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959B1 -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59B1
KR102505959B1 KR1020220170298A KR20220170298A KR102505959B1 KR 102505959 B1 KR102505959 B1 KR 102505959B1 KR 1020220170298 A KR1020220170298 A KR 1020220170298A KR 20220170298 A KR20220170298 A KR 20220170298A KR 102505959 B1 KR102505959 B1 KR 10250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xed
sleeve
storage devi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to KR102022017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의자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바로 상판 밑으로 빈 의자가 자동으로 수납되도록 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Chair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Chair-Integrated Tabl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의자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바로 상판 밑으로 빈 의자가 자동으로 수납되도록 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의자에 앉았을 때 지면을 향해 하강하여 지지되고, 반대로 의자에서 일어서면 의자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등받이가 테이블을 향해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를 뒷정리할 필요가 전혀 없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의자를 상판 밖으로 인출했을 때 인출된 의자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반대로 그것을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의자가 수납될 때 의자의 회전속도가 억제 또는 완충되면서 수납되도록 하고, 의자가 수납되었을 때 각 의자가 동일 선상에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갖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은 하나의 상판에 복수 개의 의자가 결합된 테이블을 포괄하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수납"이라는 용어는 테이블의 상판 밑으로 의자를 넣는 것을 말하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인출"이라는 용어는 테이블 상판 밑에서 상판 밖으로 의자를 꺼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테이블은 특허등록 제10-1067573호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특허등록 제10-1038163호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특허등록 제10-0799188호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등록실용신안 제20-0415058호 "의자 일체형 단체급식용 식탁" 및 특허등록 제10-1090420호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등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테이블은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빈 의자는 지면에서 부양되면서 테이블 밑으로 수납되는데, 이때 의자의 등받이가 테이블과 부딪혀 충격소음이 유발되고 충돌부위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어 거의 대부분의 테이블은 등받이가 없는 의자를 채용하고 있다.
극히 일부 테이블의 경우,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채용된 것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테이블은 수납된 각 등받이의 수납 각도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제각각 배치되므로 등받이를 동일 선상에 나란해지도록 일일히 뒷정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의자를 인출할 때 등받이가 회전되어 상판과 부딪혀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회전된 등받이로 인해 등받이와 상판 간의 공간이 좁아져 신체의 출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출된 의자는 내재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계속 수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수납되는 의자에 신체가 부딛혀 안전사고가 생기는 문제가 있고, 또한 테이블 밑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 인출된 의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의자 의 좌대 위에 중량물을 올려 놓거나 의자를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의자가 상판 밑으로 서서히 수납되도록 완충(또는 댐핑)기능을 갖춘 테이블에 대하여 등록특허 10-2364025-0000(2022.02.14)에서 제안한 바 있으나, 위 등록특허 10-2364025-0000는 의자의 수납동작시 서서히 수납되는 댐핑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수납된 각 의자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수납하기 어렵고, 또한 위 발명에 적용된 댐퍼는 고가여서 제조비용이 큰 불리함이 있으며, 또한 빈번한 의자의 인출 및 수납동작으로 인해 댐퍼의 댐핑능력이 쉽게 약화되고, 또한 댐핑기능이 약화된 댐퍼를 교체할 경우 구성요소 전체를 분해 및 조립해야 하므로 교체가 힘들고 어려우며, 또한 테이블에 각 의자를 조립할 때 각 의자는 물론 의자의 등받이를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조립하기가 어려운 뚜렷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빈 의자가 테이블 밑으로 자동으로 수납되도록 한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의자에 앉았을 때 지면을 향해 하강하여 지면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로 의자에서 일어서면 의자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등받이가 테이블을 향해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를 뒷정리할 필요가 전혀 없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의자를 상판 밖으로 인출했을 때 인출된 의자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반대로 그것을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의자가 수납될 때 급속히 수납되지 않고 서서히 수납되도록 하고, 각 의자가 수납되었을 때 각 의자들이 동일 선상에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갖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댐핑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의자를 구비하는 테이블(10)은,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와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 및 의자 댐핑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는,
연결부재(14)가 결합된 내부가 빈 하우징(101)과;
의자 지지대(23)를 회전 및 승하강 가능하도록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4)와;
상기 고정부재(104)와 이격되게 상기 의자 지지대(23)에 고정된 가동부재(103)와;
양 단부가 전술한 가동부재(103)와 고정부재(104)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의자 지지대(23)의 외경에 위치되는 제 1 탄성수단(105)과;
전술한 의자 지지대(2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1)의 주연부에 고정되는 마감부재(102)를 포함한다.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지면에 접지될 수 있는 발(25)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탄성수단(105) 내에 내재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원위치로 회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압축 응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될 수 있다.
전술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의자 지지대(23)가 원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각 등받이(22, 도 1)들이 상판(11)에 대해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02) 또는 가동부재(103) 중 어느 한 곳에 스토퍼(102a)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의자가 수납되었을 때 스토퍼(10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각 등받이(22)는 동일 선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는,
소정의 길이를 지닌 샤프트(201b)를 갖추고, 연결부재(14)가 결합된 회전축(15) 내에 고정되는 고정판(201)과;
대칭되는 양 외벽에 전술한 샤프트(201b)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장공(206b)을 갖추고 다리(16) 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슬리브(206)와;
전술한 장공(206b) 내에 위치되는 돌기(211)와, 상기 슬리브(206)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나선형 경사면(210a)을 갖추고, 상기 샤프트(201b)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블럭(210)과;
상기 가동블럭(210)의 경사면(210a)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경사면(210a)과 대칭되는 나선형 경사면(220a)을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206)의 내의 상기 샤프트(201b)와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 고정블럭(220)과;
상기 슬리브(206)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블럭(220)을 관통한 샤프트(201b)에 원주방향으로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블럭(210)을 고정블럭(220)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상기 슬리브(206)가 고정되게 내장되고 상판 지지대(12)와 결합되는 다리(16)을 포함한다.
전술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는, 의자 지지대(23)와 연결부재(14) 및 고정판(201)은 제 2 탄성수단에 의해 의자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내재된다.
따라서, 의자(20)를 인출하면 연결부재(14)와 고정판에 결합된 샤프트(201b)와 고정블럭(220)이 함께 다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가압수단에 의해 전술한 가동블럭은 양 경사면(210a)(220a)이 밀착된 채로 미끄럼 운동하면서 가동블럭(210)에 가해진 탄성력이 약화된다.
반대로, 의자(20)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빈 의자(20)는 제 2 탄성수단에 의해 샤프트(201b)에 내재된 탄성에 의해 수납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동블럭(210)이 가압수단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의자(20)의 수납 및 인출시 샤프트(201b)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동블럭(210)에 내재되는 탄성력이 가변되고, 의자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록 내재된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회전운동이 억제된다.
전술한 고정판(201)은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0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스토퍼(201a)는 고정판(201)의 외경에 돌출되게 형성하고, 전술한 슬리브(206)의 외주연에 걸림편(206a)을 마련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고정판(201)은 연결부재(14)와 함께 회전될 때 걸림편(206a)이 부착된 위치까지만 회전될 수 있다. 그래서 의자(20)의 최대 인출각(각도)은 걸림편(206a)을 슬리브(206)에 마련한 위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 3 목적에 따른 의자 댐핑수단은 전술한 양 블럭(210)(220)의 경사면(210a)(220a)에 걸림돌기(212)와 걸림턱(221a)을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의자(20)가 수납 또는 인출되는 동안 전술한 걸림돌기(212)이 걸림턱(221a)을 경유하거나 그 곳에 고정되게 되므로 다리(1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결부재(14)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회전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자가 수납될 때, 의자는 유연하고 부드럽게 완충되면서 서서히 수납되고 정해진 위치에 각 의자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20)는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에 의해 좌대(21)가 승하강될 수 있고, 그 등받이(22)는 원위치로 회전(복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수납 및 인출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의자 댐핑수단에 의해 의자의 수납(회전)속도를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또는 인출시 의자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각 의자와 등받이를 자동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따른 효과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서 연결부재가 연결된 빈 의자는 가압수단에 의해 공중 부양되면서 제 2 탄성수단에 의해 수납되고, 댐핑작용에 의해 서서히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따른 효과로는, 의자가 수납될 때 의자 지지대는 압축 스프링에 내재된 비틀림 응력과 압축 응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등받이는 원위치로 회전되고,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각 등받이들이 정렬되므로 각 의자의 등받이를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뒷정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따른 효과는 의자가 수납될 때 양 경사면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해 의자의 수납(회전)속도를 억제되고 걸림턱 또는 스토퍼의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의자가 수납될 때 수납속도를 일시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고, 수납시 정해진 위치에 각 의자들을 정렬시킬 수 있으며, 의자를 인출했을 때 의자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반대로 걸림턱에서 걸림돌기가 이탈되도록 의자에 외력을 가하면 의자와 등받이는 의자 자동 수납장치에 의해 바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의자가 수납될 때 의자 등받이가 테이블에 부딪혀 훼손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의자의 수납에 따른 회전속도가 완충되므로 신체에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일이 없으며, 의자가 인출될 때 등받이와 상판 간의 공간이 좁아져 신체의 출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테이블에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사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의자 자동 수납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의자 자동 수납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사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판과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가동블럭(도 8a)과 고정블럭(도 8b)을 각각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의자 자동 수납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 의자 댐핑수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에서 가동블럭(도 10a)과 고정블럭(도 10b)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간행물, 특허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마치 각 참고문헌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것으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명시적으로 표시되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맥락에서(특히하기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지시어 및 "적어도 하나"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목록 다음에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나열된 항목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항목(A 또는 B), 또는 나열된 항목들 중 둘 이상의 조합(A 및 B)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포함하는"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함)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값들의 범위들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것의 약식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각각의 개별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모든 예, 또는 예시적 표현(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표현도, 임의의 비청구된 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여기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로, 본 발명에 채용된 테이블(10)은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 도 2, 도 3)와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 도 5, 도 6) 및 의자 댐핑수단을 포함한다. 위 테이블에 포함된 상세 구성은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테이블(10)은 상판(11)과 복수의 의자(20)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판(11)은 지면에 지지된 상판지지대(12)(13)에 의해 지지되고, 의자(20)는 착석시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의자 지지대(23)에 의해 지지된다.
전술한 상판지지대(12)은 그 단부에 후술하는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의자(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21)와 등받이(22) 및 의자 지지대(23)를 포함한다.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는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와 연결부재(14, 도 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는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와 상기한 연결부재(1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의자 지지대(23)는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와 연동하여 의자가 수납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동시에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에 의해 승하강 및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와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를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의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상하부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는,
전술한 연결부재(14)가 결합된 원통형 하우징(101)과;
의자 지지대(23)를 회전 및 승하강 가능하도록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4)와;
상기 고정부재(104)와 이격되게 상기 의자 지지대(23)에 고정된 가동부재(103)와;
양 단부가 전술한 가동부재(103)와 고정부재(104)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의자 지지대(23)의 외경에 결합되는 제 1 탄성수단(105)과;
전술한 의자 지지대(2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1)의 주연부에 고정되는 마감부재(102)를 포함한다.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지면에 지지되는 발(25)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101)은 소정길이를 지니는 원통형상이고, 그 외경에 전술한 연결부재(14)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그 상단이 좌대(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전술한 하우징(101) 내에 승하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하부 고정부재(104)는 전술한 하우징(101)의 내경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가동부재(103)는 의자 지지대(23)가 하우징(101)의 축선방향으로 승하강되고 동시에 하우징(101) 내의 의자 지지대(23)의 외경에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고정부재(104)는 전술한 하우징(101) 내의 하측에 그 내경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가동부재(103)는 하우징(101) 내에서 승하강 및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탄성수단(10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동부재(103) 및 고정부재(104)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술한 하우징(101) 내에 설치되고, 양측 단부가 전술한 가동부재(103) 및 고정부재(104)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 코일스프링(torsion coil spring) 일 수 있다.
전술한 의자 지지대(23)는 토션 코일스프링에 내재된 비틀림 응력과 압축 응력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할 수 있고, 압축 응력에 의해 의자의 상측방향으로 원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의자 지지대(23)가 원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각 등받이(22, 도 1)들이 상판(11)에 대해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102) 또는 가동부재(103) 중 어느 한 곳에 스토퍼(102a)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받이(22)가 원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각 등받이(22, 도 1)들이 상판(11)에 대해 동일 선상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마감부재(102) 또는 가동부재(103) 중 어느 한 곳에 스토퍼(102a)를 마련하고, 대응측에는 스토퍼(102a)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절결부(103c)를 마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스토퍼(102a)는 절결부(103c) 내에서만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각 의자가 수납되었을 때 등받이의 수납위치는 물론 의자 인출시 등받이의 최대 회전각도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의자에 사람이 앉으면 좌대(21, 도 1)와 의자 지지대(23)는 전술한 제 1 탄성수단(105)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고, 반대로 의자에 앉은 사람이 일어서면 좌대는 제 1 탄성수단(105)에 내재된 압축 응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비틀림 응력에 의해 의자 등받이는 원위치로 바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테이블에 채용된 본 발명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의 상세 구성에 대한 조립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는 상판 지지대(12)에 고정되는 원통형 다리(16)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는,
연결부재(14)와 연결된 회전축(15) 내에 고정되는 샤프트(201b)를 갖춘 고정판(201)과;
대칭되는 양 외벽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장공(206b)을 갖추고 다리(16) 속에 고정되는 슬리브(206)와;
상기 장공(206b) 내에 위치되는 돌기(211)와 상기 슬리브(206)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나선형 경사면(210a)을 갖추고, 상기 샤프트(201b)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블럭(210)과;
상기 가동블럭(210)의 경사면(210a)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경사면(210a)과 대칭되는 나선형 경사면(220a)을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206)의 내경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샤프트(201b)에 고정되는 고정블럭(220)과;
상기 슬리브(206) 내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블럭(220)을 관통한 샤프트(201b)에 원주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블럭(210)을 고정블럭(220)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상기 슬리브(206)가 고정되게 내장되고 상판 지지대(12)와 결합되는 다리(16)를 포함한다.
전술한 회전축(15)은 의자 지지대(23)와 연결된 연결부재(14)의 타 단부가 고정되고, 그 상부는 다리(16) 속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캡(17)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판(201)은 전술한 회전축(15) 내에 마련된 체결판(15a)에 관통되게 체결되는 볼트(도면부호 미표기, 도 5, 도 9)에 의해 체결판(15a)에 고정된다.
전술한 고정판(201)은 전술한 회전축(15)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지니고,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06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스토퍼(206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리브(206)의 외주연에 이격되게 형성하고, 고정판(201)의 외경에 걸림편(20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연결부재(14)과 함께 고정판(201)이 회전되더라도 스토퍼(206a)는 걸림편(206a)의 위치까지만 회전되므로 회전축(15)과 고정판(201)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양 블럭(210)(220)은 전술한 샤프트(201b)가 관통하도록 수용하고, 전술한 양 블럭(210)(220)이 서로 접하는 면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나선형 경사면(210a)(220a)이 대칭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가동블럭(210)은 그 외면에 후술하는 슬리브(206, 도 5, 도 6)의 장공(206b, 도 6) 내에 배치되는 돌기(211, 도 8a)가 형성되고, 샤프트(201b)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전술한 슬리브(206)의 축선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블럭(220)은 전술한 슬리브(206) 내에 회전가능하게 샤프트(201b)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에서, 도면부호 224는 전술한 샤프트(201b)의 외경에 고정블럭(2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용 나사 구멍이다.
전술한 가압수단은 전술한 가동블럭(210)을 고정블럭(220)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가압수단은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02)일 수 있다.
상기한 압축스프링(202)의 일측단은 고정판(201)에 지지되고, 그 타측단은 가동블럭(210)에 지지되도록 샤프트(201b)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블럭(210)은 압축스프링(202)의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고정블럭(220) 쪽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양 블럭(210)(220)에 내재된 압축력에 의해 가동블럭(210)의 경사면은 고정블럭(220)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려는 에너지가 내재되게 된다.
전술한 슬리브(206)는 전술한 고정판(201)의 외경과 유사한 외경을 지니는 내부가 빈 통형상이고, 대칭되는 외경에 전술한 돌기(211, 도 9)가 위치되는 장공(206b, 도 6)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제 2 탄성수단은 전술한 샤프트(201b)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채용 예로는 태엽 형태의 스프링(205a)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태엽 스프링(205a)은 그 일 단부는 전술한 샤프트(201b)의 슬롯(201c, 도 6, 도 6)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슬리브(206)의 내경에 고정되도록 볼트(도면부호 미표기)로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 케이스(205) 속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사프트(201b)는 태엽 스프링(205a)에 의해 다리(16)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원위치되도록 하는 탄성이 내재될 수 있다.
전술한 슬롯(201c)은 샤프트(201b)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태엽 스프링(205a)과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전술한 태엽 스프링 케이스(205)는 슬리브(206)의 외면에 볼트(도면부호 미표기, 도 5, 도 6, 도 9)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슬리브(206)는 다리(16)의 외면에 체결되는 볼트(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다리(16) 속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20)를 인출하면, 전술한 연결부재(14)를 통해 전술한 회전축(15)과 샤프트(201b) 및 고정블럭(220)이 회전되고, 그와 연동하여 가동블럭(210)은 내재된 탄성에 의해 고정블럭(220) 쪽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장공(20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샤프트(201b)와 회전축(15)의 유연한 회전을 위해 레이디얼 베어링(204)과 스러스트 베어링(203, 도 5, 도 6, 도 9)이 샤프트(201b)의 외경과 슬리브(206)의 내경 사이에 더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204)은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1)과 압축스프링(202) 사이와 압축스프링(202)과 가동블럭(210)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샤프트(201b)의 외경에 결합될 수 있고,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203)은 압축스프링(202)과 가동블럭(21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양 베어링(203)(204)의 외경은 슬리브(206)의 내경과 유사하다.
도 6 중 미설명 도면부호 203a는 마찰방지용 와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댐핑수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의자 댐핑수단은 의자가 수납될 때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의자의 수납속도를 억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말하고, 의자 댐핑수단은 의자의 수납된 위치와 인출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의자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댐핑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앞서 설명한 가동블럭(210)과 고정블럭(22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전술한 양 경사면 중 일측 경사면(210a)에는 걸림돌기(212)를 더 마련하고, 타측 경사면(220a)에는 걸림돌기(212)를 수용하는 걸림턱(221a)을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반대로 설치해도 된다.
전술한 걸림턱(221a)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경사면(220a)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돌기(212)는 가동블럭(210)의 경사면(210a)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20)가 수납 또는 인출될 때 걸림돌기(212)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221a)을 통과하거나 위치되었을 때 해당 부위에서 샤프트(201b)의 회전운동을 억제시키거나 일시적으로 회전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작용 예로서, 상판 밑의 청소를 위해 의자를 인출하였을 때 걸림돌기(212)가 걸림턱(221a)에 걸려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의자가 수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된 의자는 전술한 걸림돌기(212)가 걸림턱(221a)에서 탈출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을 해당 의자에 가하면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의자는 바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의자(20)가 상판(11) 밑으로 완전히 수납되기 전 즉, 제조자가 설정한 위치로 의자가 정위치 되기 전에 전술한 걸림돌기(212)가 걸림턱(221a)에 걸리도록 양 블럭의 경사면에 각각 적용함으로써 걸림턱(221a)이 마련된 위치에서 회전운동이 억제되도록 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 블럭의 경사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212)과 걸림턱(221a)을 채용한 위치와 갯수 및 배치된 간격을 적절하게 응용하면 각 의자가 수납되거나 수납되었을 때 의자와 등받이의 수납 위치를 동일 선상에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인출된 의자를 특정 각도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양 경사면의 최상측 지점이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동블럭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22)를 고정블럭(220)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토퍼(222)는 양 블록 중 어느 한 블럭에 마련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고정블럭(220)은 그 스토퍼(222)가 가동블럭(210)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을 종합하여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20)는 의자 등받이 자동 정렬장치(100)에 의해 좌대(21)는 승하강될 수 있고, 그 등받이(22)는 원위치로 회전(복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의자 자동 수납장치(200)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수납 및 인출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의자 댐핑수단에 의해 의자의 수납(회전)속도를 완충 및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또는 인출동작에 따른 의자의 위치를 정해진 위치에 각 의자와 등받이가 스스로 자동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의자가 수납될 때 의자 등받이가 테이블에 부딪혀 훼손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의자의 수납에 따른 회전속도가 완충되므로 신체에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일이 없으며, 의자가 인출될 때 등받이와 상판 간의 공간이 좁아져 신체의 출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나, 이러한 응용예나 변경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두는 바이다.

Claims (6)

  1. 의자 일체형 테이블에 있어서,
    연결부재(14)와 연결된 회전축(15) 내에 고정되는 샤프트(201b)를 갖춘 고정판(201)과;
    대칭되는 양 외벽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장공(206b)을 갖추고 다리(16) 속에 고정되는 슬리브(206)와;
    상기 장공(206b) 내에 위치되는 돌기(211)와 슬리브(206)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나선형 경사면(210a)을 갖추고, 샤프트(201b)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블럭(210)과;
    상기 가동블럭(210)의 경사면(210a)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경사면(210a)과 대칭되는 나선형 경사면(220a)을 구비하고, 슬리브(206)의 내의 상기 샤프트(201b)와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 고정블럭(220)과;
    상기 슬리브(206) 내에 결합되되, 고정블럭(220)을 관통한 샤프트(201b)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블럭(210)을 고정블럭(220)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상기 슬리브(206)가 고정되게 내장되고 상판 지지대(12)와 결합되는 다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수단은 태엽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슬리브 내에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 축받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의 단부는 의지 지지대와 연결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블럭 중 어느 한 블럭에 스토퍼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슬리브(206)에 대하여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KR1020220170298A 2022-12-08 2022-12-08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KR10250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98A KR102505959B1 (ko) 2022-12-08 2022-12-08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98A KR102505959B1 (ko) 2022-12-08 2022-12-08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959B1 true KR102505959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298A KR102505959B1 (ko) 2022-12-08 2022-12-08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706B1 (ko) *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60098704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하나퍼니처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1944281B1 (ko) * 2017-09-18 2019-01-31 강준기 스툴 장착형 테이블
KR101982262B1 (ko) * 2018-11-05 2019-08-28 주식회사 야흥금속 이동식 스툴 테이블의 의자 회전장치
KR102092778B1 (ko) * 2019-12-30 2020-05-15 (주) 파트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706B1 (ko) * 2011-07-04 2011-11-07 송춘식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60098704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하나퍼니처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KR101944281B1 (ko) * 2017-09-18 2019-01-31 강준기 스툴 장착형 테이블
KR101982262B1 (ko) * 2018-11-05 2019-08-28 주식회사 야흥금속 이동식 스툴 테이블의 의자 회전장치
KR102092778B1 (ko) * 2019-12-30 2020-05-15 (주) 파트라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의자 회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식 스툴테이블
KR102147942B1 (ko) * 2019-12-30 2020-08-25 (주) 파트라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96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댐핑장치
EP3713451B1 (en) Foldable chair and foldable table
KR102147942B1 (ko) 오토리턴 기능이 구비된 이동식 스툴테이블
JP2019506965A (ja) 折り畳みテーブル及び座席装置
KR10118086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KR10198226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의 의자 회전장치
KR101479865B1 (ko)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505959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수납장치
KR10254974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109571425A (zh) 工业机械及其移设机构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090842B1 (ko) 접힘구조를 갖는 테이블
US20080060562A1 (en) Extendable assembly for supporting sofa table
KR102364025B1 (ko) 충격완화장치가 부착된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2172042B1 (ko)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0640779B1 (ko) 이동 방지 기능을 갖는 의자용 가스실린더
CN109431757B (zh) 一种具有可调坐凳功能的折叠式拐杖
KR20160098704A (ko) 자동 접철식 의자가 부설된 테이블
CN111839068A (zh) 一种可调震动回弹的智能沙发
US6739560B1 (en) Self-adjusting anti-glide apparatus
KR101197585B1 (ko) 절첩식 관람의자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CN21253734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风扇升降杆组件
CN219048192U (zh) 一种缓降缓升沐浴椅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