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280B1 - 의자 일체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의자 일체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280B1
KR101159280B1 KR1020110105360A KR20110105360A KR101159280B1 KR 101159280 B1 KR101159280 B1 KR 101159280B1 KR 1020110105360 A KR1020110105360 A KR 1020110105360A KR 20110105360 A KR20110105360 A KR 20110105360A KR 101159280 B1 KR101159280 B1 KR 10115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am
cover
integrated typ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1010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의자의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와 의자다리받이를 연결하여 의자가 접철되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ㄱ"자 형태 원통으로서, 내주면 상단에 링 형태의 유동블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커버가 삽입되고, 내주면 하단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의자다리받이와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유동블럭과 고정블럭에 각각 끝단이 고정되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형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단이 제1커버와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의 수직받침대; 및 상기 수직받침대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중심부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의자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의자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한 단부가 경사면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캠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캠과; 상기 의자다리받이에 끼워지되 하부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캠을 상기 상부캠 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커버와 결합되고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일체형 테이블{THE TABLE ATTACHED CHAIR}
본 발명은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의자의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와 의자다리받이를 연결하여 의자가 접철되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ㄱ"자 형태 원통으로서, 내주면 상단에 링 형태의 유동블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커버가 삽입되고, 내주면 하단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의자다리받이와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유동블럭과 고정블럭에 각각 끝단이 고정되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형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단이 제1커버와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의 수직받침대; 및 상기 수직받침대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중심부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의자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의자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한 단부가 경사면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캠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캠과; 상기 의자다리받이에 끼워지되 하부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캠을 상기 상부캠 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커버와 결합되고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테이블은 상판과 그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테이블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테이블과 분리되는 형태의 의자는 사용 후 테이블 안쪽으로 의자를 밀어 넣어 테이블 주변을 정돈하여야하며, 또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자를 잡아 당겨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종래 테이블과 의자를 프레임과 힌지구조로 연결하여 사용할 때 프레임을 펴서 의자를 뽑아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프레임을 접어 의자를 테이블 밑으로 밀어 넣는 형태로 사용하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이 제공되었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켜 자동으로 접철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의자가 접어지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시하여 테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손을 대지 않고도 의자가 자동으로 접어지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테이블과 다수의 의자가 일체로 결합하여 자동으로 접어지는 형태의 자동 접철구조로 이루어진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의자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거의 360°범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반 독립구조의 의자와 같이 회전 및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었으나, 이러한 구동으로 인해 등받이가 구성되지 않는 의자의 경우에는 정지된 의자의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서 테이블 하단 깊숙히 위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어 다음번에 테이블 깊숙히 위치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몸을 구부려 의자를 찾아 꺼내야 하였으며,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의자에 등받이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가 테이블 상판에 부딪히게 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테이블과 일체로 결합되는 의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고, 의자에서 벗어나게 되면 의자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회전의자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의자용 지지체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의자용 지지체는 원통형의 외통(600), 외통(60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핀들 가이드(500), 그리고 스핀들 가이드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스핀들(150)을 구비한다.
스핀들(150)의 하단부는 원통형의 외통(500)에 고정 클립(235)으로 고정된다. 스핀들이 외통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쿠션부재(620)가 삽입되고, 쿠션부재의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42)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쿠션부재(620)와 스러스트 베어링(142)이 스핀들(150)의 하단부에 끼워지므로써, 스핀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스핀들의 회전마찰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스핀들(150)의 타단부는 스핀들 가이드 및 외통의 외부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회전의자용 지지체는 도 2와 같이 좌판(121)과 결합하여 회전의자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회전의자용 지지체는 스핀들(150)이 스핀들 가이드(500) 내에서 회전 자재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회전의자를 이용한 후 회전의자에서 일어났을 때 회전의자의 좌판이 원위치에서 벗어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 있더라도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의자가 접어지되,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여 일정범위 내에서만 의자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자와 테이블의 상판이 부딪히게 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의자를 이용한 후 회전의자의 좌대에서 벗어났을 때 어떤 경우에서도 회전의자의 좌대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의자의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와 의자다리받이를 연결하여 의자가 접철되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ㄱ"자 형태 원통으로서, 내주면 상단에 링 형태의 유동블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커버가 삽입되고, 내주면 하단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의자다리받이와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유동블럭과 고정블럭에 각각 끝단이 고정되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형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단이 제1커버와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의 수직받침대; 및 상기 수직받침대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중심부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의자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의자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한 단부가 경사면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캠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캠과; 상기 의자다리받이에 끼워지되 하부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캠을 상기 상부캠 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커버와 결합되고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할 때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외통이 제2커버를 상승시켜 상부캠과 하부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의자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의자에서 벗어나게 되면 탄성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의자가 회전하여 상부캠과 하부캠의 경사면이 일치하여 맞닿도록 하여 의자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돌출부의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되 의자가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도록 90°~270°이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다리받이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자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의자다리받이의 하단부에 받침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상기 의자를 손을 대지 않고도 자동으로 접어지며, 또한 지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여 접철과정에서 다른 구성장치들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파손의 우려를 감소하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에 요구되었던 부품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과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벗어났을 때, 의자가 테이블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의자와 테이블의 충돌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의자용 높이 조절 조립체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접철에 따른 동작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와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조절캡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구조 사시도이다. 테이블(a)의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프레임(10)과, 의자(b)의 하단에 구성되는 의자다리(60)와 의자다리받이(70)를 연결하여 의자와 테이블을 일체로 구성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의자가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여 자동으로 접철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의자(b)가 테이블(a)의 하단에 위치한 의자를 앉기 위하여 꺼낼 때, 상기 의자의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60)가 지면에 걸리게 되어 접철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도록 구성되며, 의자에 체중이 실리면 의자다리(60)의 내부에 구성된 탄성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의자가 하강하면서 받침(61)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b').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접철에 따른 동작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100)가 적용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의자(b)가 테이블(a) 하단에 들어가 있으며, 의자에 앉기 위해 의자를 꺼내면 수직받침대(30)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코일스프링(26)이 팽창하면서 힘이 저장되고, 사용자가 의자를 벗어나면 코일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접철되어 테이블 하단의 원위치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의자(b)가 자동으로 접철되어 테이블 하단으로 들어갈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등받이가 구성되어 있게 되면 상기 등받이가 테이블 상판에 부딪히게 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빈번하게 가해지는 외부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등받이가 구성되지 않는 의자의 경우에도 의자의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서 테이블 하단의 깊숙이 위치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다음번에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몸을 구부려 의자를 찾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여 자동으로 접철되는 의자의 위치를 일정 반경으로 제한하면서 의자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받이와 테이블의 하단에 구성된 하부프레임을 연결하여 의자와 테이블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또한 의자가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여 자동으로 접철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100)는 테이블(a)의 하단에 구성된 하부프레임(10)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원통의 수직받침대(30)와, 상기 수직받침대(30)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조절캡(40)과, 상기 의자다리받이(70)와 수직받침대(30)를 연결하기 위한 "ㄱ"자 형태로 절곡된 원통의 연결프레임(20) 및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의 내주면 상단에는 링 형태의 유동블럭(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커버(21)가 삽입되고, 연결프레임의 내주면 하단에는 고정블럭(23)이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블럭(23)의 하단 외주면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캡(40)의 상부면에는 상기 돌출부(24)에 대응되는 걸림턱(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2)은 의자가 접철됨에 따라 연동되어 소정의 회전반경을 갖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24)에 접촉하면서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일정 경로 안에서만 의자가 접철될 수 있도록 의자가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의자 사용 후 의자에 실려진 체중이 제거됨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접철되는 의자의 각을 한정하여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가 테이블 상판에 부딪히지 않거나, 등받이가 없더라도 의자의 위치를 한정하여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서 의자의 사용을 편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캡(40)은 중심부 둘레면에 나사산(41)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받침대(30)의 하단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의 받침캡(28)을 결합하고, 상기 받침캡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부(27)를 상기 나사산(41)에 끼워 고정결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캡(4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걸림턱(42)을 통해 평상시에는 의자가 테이블의 하단에 위치하되, 의자에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가 테이블 상판에 닿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의자를 테이블에서 뺄 때에도 일정 거리까지만 가능하여 상기 의자가 일정 반경 내에서만 유동이 가능하도록 접철되는 각을 90°로 한정되도록 조절캡(4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턱(42)을 270°로 형성한 실시 예가 도 6(다)에 도시되어 있으며,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서 다수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의자가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동일한 걸림턱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의자의 위치에 따라 유동가능한 회전반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제시되어 있는 이외의 각으로도 구성하여 각각의 의자마다 접철되는 각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하여 의자의 제한된 유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른 의자들 사이에 있는 가운데 의자의 경우에는 양측의 다른 의자들에 의하여 유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턱(42)을 90~180°이내로 구성하여 테이블의 한쪽 모서리 측에서만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자들 중에서 끝단에 위치한 의자의 경우에는 의자가 위치한 한쪽 모서리 측 이외에 다른 모서리 방향으로도 의자가 회전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42)을 90~270° 이내로 구성하기 위하여 의자의 위치에 따라 도 6(가)~도 6(다)에 도시된 형태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2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위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200)는 상기 의자다리받이(7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의자와 함께 회전하며 한 단부가 경사면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캠(6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62)와, 상기 의자다리받이(7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캠(63)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캠(64)과, 상기 의자다리받이(70)에 끼워지되 하부캠(6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캠(64)을 상기 상부캠(63) 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65)과, 상기 제2커버(62)와 결합되고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100)의 연결프레임(20)과 연결되는 외통(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다리받이(70)의 하단부에는 받침(61)이 더 결합된다.
상기 받침(61)은 의자다리받이(70)가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하였을 때 지면과의 마찰력을 감소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받침(61)이 제거된 상태로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 의자다리받이(70)가 직접 지면에 닿은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의자다리받이(70)의 마모나 지면의 손상이 불가피하다.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의자(b)에 체중이 실리면 탄성스프링(65)이 하부캠(64)과 외통(66)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의자가 하강하여 받침(61)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커버(62)는 외통(66)과 함께 상승하여 하부캠(64)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착석하기 위해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의자 사용 후 의자에 실려진 체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스프링(65)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하부캠(64)을 상부로 밀어서 상기 하부캠의 경사면이 상부캠(63)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부캠과 하부캠의 경사면이 일치하여 맞닿도록 함으로써 의자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200)는 의자(b)에 착석 후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나더라도 의자(b)가 테이블(a) 하단으로 복귀하는 동안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가 테이블의 상판에 부딪히면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 : 테이블 b : 의자
10 : 하부프레임 20 : 연결프레임
21 : 제1커버 22 : 유동블럭
23 : 고정블럭 24 : 돌출부
26 : 코일스프링 27 : 고정구
28 : 받침캡
30 : 수직받침대 40 : 조절캡
41 : 나사산 42 : 걸림턱
60 : 의자다리 61 : 받침
62 : 제2커버 63 : 상부캡
64 : 하부캠 65 : 탄성스프링
66 : 외통 100 :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
200 :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

Claims (3)

  1. 테이블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의자의 하단에 구성된 의자다리와 의자다리받이를 연결하여 의자가 접철되는 구조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ㄱ"자 형태 원통으로서, 내주면 상단에 링 형태의 유동블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커버가 삽입되고, 내주면 하단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럭이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의자다리받이와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유동블럭과 고정블럭에 각각 끝단이 고정되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형태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단이 제1커버와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의 수직받침대; 및 상기 수직받침대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중심부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의자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돌출부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조절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의자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한 단부가 경사면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와; 상기 의자다리받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부캠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캠과; 상기 의자다리받이에 끼워지되 하부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캠을 상기 상부캠 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커버와 결합되고 의자 자동 접철 조립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외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할 때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외통이 제2커버를 상승시켜 상부캠과 하부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의자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의자에서 벗어나게 되면 탄성스프링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의자가 회전하여 상부캠과 하부캠의 경사면이 일치하여 맞닿도록 하여 의자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의자 원위치 복귀형 지지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돌출부의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되 의자가 접철되는 각을 한정하도록 90°~270°이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다리받이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자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의자다리받이의 하단부에 받침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0110105360A 2011-10-14 2011-10-14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15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360A KR101159280B1 (ko) 2011-10-14 2011-10-14 의자 일체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360A KR101159280B1 (ko) 2011-10-14 2011-10-14 의자 일체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280B1 true KR101159280B1 (ko) 2012-06-25

Family

ID=4668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360A KR101159280B1 (ko) 2011-10-14 2011-10-14 의자 일체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23B1 (ko)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100919111B1 (ko) 2009-05-21 2009-09-25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테이블 일체형 의자의 절첩구조
KR101016012B1 (ko) 2010-07-14 2011-02-23 선진공업주식회사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결합구조
KR101090195B1 (ko) 2011-03-03 2011-12-06 박충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23B1 (ko)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100919111B1 (ko) 2009-05-21 2009-09-25 주식회사 원일퍼니처 테이블 일체형 의자의 절첩구조
KR101016012B1 (ko) 2010-07-14 2011-02-23 선진공업주식회사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결합구조
KR101090195B1 (ko) 2011-03-03 2011-12-06 박충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32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479865B1 (ko)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930837B1 (ko) 경동 가능한 체어
US7484803B2 (en) Chair, especially and office or work chair
KR10118086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US11412848B2 (en) Table with swingable stools
KR101484975B1 (ko) 탁자의 의자 회전장치
KR10054951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KR10115928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0485004Y1 (ko)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조립식 쇼파
KR10109042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WO2020233417A1 (zh) 座椅装置及其星形底座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US20130181498A1 (en) Chair Leg Rest Assembly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10119104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JP5352351B2 (ja) イス兼用の杖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KR101090195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절첩장치
KR10137969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20100032994A (ko)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
EP2906080B1 (en) Chair with tiltable and lockable seat
KR200463668Y1 (ko) 의자용 완충 유닛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