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829B1 -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829B1
KR102233829B1 KR1020190140812A KR20190140812A KR102233829B1 KR 102233829 B1 KR102233829 B1 KR 102233829B1 KR 1020190140812 A KR1020190140812 A KR 1020190140812A KR 20190140812 A KR20190140812 A KR 20190140812A KR 102233829 B1 KR102233829 B1 KR 10223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dining table
vertical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14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47B1/03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 A47B2001/035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the extension leaves being un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47B2001/053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and liftable to the same height as the main table leaf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식업 식당에서 사용하는 단순 구조의 식탁에 부착하여 식탁의 상부면 면적을 확장하는 장치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펼치고 접히는 구조를 가진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보조테이블 장치는, 보조테이블 몸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는, 식탁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 수평 절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수직부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연장부, 및 부분연장부에서 수직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수직 브라켓; 부분연장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암; 돌출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회동암의 타단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회동제한암; 회동암의 타단이 일단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회동제한암의 타단이 상기 일단부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수평 절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을 구비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암; 및 지지암의 일단부의 타측 부분과 부분연장부의 하부측 말단부와의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FOLDING SIDE TABLE DEVICE FOR A RESTAURANT DINING TABLE}
본 발명은 식탁의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식업 식당에서 사용하는 단순 구조의 식탁에 부착하여 식탁 상면의 면적을 확장하는 보조테이블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펼치고 간편하게 접히는 구조를 가진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요식업 식당용 식탁 대부분은 개량된 형태로서 수납 서랍이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개량된 형태 이전의 종래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의 상당수는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4개의 다리가 부착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 식탁의 상당수가 아직까지 요식업 식당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네 사람의 손님이 4인용의 기존 식탁을 사용할 때, 손님들 대부분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 차키 등의 식탁 위에 올려놓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 경우, 식탁 위에 올려지는 음식과 물컵, 물통, 수저통, 핸드폰, 차키 등으로 인하여 식탁이 매우 비좁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기존 4인용 식탁에서 상황에 따라 식탁 상면의 면적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확장하고 원위치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139197호(2012.12.27.)
전술한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식업 식당에서 사용하는 단순 구조의 2인용 내지 4인용 식탁에 부착하여 식탁 상면의 면적을 확장하는 보조테이블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펼치고 간편하게 접히는 구조를 가진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과 상부면이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보조테이블 몸체; 상기 보조테이블 몸체를 지지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에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접이식 동작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수직 프라켓, 회동암, 회동제한암 및 지지암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브라켓은 식탁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 상기 수평 절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연장부, 및 상기 부분연장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암의 일단은 상기 부분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제한암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절곡부는 회동 동작 시 상기 회동암의 타단을 가두어 상기 회동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지지암은 수직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중심부에 상기 회동제한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상기 수평 절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타측과 상기 부분연장부의 하부측 말단과의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하나에 형성된 제1 고정홀과 상기 지지암에 형성된 제2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조작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는, 보조테이블 몸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는, 식탁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 상기 수평 절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연장부, 및 상기 부분연장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수직 브라켓; 상기 부분연장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암; 상기 돌출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암의 타단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회동제한암; 상기 회동암의 타단이 일단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제한암의 타단이 상기 일단부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상기 수평 절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을 구비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타측 부분과 상기 부분연장부의 하부측 말단부와의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브라켓은 상기 부분연장부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부에서 상기 수평 절곡면 및 상기 수직부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와 상기 지지암은 상기 수평 절곡면과 상기 수평 지지면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때 서로 대응하는 고정홀을 각각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에 대한 상기 고정핀의 삽입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스프링을 게재하고 상기 고정홀 상에 고정되는 조작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순 구조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부착하여 식판 상면의 면적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 4인용 식탁에 네 명의 손님이 앉는 경우, 접이식 보조테이블을 펼쳐 보조테이블 위에 수저통이나 물컵 등을 올려 놓거나 핸드폰이나 차키 등의 고객 소지품을 올려놓도록 하여 식탁 위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여유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의해 식당을 이용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좁은 식탁 상에서 음식물이나 물에 의해 사용자 소지품에 원하지 않는 피해나 손상이 가는 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식탁에 부착되는 보조테이블을 원터치 방식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당 주인, 관리자 혹은 종업원이 손쉽게 보조테이블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을 부착한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부착된 보조테이블의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서 보조테이블 장치의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테이블에 채용할 수 있는 조작손잡이에 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의 활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보조테이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부착된 보조테이블의 추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의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변형 가능한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나 도면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을 부착한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부착된 보조테이블의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을 부착한 요식업 식당용 식탁(200)은 일면에 부착된 보조테이블 장치(100)를 구비한다.
요식업 식당용 식탁(이하 간략히 '식탁'이라 함)(200)은 식탁 플레이트(210)와 식탁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지지대를 구비한다. 하부지지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 막대 형상의 다리부(2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지지대(220)는 4개의 사각 막대 형상의 다리부(221)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식탁(200)은 기본적으로 수저통, 냅킨수납박스 등의 일부 식탁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이나 식탁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식탁을 일체로 구비하지 아니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식탁(200)은 단순구조 식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구조 식탁(200)과 별도로 제조된 보조테이블 장치(100)를 식탁(200)의 일측면에 접이식으로 부착하여 선택적으로 혹은 필요에 따라 식탁(200)의 식탁 상부면 면적을 확장하고, 사용 후에 간편하고 손쉽게 접어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보조테이블 장치(100)는 한 쌍의 지지부(10, 20), 수평 지지프레임(40), 및 보조테이블 몸체(50)를 구비한다.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과 상부면이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보조테이블 몸체(50)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형태로 평평한 상부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테이블 몸체(50)는 동서남북의 네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의 상면에는 중심부보다 돌출된 가장자리 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 지지프레임(40)은 한 쌍의 지지부(10, 20)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부(10, 20)를 수평 방향에서 지지한다. 수평 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수평 지지프레임(40)은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0, 20)에 각각 접하는 제3의 수직 브라켓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비용을 줄이고 장치의 경량화를 위해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수평 지지프레임(40)에는 개구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0, 20)는 보조테이블 몸체(50)의 일면 또는 상부면이 식탁 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서 식탁 플레이트(21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위치할 때 한쪽 말단부에서 보조테이블 몸체(50)를 지지하며, 보조테이블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이식으로 관절 운동하여 식탁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보조테이블 몸체(50)가 접혀 내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0, 20)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면대칭 혹은 거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에 속한 제1 지지부(10)와 제2 지지부(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구성을 중심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또는 제2 지지부(10; 20)는 수직 브라켓(32), 회동암(34), 회동제한암(36), 지지암(38) 및 스프링(60)을 구비한다.
수직 브라켓(32)은 식탁(200)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322), 납작한 바(bar) 형태의 수평 절곡면(322)과 직교하는 하부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는 수직부(324), 수직부(324)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는 부분연장부(326), 및 부분연장부(326)의 하부측 말단에서 수직부(324)와 대략 평행하게 수직부(324)의 폭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돌출하는 돌출부(328)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직 브라켓(32)은 수직부(324), 부분연장부(326) 및 돌출부(328)에 의해 디귿자(ㄷ) 형태나 눕힌 U자 형태로서 서로 마주하는 두 연장 부분 중 돌출부(328)에 대응하는 연장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갖고 그 중심부가 수직부(324)와 부분연장부(326)와 돌출부(328)에 의해 둘러싸여 두 연장 부분이 비대칭 구조로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브라켓(32)은 부분연장부(326)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부에서 수평 절곡면(322) 및 수직부(324)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걸림턱(23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브라켓(32)에서, 수직부(324)는 고정홀(이하 '제1 고정홀'이라 함)(325)을 구비한다. 수직부(324)의 제1 고정홀(325)은 수평 절곡면(322)과 수평 지지면(328)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때 지지암(38)의 고정홀(이하 '제2 고정홀'이라 함)(385)과 정렬된다. 조작손잡이의 고정핀이 서로 정렬된 제1 고정홀(325) 및 제2 고정홀(385)에 삽입되면, 지지암(38)의 회동은 제한된다.
회동암(34)은 소정 길이를 갖고 납작한 바 형태를 구비한다. 회동암(34)의 일단부는 부분연장부(32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회동암(34)의 타단부는 지지암(38)의 상대적으로 폭넓은 일단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회동제한암(36)은 폭 방향으로 절곡된 굽은 납작한 바 형태를 구비한다. 회동제한암(36)은 회동암(34)과 유사한 길이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제1 부분에 위치하는 회동제한암(36)의 일단부는 돌출부(32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절곡부는 회동암(34)의 타단부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절곡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서 70도 내지 90도의 내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분에 위치하는 회동제한암(36)의 타단부는 지지암(38)의 일단부의 중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지지암(38)은 수직 브라켓(32)의 수직부(322)와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한다. 수직부(322)에 인접한 지지암(38)의 일단부의 폭은 타단부의 폭보다 넓다.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는 수평 절곡면(322)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382)을 구비한다. 수평 지지면(382)은 보조테이블 몸체(50)의 하부에 접하거나 끼워지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그에 의해 보조테이블 몸체(50)를 지지한다.
스프링(60)은 지지암(38)의 일단부의 타측부와 수직 브라켓(32)의 연장부(326)의 하부측 말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스프링(60)의 동작에 의하면, 수직 브라켓(32)의 연장부(326)에 대하여 지지암(38)의 일단부가 미리 설정된 궤적에 따라 움직일 때, 지지암(38)의 회동 범위의 최소 회동 위치와 최대 회동 위치에서 지지암(38)의 일단부를 부분연장부(326)의 하단부로 끌어당겨 보조테이블 몸체(50)를 펼친 상태와 접은 상태 각각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은 상태의 스프링 인장력은 펼친 상태의 스프링 인장력보다 크며, 소정의 최대 인장력에 대응하는 변곡 인장력보다 조금 작게 설정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실질적으로 조작손잡이(70)의 고정핀(도 9의 72 참조)을 분리하고 작은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스프링(60)의 인장력에 의해 쉽게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테이블 몸체(50)를 펼친 상태에서 접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며, 따라서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접이식 지지부(10; 20)의 스프링(60)과 지지암(38) 등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효과적으로 펼쳐져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식탁(200)의 하부지지대(220)는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막대 형상의 다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각형 단면 막대 형상의 다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로서 절곡부나 만곡부를 구비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식탁 플레이트(210)의 어느 하나의 측면이나 또는 두 개의 측면에는 하부지지대(220)가 배치되지 않고, 해당 측면이 벽이나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평 지지프레임(40)의 형태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수평바 형태로 양단이 한 쌍의 지지부(10, 20)에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바 형태의 수평 지지프레임(40)의 양측 말단부는 각 지지부(10; 20) 상의 체결부에 나사 결합 형태로 체결되고, 수평 지지프레임(40)의 축 방향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지지부(10, 20) 사이에 결합력이 높아지거나 완화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수평바 형태의 수평 지지프레임(40)의 중간부는 서로 분리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수평 지지프레임(40)의 한쪽 수평바 부분을 회전시킬 때 체결구조 부분에서 다른 한쪽의 수평바 부분과의 중첩되는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변경되어 한 쌍의 지지부(10, 20)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스프링(60)은 지지부(10 및/또는 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와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60)은 인장력을 이용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면 저렴한 부품과 제조의 용이성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하고 장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1의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서 보조테이블 장치의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보조테이블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테이블에 채용할 수 있는 조작손잡이에 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 장치(100)에서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식탁(200)의 일측에서 접히어 식탁 플레이트(210)의 하부로 젖혀지거나 식탁 하부에 숨겨질 수 있다.
보조테이블 몸체(50)의 끝단이 하부측 혹은 바닥측을 향하고 있을 때, 스프링(60)은 지지암(38)의 무게 중심이 중력 방향보다 조금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된 제1 스프링 고정부를 지지암(38)의 윈쪽에 위치하는 부분연장부(36)의 하부측 말단부(제2 스프링 고정부에 대응함)에서 당기는 인장력을 형성한다. 제1 스프링 고정부는 지지암(38)의 일단부의 우측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지지암(38)의 일측부는 고정핀(72)의 돌출 부분에 접하게 되고, 그에 의해 지지암(38)은 어느 정도의 외부 충격에 있는 경우에도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보조테이블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조작손잡이(70)를 약간 잡아당겨 고정핀(72)을 고정홀에서 빼내고 보조테이블 몸체(50) 약간 들어올리면, 보조테이블 몸체(50)는 회동하여 식탁 플레이트(210)의 측면에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손잡이(70)를 밀어 고정핀(72)을 고정홀에 밀어넣고 약간 회전시키면 고정핀(72)은 고정홀에 고정되어 보조테이블 몸체(50)가 쉽게 밀려 기울어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보조테이블 장치(100)가 식탁의 보조테이블로서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저 조작손잡이(70)을 당기고 보조테이블 몸체(50)에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일정 이상의 각도로 보조테이블 몸체(50)가 기울여지면, 스프링의 인장력의 변곡점을 지나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지면측으로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조작손잡이(70)는 지지암(38)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홀을 완전하게 관통하고 있지 못하다가 보조테이블 몸체(50)를 하부측으로 최대 접은 상태가 될 때 지지암(38)의 측면에서 벗어나 지지암(38)의 가장자리에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손잡이(70)를 다시 잡아당겨 고정홀에서 고정핀(72)을 빼내지 아니하면, 지지암(38)의 회전이 제한되어 보조테이블 몸체(50)의 식탁 플레이트(210) 옆에 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외부의 원하지 않는 힘에 의해 보조테이블 몸체(50)가 접힌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전환되고, 이를 예상치 못한 식당 관계자나 손님 등의 사용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보조테이블 몸체(50)는 지지암(38)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테이블 몸체(50)는 보조테이블 몸체(5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탁 플레이트(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조작손잡이(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72), 손잡이부(74), 체결부(76) 및 압축스프링(78)을 구비한다. 고정핀(72)은 원통형 머리부 형태의 손잡이부(74)의 일측에 동축 실린더 형태로 돌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체결부(76)는 수직 브라켓(32) 또는 그 수직부의 고정홀 주위에 일체로 설치되고 손잡이부(74)와 결합하며 그 내부에 압축스프링(78)을 탑재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조작손잡이(70)는 수직 브라켓(32)의 일면 상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손잡이부(74)와 고정핀(72)는 압축스프링(7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홀의 삽입과 고정홀로부터의 분리를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의 활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보조테이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식업 식당용 식탁에 부착된 보조테이블에 채용할 수 있는 커버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블 장치(100)는 식탁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펼쳐지고, 그 위에 수저통(300), 물컵(400), 휴대단말(500) 등이 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4인용 식탁에 4명의 사용자가 식사를 할 때 식탁이 좁아 사용자의 스마트폰, 차키 등을 식탁에 올려놓기가 어려운 경우, 보조테이블 장치(100)를 작동시켜 식탁 플레이트(210)에 놓여 있던 수저통(300)과 물컵(400)과 휴대단말(500)을 보조테이블 몸체(50)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식탁을 상대적으로 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탁 플레이트(210)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0 또는 20), 수직 브라켓(32), 회동암(34), 회동제한암(36), 지지암(38), 보조테이블 몸체(50) 및 스프링(60)에 손님의 신체나 의류가 접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보조테이블 장치(100)의 구성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테이블 장치(100)는 커버 브라켓(110)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 브라켓(110)은 한 쌍의 지지부, 각 지지부의 수직 브라켓(32), 회동암(34), 회동제한암(36), 지지암(38), 보조테이블 몸체(50) 및 스프링(60)을 3개의 측면에서 감싸는 'ㄷ'자 형태의 수직 커버들(111, 112, 113)을 구비하고, 수직 브라켓(32)의 수평 절곡면의 나사 체결공과 수평 지지프레임의 수평 절곡면의 나사 체결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오목홈(114)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단순구조 식탁의 상부면 공간을 약간 넓히는 것만으로 4인 식탁에서 4인 손님이 매우 여유롭게 식탁 플레이트(210) 상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20: 지지부 32: 수직 브라켓
34: 수직부 36: 부분연장부
38: 지지암 100: 보조테이블 장치
200: 식탁 210: 식탁 플레이트

Claims (4)

  1. 요식업 식당용 식탁과 상부면이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보조테이블 몸체;
    상기 보조테이블 몸체를 지지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에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접이식 동작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수직 브라켓, 회동암, 회동제한암 및 지지암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브라켓은 식탁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 상기 수평 절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연장부, 및 상기 부분연장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암의 일단은 상기 부분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제한암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절곡부는 회동 동작 시 상기 회동암의 타단을 가두어 상기 회동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지지암은 수직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중심부에 상기 회동제한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상기 수평 절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타측과 상기 부분연장부의 하부측 말단과의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하나에 형성된 제1 고정홀과 상기 지지암에 형성된 제2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한 조작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
  2. 보조테이블 몸체를 지지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로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는,
    식탁의 하부면에 접하는 수평 절곡면, 상기 수평 절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연장부, 및 상기 부분연장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수직 브라켓;
    상기 부분연장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암;
    상기 돌출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암의 타단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회동제한암;
    상기 회동암의 타단이 일단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동제한암의 타단이 상기 일단부의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에 상기 수평 절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지지면을 구비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일단부의 타측 부분과 상기 부분연장부의 하부측 말단부와의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브라켓은 상기 부분연장부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부에서 상기 수평 절곡면 및 상기 수직부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부와 상기 지지암은 상기 수평 절곡면과 상기 수평 지지면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때 서로 대응하는 고정홀을 각각 구비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에 대한 상기 고정핀의 삽입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스프링을 게재하고 상기 고정홀 상에 고정되는 조작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요식업 식당용 식탁 보조테이블 장치.
KR1020190140812A 2019-11-06 2019-11-06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KR10223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12A KR102233829B1 (ko) 2019-11-06 2019-11-06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12A KR102233829B1 (ko) 2019-11-06 2019-11-06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829B1 true KR102233829B1 (ko) 2021-04-02

Family

ID=7546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812A KR102233829B1 (ko) 2019-11-06 2019-11-06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125A (zh) * 2022-01-21 2022-04-12 湖南城建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外侧扩展组件的美术手绘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97Y1 (ko) * 2003-05-28 2003-09-19 조성욱 실험실습대
KR100938250B1 (ko) * 2004-11-30 2010-01-22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높이 조절 가능한 테이블
KR20120139197A (ko) 2011-06-17 2012-12-27 김호영 상차림 장치
KR101524151B1 (ko) * 2014-02-25 2015-05-29 (주) 우석디앤씨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20170065025A (ko) * 2017-05-30 2017-06-12 주식회사 미젠드 접이식 선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97Y1 (ko) * 2003-05-28 2003-09-19 조성욱 실험실습대
KR100938250B1 (ko) * 2004-11-30 2010-01-22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높이 조절 가능한 테이블
KR20120139197A (ko) 2011-06-17 2012-12-27 김호영 상차림 장치
KR101524151B1 (ko) * 2014-02-25 2015-05-29 (주) 우석디앤씨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20170065025A (ko) * 2017-05-30 2017-06-12 주식회사 미젠드 접이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125A (zh) * 2022-01-21 2022-04-12 湖南城建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外侧扩展组件的美术手绘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941B2 (en) Collapsible support stand for barbecue stove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102233829B1 (ko) 요식업 식당용 식탁 접이식 보조테이블 장치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US2621095A (en) Pivot and latch structure for table legs
KR102093582B1 (ko)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선반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20110114408A (ko) 벽면에 설치하는 접이식 테이블
EP3106063A1 (en) Hanging table comprising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KR2004670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60089833A (ko) 물건 수납대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JP2010131208A (ja) キッチンの構造
KR20210112605A (ko) Pc방 책상의 회전식 식탁테이블
US20040211344A1 (en) Sofa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KR102173717B1 (ko) 기표대
KR20120064381A (ko) 접이식 힌지장치
TWI622368B (zh) Folding mahjong table
KR102118611B1 (ko) 접이식 다리의 고정장치
CA2892112C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200400118Y1 (ko) 다용도 책상
KR200401946Y1 (ko) 절첩식 상다리
GB2453825A (en) Collapsible support stand for barbeque stove
KR20190120870A (ko) 노트북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