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317A -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317A
KR20170006317A KR1020150096378A KR20150096378A KR20170006317A KR 20170006317 A KR20170006317 A KR 20170006317A KR 1020150096378 A KR1020150096378 A KR 1020150096378A KR 20150096378 A KR20150096378 A KR 20150096378A KR 20170006317 A KR20170006317 A KR 2017000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armrest
frame
panel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근
Original Assignee
이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근 filed Critical 이하근
Priority to KR102015009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317A/ko
Priority to KR1020160162467A priority patent/KR1022676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및 일체형 받침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좌대의 하부에 고정된 중간부와, 중간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좌대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팔걸이부 및 제2팔걸이부를 구비하는 팔걸이프레임;과 제1팔걸이부 또는 제2팔걸이부에 결합하도록 일측부에 설치된 체결구를 구비하고, 체결구와 제1팔걸이부 또는 제2팔걸이부의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축회전하면서 반대측 팔걸이부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Assembly and integrated type board assembly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시 무릎 부위에 책, 컵 및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대와 팔걸이 등을 별도 제작하여 의자에 조립 또는 일체로 설치한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만든 편의기구이다.
일 예로 이/미용실에서 사용하는 의자는 착석하기 위한 좌대, 지면과 닿는 바퀴가 일단부에 장착되면서 타단부에 좌대가 장착된 지지축, 좌대의 양측에 설치된 팔걸이,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착석한 이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걸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등받이에 기댄 채 발걸이에 발을 올려놓으면, 이,미용사가 머리카락을 자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한편, 간단한 머리 자르는 일 이외에 염색이나 펌 등의 경우 이용자는 의자에 오랫동안 앉아 있어야 하고, 이때 책, 잡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컵 등을 이용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일부 의자에 책, 잡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컵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지 않아서 이용자에게는 커다란 불편함이 있었고,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의 경우 받침대가 파손되면 의자 자체를 폐기처분해야 했으며, 잠시 일어날 때 이용하던 책, 잡지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기구가 마련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4001호(2011.03.0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57026호(1999.09.15.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874호(2012.03.13.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와 팔걸이 등을 별도 제작하여 의자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는, 의자의 좌대에 체결된 지지축의 로드에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가공된 끼움홈과, 좌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끼움홈의 주변에 가공된 제1체결홀을 구비한 제1패널; 제1패널의 양측부에 각각 체결된 좌프레임 및 우프레임;과 좌프레임 또는 우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패널은 끼움홈과 제1체결홀이 가공된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 경계부위가 굴절되면서 중앙부보다 낮게 위치된 변두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패널은 로드에 장착된 제1패널 하측에 고정되고, 좌대에서 돌출되어 제1패널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제1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패널은 일측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프레임의 일부위가 고정되는 우결합부재와, 타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좌프레임의 일부위가 고정되는 좌결합부재를 더 구비하고, 우결합부재 또는 좌결합부재는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좌프레임은 좌결합부재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제1패널 반대측으로 굴절된 좌프레임하부, 좌프레임하부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 반대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후 다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좌프레임중간부와, 좌프레임중간부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좌프레임상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프레임상부에서 등받이 측으로 굴절된 부위는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우프레임은 우결합부재에 일측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우프레임하부와, 우프레임하부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 반대측으으로 굴절된 우프레임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우프레임상부에서 등받이 반대측으로 굴절된 부위는 받침대의 촉회전이 용이하도록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좌프레임하부, 좌프레임중간부 및 좌프레임상부의 결합부위와, 우프레임하부 및 우프레임상부의 결합부위 중 적어도 1곳에는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연결부재; 좌프레임상부의 선단과 우프레임상부의 선단 중 적어도 1곳에 선단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마감부재;와 우프레임상부에서 등받이 반대측으로 굴절된 부위가 원기둥 형상이고, 나머지 부위가 사각 형상인 경우 경계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연결부재 중 적어도 1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대는 양측부가 마주하게 접히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의자의 좌대와 좌대의 하면에 체결부재로 체결된 제1패널 사이에 개재되면서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제2체결홀을 구비한 제2패널; 제2패널의 양측부에 각각 일부위가 고정된 제3좌,우프레임;과 좌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제3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양측부가 마주하게 접히도록 제작된 접이식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좌프레임바는 제2패널의 하면 일측부에 고정되면서 폭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등받이 반대측으로 굴절된 후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다시 등받이 측으로 굴절되고, 우프레임바는 제2패널의 하면 타측부에 고정되면서 폭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등받이 반대측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양측면에는 자석과 철재류가 장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면 일부위에 일정 깊이를 갖는 컵홀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에 있어서, 의자의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에 직접 고정된 고정바; 고정바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적어도 2등분으로 접히는 접이식의 받침대;를 포함하고, 고정바는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 자체이거나,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에 설치하도록 제작된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바는,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의 상측 또는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굴절된 형태이거나,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 중 어느 일측 팔걸이가 타측 팔걸이보다 측면 길이가 더 짧으면서 일측 팔걸이에 일부위가 고정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직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바가 고정되지 않은 좌팔걸이 또는 우팔걸이는 펼쳐진 받침대의 선단부위가 걸쳐지도록 장착된 걸침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받침대는 축회전을 위해 고정바에 장착된 체결구, 적어도 2등분으로 접히면서 접히는 부위에 장착된 접이부재,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양측면에 고정된 자석과 철재류와, 펼쳐진 상태에서 상면 일부위에 고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컵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팔걸이프레임이 좌대에 장착되고, 팔걸이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받침대가 설치됨으로써,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받침대를 펼쳐 놓고, 책 및 잡지 등의 읽을거리,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음료수 컵 등의 물품을 올려놓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를 적어도 2개의 판재를 적어도 2중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받침대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의자에 팔걸이프레임과 받침대를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패널과, 우프레임 및 좌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조립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 보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패널 양측에 제3프레임의 일부위가 용접으로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제작 비용이 낮으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를 펼친 상태에서 커트보가 받침대에 의해 펼쳐지도록 하여 잘린 머리카락이 이용자의 신발에 묻지 않고, 바닥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감부재,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패널의 제1사용 예 및 제2사용 예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받침대조립체와 의자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받침대조립체가 의자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받침대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 예의 조립형 받침대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감부재,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패널의 제1사용 예 및 제2사용 예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받침대조립체와 의자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받침대조립체가 의자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는 제1패널(100), 제1패널(10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좌프레임(200), 우프레임(300)과 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패널(100)은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평판형상이면서 중앙부(110)가 변두리부(120)보다 좌대(11) 측으로 좀 더 높은 형태이다. 이 제1패널(100)은 끼움홈(130), 제1체결홀(140), 우결합부재(150), 좌결합부재(160)와 지지바(1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끼움홈(130)은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110)에 일정 깊이를 갖도록 가공된다. 이때, 끼움홈(130)은 로드(17)에 끼워진다. 여기서, 로드(17)는 지지축(16)에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상단부에 장착패널(미도시) 또는 좌대(11)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때, 중앙부(110)의 상면은 좌대(11)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장착패널 또는 좌대(11)의 하면과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제1체결홀(140)은 끼움홈(130)의 주변에 마련되어 장착패널 또는 좌대(11)에 체결하기 위해 좌대(11)에 고정되어 돌출된 볼트 또는 나사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공된다. 즉, 제1체결홀(140)은 좌대(11)에서 돌출된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제1체결홀(140)은 도면에서와 같이 후부측은 평면상 일부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이고, 전부측은 평면상 원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는 대략 모서리 4곳의 체결부재와 제1체결홀(140)들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더라도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우결합부재(150)는 우프레임하부(310)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부재이다. 이 우결합부재(150)는 도 2에서와 같이, 우측 변두리부(120)의 하면에 폭 방향으로 외부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우결합부재(150)는 우프레임하부(310)의 삽입되는 일측부와 동일한 형태이면서 중공의 기둥 형상이다. 여기서, 우결합부재(150)를 관통하여 우프레임하부(310)를 조이는 고정부재(180)에 의해 우결합부재(150)에 우프레임하부(310)의 일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우프레임하부(310)의 삽입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좌결합부재(160)는 좌프레임하부(210)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 좌결합부재(160)는 도 2에서와 같이, 좌측 변두리부(12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좌결합부재(160)는 좌프레임하부(210)의 삽입되는 일측부와 동일한 형태이면서 중공의 기둥 형상이다. 여기서, 좌결합부재(160)를 관통하여 좌프레임하부(210)를 조이는 고정부재(180)에 의해 좌결합부재(160)에 좌프레임하부(210)의 일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좌프레임하부(210)의 삽입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70)는 도 2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끼움홈(130)의 폭이 넓어 중앙부(110)의 지지력이 다소 낮아지는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끼움홈(130)을 가로질러 일측부는 변두리부(120)에 타측단 부위는 좌결합부재(160)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4에서처럼 끼움홈(130)의 폭이 좁은 경우 지지바(170)를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널(100)은 변두리부이면서 등받이(12, 도 6 참조)측으로 장착된 걸이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걸개(190, 도 4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걸개(190)는 드라이기를 걸 수 있도록 별도의 걸이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한편, 좌프레임(200)은 좌결합부재(160)에 일측부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부재(180)로 고정되는 좌프레임하부(210), 좌프레임하부(210)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부재(180)로 고정되는 좌프레임중간부(220)와, 좌프레임중간부(220)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부재(180)로 고정되는 좌프레임상부(2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프레임(200)과 우프레임(300)은 대략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과 원기둥이 연결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프레임하부(210)는 좌결합부재(160)에 삽입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제1패널(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형상이다.
또한, 좌프레임중간부(220)는 좌프레임하부(210)에 삽입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전방(등받이(12) 반대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후 다시 상방(높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형상이다.
또, 좌프레임상부(230)는 좌프레임중간부(220)에 삽입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후방(등받이(12)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형상이다. 이 좌프레임상부(230)에서 후방으로 굴절된 일부위는 수평일 수도 있고, 굴절부위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사진 각도로 인해 받침대(400)가 펼쳐졌을 때, 받침대(400)의 하면과 좌프레임상부(230)의 접촉 부위가 굴절부위의 근처로 제한하여 받침대(40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받침대(400)의 하면과 좌프레임상부(230) 간의 흠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좌프레임상부(230)의 단부는 개방된 단면을 폐쇄하도록 마감부재(240,도 3(c)참조)로 마감한다. 또한, 좌프레임상부(230)와 좌프레임중간부(220)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제2연결부재(260,도 3(b)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우프레임(300)은 우결합부재(150)에 일측부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부재(180)로 고정되는 우프레임하부(310), 우프레임하부(310)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부재(180)로 고정되는 우프레임상부(3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우프레임하부(310)는 우결합부재(150)에 삽입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형상이다. 여기서, 우프레임하부(310)는 좌프레임하부(210)와 마찬가지로 우결합부재(150) 또는 좌결합부재(160)를 배제한 상태에서 제1패널(100)에 직접 일측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우프레임상부(320)는 우프레임하부(310)에 일측부가 삽입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형상이다. 이 우프레임상부(320)에서 전방으로 굴절된 부위에는 받침대(400)의 체결구가 장착된다.
또한, 우프레임상부(320) 중 우프레임하부(310)에 삽입되는 일측부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고, 최소한 체결구가 장착되는 부위는 축회전이 용이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우프레임하부(310)와 우프레임상부(320)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제2연결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각기둥형상과 원기둥형상이 만나는 부위를 함께 감싸도록 제작된 제1연결부재(250,도 3(a)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받침대(400)는 도 1과 도 7에서 보듯이, 접이식으로 제작된다. 이를 위해 받침대(400)는 분할된 양측이 경첩 등을 포함한 접이부재(410)를 통해 상호 체결되어 제작된다. 이 받침대(400)의 펼쳤을 때 상면 일측부에 컵홀더(420)가 설치되고, 후면 일측부에 우프레임상부(320)에 끼워져 축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구(450)가 설치된다. 또한, 자력(磁力)으로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받침대(400)를 접었을 때 상호 대응된 위치에 자석(430)과 철재류(440)가 설치된다. 철재류(440) 대신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다른 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 예>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100)은 끼움홈(130)의 크기를 도 1보다 더 작게 가공하면서 제1체결홀(140)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좌대(11)에 고정되는 장착부재의 크기 또는, 좌대(11) 및 장착부재의 위치에 따라 끼움홈(130)의 크기 및 제1체결홀(1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100)은 기본 좌결합부재(160) 또는 우결합부재(150)에 높이 방향으로 추가로 1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좌프레임(200) 또는 우프레임(300)이 장착부재 또는 좌대(11)에 체결되면서 좌대(1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야 하지만 기존 의자에 부착된 부품으로 인해 불가능해질 때, 좌프레임(200) 또는 우프레임(300)을 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하고자 함이다.
<제2실시 예의 받침대조립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받침대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널(500), 제3프레임(520)과, 제1실시 예의 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대(400)는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필요시 간략히 한다.
제2패널(500)은 대략 판형상이면서 중앙부 양측부가 오목하게 가공된 형태이다. 이 제2패널(500)은 좌대(11)의 하면 또는, 좌대(11)와 장착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다. 일례로, 제2패널(500)은 좌대(11)의 하면에 고정되어 돌출된 볼트 또는 나사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2체결홀(510)를 구비한다. 또한, 제2패널(500)에서 등받이(12)측의 일측부에는 드라이기를 걸 수 있는 걸이부재가 고정되는 걸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좌,우프레임(520,530)은 좌대(11,도 6 참조)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일측부가 제2패널(500)의 양측 하면에 고정되면서 외향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좌대(11) 좌측의 좌프레임바(520)는 제2패널(500)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등받이(12,도 6 참조) 반대측으로 굴절된 후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등받이(12) 측으로 굴절된 형상이다. 또한, 좌대(11) 우측의 우프레임바(530)는 제2패널(500)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등받이(12) 반대측으로 굴절된 형상이다. 여기서, 우프레임바(530)에서 등받이(12) 반대측으로 굴절된 부위에 받침대(400)의 체결구(450)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3실시 예의 일체형 받침대조립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체형 받침대조립체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의자(10)에 조립형 받침대조립체를 대신하여 받침대조립체가 일체로 고정된 점이 제1실시 예와 다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팔걸이(13b)보다 측면상 길이가 짧게 제작된 우팔걸이(13a), 등받이(12)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우팔걸이(13a)에 고정되면서 받침대(400)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고정바(600)와, 좌팔걸이(13b)의 상면에 고정된 걸침부재(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팔걸이(13b)는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 예의 좌측 팔걸이(13)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우팔걸이(13a)는 측면상 좌팔걸이(13b)의 길이보다 더 짧게 제작한다. 이 우팔걸이(13a)의 측면 길이는 우팔걸이(13a)에 고정바(6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우팔걸이(13a)와 고정바(600)의 길이 합이 대략 좌팔걸이(13b)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고정바(600)는 우팔걸이(13a)의 상부에 일측 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고정바(600)에는 접이식 받침대(400)의 체결구(450)가 장착되고, 이로 인해 받침대(400)가 고정바(60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400)는 뒷면에 장착된 접이부재(410), 자석(430)과 철재류(440) 등에 의해 접이식으로 제작되므로,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다가 좌대(11)를 가로질러 축회전한 후 펼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의 선단부위가 좌팔걸이(13b)에 걸쳐질 수 있다.
여기서, 우팔걸이(13a)와 고정바(600)의 체결에 대한 다른 예로, 우팔걸이(13a)의 측면 길이가 좌팔걸이(13b)의 길이와 동일한 상태에서 고정바(600)가 우팔걸이(13a)의 상측 또는 바깥 측으로 돌출되어 등받이(12)의 반대측, 즉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걸침부재(610)는 좌팔걸이(13b)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 걸침부재(610)는 받침대(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선단부위가 올려져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걸침부재(610)가 배제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펼쳐진 받침대(400)의 선단부위는 좌팔걸이(13b)의 상면에 얹혀져 지지된다. 물론, 고정바(600)가 좌팔걸이(13b)에 설치된 경우, 걸침부재(610)는 우팔걸이(13a)에 고정된다.
물론, 좌팔걸이(13b)에 고정바(600)가 설치되고, 우팔걸이(13a)에 걸침부재(6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우팔걸이(13a) 또는 좌팔걸이(13b)가 고정바(600) 형태인 경우, 우팔걸이(13a) 또는 좌팔걸이(13b)에 축회전하도록 받침대(400)가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의자 11:좌대
12:등받이 13:팔걸이
14:지지부 15:다리
16:지지축 17:로드
100:제1패널 110:중앙부
120:변두리부 130:끼움홈
140:제1체결홀 150:우결합부재
160:좌결합부재 170:지지바
180:고정부재 190:걸개
200:좌프레임 210:좌프레임하부
220:좌프레임중간부 230:좌프레임상부
240:마감부재 250:제1연결부재
260:제2연결부재
300:우프레임 310:우프레임하부
320:우프레임상부
400:받침대 410:접이부재
420:컵홀더 430:자석
440:철재류 450:체결구
500:제2패널 510:제2체결홀
520:좌프레임바 530:우프레임바
600:우고정바 610:걸침부재.

Claims (17)

  1. 의자용 받침대조립체에 있어서,
    의자의 좌대(11)에 체결된 지지축(16)의 로드(17)에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가공된 끼움홈(130)과, 좌대(11)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1100a)가 관통하도록 끼움홈(130)의 주변에 가공된 제1체결홀(140)을 구비한 제1패널(100);
    상기 제1패널(100)의 양측부에 각각 체결된 좌프레임(200) 및 우프레임(300);과
    상기 좌프레임(200) 또는 우프레임(300)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100)은 끼움홈(130)과 제1체결홀(140)이 가공된 중앙부(110)와, 중앙부(110)의 양측 경계부위가 굴절되면서 중앙부(110)보다 낮게 위치된 변두리부(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100)은 로드(17)에 장착된 제1패널(1113) 하측에 고정되고, 좌대(11)에서 돌출되어 제1패널(111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100a)가 제1체결홀(140)을 관통하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100)은 일측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우프레임(300)의 일부위가 고정되는 우결합부재(150)와, 타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좌프레임(200)의 일부위가 고정되는 좌결합부재(1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결합부재(150) 또는 좌결합부재(160)는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프레임(200)은 좌결합부재(160)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제1패널(100) 반대측으로 굴절된 좌프레임하부(210), 좌프레임하부(210)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1102) 반대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후 다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좌프레임중간부(220)와, 좌프레임중간부(220)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1102)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굴절된 좌프레임상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프레임상부(230)에서 등받이(1102)측으로 굴절된 부위는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프레임(300)은 우결합부재(150)에 일측부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우프레임하부(310)와, 우프레임하부(310)의 타측부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된 일측부로부터 등받이(1102) 반대측으으로 굴절된 우프레임상부(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프레임상부(320)에서 등받이(1102) 반대측으로 굴절된 부위는 장착된 받침대(400)의 촉회전이 용이하도록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프레임하부(210), 좌프레임중간부(220) 및 좌프레임상부(230)의 결합부위와, 우프레임하부(310) 및 우프레임상부(320)의 결합부위 중 적어도 1곳에는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2연결부재(260);
    상기 좌프레임상부(230)의 선단과 우프레임상부(320)의 선단 중 적어도 1곳에 선단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마감부재(240);와
    상기 우프레임상부(320)에서 등받이(1102) 반대측으로 굴절된 부위가 원기둥 형상이고, 나머지 부위가 사각 형상인 경우 경계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제1연결부재(250) 중 적어도 1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0)는 축회전을 위해 좌프레임바(520) 또는 우프레임바(530)에 장착된 체결구(450), 적어도 2등분으로 접히면서 접히는 부위에 장착된 접이부재(410),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양측면에 고정된 자석(430)과 철재류(440)와, 펼쳐진 상태에서 상면 일부위에 고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컵홀더(4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1. 의자용 받침대조립체에 있어서,
    의자의 좌대(11)와 좌대(11)의 하면에 체결부재(1100a)로 체결된 제1패널(1113) 사이에 개재되면서 체결부재(1100a)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제2체결홀(510)을 구비한 제2패널(500);
    상기 제2패널(500)의 양측부에 각각 일부위가 고정된 제3좌,우프레임바(520,530);과
    좌대(11)의 좌프레임바(520) 또는 우프레임바(520,530)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접이식의 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프레임바(520)는 제2패널(500)의 하면 일측부에 고정되면서 폭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등받이(1102) 반대측으로 굴절된 후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다시 등받이(1102)측으로 굴절되고,
    상기 우프레임바(530)는 제2패널(500)의 하면 타측부에 고정되면서 폭 방향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측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굴절된 다음 등받이(1102) 반대측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0)는 축회전을 위해 좌프레임바(520) 또는 우프레임바(530)에 장착된 체결구(450), 적어도 2등분으로 접히면서 접히는 부위에 장착된 접이부재(410),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양측면에 고정된 자석(430)과 철재류(440)와, 펼쳐진 상태에서 상면 일부위에 고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컵홀더(4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4. 의자용 받침대조립체에 있어서,
    의자(10)의 좌팔걸이(13b) 또는 우팔걸이(13a)에 직접 고정된 고정바(600);
    상기 고정바(600)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접이식 받침대(4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600)는 좌팔걸이(13b) 또는 우팔걸이(13a) 자체이거나, 좌팔걸이(13b) 또는 우팔걸이(13a)에 설치하도록 제작된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600)는,
    좌팔걸이(13b) 또는 우팔걸이(13a)의 상측 또는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굴절된 형태이거나,
    좌팔걸이(13b) 또는 우팔걸이(13a) 중 어느 일측 팔걸이가 타측 팔걸이보다 측면 길이가 더 짧으면서 일측 팔걸이에 일부위가 고정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직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600)가 고정되지 않은 좌팔걸이(13b)이 또는 우팔걸이(13a)는 펼쳐진 받침대(400)의 선단부위가 걸쳐지도록 장착된 걸침부재(6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0)는 축회전을 위해 고정바(600)에 장착된 체결구(450), 적어도 2등분으로 접기 위해 접히는 부위에 장착된 접이부재(410), 접힌 상태에서 마주하는 양측면에 고정된 자석(430)과 철재류(440)와, 펼쳐진 상태에서 상면 일부위에 고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컵홀더(4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1020150096378A 2015-07-07 2015-07-07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17000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78A KR20170006317A (ko) 2015-07-07 2015-07-07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1020160162467A KR102267610B1 (ko) 2015-07-07 2016-12-01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78A KR20170006317A (ko) 2015-07-07 2015-07-07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467A Division KR102267610B1 (ko) 2015-07-07 2016-12-01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317A true KR20170006317A (ko) 2017-01-18

Family

ID=5799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378A KR20170006317A (ko) 2015-07-07 2015-07-07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31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26Y1 (ko) 1997-03-14 1999-09-15 유창근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110024001A (ko) 2009-09-01 2011-03-09 박종근 강의용 의자
KR20120001874U (ko) 2010-09-03 2012-03-13 손청미 수강용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26Y1 (ko) 1997-03-14 1999-09-15 유창근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110024001A (ko) 2009-09-01 2011-03-09 박종근 강의용 의자
KR20120001874U (ko) 2010-09-03 2012-03-13 손청미 수강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2794A1 (en) Shelf attachment for lounge chair
KR20170007219A (ko)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US10813482B2 (en) Portable mattress seating apparatus
KR20170006317A (ko)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030015595A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130021586A (ko) 받침다리 절첩장치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KR20130011562A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20210008462A (ko)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100028201A (ko) 의자를 수납하는 책상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160052120A (ko) 접이식 의자 겸용 테이블
KR200292584Y1 (ko) 접이식 침대
KR200440298Y1 (ko) 독서대 기능을 갖춘 좌욕 의자
KR20030030188A (ko) 데스크에 결합된 절첩의자의 프레임
KR20120008126A (ko)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
JP7439445B2 (ja) 家具
KR200254711Y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JP3086095U (ja) 椅 子
RU2388392C2 (ru) Откидная опора для спинок диванов или кресел
KR200345226Y1 (ko) 발 받침대가 부착된 의자
KR101587900B1 (ko) 객석 의자용 지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