a)의 중앙에 형성되어져 있는 길이홈(12d)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면서 하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자유로 놀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사용자가 탁자부(11)를 의자 정면에 설치할 때는 도 3과 같이 의자의 착석부(17)에 앉는다.
그리고, 탁자부(11)가 다리(16)측 측변으로 젖혀져 있는 상태에서 탁자부(11)를 잡고 의자 정면 측으로 돌리게 되면 탁자부(11)는 다리(16)를 중심으로 지지봉부(13)의 고정봉(13a)이 약 180°회전하며, 이 고정봉(13a)과 지지날개(13b)에 일체로 연설되어져 있는 하몸체 지지봉(13c)에 결합되어져 있는 절첩부(12)는 탁자부(11)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세운다.
이때는 절첩편(12b)이 하몸체 지지봉(12a)에 절첩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일어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핀(14)을 세워서 절첩편(12b) 상부 내측벽에 형성된 지지핀(14) 끼움 공에 맞추게 되면 탁자부(11)는 지지핀(14)으로 지지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탁자부(11)를 의자의 정면에 설치하여 각종 강의를 듣기 위한 필기 작업이나 책을 놓고 공부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의자 정면으로부터 탁자부(11)를 제거할 때는 상기 동작과 반대로 도 4와 같이 절첩부(12)의 절첩편(12b)측에 고정되어져 있는 지지핀(14)을 해체하면 지지핀(14)은 도 2와 같이 길이홈(12d)에 안내되어 지점을 중심으로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탁자부(11)는 자유롭게 하방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절첩부(12)의 절첩편(12b)이 직각으로 접혀져서 탁자부(11)는 다리(16)와 평행으로 절첩된 상태에 있게 되고, 다시 이것을 도 3 및 도 4 와 같이 다리(16)의 측변으로 돌리게 되면 탁자부(11)가 다리(16)의 측변 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접혀져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통상의 의자로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가 필요에 따라 강의 탁자를 의자 정면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강의 탁자가 없는 통상의 의자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자의 융통적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이러한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착석하거나 일어설 때 강의 탁자가 걸기적 거리지 않기 때문에 착석 및 일어서는 동작의 편리성을 양호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일측 다리(16)를 지점으로 하여 약 180°회전되는 지지봉부(13)와, 이 지지봉부(13)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부(11)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에서 하방 및 하방에서 수평으로 약 90°접을 수 있도록 한 절첩부(12)와, 이 절첩부(12)에 결합되어져서 탁자를 형성하는 탁자부(11) 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19970004711U 1997-03-14 1997-03-14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1998006061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11U KR19980060619U (ko) 1997-03-14 1997-03-14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19970015178U KR200157026Y1 (ko) 1997-03-14 1997-06-20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11U KR19980060619U (ko) 1997-03-14 1997-03-14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19U true KR19980060619U (ko) 1998-11-05

Family

ID=696786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711U KR19980060619U (ko) 1997-03-14 1997-03-14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19970015178U KR200157026Y1 (ko) 1997-03-14 1997-06-20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178U KR200157026Y1 (ko) 1997-03-14 1997-06-20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606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094B1 (ko) * 2018-11-19 2020-05-22 박은영 의자 칸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610B1 (ko) 2015-07-07 2021-06-23 박진영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170006317A (ko) 2015-07-07 2017-01-18 이하근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210008462A (ko) 2020-12-29 2021-01-22 박진영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102558148B1 (ko) 2022-12-09 2023-07-24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094B1 (ko) * 2018-11-19 2020-05-22 박은영 의자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026Y1 (ko) 1999-09-15
KR970053339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983B1 (en) Folding lounge chair
FI93690C (fi) Jalkanojalaite
US20130119713A1 (en) Foldable chair
AU2001242093B2 (en) Chair and table assembly
US5449220A (en) Selectable height folding chair apparatus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CN108323976B (zh) 一种便携式椅垫及一种椅子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US5755492A (en) Folding backrest with two inclination angles
US20130119739A1 (en) Foldable Chair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27740Y1 (ko) 접이식 의자
US20130119740A1 (en) Foldable chair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200180803Y1 (ko) 의자
KR102558148B1 (ko) 위치 가변식 상판을 구비한 기능성 수강의자
KR102531897B1 (ko) 접이식 의자
KR200180800Y1 (ko) 발 보조대를 구비한 절첩식 의자
CN220607848U (zh) 折叠椅
CN220607849U (zh) 折叠椅
CN215348005U (zh) 一种儿童折叠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